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퍼포먼스로서 에크리튀르 -연극적 텍스트성의 실천-

        주현식 ( Hyun Shik Ju ) 한국기호학회 2011 기호학연구 Vol.29 No.-

        This paper`s aim is to reappropriate the understanding of Jacques Derrida`s De la grammatologie with a theatrical approach. So this paper will examine how Derrida`s deconstructive thinking provides implications for a boundary that two distinct theatrical existent modes, i.e. dramatic script and staging a play, define as themselves. This work is expected to have a special meaning for suggesting ecriture`s performative aspect and its significance. By studying theatrical textuality through deconstructive works about theatrical metaphysics, this paper will try to elucidating ecriture`s performativity. Therefore, the problematics which this paper cares deeply about are the limits of theatrical metaphysics. For example, they are the dramatist-based approach and director-based approach when theatrical practices happen. At this moment, the strategies which this paper sets up are to overturn language-body`s hierarchical relations that theartical discourse has repeated. To sum up, dramatic script and staging a play are mutual supplementary as a iterable relationship. As a result, this paper intends to investigate the iterability of theater, namely, differantial repetition, textual undecidebility, and citational semiosis, in which making is remaking, and representation is poiesis.

      • KCI등재

        공간인식 개선을 위한 학교폭력 연극치료 프로그램 : 동화 <미운 오리 새끼>를 중심으로

        주현식(Ju, Hyun Shik) 한국연극예술치료학회 2021 연극예술치료연구 Vol.- No.15

        본고의 논의는 이야기와 결합된 동작 기반 학교폭력 연극치료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프로그램 대상은 초등학교 저학년의 학생들이다. 이야기 소재는 안데르센의 <미운 오리 새끼>를 각색한 현대판 <미운 오리 새끼- 학교폭력 편>이다. 소재는 왕따(집단 따돌림)나 은따(은밀한 따돌림) 문제가 신체적 폭력보다도 더 심각한 사회문제로 부각되는 현 상황을 고려해 채택하였다. 미운 오리로 상징되는 소외된 주체를 다루는 동화 속 플롯은 참여 학생들이 공간 인식 및 움직임 활동을 통해 효과적인 상호 작용을 함양하는 데 매개체가 될 수 있다. 본론의 이론적 틀 및 배경 논의에서는 우선 공간적 전환과 공간 유형에 대해 다룬다. 이어서 폭력의 가해자, 피해자, 방관자 유형이 이루어내는 집단 역학에 공간 논의를 관련지어 본다. 이에 기반 하여 무용동작치료 학교폭력 예방프로그램 기존 논의를 <미운 오리 새끼– 학교폭력 편>의 집단 역학과 결부해 연극치료 프로그램으로 재구성한다. 공격성을 감소시킬 수 있는 구체적인 이야기-무용 동작 통합 기반 연극치료 프로그램을 제안한다는 점에서 본 논의는 의미가 있다. This paper aims to develop a motion-based drama therapy program combined with a story for treating school violence. The target for the program is students in the lower grades of elementary school. To this end, the modern version of The Ugly Duckling - School Violence, adapted from Andersen s The Ugly Duckling, is employed. The story is introduced, reminding the current situation in which social bullying is emerging as a more serious social problem than physical violence. The fairy tale plot dealing with the alienated subject symbolized by the ugly duck can be a medium for participative students to cultivate effective interaction through spatial awareness and movement activities. First, the section of the theoretical framework and background deals with Spatial Turn and the types of space. Next, this paper relates how spatial awareness can be intervened in the group dynamics of the types of attackers, victims, and bystanders of violence. Based on this, the existing discussion of the dance movement therapy for school violence prevention program is reconstructed as a drama therapy program in conjunction with the group dynamics of The Ugly Duckling – School Violence. This discussion is meaningful by proposing a specific story-dance-motion integration-based drama therapy program, which can reduce aggression before it turns into destructive and violent behavior.

