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숙의를 통한 고등학교 가정교과 선택 교육과정 혁신 방향 모색

        주수언,박미정,백민경,유난숙,한주 한국실과교육연구학회 2021 實科敎育硏究 Vol.27 No.2

        본 연구의 목적은 가정교과 선택 교육과정이 실행되는 맥락과 운영 방향을 숙의과정(deliberation) 을 통해 탐색하여 가정교과 선택 교육과정의 혁신 방향을 모색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3 그룹의 숙 의 집단을 구성하여 총 10개월간 지속적인 숙의 과정을 가졌다. 각 집단의 숙의 내용을 전사하여 질 적으로 분석한 결과, 가정교과가 당면한 도전과 응전이라는 관점에서 각각 다음의 의미를 추출할 수 있었다. 첫째, 가정교과가 당면한 도전은, 입시 과목 중심의 교육과정 편성·운영 문화, 비 입시 교과라는 위 기와 기회, 가정 교과의 성격과 가치에 대한 부정적 인식, 교육과정문서 단위 배당 기준표상의 불리한 조건으로 나타났다. 둘째, 이에 대한 가정교과의 응전 과제는 학생들의 실질적인 요구와 내적 호기심 을 채워줄 수 있는 교과혁신, 교육과정 문서상 필수 이수 단위 설정 등 시수확보를 위한 안전장치 마 련, 학생 진로 희망에 근거한 다양한 선택 교과 개발 및 운영 노력, 교과 인식개선을 위한 적극적 홍 보로 압축되었다. 앞으로 가정교과 선택 교육과정 혁신의 방향에 대한 공동체적 논의가 활발히 이루어 질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context and operation direction of the home economics elective curriculum by using deliberation as a research method to seek the direction of innovation in the home economics elective curriculum. To achieve this purpose, three deliberation groups were formed to have a continuous deliberation process for 10 months. As a result of transcribing and qualitative analysis of the deliberations of each group, the following meanings were extracted from the perspective of challenges and responses faced by secondary home economics education. First, the challenges by secondary home economics education are the culture of organizing and operating a curriculum centered on college entrance examination subjects, the crisis and opportunity of non-entrance exam courses, negative perceptions of the nature and value of home economics, and the organization standard table for each area of high school curriculum which is an unfavorable to home economics subjects. Second, the response tasks of home economics are subject innovation that can satisfy students' real needs and internal curiosity, preparation of devices to ensure the acquisition of time, such as setting mandatory completion units in curriculum documents, and development of various home economics elective courses based on student career preferences, and active publicity to improve perception of home economics. In the future, there is a need for active community discussion on the direction of innovation in the Home Economics elective curriculum.

      • KCI등재

        미국의 가정과 교육과정 논의와 관련된 역사적 문헌 고찰

        주수언,유태명 한국가정과교육학회 2015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Vol.27 No.2

