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가상 맥락을 도입한 글쓰기 교육 연구

        조희정 ( Hee Jong Cho ) 국어교육학회 2007 國語敎育學硏究 Vol.30 No.-

        본 논문에서는 현재 선생님, 부모님, 가족, 친구들로 국한된 수사적 상황의 한계를 보완하고 보다 다양한 갈래의 글쓰기 상황에 직면케 하기 위한 방안으로 가상적 맥락을 도입한 글쓰기 교육을 제안하였다. 가상적 맥락을 도입한 글쓰기는 7차 교육과정에서 이미 본격적으로 시행되고 있는 활동이지만 그에 대한 체계적인 검토가 뒷받침되어 있지 않다는 점에 주목하여 가상적 맥락을 도입한 글쓰기의 현황과 실제를 살펴 문제점을 진단한 후, 특정 텍스트와 연계된 가상 맥락을 도입한 글쓰기에서 고려해야 하는 교육 내용을 제안하였다. 가상 맥락을 도입한 학습자들의 실제 글은 대부분 내용의 요약 수준에 그쳐 있었다. 또한 중심 사건이 이해 불가의 상태로 남아 있는 경우 사건에 대한 학습자들의 판단은 중지되었다. 그로 인해 학습자들의 글은 피상적 수준을 벗어나지 못 하였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교육 내용으로 다음과 같은 점을 제안하였다. 가상 맥락을 도입한 글쓰기를 설계하는 과정에서는 가상 맥락을 끌어내는 관련 텍스트의 선정과 가상 맥락의 글쓰기를 이끌어내는 발문이 고려의 대상이 된다. 갈등 상황을 포함하고 있는 텍스트가 가상적 글쓰기 맥락을 끌어내기에 적절하며 수사적 상황이 지닌 가변성에 따라 선택과 결정이 가능하도록 열린 발문을 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상 맥락을 도입한 글을 쓰는 과정에서는 활동의 목표에 대한 공유가 필요하다. 글쓰기의 수사적 상황에 대한 이론적 이해를 토대로 글을 쓰는 과정에서 다양한 글쓰기 관련 변인들을 학습자가 선택, 결정하는 활동임을 분명히 해야 한다. 그리고 실제 글을 집필하는 단계에서는 무엇보다도 학습자들의 글이 텍스트에 대한 단순 요약으로 흐르지 않도록 유의해야 한다. 이 과정에서 텍스트에 대한 이해는 글쓰기의 수사적 상황으로 전이시키는 단계로 이어져야 하며 학습자가 처한 교실 수업 맥락과 가상적 글쓰기 맥락의 이중적 상황이 고려되어야 한다. 뿐만 아니라 학습자들에게 가상 맥락을 도입한 글의 내용을 수렴하는 핵심어를 찾아내는 작업을 유도하여 보다 구체적인 교육 내용을 마련하도록 지도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ontent of the writing education`` supposed the imaginary writing context, for it was important that the writer selected the strategy of the writing in the case of understanding the rhetoric situation. When the learners wrote the practical writing supposed the imaginary writing context, the problem of the writing was as this; The first, the learners summarized the event with the conflict. the second, the learner`s analysis of the rhetoric situation writing was too superficial. It was planned out the education the writing supposed the imaginary writing context, it was selected the text with the conflict and the question leading the open contents. When the learner write a composition, the learner should analyze the rhetoric situation, namely the aim, writer and reader of the imaginary writing context. The learner should search for the keyword the composition for making the concrete contents.

      • KCI등재
      • KCI등재

        <도산십이곡>에 대한 교육 담론 속의 독해

        조희정 ( Cho Hee-jong )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 2003 고전문학과 교육 Vol.5 No.-

        The aim of this study is to consider the reading of <陶山十二曲〉in the educational discourse. Since the 1st curriculum[敎授要目], <陶山十二曲〉has been put in <Korean》(Korean Language Text Book) without exception But after 6th curriculum, <陶山十二曲〉is put in not〈Korean〉, a required subject, but〈literature〉, an optional subject. The special part of <陶山十二曲〉has been put in repeatedly, especially 11th part. This trend implied that the special part of <陶山十二曲>put contained some teaching and some literary figure of speech. Because of this reason, <陶山十二曲> has been put in〈Korean〉and 〈Literature〉. And up to the present, We teach <陶山十二曲〉by regaining the homogeneity. But in future, we teach it for using imaginative power of heterogeneity.

