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세 명의 구보와 都市 散策者 스토리텔링 -朴泰遠, 崔仁勳, 주인석의 小說을 중심으로-

        주지영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19 어문연구(語文硏究) Vol.47 No.1

        In this article, we decided to set up storytelling for urban walkers based on three novels: on Novelist Mr. Gubo’s Day by Park Tae-Won, Choi In-Hoon, Joo In-Seok. To this end, we used the motif concept to extract common motifs and discriminatory motifs from the narrative structure of the three works, and put forward a storytelling strategy that can be used to create them. Based on the narrative structure of three works, the common motif of urban walker novels can be arranged in four ways. First, all three 'Gubo' are novelists and live without a fixed job. Second, all three 'Gubo' depart from their homes, take a walk in downtown Seoul, and come home again. Third, all three ‘Gubo’ think about the object, observing a certain place or meeting a particular person while taking a walk in the city. Fourth, the memory of the past is inserted in the form of a sketch or a recall. Distinct motifs that separate the three works include a temporal background, spatial background, walking path, and urban landscape. In particular, the memory recall space can be drawn as a positive space or a negative space compared to Seoul. The question of how to mean each space is closely related to the consciousness of the question of the age in which the creator belongs, so each space should be meant based on it. 주지영, 2019, 세 명의 구보와 도시 산책자 스토리텔링, 어문연구, 181 : 231~256 이 글에서는 박태원의 「소설가 구보씨의 일일」, 최인훈의 소설가 구보씨의 일일 , 주인석의 소설가 구보씨의 하루 의 세 작품을 대상으로 도시 산책자 스토리텔링을 정립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모티프 개념을 활용하여 세 작품의 서사 구조에서 공통된 모티프와 변별적 모티프를 추출하고, 이를 창작에 활용할 수 있는 스토리텔링 전략을 제시하였다. 도시 산책자(都市 散策者) 소설의 공통 모티프는 일정한 직업이 없는 소설가 구보, ‘집-서울 도심 산책-귀가’의 경로, 특정 장소와 특정 인물 등에 대한 사유, 과거 기억의 삽입 등의 네 가지로 정리할 수 있다. 변별적 모티프는 각 작품의 대비를 통해 드러난다. 인물이 도시를 산책하는 과정에서 각 작품마다 그 시대의 최첨단적인 삶과 풍속을 표상하는 도시 장소가 변별성을 갖는 것으로 드러나며, 각 작품의 문제의식과 주제의식에 따라 회상의 공간이 변별성을 드러낸다. 특히 과거 회상의 공간은 당대를 바라보는 창작자의 문제의식과 밀접하게 연관되는 것이므로, 창작자의 의도와 주제의식에 바탕을 두고 회상의 공간을 의미화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중암 강이천의 문학관과 〈漢京詞〉

        주지영 동아시아고대학회 2016 동아시아고대학 Vol.0 No.43

        〈漢京詞〉는 중암 강이천이 18세기 후반 서울의 풍경을 소재로 하여 창작한 106 수의 장편시이다. 〈한경사〉는 서울의 다양한 생활상을 표현하고 있으며, 중암이 지녔던 문학관이 시의 창작에 반영되었음을 확인시킨다. 중암은 문학의 본질과 문학을 창작하는 인간의 역할, 태도에 대한 뚜렷한 견해를 갖고 있었다. 그는 천지에이미 문학이 있으며, 천지가 인간에게 기대어 문학의 형태를 갖고 드러나는 것이라고 보았다. 천지 안에서 자신을 둘러싼 세계를 경험하며 살아가는 인간은 온갖다양한 현실의 근원이 되는 이치를 발견하여 문학 안에 담고자 한다. 문학을 창작하는 자는 자신이 속한 현실에 충실함으로써 진실함을 추구해야 한다. 진실한 문학은 필연적으로 변화하고 소멸하는 모든 것들이 문학의 형태로 영구해질 수 있게한다. 중암은 〈한경사〉에서 같은 소재가 전혀 다른 양태로 존재하는 모습을 대비함으로써 삶의 다면성을 표현했다. 삶의 다양한 양상이 모두 진리를 품고 있으며, 문학은 삶을 진실하게 기록해야 한다는 그의 생각이 반영된 것이다. 또한 세월이 흘러감에 따라 변화하는 인간의 모습을 시 속에서 볼 수 있게 했다. 중암은 무상하고 유한한 삶을 살아가는 인간이 근원적이고 영원한 것을 추구한다면 그것은 문학을 통해서 이루어질 수 있다고 여겼다. 시의 말미에 등장하는 인물이 인간사의 무상함을 생각하며 수심에 잠기는 모습은 시인이 지녔던 정서의 기저를 보여준다. 중암은 문학과 인간에 대한 자신의 사유를 바탕으로 〈한경사〉를 창작해 당대 서울의 모습과 그 안의 삶을 진실하게 전하고자 했다. 〈Han Kyung Sa 漢京詞〉 is a long poetry with 106 stanzas where Joongam Kang Ichun portrays the scenary of Seoul in late 1800s. <Han Kyung Sa> describes the various lives of Seoul, and it showcases the influence that his view of literature had on the creation of the poem. He has a distinct opinion about the essence of literature, humanities role and attitude in the creation of literature. He considers that literature is already exist in the world, and the world can be literature relying on humanity. Human beings living and experiencing the world tries to discovered the logic behind the fundamentals of various and diverse realities, and accommodate it into literature. A person who's creating literature must be faithful to the associated realities, and must pursue truth. Honest literature allows everything that could expire inescapably to be eternal in the form of literature. In <Han Kyung Sa>, Joongam, by contrasting the existence of same subject matter in dual form, expresses many facets of life. It reflects his thoughts that various dualities of life all contains truth, and literature must truthfully make records of such life. Additionally, readers can see the changes in human life as time goes by. Joongam believed that human beings live changing and finite life, and if they seek origin and permanence, than it can only be achieved through literature. The character, introduced at the end of the poetry in a state of deep anxiety when thinking about the finiteness of humanity, reflects the emotional foundation of the poet. Joongam, by creating <Han Kyung Sa> based on his view of literature and human beings, intended to truthfully convey the image of Seoul and the lives within it at the time.