        This study examined the curriculum deliberation in the home economics historical literature of United State. Out of 13 literature, 9 were carried by academic federation or association and 4 were carried by individual authors. Starting from Catharine Beacher's Treatise on Domestic Economy to NASAFACS's National Standards for Family and Consumer Standards, the background of each document was introduced, curriculum contents organization was examined, and its implication was discussed. The results showed that home economics curriculum has been suggested being organised around key concepts in typical home economics areas throughout the history until the practical problem-focused curriculum organization based on critical science suggested by Majorie M. Brown in 1978. Regardless of the patterns of organization of curriculum contents, home economics pursue the common mission and aims of home economics. Another finding was that curriculum deliberation on the integration of curriculum contents was sought throughout the history. 본 연구의 목적은 미래를 준비하는 가정과 교육과정의 선례가 될 수 있는 역사적으로 행해졌던 주요 학회와 협의회 모임의 자료집과 출간물, 몇몇 학자들에 의한 저서와 같은 역사적 문헌에서의 교육과정 논의 내용을 파악해보고 논의의 흐름을 종합적으로 고찰해보는 데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하여 총 13건의 미국 가정학 주요 학회와 협의회 모임의 자료집과 출간물, 개인 학자들에 의한 저서들을 고찰하여 각각 논의된 교육과정 관점과 교육내용을 도출한 뒤 얻은 논의점과 결론은 다음과 같다. 역사적 문헌에서의 교육과정 논의 내용을 살펴본 결과, 교육과정 구성 및 조직의 원리나 방향과 교육과정에 시사점을 찾아볼 수 있는 학문이나 교과의 체계와 철학을 제시한 문헌과 및 교육과정 내용 및 체계를 제시한 문헌으로 나누어 볼 수 있었다. 한편으로는 학문의 구조를 바탕으로 개념체계를 제시한 문헌과 가족이 직면하는 실천적 문제를 중심으로 교육과정 틀을 제시한 문헌으로 나누어 볼 수 있었다. 아울러 개념중심 교육과정에서와 실천적 문제 중심 교육과정에서의 핵심개념과 관련 개념은 공통적으로 존재하고 있었다. 또한 논의된 교육과정 구성 및 조직의 원리가 다르더라도 공통의 가정과교육의 목표를 추구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고, 가정과의 핵심개념을 중심으로 교육내용을 통합적으로 조직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KCI등재

        2009 개정 현행 가정과 교육과정을 위한 세 행동체계 중심의 내용체계 개발

        주수언,유태명 한국가정과교육학회 2016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Vol.28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sign curriculum content structure integrating three systems of actions for 2009 revised current home economics curriculum. For the development of content structure and content elements, a development team of two home economics scholars, a cooperating team of three home economics teachers, and an expert team of 15 home economics teachers and professors were organized. Phase 1 of curriculum development was developed by integrating three systems of actions with traditional home economics content areas of clothing, food, housing, consumption, and family by the development team. It is examined by the cooperating team and in phase 2 is recommended to build matrix of units of the current curriculum and the three systems of actions. The final phase of curriculum development illustrated a content structure integrating the sub-units of 2009 revised current curriculum and the three systems of action following the expert group's professional opinion. 본 연구는 2009 개정 현행 가정과 교육과정에서 실행할 수 있는 세 행동체계 중심의 교육과정 안을 개발하여 새로운 관점에서큰 어려움 없이 개별 가정과 교사가 활용할 수 있도록 돕고자 하였다. 세 행동체계에 대한 본질적 이해는 2009 개정 현행 교육과정에서는 물론 2015 개정 교육과정의 실행에도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부분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2명의 개발진, 3명의 검토진, 15명의전문가 협의진을 구성하고 3차안에 걸쳐 세 행동체계 중심 교육내용 체계를 개발하였다. 1차안은 의, 식, 주, 가족・아동, 소비・가정경역과 세 행동체계를, 2차안은 2009 개정 현행 가정과 교육과정의 중단원 수준에서 세 행동체계를, 최종안은 2009 개정 현행 가정과교육과정의 소단원 수준에서 세 행동체계를 접목하여 내용체계를 개발하였다. 이 교육과정의 실행을 위한 지원체계를 모색하여 제시하였다.