      • KCI등재

        퍼포먼스로서의 도시 연구 시론

        주현식 ( Ju Hyun-shik ) 한국드라마학회 2017 드라마연구 Vol.0 No.53

        본고에서 검토하려는 것은 도시의 공간적 삶에 고유하게 함축된 퍼포먼스와 퍼포먼스성(Performance and Performativity), ‘연행(演行)’적 특징이다. 물질성의 상상적 무대를 바탕으로 도시에 거주하는 사람들 사이의 상호주관적인 체현의 실천을 경유해 새로운 의미 만들기, 정체성 만들기, 그리고 공동체 만들기의 사건이 발생한다. 도시적 삶의 리얼함과 그 변형은 도시 생활을 결정적으로 특징짓는 건축 공간, 도시 시민들의 일상적 체현의 상호행위, 퍼포먼스로부터 비롯된다. 본고는 ‘퍼포먼스로서의 도시’ 연구라는 주제 아래 그 이론적 배경을 살펴본 뒤 퍼포먼스되는 도시의 한 사례로서 ‘춤추는 도시’의 양상을 살핀다. 우선 <풍정·각>과 <불꽃돌격 경성유랑>의 분석에서는 건축된 기억의 공간을 통과하여 낙원악기상가나 세운상가와 관련된 도시의 기억이 어떻게 재출현 하는지가 고찰된다. <풍정·각>에서는 낙원악기상가의 40년 희로애락을 의인화한 춤 동작들을 거쳐 박제화된 건축물의 물질성이 무용수들과 함께 캐스팅된 배우처럼 형상화됨으로써, 과거의 기억과 현재의 몸짓이 중층결정된 새로운 가소성의 공간으로 낙원상가가 재구성된다. <불꽃돌격 경성유랑>에서는 참여자들이 헤드폰을 착용하고 저마다의 춤을 추고 있는 장면을 댄서로 참여하지 않는 관객들이 위에서 내려다보게 해 기억의 장소에 대한 댄서들의 추적 행위 자체가 재추적되는 식의 새로운 서사가 생산된다. 이 같은 춤추는 몸의 통과에 따른 기괴한(Uncanny) 긴장은 낙원상가나 세운상가의 아카이브의 단순한 재생산에 저항하고 기념비적 건축물의 단단한 골격, 기원에 실질적인 건축물의 질료이자 물질인 살을 흔적으로서 남긴다. 해서 도시와 관련된 집단적 경험과 사회적 기억이 새롭게 생산될 잠재력, 도시가 변형될 가능성이 형성된다. < Long Distance Voodoo >와 < Urban Alphabets >의 시티 댄스에서는 어반 미디어의 활용을 통해 도시적 의미가 새롭게 이해되고 생산된다. 상호행위성, 네트워크성, 유비쿼터스한 자질, 과정지향적, 역동적, 실시간의, 가변적인 자질들을 속성으로 갖는 디지털 미디어가 도시 공간 속에서 활성화될 때 도시 환경의 좀 더 집단적, 협업적 매핑(Mapping)이 가능해진다. < Long Distance Voodoo >와 < Urban Alphabets >의 어반 미디어 댄스는 이점을 잘 보여준다. < Long Distance Voodoo >에서는 도시 공간에서 흔히 느끼게 되는 고립감과 친밀감의 의미, 그리고 그로 인한 심리적 지리지가 어반 미디어적 댄스를 거쳐 다시 매핑되는 과정이 표현된다. < Urban Alphabets >에서는 ‘움직이는 외벽(Kinetic Facade)’에 따라 공공적 공간이 유희적으로 전유되는 과정이 표출되고 있다. 스크린에 시각화된 보행자들의 어반 알파벳과 어반 엽서에 의해 도시적 공간의 심리지리지는 놀이터의 공공공간으로 재매핑된다. 점점 미디어화되는 쪽으로 도시환경의 조건이 변화되고 있는 현 시점에서 사람과 사람의 만남이나 상호행위가 어떤 방식으로 변화되고 있고 이에 상응해 개인의 정체성과 공동체적 정체성이 또 어떻게 형성될 수 있는지 이상의 어반 미디어 댄스 작품들은 지시하고 있다. 이 퍼포먼스들이 함축하고 있는 것은 디지털 데이터에 의하여 미리 매개된 (pre-mediated) 도시의 공공영역에서 만남의 연극적 무대이자 상호행위를 촉진하는 플랫폼으로서 도시의 공공영역을 경험할 수 있는 기회가 증대되었다는 점일 터다. 도시 자체를 퍼포먼스적인 것으로 보는 관점에서 추구하는 것은 도시의 기존 시공간적 한계와 그것들이 체계화한 감각적인 한계의 인프라 구조에 개입하여 도시 환경에 관련된 감각이 재조정되는 과정, 랑시에르(Jacques Ranciere)적 의미에서의 ‘감각의 재분할(Distribution of the sensible)’ 과정이다. 우리를 둘러싼 도시 환경의 통합적, 일관적 의미가 방해되고 낯설어지면서 그것에 대한 재현의 감각이 탈구될 때, 바꾸어 말해 도시의 물질성에 관한 재현이 사회적인 담론적 실천, 의미 만들기의 실천과 분리되지 않는 구성적, 연행적(Performative)인 것임이 드러날 때, 도시에 대한 우리의 공간적 감수성은 확장된다. This article focuses on city space as a practice of spatial turn to appropriate space newly. Then, this paper has a distinction in an attempt to regard cities as performing arts. In other words, this article examines the performativity implicit in spatial lives in city space. Via inter-subjective embodiments among citizens, events happen for newly creating meaning, identity, and community. The realness of urban life and its transformation stem from the daily mutual action