      • KCI등재

        교사와 학생 관계를 다루는 소설의 서사구조와 주제형성방식-「아우를 위하여」, 「우상의 눈물」, 「우리들의 일그러진 영웅」을 중심으로

        주지영 구보학회 2017 구보학보 Vol.0 No.17

        Hwang Suk-young's “For my younger brother”, Chun Sang-kuk's “Tear of idol”, and Lee Moon-yoel's “Our twist hero” manage affair that happens in teacher and student with school in the background. Each piece of work commonly deals with character and role of a class teacher, relationship between the class president and a class teacher, character of the class president, changes in student. But the narrative structure and the thematic structure of Each piece of work vary following aspect that these events are united The narrative unit of three works can be arranged in five case, centered at the type and the relationship of a person. The first is the narrative(A) that deals with ‘a teacher neglecting a role of a class teacher+the class president invested absolute power+compliant or noncompliant students’. The second is the narrative(B) that deals with ‘A teacher being faithful to a role of a class teacher+the class president resisting demands of a class teacher+compliant or noncompliant students’. The third is the narrative(C) that deals with ‘A teacher being faithful to a role of a class teacher+the class president bowing to demands of a class teacher+compliant or noncompliant students’. The fourth is the narrative(D) that deals with ‘A teacher being faithful to a role of a class teacher+the class president bowing to demands of a class teacher+compliant students’. The fifth is the narrative(E) that deals with ‘students leading their life in society after graduation’. “For my younger brother” is composed of ‘E1+A+B+E2’. “Tear of idol” is composed of ‘B+C+D’. “Our twist hero” is composed of ‘E1+D1+A+A'+B+D2+E2’. 「아우를 위하여」, 「우상의 눈물」, 「우리들의 일그러진 영웅」은 학교의 학급 안에서 벌어지는 교사와 학생 간의 사건을 다룬다. 각 작품에는 담임선생의 성격과 역할, 담임과 급장의 관계, 이에 따른 급장의 성격, 그 결과로서 학생들의 태도 변화 등이 공통적으로 제시되고 있다. 그렇지만 이러한 사건들이 결합되는 양상이 무엇이냐에 따라 각 작품의 서사구조는 변별성을 갖게 되며 이에 따라 작품의 주제도 달라진다. 인물 유형과 인물 간의 관계를 바탕으로 하여 세 작품에 나타나는 서사단위를 다음 다섯 가지로 정리할 수 있다. ‘담임 일을 등한시하는 선생+전권을 부여받고 힘으로 지배하는 급장+순응하거나 순응하지 않는 학생들’(A), ‘담임에 충실한 선생+담임의 요구에 저항하는 급장+순응하거나 순응하지 않는 학생들’(B), ‘담임에 충실한 선생+담임의 요구에 순응하는 급장+순응하거나 순응하지 않는 학생들’(C), ‘담임에 충실한 선생+담임의 요구에 순응하는 급장+순응하는 학생들’(D), ‘졸업 후 사회에 나가 제각기 삶을 살아가는 학생들’(E)이 그것이다. 「아우를 위하여」는 E1+A+B+E2로 구성된다. A와 B 서사는 대비적인 의미쌍을 구성하며, 여기에 E 서사가 결합한다. E 서사는 A 서사와 유사한 현실을 배경으로 제시하고, ‘나’의 태도는 B 서사의 연장으로 그려내고 있다. 그럼으로써 이 작품은 담임의 역할에 충실한 학생인가 아닌가에 따라 학생들의 태도가 달라질 수 있다는 점을 강조한다. 특히 공포에 대응하는 ‘나’의 태도가 담임의 역할에 의해 변화하는 것을 보여줌으로써 교육에 의한 교화의 긍정적 기능을 강조하고 있다. 이 세 서사 단위를 통해 이 작품은 교사와 학생 간의 관계를 다루는 영역에 한정되지 않고 현실 문제로 그 시선을 확장하고 있다. 「우상의 눈물」은 B+C+D로 구성된다. E에 해당하는 서사가 없는 대신 B와 D 서사의 대조군이라 할 수 있는 요소로 구성된 C 서사를 과거 회상 형식으로 삽입하고 있다. C 서사는 인물과의 관계에서 어떤 요인이 다른 인물에 변화를 일으키는 변수가 되는지를 판별하게 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이 작품에서 변화하는 인물은 ‘최기표’인데, 기표의 이러한 변화를 통해서 이 작품은 학교에서 행해지는 정신적인 폭력이 어떻게 합법적인 외피를 입고 일상에 침투하고 내면화되는지에 주목한다. 「우리들의 일그러진 영웅」은 E1+D1+A+A′+B+D2+E2로 구성된다. 다른 작품에 비해 E 서사가 강화되어 나타난다. A′ 서사를 통해 외부적 현실을 교실의 현실과 연결하여 해석할 수 있도록 유도함으로써 B, D1, D2 서사가 교실 바깥의 현실과 유비적 상동성을 지닐 것이라는 점을 유추하도록 한다. 이 작품에서 변화하는 인물은 ‘나’와 ‘학생들’이다. ‘나’는 상황에 따라 굴종에 대한 저항, 굴종, 변절한 아이들에 대한 오기와 반발, 비애의 순으로 심리가 변화한다. 반면 학생들은 담임에 의해 옹호되는 가치가 굴종의 강요이든 자유와 합리이든 간에 상관없이 항상 순응하는 태도를 보인다. 그 결과 이 작품은 비판적이거나 반성적인 의식 없이 주어진 상황에 순응하는 학생들과 동창들의 처세를 비판한다.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궁와 박규문의 시 세계 ― 노년기 일상과 삶의 지향을 중심으로 ―