      • KCI등재

        중학교 가정과 소비생활 영역의 핵심 교육내용 분석 - 1차 교육과정부터 2009 개정 교육과정의 교과서 내용을 중심으로 -

        주수언,박명숙 한국가정과교육학회 2015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Vol.27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core content of consumer area from 1st to 2009 revised middle school Home Economics textbooks with the aim of proposing guidelines. An in-depth content analysis was conducted twenty two Home Economics textbooks that have been used in middle schools, beginning with the first curriculum until the revised 2009 curriculum with word cloud.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first period of the textbooks emphasized thrift-related concepts such as budgeting and saving money. The second and third period in Home Economics textbooks focused on household work and resource management. From fifth period, the content of textbooks were emphasized learning how to find relevant information and making rational decisions as a consumer. The 2007 revised and 2009 revised period in Home Economics have focused on rational decision-making by adolescents, while taking into account environmental considerations. The content of textbooks now introduces students to the notions of ethical consumerism and eco-friendly consumption across domains such as clothing, food, and housing. The curriculum and content of textbooks in Home Economics should emphasize the concepts related to ethical consumption. 본 연구는 중학교 가정과 교과서 중 소비생활 영역의 교육내용 변천 및 내용특성을 분석하고, 시사점을 도출하여 소비생활 영역의 교육과정 편성 및 교육내용 선정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분석 대상은 1차 교육과정부터 2009 개정 교육과정의 가정과 교과서 중 소비생활 영역이며, 분석 방법은 내용분석법과 워드 클라우드 기법을 사용하여 각 시기별 소비생활 영역의 교육내용 변천 및 특성을 심층적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1: 교육과정 시기에 따른 가정과 교과서 소비생활 영역의 핵심 교육내용은 무엇인가? 연구문제 2: 교육과정 시기에 따른 가정과 교과서 소비생활 영역의 내용특성은 어떻게 변천하였는가? 분석결과 시기별 소비생활 영역의 교육내용 변천과 특성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1차시기는 경제생활 중심의 절약과, 2-4차시기는 가사노동 및 자원관리를 교육내용으로 강조하고 있다. 이는 시기적으로 볼 때 우리나라가 1962년 경제개발 5개년 계획을 시작으로 자원관리를 통한 근검절약을 강조하는 시기와 교육내용을 함께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둘째, 4차시기 교과서에 소비생활 단원이 중단원으로 도입되고 5차시기에 소비생활 영역이 독립단원으로 분리되어 강조되었다. 이는 1987년 소비자보호법이 개정되고, 한국소비자보원이 설립되는 등 정부차원에서 소비자보호에 대한 관심이 성숙단계에 이른 시기이다. 이를 바탕으로 6-7차 시기에는 청소년의 소비생활이 강조되었다. 셋째, 2007개정 교육과정 시기는 2007년 소비자보호법이 소비자기본법으로 전환되고, 소비자 주권을 강조하는 등 소비자교육 패러다임이 전환된 시기로 소비자권리와 함께 책무가 강조되고 있다.

      • KCI등재후보

        가정과교육의 핵심 개념과 세 행동체계를 통합한 교육과정 설계

        주수언,유태명 한국실과교육연구학회 2016 實科敎育硏究 Vol.22 No.2

        본 연구의 목적은 가정학의 역사적 맥락에서 중요시 여겨지던 핵심 개념을 도출하여 가정교과에서 추구하는 가치를 높이고 가정학에서 다루어졌던 핵심 개념을 세 행동체계와 통합하여 가정교과의 내용 요소들의 분절성을 개선한 가정과 교육과정 설계안을 개발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하여 과거와 현재에 이루어진 미국과 우리나라에서의 가정교과 교육과정 논의에 대한 고찰을 통하여 시사점을 도출하고, 현행 교과서와 전공서적을 통하여 가정교과의 내용체계를 살펴보고, 통합 지향적 국내⋅외 교육과정 선례를 검토하였다. 이를 통하여 가정학의 하위 영역에서 공통적으로 중요하게 다뤄지는 핵심개념을 파악하였다. 핵심개념은 7개의 핵심개념(인간발달/생애주기/복지, 대인관계, 관리, 의사결정, 가치, 문화적 관심사, 사회적관심사/지속가능/정책/안전)으로 범주화하였다. 초안은 가정학의 식, 의, 주, 가족, 소비 영역과 가정학의 핵심 개념이 스트랜드되는 2차원적인 형태로 제안되었다. 이 초안은 도출된 핵심개념들이 가정과교육에 타당한가와 핵심개념들이 현재와 미래의 가정과교육에 어떻게 기여할 수 있는가에 대하여 전문가 집단으로부터 그 타당성을 검토 받아 수정·보완되었다. 그 결과 통합 지향적 교육과정의 특색을 더 강조하고, 기존의 가정교과에서 다루어졌던 식, 의, 주, 가족, 소비 영역에서의 분절된 주제중심 교육과정의 틀과 차별성을 두기 위하여 핵심개념과 세 행동체계(기술적 행동체계, 의사소통적 행동체계, 해방적 행동체계)가 스트랜드되는 설계안이 제안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llustrate home economics curriculum design plan, which improves the fragmentation of content structure through integration of core concepts that has been considered important in historical context of home economics and three systems of action. Initial examination on the previous and current home economics curriculum in the United States and Korea, content structure of home economics from the current textbooks and academic books and literature, and successive case of precedents of integration-oriented domestic and overseas curricula was carried. From the initial examination, seven core concepts which have commonly dealt with importance in sub-areas of home economics were derived. The phase 1 curriculum design was developed in a two-dimensional matrix intersecting five areas of home economics (food, clothing, housing, family, and consumption) and seven core concepts of home economics. This design plan was revised and refined based on the deliberation with expert groups as to whether the derived core concepts were valid for home economics education and how the core concepts could contribute to current and future advancement of home economics education. Based on the deliberation on phase 1, the phase 2 curriculum design was finally developed intersecting core concepts (human development, interpersonal relationship, management, decision making, value, cultural concern, and social concern) and three systems of action (technical action, communicative action, critical action) to assign more importance to characteristics of integrated curriculum and ensure differentiation from the subject-oriented conventional home economics curriculum.