between the architectural space and urban citizen, resulting in definitively features of urban life. In city dance of < Pungjeong·gak > and < Flame-like Rush of Seoul Wandering >, the city memories of Nagwon Arcade and Seun Arcade are reappearing by dancers' passing through the built memories. < Pungjeong·gak > is aesthetically successful that the materiality of solid architecture is configured like another cast actor by expressing Nagwon Arcade's history through dancing, as if it has undergone all sort of human's emotions. < Flame-like Rush of Seoul Wandering > too achieves its aesthetics in the scene that dancers do their dances listening to each other's music with earphone while audience looks down it at higher floors. Through the monument, the dancing body continues to be rewritten at the present moment while dislocated, disappearing into the past of the absence. The uncanny tensions due to the passage of such dancing bodies resist the simple reproduction of the archives of the buildings, then leave fleshes as bodily traces to the solid skeleton of monumental architecture. As a result, the potential for collective experiences and social memory, namely, the possibility of transforming the city, is emergent. In urban dancing of < Long Distance Voodoo > and < Urban Alphabets >, cities' meaning is more newly produced and understood with urban media. Digital media makes it possible due to its interactivity, networked-ness, ubiquitous qualities, process-oriented, dynamic, real-time, and variable qualities; thus, when they are activated in urban space, more collective and collaborative mapping of urban environment become realized. The urban media dances of < Long Distance Voodoo > and < Urban Alphabets > illustrate this. In < Long Distance Voodoo >, the senses of isolation and intimacy commonly felt in urban space, and their psychological geography are remapped through urban media dance. In < Urban Alphabets >, according to the 'kinetic facade', public spaces are playfully re-appropriated. The urban alphabets and urban postcards of pedestrians visualized on the screen remap the psychogeography of the urban space to the public space of the playground. Under current situation of urban environment with more media-orientations, these works indicate how for the meeting among people to change, correspondingly, how for individual and community identity to alter. The implications of these performances are the more opportunities to experience the public sphere of the city as a theatrical stage of the encounter and as a platform to promote mutual action among citizens in the public domain of the pre-mediated city by digital data.

