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임신부를 위한 집단미술치료 참여경험의 탐색적 연구

        조희은,정여주 한국예술심리치료학회 2022 예술심리치료연구 Vol.18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xperience of pregnant women participating in group art therapy emotionally and psychologically and understand the meaning of the experience. Participants in the program were first-born women with more than 16 weeks of pregnancy, and 10 group art treatments and two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once or twice a week for 90 minutes. Nine people participated in the in-depth interview. As a research method, collage phenomenology was carried out based on observation logbook and in-depth interview contents. As a result, 92 structural meanings, 29 themes, 10 theme groups and four categories based on them were derived from the analysis. Group art therapy provides opportunities for pregnant women to accept themselves, strengthen their maternal identity and attachment to the fetus, dispel negative emotions, raise positive emotions, and promote psychological stability during pregnancy. Pregnant women experience self-satisfaction and self-satisfaction through visual expression and sharing of their works, and as a result, they share deep empathy and support among group members and gain social support from their colleagues. In addition, they will deepen their understanding of the family and seek to strengthen their relationship with the family by eliminating negative feeling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meaning of participating in group art therapy programs for pregnant women, to provide a contextual and practical understanding of the experience, and to prepare basic materials for use in art therapy sites. 본 연구는 임신부들이 집단미술치료에 참여한 경험을 정서적, 심리적으로 탐색하고 그 경험의 의미를 이해하는 데 목적이 있다. 대면 프로그램 참여자들은 임신 16주 이상 초산모이며 주1∼2회 90분, 총 10회의 집단미술치료와 2회의 심층 인터뷰가 진행되었다. 심층 인터뷰까지 마친 최종 참여자는 9명이었다. 연구방법으로는 관찰일지와 심층 인터뷰 내용을 바탕으로 콜레이지 현상학적 분석방법이 시행되었다. 내용 분석을 통해 총 92개의 구성의미, 29개의 주제, 10개의 주제군과 이를 토대로 4가지 범주가 도출되었다. 집단미술치료는 임신부들이 임신한 자신을수용하고 모성 정체성과 태아애착을 강화하는 계기를 주었으며, 부정적 정서를 털어내고 긍정적 정서를 높여 임신 중 심리적 안정을 찾아가도록 촉진하였다. 임신부들은 자신의 작품을 시각적으로 표현하고 공유하는 과정을 통해 자기만족과 카타르시스를 경험하며 그 결과물의 공유를 통해 집단원 끼리의 깊은 공감과 응원을 나누고 동료들의 사회적 지지를 경험하게 된다. 또한 가족들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부정적 감정을 정리하면서 가족들과의 관계강화를 모색하게 된다. 본 연구는 임신부들을 위한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의 참여 경험이 그들에게 의미하는바에 대해 심층적으로 탐색하고 그 경험을 분석하여 맥락적이고 실제적인 이해를 제공함으로써 임신부 대상의 미술치료 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마련한 것에 의의가 있다.