      • KCI등재

        통합 교육과정 관점에서 본 가정 교과서 통합 사례 연구

        주수언 한국문화융합학회 2023 문화와 융합 Vol.45 No.4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composition and integration types of middle school home economics textbooks in terms of an integrated curriculum. Using Lee and Dressel's home economics and Drake and Burns' integration types, cases from the first education curriculum to the 2015 curriculum were analyzed. The findings show that from the first to the seventh curriculum periods, interdisciplinary integration was achieved. Also, from the 2007 to 2015 revised curriculum, cross-disciplinary integration using integrated chapter titles was observed. Finally, integrated education content in textbooks included understanding home life, preparing for social change, and learner-centered living. The study recommends continuous research using an interdisciplinary integration approach for enhancing the home economics curriculum and textbooks.

      • KCI등재

        탄소중립 실천을 위한 가정과교육에서의 주생활 생태전환교육 방향

        주수언 한국가정과교육학회 2023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Vol.35 No.3

        탄소중립 시대의 도래로 교육에 대한 패러다임이 생태전환교육으로 이어지고 있다. 2022 개정 교육과정에서 추구하는 생태전환교육의 개념과 실제를 이해하여 가정과교육에서 다루어지는 주생활교육에 대한 변화를 준비해야 할 시점이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급변하는 기후위기 시대에 살아가야 할 미래 세대를 위해 탄소중립 실천을 위한 가정과교육의 역할을 탐색하고, 2022 개정 교육과정의 교육내용을 기반의 주생활영역 생태전환교육 실천 방향을 제안하는 데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탄소중립과 생태전환교육에 대한 선행연구를 고찰하고, 제 1차 교육과정부터 2022 개정 교육과정의 주생활 교육과정을 분석하여 생태전환교육을 위한 주생활교육 방향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가정과교육에서는 탄소중립과 생태전환에 대한 중요성이 강조될 수 있으며, 실제 교육현장에서 생태전환교육을 실현하는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e advent of the carbon neutrality era has led to a paradigm shift in education toward ecological transition education. It is time to understand the concept and practice of ecological transition education pursued in the 2022 revised curriculum and prepare for changes to the main life education covered in home economics education.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role of home economics education for carbon neutrality for future generations who will have to live in the era of rapidly changing climate crisis, and to propose a practice plan for ecological transition education in the main living area based on the educational contents of the 2022 revised curriculum. To achieve these objectives, this study reviewed previous research on carbon neutrality and ecological transition education, analyzed the curriculum for main life from the first curriculum to the 2022 revised curriculum, and proposed the direction of main life education for ecological transition education. Through this study, the importance of carbon neutrality and ecological transition can be emphasized in home economics education, and it is expected that it can be used as a basis for realizing ecological transition education in actual education sit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