      • KCI등재

        기호학적 분석을 통한 천전리 암각화의 신화적 도상 연구

        주현식 ( Hyun Shik Ju ) 한국기호학회 2012 기호학연구 Vol.32 No.-

        Rock art means the native rock that has a artificial mark on the surface. Rock art is taken center stage as prehistoric ages` archive, because it has many iconic representations, various visual signs. So, recently, it is treated as an object of interdisciplinary study beyond an archaeological approach. But a hard question on rock art study is that rock art was produced from the distant past. In other words, for the improbability of its context analysis, the systemic description of rock art is very difficult. The problems of a direct approach to the cultural convention results from the researchers` ignorance about rock art`s contextual factor. Now the rock art`s substantive, physical factors, namely, etic factors, can be identified, but structural constituents, cultural codes, that is, emic factors cann`t be identified. This is obstacle of rock art study. Therefore, an absolute truthful methodology of rock art study doesn`t exist. As a result, research direction of rock art study must get out of the representative perspective that rock art`s sign simply mirrors prehistoric ages`s conditions. the representative perspective poses several problems, especially, it overlooks rock art`s textuality. So rock art study will be more productive, when researcher begins the study that focuses on semantics, functions of rock art`s sign morphology, expand into the study that concentrates on the interaction between rock art`s signs and contextual factor such as its natural environment, prehistoric material conditions. That is, rock art is intentional product with the rules that special images are made, disposed. This paper`s differentiated point proceeds from this semiotic analysis of rock art. A major premise of this paper is that the perception of natural reality is made up of dialogue between the artificial signs and the natural material conditions. This perspective compensates the earlier studies that have superficially speculated on environmental factors of rock art`s remain. An object of this paper is Cheonjeon-ri rock art found in 1970. Cheonjeon-ri rock art is Korea`s very first prehistoric rock art. Because it has many geometric figures, the definite interpretation about Cheonjeon-ri rock art is very difficult. As a result, semiotic analysis that regards textual systemic description as important is urgently needed for scientific approach to Cheonjeon-ri rock art.

      • KCI등재

        < 느낌, 극락같은 >에 나타난 의식의 연행과 리미널 공간의 경험

        주현식 ( Hyun Shik Ju ) 한국드라마학회 2012 드라마연구 Vol.- No.37

        This paper will newly approach audiences` cognitive act in A Feeling, Like Paradise by examining figuration of minds and bodies, focusing on consciousness and space. In other words, this article aims to understand cognitive process which audiences experience during performance of A Feeling, Like Paradise. Especially, this paper attends to the process that audiences transform and frame theirselves` mental activity via the performance of consciousness in the liminal space as ``becoming`` extended bodies. Consciousness is the key concept in this article. Consciousness is general term for the subjective characteristics of mental experience, namely, qualia. In other words, Consciousness is defined as the distinctive experience of subjectivity and phenomenality, that is, the way that subjects take cognizance of objects, unlike things as they really are. For example, consciousness includes one`s subjective way of thinking, remembering, attending, sensing, feeling. As Rene Descartes points out, the prime feature of body is its spatial extension. Therefore, in order to study the subjectivity of consciousness that phenomenally happens via embodiment in objective reality, it is required to examine spaces which arrange bodies, surround humans, and construct the objective environments. This paper will bear in mind these theoretical discussions. As a results, the main issues are comprised of two different argument, i.e. the performance of consciousness and the experience of liminal space. 이 논문에서는 의식(consciousness)과 공간(space)을 화두로 하여 <느낌, 극락같은> 공연에 나타난 연극적 고르디아스의 매듭, 몸과 관념의 형상화를 통해 관객의 인지적 활동이 구성되는 과정에 새롭게 접근하고자 한다. 즉 확장된 몸 ``되기``의 형태인 리미널한(liminal) 공간 속에서 의식의 ``연행(performance)``을 거쳐, 관객이 어떻게 스스로의 정신 활동을 역동적으로 변형시키고 틀 짓게 되는가에 주목함으로써, 본고에서는 < 느낌, 극락같은 > 공연 중 관객이 체험하게 되는 인지적 과정을 보다 더 잘 이해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해 볼 것이다. 이 글에서 활용하고 있는 핵심 개념인 의식(Consciousness)은 말로 표현될 수 없는 정신적 경험의 주관적 성질을 총칭한다. 바꾸어 말해 외적인 사물이 객관적으로 존재하는 방식과 다르게 주체인 나에게 인지되는 방식(사고, 기억, 관심, 느낌, 감정 등등), 그 주관성(subjectivity)과 현상성(phenomenality)의 독특한 경험이 바로 의식이다. 데카르트의 지적처럼 몸의 근본적 특징은 그것이 공간적으로 확장된다는 데에 있다. 때문에 객체적 리얼리티에서 체현의 과정을 거쳐 현상학적으로 발생하는 주관적 그 무엇인 의식의 해명에, 몸이 배열된바 인간을 둘러싸고서 객체적 환경을 구성하는 공간의 검증은 필수적이다. 본론에서는 이상의 이론적 논의들을 염두에 두었기에, 의식의 연행과 리미널한 공간 논의를 본론 전개의 두 단계로 구성하면서도. 의식 - 몸 - 공간의 긴밀한 고찰을 꾀하였다.