      • KCI등재

        중세의‘나에 대한 글쓰기’연구 -《동문선》자료를 중심으로-

        조희정 ( Cho Hee-jong )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 2007 고전문학과 교육 Vol.13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ategory of 'the writing on the subject of me' in the Middle ages. Today, 'the writing on the subject of me' was influenced by the autobiographical piece of writing of the West in the 18th century. But the different viewpoint and strategy had been used 'the writing on the subject of me' in the Korean Middle ages. Western autobiography have been used the narrative as the important device, but 'the writing on the subject of me' in <백운거사전> and <예산은자전> was used the naming act and the introduction of the fictional character as the important device. And 'the writing on the subject of me' in <백운거사전> and <예산은자전> centered on the world view of the writer.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근대계몽기 초기 교육에 나타난 아동의 형상 : 국어 교과를 중심으로

        조희정(Cho Hee-jong) 한국아동청소년문학학회 2007 아동청소년문학연구 Vol.-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onfiguration of a child in the early stage of the education of Modern Enlightenment. There were two categories. One series was school - reading - arithmetic - writing - penmanship - classroom - playground - learning - recreation - exercise, another was meal - side dish - powdered red pepper - soy sauce - alcohol - appetizer dishes - water - drinking water boiled in a kettle where rice has been steamed - cold water - drinking table. The former was connected with the child learning the modern civilization, The latter was connected with the child working the housework. Two categories belonged to the people of the modern nation. The childhood was regarded as the period to form a plan for one’s future in the straight idea of time. So the child’s learning was emphasized on the industry and the patience. It was made the grade of ranks as the learning contents for the childhood in the Korean subject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국어과 교과서 고전 시가 제재 단원의 이론과 개념 연구 - 2009 개정 국어과 교과서 송강 가사 교육 내용을 중심으로 -

        조희정 ( Cho Hee-jong ) 한국문학교육학회 2018 문학교육학 Vol.0 No.59

        본 논문에서는 2009 개정 국어과 교과서 내 송강 정철 가사를 제재로 선택한 단원의 교육 내용을 중심으로 고전 시가 교육에 도입된 이론과 개념 문제를 검토하였다. 송강 가사를 제재로 선택한 단원들을 가장 강하게 장악하고 있는 교육 내용은 해당 작품들의 작품론이라는 공통점을 지닌다. 그러나 고등학교 국어 교과서와 문학 교과서에서 송강 가사를 제재로 선택한 단원들의 이론과 개념은 다음과 같은 차이를 보인다. 고등학교 국어 교과서의 <관동별곡> 단원들은, 문학 교과서의 <속미인곡> 단원과 비교할 때, 상대적으로 다양한 이론들과 결합되어 단원별로 서로 다른 교육 내용으로 설계되어 있었다. 반면 문학 교과서의 <속미인곡> 단원은 국문학의 갈래 이론이나 문학사 이론과 결합되어 검정 교과서임에도 불구하고 거의 단일한 교육 내용으로 해당 단원들이 설계되어 있었다. 고등학교 국어 교과서에서 <관동별곡>을 제재로 채택한 단원들 중 문학소통 이론이나 심미 체험 이론에 의거한 단원에서는 <관동별곡>의 내적 독해에 집중하여 여정 파악과 화자의 갈등을 이해하는 활동을 조직하였다. 반면 한국 문학 전통 이론에 의거한 단원이나 중세의 글쓰기·독서 문화 이론에 의거한 단원에서는 한국 문학의 전통이나 중세의 글쓰기·독서 문화 이론을 보여주는 하나의 사례로 <관동별곡>을 활용하는 교육 내용을 제시하였다. 문학 교과서에서 <속미인곡>을 본 제재로 취한 단원들은 대부분 문학 성취기준 [한국 문학의 범위와 역사]를 구체화하고 있다. 단원의 교육 내용은 ‘국문 시가’, ‘대화’, ‘여성 화자’, ‘가사 갈래’의 범주 내에서 조금씩 변주되고 있지만 작품 내적으로는 <속미인곡>의 구조와 화자에 주목하고, 작품 외적으로는 우리 말 노래, 가사라는 갈래의 속성에 주목하고 있다는 특징을 드러내고 있다. This study examines theory and concepts of Korean classical poetry education in the Koran textbook’s units including classical poetry materials, especially Jeong Cheol’s Gasa. The contents in the Koran textbook’s units are designed on the ground of achievement standards of Korean language curriculum. The achievement standards in the Koran textbook’s units including Jeong Cheol’s Gasa are based oh literary communication theory, reader’s response theory, traditional writing theory and Korean literary traditional theory. The contents based on literary communication theory or reader’s response theory are focused on closing reading, understanding and appreciating the text, so they are made of study on Jeong Cheol’s Gasa works. Jeong Cheol’s Gasa in the contents based on traditional writing theory or Korean literary traditional theory are regarded as an example for understanding elements of traditional theory, for instance natural affinity, female speaker and quotation custom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