      • KCI등재

        디지털 프로그래밍과 모듈화에 기반한 조형 연구

        조희은 사단법인 한국조형디자인협회 2023 조형디자인연구 Vol.26 No.3

        21세기 사회적 배경과 기술 발달의 영향은 예술 분야에서 새로운 개념과 형식을 추동한다. 건축에서 시작된 모듈화의 개념은 기능적, 심미적, 조형의 가능성을 추구하기 위한 디자인 방법론으로써 조형예술의 전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으며, 그 적용 범위가 점차 확대되고 있다. 박사학위청구논문의 후속 연구로서, 본 연구의 목적은 디지털 프로그래밍과 모듈화의 개념 및 특성을 살펴보고, 모듈화 디자인에서 도출된 개념을 바탕으로 새로운 관점에서 연구 작품을 제시하고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내용의 전반부인 이론적 고찰에서는 문헌 조사를 바탕으로 모듈화와 디지털 프로그래밍에 관한 개념 정의, 조형적 특성 및 절차, 선행연구를 분석한다. 작품제작에 해당하는 후반부에서는 연구 대상인 두 점의 작품을 제시하고 표현형식 상의 공통분모와 차이점을 비교 서술한다. 연구 작품의 제작 방법은 먼저 질서정연한 건축 형태와 구조적 패턴을 모티브로 모듈디자인을 전개하고 나서 컴퓨터 프로그램을 이용한 모듈화 및 시뮬레이션을 거쳐 톰슨 가공을 통해 제작한 모듈을 분해하고 재조립하는 것이다. 선과 면으로 모듈화하면 유사한 형태의 변형과 조합방식의 다변화를 통해 복제 생산할 수 있어 21세기 산업의 생산 방식과 일맥상통한다. 대량 생산이 가능한 모듈을 설계하고 제작하여 조형예술에 적용하기 위한 효율적인 방법론으로써 디지털 프로그래밍의 활용 방안과 예시를 제공하는 데 연구의 의의를 둔다. 상호보완적인 어도비 일러스트레이터와 라이노 프로그램을 활용한 모듈 설계와 시뮬레이션을 통해 새로운 예술 형식과 장르를 탐구한 결과, 예술과 기술을 융합하여 독창적인 방법론을 모색할 수 있는 효과적인 방법론임을 확인했다. 예술작품과 디지털의 결합은 풍부한 가능성을 가지고 있고, 컴퓨터 프로그래밍 활용하는 연구방법은 예술작품을 제작하고 디자인하는 과정에서 일관성, 통일성, 확장성과 같은 이점을 제공한다. The social context of the 21st century and the impact of technological developments are driving new concepts and forms in the arts. The concept of modularity, which originated in architecture, is being used in all fields of the visual arts as a design methodology to explore functional, aesthetic and sculptural possibilities, and its scope of application is gradually expanding. As a follow-up to my doctoral thesis,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xplore the concepts and characteristics of digital programming and modularity, and to present and analyse research works from a new perspective based on concepts derived from modular design. The first part of the thesis, the theoretical review, analyses the definitions, formative characteristics and procedures of modularisation and digital programming, as well as previous research, based on a literature review. In the second part, the production of the works, the two works under study are presented, and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in their expressive forms of expression are compared and described. The production method of the research work is to first develop a modular design based on the motif of orderly architectural forms and structural patterns, and then to disassemble and reassemble the modules produced by Thompson processing through modularisation and simulation using a computer program. Modularity with lines and planes allows replicated production through variation of similar forms and diversification of combination methods, which is in line with 21st century industrial production methods. The aim of this research is to provide examples of the use of digital programming as an efficient methodology for the design and fabrication of mass-producible modules for application in the sculptural arts. Through the design and simulation of modules using the complementary programmes Adobe Illustrator and Rhino, new art forms and genres were explored and found to be an effective method of exploring original methodologies by fusing art and technology. The combination of art and digital offers a wealth of possibilities, and research methods using computer programming offer benefits such as consistency, unity and scalability in the process of creating and designing artworks.

      • KCI등재

        임산부의 행복, 우울, 사회적 지지에 대한 온라인 대면(對面) 집단미술치료 효과 : 무작위 배정 연구

        조희은,정여주 한국예술심리치료학회 2023 예술심리치료연구 Vol.19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quantitatively check whether group art therapy through online face-to-face has an effect on the happiness, depression, and perceived social support of pregnant women. This study recruited participants from general primiparous women under 15 to 30 weeks of pregnancy, and designed the parallel design and pre-post experiments of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The 45 voluntarily recruited pregnant women were randomly assigned according to the sequence using Excel's random number value, and 20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19 in the control group were finally statistically processed except for the middle dropouts. In order to find out the therapeutic effect, a questionnaire was conducted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using the maternity happiness scale, the depression scale, and the social support scale. An independent sample t-test was conducted as a data analysis method for the questionnair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happiness of pregnant women increased after online face-to-face group art therapy, which was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e control group. Second, after online face-to-face group art therapy, pregnant women decreased depression, which was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e control group. Third, after online face-to-face group art therapy, perceived social support of pregnant women increased, which was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e control group. These findings suggested the possibility of expanding a new method of art therapy called online face-to-face in the form of group art therapy and confirmed the possibility that online face-to-face group art therapy can no longer play a role as a second choice due to the pandemic.