      • KCI등재
      • KCI등재

        연극에 나타난 상호매체성, 상호몸성, 연행성의 세미오시스

        주현식 ( Hyun Shik Ju ) 한국기호학회 2013 기호학연구 Vol.36 No.-

        Today, the discourses of intermediality are very extensively defined, according to goals that various critical approaches, such as media study, literature study, sociology, cinema study, and art history, have. For example, a diversity of concepts like multimediality, pluralmediality, crossmediality, infra-mediality, media-convergence, hybridity, the special form of intertextuality, transformative intermediality, synthetic intermediality, discoursive intermediality, the intermediality of medial traverse, ontological intermediality, genealogical intermediality, remediation, are specifically used with respective characters and limitations in the discourses of intermediality. The flowering of intermediality discourses is concerned with discussion about the materiality, bodily experience, and new representation resulting from the medial perception. As Marshall McLuhan said, by changing the environment, media lets us perceive our body specific site. Because sensitive extension changes our thoughts, behavioral types, and how we perceive the world, the discussions of intermediality have much significance. So, this paper aims to think out the general model of intermediality as a critical category that concretely analyses a theatrical genre. An understanding of an media surely requires an understanding of the other media like the diologism of intertextuality. But communicative conventions of each media vary according to a special cultural environment. Therefore, a subject of theatrical intermediality is worthy of careful study in that it challenges established concepts of theater, expands a characteristic intermediality of theater, and contributes to deepening the discussions of intermediality. Theater constructs a meaning from multiple layered sign systems. On the other hand, theater de-semanticizes and re-semanticizes the meaning with bodily perception. And, theater must have performativity in mind, i.e., acceptive effecting on audiences. Intermediality among communicative channels, intermediality between actors` bodies and communicative channels` signifier, and intermedialtiy between actors` bodies and audiences` bodies, are inherent intermediality of theater. As a result, if media theory is fused together semiotics, phenomenology, and performance study, it is easy to discuss theatrical intermedialty. Considering this point, first, this paper theoretically discusses theatrical intermdiality, and suggests intermediality model in theater, and finally, examines its applicability through case study.