        주지영 동양고전학회 2023 東洋古典硏究 Vol.- No.93

        This article examines the composition and contents of the Gungwajip(窮窩集), a collection of writings by Gungwa Park Gyu-mun, and explores the poet's daily life and life orientation in the works included in the collection. Gungwa was a literary figure who was active in the 17th and 18th centuries, and was considered one of the "three great men of Gyeyang Mountain(桂陽三豪傑)". Gungwajip(窮窩集), which is believed to have been handwritten by Gungwa in his old age when he retired to the countryside, contains more than 500 Chinese poems that he created. Most of the poems are directly related to real-life conditions and express the specifics of real life. Noting that the works in the collection reveal the reality of the poet's life in his old age and his inner experiences, this article analyzes the aspects of life that appear in the poems and the poets' perceptions or responses to them. Gungwa was determined to pursue austerity in the midst of material poverty, and he overcame his chronic illness by writing and enjoying poetry. In his solitary life, he sincerely expressed his longing and feelings for others, and he used his palatial and modest abode as a spatial background and symbol for his philosophique life. Gungwajip and Park Gyu-mun's poetry have never been the subject of a full-scale study. This article is an attempt to broaden the scope of Korean literary studies by accessing and analyzing new literary figures and materials that have been hidden in the realm of research.

      • 사라진 고향 : 魯迅의 《故鄕》과 현진건의 《고향》

        주지영 이화여자대학교 인문과학대학 중어중문학과 1995 梨花馨苑 Vol.7 No.-

        이 글은 두 작품의 계승관계나 우열을 따지는 것이 목적이 아니었다. 19ㆍ20세기초 근대화 이행과정의 혼란과 외국 열강들의 침략이라는 유사한 사회적 배경을 지닌 한중의 문학을 비교해 보는 것을 그 의의로 한다. 윤토를 통해 형상화된 사라져가는 고향과 외부적 요인으로 고향을 잃은 '그'. 이들은 모두 시대에 희생된 민중을 표상했다. 특히 양이수와 궐녀의 모습은 여성으로서의 삶의 파괴를 리얼하게 도출해 냈다. 빙허의 <고향>은 '나' 와 '그'의 공감대 형성으로 한을 민족의식으로 승화시켰으며 노신의 <고향>은 작가가 직접 대안으로서 희망에 대해 언급하고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