      • KCI등재

        여성의 삶과 사회적 차별의 예술적 표현에 관한 메리 켈리의 작품 연구

        조희은 사단법인 한국조형디자인협회 2024 조형디자인연구 Vol.27 No.1

        메리 켈리는 출산, 모성, 노동과 관련된 여성의 개인적인 경험들을 예술적 표현을 통해 탐구하는 작가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1970년대부터 줄곧 여성해방운동에 참여한 켈리가 어떻게 성차에서 비롯된 불평등과 억압에 대항하여 예술작품을 통해 가부장적 사회 구조의 변화와 여성 인권 증진에 이바지했는지를 탐구하는 것이다. Ⅱ장에서 문헌 조사를 바탕으로 켈리의 예술 세계를 형성한 배경 및 페미니즘 미술과 여성 운동의 상호작용에 대한 이론을 고찰한다. Ⅲ장에서는 켈리가 1970년대 발표한 <야간 청소부들>, <산후 기록>, <사이>와 <사랑 노래들>을 주요 분석대상으로 삼아 여성 중심의 관점에서 소외된 여성들의 기록을 발굴한 투쟁의 증거로서의 의의를 분석 서술한다. 켈리의 작품은 규모가 거대한 자전적 설치미술과 혼합매체 형식으로 성, 정체성, 기억과 같이 여성 삶의 다층적 측면을 포착하여 문제를 제기함으로써 페미니즘의 주요 이슈에 대한 인식을 높이고 여성을 향한 편협한 사회의 시선을 교정한 매개로서의 가치가 있다. 가부장적 제도에 의해 형성된 여성의 이미지를 재현하는 대신 사회적 차별을 기록하고 이를 작품으로 표현하여 페미니즘 예술의 발전과 사회의식의 증진을 도모한 그의 작품은 페미니즘 예술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여성의 목소리와 경험을 중시하면서 사회적 변화를 추동한다. Mary Kelly is an artist who explores women's personal experiences of childbirth, motherhood, and work through artistic express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how Kelly, an active participant in the women's liberation movement since the 1970s, has contributed to the transformation of patriarchal social structures and the promotion of women's rights through her artwork by challenging inequality and oppression based on gender differences. Based on a literature review, Chapter II examines the background that shaped Kelly's artistic practice and theories about the interaction between feminist art and the women's movement. Chapter III analyzes Kelly's 1970s works Night Sweepers, Postpartum Records, Between, and Love Songs as evidence of the struggle to unearth the records of marginalized women from a woman-centered perspective. Kelly's works are large-scale autobiographical installations and mixed-media works that capture and problematize the multilayered aspects of women's lives, such as gender, identity, and memory, raising awareness of key issues in feminism and correcting society's narrow view of women. Instead of reproducing images of women shaped by the patriarchal system, his work documents and expresses social discrimination in order to promote the development of feminist art and social awareness, emphasizing the importance of feminist art and promoting social change by highlighting women's voices and experiences.

      • KCI등재

        생활SOC의 범위 및 시설의 유형별ㆍ지역별 특성 연구 - 경기도 생활SOC 현황 및 개선방안을 중심으로

        조희은,남지현 한국도시설계학회 2019 도시설계 : 한국도시설계학회지 Vol.20 No.5

        2019년 정부에서는 지역 균형발전 및 일자리 창출, 국민 삶의 질 개선을 위해 8조 7천억 원의 예산을 투입하여 생활SOC를 확충하기로 발표하였다. 생활SOC는 공간ㆍ개발 중심의 대규모 SOC 와는 달리 생활복지, 의료, 생활환경개선, 장애인 및 노인복지, 마을관리 등과 같이 삶의 질과 밀접하게 연결된 사회서비스 지원 시설이다. 삶의 질과 직접적으로 관련되어 있으며, 기존의 공공건축, 커뮤니티시설, 돌봄센터, 기초생활인프라를 포함하는 개념으로 명확한 시설 범위에 대한 학술적 논의가 부족한 상황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정의와 범위에 따른 생활SOC의 시설 및 주요 유형을 분석하여 생활SOC의 구체적인 범주를 확립하고자 한다. 또한, 생활SOC 지역 공급을 위한 최적의 방법을 찾기 위하여 경기도 현황조사 및 통계분석을 통해 유형별 수요 및 분포현황을 분석한다. 이를 바탕으로 경기도 수요조사와의 비교 분석을 진행하여 경기도 생활SOC의 공급 계획의 방향을 제시함으로써 지역에 맞는 대안 마련이 가능할 것이다. Recently the government made an announcement of a reflection on the Life SOC’s budget, 8.7 trillion won in 2019’s total budget, 470 trillon won. Life SOC is the terminology standing for facilities supporting social service which is closely connected to the quality of life, such as welfare service, medical service, housing supply, environmental services, and town management for disabled and elderly. The consensus on the use of facilities and the academic approach on the concept of Life SOC is not fully established even if the term is widely used for policy development, including the academic and practical categories, such as public architectures, community facilities, caring centers, basic life infrastructures, and so forth. Therefore, this research aims to analyze several scope and types of facilities, and establish concrete categories of Life SOC. And we suggested a proper direction for the Gyeonggi Province planning for Life SOC by a comparative research of the current state between statistical quantities and the results of demand survey to figure out the optimized way for a local supply of the life SOC.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