      • KCI등재

        디지털 댄스의 공간성

        주현식 ( Hyun Shik Ju ) 한국연극학회 2015 한국연극학 Vol.1 No.57

        본고에서는 ‘공간적 전환’의 개념을 통하여 1990년대부터 세계 각지에서 발전하기 시작한 디지털 댄스의 미학을 분석하려 한다. 컨테이너가 아닌 역동적인 과정으로서 공간을 이해하려는 입장은 디지털 댄스의 미학을 보다 정교하게 고찰할 수 있는 한 접근법을 제공해주리라 판단되는 까닭에서다. 디지털 댄스 내 ‘생성적 사건’으로서의 새로운 공간 패러 다임이 들뢰즈의 철학을 방법론으로 삼아 분석될 것이다. 본론은 디지털 댄스의 공간적 특성을 가상공간, 액체건축, 네트워크의 공간으로 기술하고 들뢰즈의 용어, ‘흐름’, ‘강도’, 그리고 ‘주름’을 동원해 디지털 댄스 공연 공간의 역동성을 검토한다. 리좀처럼 얽힌 이 세 가지 공간들은 유목의, 무중력 상태의 무제한의 공간인 ‘부드러운 공간’을 디지털 댄스에 구현한다. 바꾸어 말해 ‘되기’로서의 삶의 장소, 영토를 디지털 댄스 공간에 창조한다. 디지털 댄스의 가상공간은 흐름의 공간이 되어 현실적 몸과 가상적 몸이 섞인 새로운 공간을 낳는다. 액체건축의 양상은 강도의 영역을 산출한다. 그것은 몸과 공간의 내외부가 사라진 연속의 지대로 서로를 서로에게 내준 몸과 공간은 끊임없이 상대를 변형시키는 사건의 장소가 된다. 네트워크의 공간에서 여기와 저기는 자신의 짝패를 유사하게 복제하는 것이 아니라 대위법처럼 포개지고, 접합돼, 주름을 형성하면서 무한하게 차별화되는 변이의 공간을 생성시킨다. 결과적으로 디지털 댄스의 공간은 단순한 거주 공간, 용기가 아니라, 공간 자체가 끊임없이 탈형상화되고, 재형상화되는 ‘되기’ 과정으로서의 창발적 사건을 투사한다. 이는 물질적 의미를 넘어 존재의 구성요소인 살(flesh)로서 주어지는 디지털 기술을 통해 춤추는 몸과 공간이 접촉하고, 접촉되어 더 큰 세계적 살을 생산하는 ‘공간내기(spacing)’에 다름 아니다. 장소특정적 연극, 일상공간과 허구공간의 경계를 넘나드는 다큐멘터리 연극 같은 오늘날 연극공간의 분석에 필요한 것은 보다 사회적 의미작용의 능동적, 생산적 조건 자체가 되는 새로운 공간의 개념일 터다. 생성적 모티프를 가지는 공간에 대한 고찰은 디지털 댄스에서 가장 명확하게 드러나며 그러기에 본 논의는 새로이 공연 공간을 실험하는 연극적 실천에 확장, 적용될 수 있다. This paper attempts to analyze the aesthetics of digital dance that has evolved since the 1990s from all over the world, in terms of the concept of ``spatial turn``. To understand the space not as a container but as a dynamic process will provide a more sophisticated approach to consider the aesthetics of digital dance. Space of digital dance as `ever-becoming`` process will be examined by Deleuze``s philosophy. To begin with, this paper divides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the digital dance as virtual space, liquid architecture and network space, and then describes the dynamics of the digital dance spaces by employing Deleuze``s concepts, such as ``flow``, ``intensity`` and ``fold``. Rhizome-like entangled three spaces implement the nomadic, unlimited ``smooth space`` of the digital dance space. In other words, they create a territory of becoming in the digital dance space. The virtual space of the digital dance gives a birth to the space of flows mixing realistic bodies with virtual bodies. Liquid architecture produces intensity. It is a place of incident that transforms the body and space in a zone of continuous inside everted and outside inverted body-space. Here and there in the space of networks is superimposed as a counterpoint rather than replicating similar to his suit, thus creating a space of infinite differentiations with forming folders. As a result, the space of digital dance is not a container, but constantly deshaped, reshaping process itself that will be projected as an emergent events. This is ``spacing`` of making the flesh of a larger world, with the interaction between dancing body and space through the digital technology given as a component of the flesh of the being beyond the material sense. what is needed to analyze today``s theatre spaces, such as site-specific theatre, documentary drama, is a new space concept of productive, active condition itself on social signification. Since the space with the generative motif is revealed most clearly in the digital dance, this discussion can merit the theatrical practice to test the new performance space.

      • 키즈콘텐츠와 유튜브의 놀이 교육적 의의

        주현식(Hyunshik Ju) 한국교원대학교 융합교육연구소 2022 융합교육연구 Vol.8 No.2

        본고는 2019년 기준 구독자수가 가장 많은 개인 유튜버였던 <보람튜브>를 대상으로 그것의 놀이 형식을 사회극적 놀이 차원에서 분석하고 이러한 놀이가 아동 발달 심리에 주는 의의를 아울러 규명하고자 한다. 본고의 연구는 유튜브 키즈콘텐츠의 놀이 교육적 의의를 조망한다는 점에서 고찰의 의의가 있다. 본론에서는 사물, 인물, 상황 가작화의 차원에서 <보람튜브>의 내용을 분석하고 이를 아동의 인지적, 지각적, 정서적 발달의 측면과 연계하여 그 의의를 분석한다. 결론적으로 <보람튜브>에 나타난 사회극적 놀이의 차원에 의해 아동의 인지적, 지각적, 정서적 발달이 심화되면서, 또래나 부모라는 타인들 속에서 사회적 존재로서의 자아에 대한 아동의 감각이 발전되고 있음이 규명되었다. This paper analyzes the play form of <Boram Tube>, an individual YouTuber with the highest number of subscribers as of 2019, in terms of socio-dramatic play, and attempts to identify the significance of such play on the child's developmental psychology.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looks at the educational significance of kids content on YouTube. The contents of <Boram Tube> are analyzed in the dimension of imagining objects, characters, and situations, and their significance is analyzed in connection with the cognitive, perceptual, and emotional development of children. In conclusion, this has been clarified that as the cognitive, perceptual, and emotional development of children is deepened by the dimension of social drama shown in <Boram Tube>, children's sense of self as a social being is developing among others such as peers and parents.

      • KCI등재

        < 이이남: 세컨드 에디션 >을 통해 본 인터아트의 미학

        주현식 ( Hyun Shik Ju ) 한국드라마학회 2016 드라마연구 Vol.0 No.49

        이 논문은 < 이이남 : 세컨드 에디션 >에서 형상화되고 있는 인터아트의 미학을 규명하려 한다. 본론 첫 번째 부분에서는 < 이이남 : 세컨드 에디션 > 이야기전개상의 형식적 측면, 특히나 ‘경계 전이(Metalepsis)’의 서사 기법을 논의한다. < 이이남 : 세컨드 에디션 > 공연 중 여러 예술 형태의 허구적 세계 간 상호 경계 침입이 빈번하다는 점에서 경계전이 현상은 인터아트의 국면을 서사학적으로 규명하기에 적합하다. 본론 두 번째 부분에서는 < 이이남 : 세컨드 에디션 > 이야기의 주제적 측면을 ‘반복의 역설’이라는 개념을 가지고서 검토한다. < 이이남 : 세컨드 에디션 >에서 이이남의 그간 창작 사례를 전형적 예로 해 이러한 인터아트적 작업의 과정이 어떤 시각으로 간취되고 있는지 ‘반복’의 개념을 중심으로 본고에서는 고찰할 것이다. 본론 마지막 부분에서는 < 이이남 : 세컨드에디션 >의 인터아트 작업이 관객을 재구성하는 양상을 형식적 측면에서는 ‘경계 전이’의 서사기법을 통해, 내용적 측면에서는 ‘반복의 역설’의 개념을 통해 논의하려 한다. 결과적으로 본론의 과정을 거쳐 < 이이남 : 세컨드 에디션 >의 인터아트 미학이 서사적 형식, 주제적 내용, 그리고 관객의 수용 면에서 조망된다. 이이남 개인적 자전적 공연층위를 넘어 디지털 시대 인터아트적인 미디어 아티스트의 작업에 내포된 ‘세컨드 에디션’의 함의가 무엇인지가 이 논의를 통해 규명될 것이다. 회화, 미디어아트, 영화 그리고 연극 등 다층적 예술 양식의 허구적 세계 간에 빈번한 ‘경계전이’가 < 이이남 : 세컨드 에디션 > 공연에서는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장면들에서 회화, 디지털 미디어, 영화 그리고 연극과 관련된 몇 가지 예술 표현 체계 사이의 교환과 연접, 그리고 혼재가 발생한다. 결과적으로 < 이이남 : 세컨드 에디션 > 공연에서의 경계전이의 이미지들은 랑시에르 식의 ‘사색에 잠긴 이미지(Pensive Image)’의 측면을 전경화한다. < 이이남 : 세컨드 에디션 >은 이이남의 자전적 개인사를 무대화한 공연이기도 하지만 이를 초월한다. 디지털 테크놀로지 시대 이이남과 같은 인터아트적미디어 아티스트가 필연적으로 겪게 되는 원본과 복제품의 진정성 논란이 이공연에서는 형상화되었다. 모든 곳에 있으면서 어느 곳에서도 있지 않고, 동일하면서도 차이를 생산하며, 복제본이 오히려 원본이 되는 반복 행위의 역설적양상은 이이남의 창작 과정뿐만 아니라 인터아트적이거나 트랜스미디어적인 작품 생산의 일반적 모습을 시사한다. < 이이남 : 세컨드 에디션 > 공연 중 모니터 속 비어 있는 객석 이미지의 무대제시를 통해 구성되는 것은 기원의 죽음이다. 그것은 역진적 기억하기의 행위속에서 기원의 저장에 대한 ‘아카이브적 육동(Archival Drive)’을 차이로서 반복한다. 그럼으로써 사라짐의, 죽음의, 파괴의 ‘새로운 아카이브적 육동’을 관객에게 충동한다. 무대와 객석의 현실이 탄생 이전의 상태로 되돌려져 다시 작은모니터 안에, 미디어 안에 담김으로써 아우라가 사라진 디지털 복제시대 인터아트, 미디어아트 예술가의 역할은 과연 무엇이며, 사회적 장치로서 연극적 미디어는 어떤 기능을 담당하고, 관객의 주체성은 어떻게 발현될 것인지 < 이이남: 세컨드 에디션 >은 관객에게 성찰하기를 재촉하고 있다. This paper``s aim is to explore the aesthetics of interart in Lee Leenam: Second Edition. Firstly, this paper discusses formal characteristics of story in Lee Leenam: Second Edition, especially narrative technique of ``metalepsis``. ``Metalepsis`` is suitable for identifying the aspects of interart from narratology perspective, because intrusions between the fictional worlds of the various art forms are frequent during the performance. Secondly, this paper examines the thematic aspects of the story with the concept ``paradox of repetition``. Interartistic works is investigated considering the concept ``repetition``, based on the creative process of Lee Leenam``s works represented in Lee Leenam: Second Edition. Thirdly, how the interartistic process in Lee Leenam: Second Edition reconstructs the audiences is understood with regard to the narrative technique of ``metalepsis`` in the formal aspects and the concept of ``paradox of repetition`` in the thematic aspects. At the centre of this paper is illuminated the aesthetics of interart in Lee Leenam: Second Edition from narrative form, thematic contents, and audiences`` acceptance. It will then develop a critical claim for thinking about theatre, inter-artist, and media artist in digital era. Firstly, metalepsis between the fictional worlds of the various art forms related with paintings, media art, cinema and theatre is taking place in Lee Leenam: Second Edition. Exchanging, connecting, and mixing among a few of artistic expressions happen in the performance. These metaleptic images foreground Jacques Ranciere``s ``pensive image``. Secondly, this performance is about Lee Leenam``s autobiographical history, but transcends it. Lee Leenam: Second Edition shows the controversial of authenticity related with the origin and copies that inter-artists inevitable experience in digital technology age. Paradox of repetition, that is, repetition is not anywhere else while staying everywhere, produces a difference while being same, and rather becomes the original while serving as copies, suggests the creative processes of general interart as well as those of Lee Leenam``s works. Thirdly, it is death of the origin that is configured through a stage presentation of empty seats image in the monitor during performance. It repeats ``archival drive`` on storage of origin as differences. It so urges a new archival drive of disappearance, death, and destruction to the audiences. The reality of stage and auditorium comes back before their birth, becomes smaller monitors, and visualizes in the media. In the digital age that the aura is gone, it urges audiences to examine what the role of inter-artists is, what functions theatre plays as a social apparatus, and how the subjectivity of audience express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