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소아 기본형 간헐외사시에서 단안 내직근절제 및 외직근후전술의 수술결과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

        조희윤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7631

        간헐외사시는 동양권에서 특히 많은 빈도를 보이는 사시로 그 원인에 대해 정확히 밝혀져 있지 않으며, 수술방법도 외사시의 형태에 따라 여러 가지 방법이 시도되고 있다. 이에 본 저자는 소아 간헐외사시의 기본형에서 단안 내직근절제 및 외직근 후전술을 시행하여 수술결과와 이에 영향을 주는 여러 인자들을 조사하여 그 관련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1997년 1월부터 2002년 5월까지 이대목동병원에서 간헐외사시 기본형으로 진단받고 단안 내직근절제 및 외직근후전술을 시행받은 후 최소 6개월이상 추적관찰이 가능하였던 12세 이하의 소아환자 58명을 대상으로 의무기록을 이용하여 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술후 6개월 이상 추적관찰시 정위 또는 5프리즘디옵터(prism diopter, 이후 PD라고 함)이하의 내편위와 10PD이하의 외편위를 보인 경우를 수술성공으로 정하여 수술결과에 영향을 미치는 수술전후의 인자들을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수술시 연령, 수술전 사시각, 수술전 입체시기능, 약시유무, 수직편 위정도, 눈부심증상 등의 술전인자는 수술결과에 의미있는 영향을 주 지 못하였다(p>0.05). 2. 수술시기를 3세이전, 3세에서 6세이하, 6세이후로 나누어 비교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0.05). 3. 수술 후 초기의 과교정이 수술성공률에 의미있는 영향을 주며, 술 후 1주일의 10-20PD의 과교정이 1-9PD의 과교정에 비해 유의하게 높은 성공률을 보였다(p<0.05). 이상의 결과로 소아 간헐외사시 기본형 환자에서 단안 내직근절제 및 외직근후전술을 시행한 경우 6개월이상 추적관찰시 술후 1주일의 10-20PD의 과교정이 1-9PD의 과교정에 비해 좋은 수술성공률을 보이고, 수술결과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술전인자는 없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수술 1주일의 초기 편위각이 10-20PD의 외편위를 보이는 과교정이 적합한 양으로 여겨지며, 수술성공에 대한 좋은 예측인자가 될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Exodeviations occur more commonly in the Asian population and the etiology of this condition is still obscure. Controversies exist concerning the factors that influence the surgical outcom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tudy the factors associated with surgical success for intermittent exotropia of basic type in children. A total of 58 cases were analyzed retrospectively. We performed unilateral recession of the lateral rectus and resection of the medial rectus muscles in all cases. Postoperative changes in motor alignment were documented at day 2, 1 week and 1 month after surgery. The overall success rate was 46.6%. No preoperative factors such as sex, photophobia, amblyopia, preoperative angle of deviation, stereopsis and age at surgery influenced the surgical outcome. However, postoperative overcorrection at day 2, 1 week and 1 month resulted in significantly better surgical outcome(p<0.05). The overcorrection of 10-20PD showed the higher success rate than that of 1-9PD at postoperative 1 week (p<0.05). In conclusion, the early postoperative overcorrection result in the better surgical outcome and 10-20PD is the proper amount of overcorrection at postoperative 1 week. Long term follow-up study is required to assess the other associated factors in the treatment of intermittent exotropia.

      • 성인대상 미술관 전시연계프로그램 현황 연구 : 국내외 사례를 중심으로

        조희윤 충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settlement of five-day workweek and adults' desire for making good use of spare time & lifelong learning require the improvement of educational role of art museum. Along with this, education personnel is being stationed at art museums following the enactment of the law for promotion of culture, art education, setting the educational role of art galler to face new times. The paradigm of art museum has changed from exhibition centered into viewers centered, and under such situation, the questions in what aspects those programs are connected with the exhibitions planned and offered by art museums to help the viewers for their understanding of exhibition, and with what education theory based system and teaching. learning method is the art museum education program being planned, is truly a well-timed proposal on problems. Education connected with art museum has started in children centered way, and the way is extending toward teenagers gradually. But the reality is the insufficiency of the study on the practice & actual state of the programs for adults, the majority of viewers. With such perception, this researcher like to propose the cases for the development of the programs related with the exhibition at art museums for adults under the consideration of the actual state of such program matching the characteristics of art museums. First, the idea and deployment of the art museum education were looked into and the changed educational function and importance of art museums were reconsidered. The characteristic of art museum-connected education was analyzed by arranging the related studies which have been fragmentarily argued till now, and the classification of museum education program, and the concept of the education related with the exhibition at art museums. Then, the current state of exhibition-related programs for adults which are under way at home and aborad art museums. In the midst of the exhibition-related programs for adults conducted by many institutes show differences a little or a lot in education contents and forms, The US and the UK showed the commonness as follow. First, they are visitors centered programs. Learners are perceived as the existence of active participants in the programs rather than perceived as passive existence. Second, they are the programs as special experiences. They are carried on before or after the opening of art museums by a few personnel with experts' explanation in various forms of combining social gathering and participants' convenience. Third, they are based on education focusing exhibition. Large scale of special programs connecting exhibition with education are conducted along with exhibition putting general public in the center. The trait of domestic exhibition-related programs targeting adults is the activation of writing and writers' visiting studios, and recently, exhibition -connected programs are vitalized. Such analysis tells that the viewers acquire special experiences in the environment, art museums rather than information and learning from the program practiced at art museums, and the fact that the quality of such experience set the viewers to revisit should be attended. The significance of such discussion is the proposal of the data on the contemporary status for the art museum educators. The study on the matters could offer suggestive points for the development of Korean programs for adult-targeted education at art museums, and it would be useful for the people in charge of art museum education in planning and developing adult-targeted program from now on. This researcher hopes the criticism on this writing would be contributive to the development of domestic art museum education programs hereafter. 주 5일제의 정착과 성인들의 여가선용 및 평생학습에 대한 욕구는 미술관의 교육적 역할의 제고를 요청하고 있다. 이와 더불어 문화예술교육지원법의 제정으로 미술관에 교육인력이 배치되면서 미술관의 교육적 역할은 새로운 전기를 맞이하고 있다. 미술관의 패러다임은 전시중심에서 관람자 중심으로 변화하였으며, 이러한 상황에서 미술관이 전시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기획·제공하고 있는 전시연계프로그램들은 과연 어떤 양상으로 진행되고 있는가, 또한 미술관 교육은 어떠한 교육이론적 체계와 교수방법론을 가지고 프로그램을 기획하고 있는가에 대한 질문은 시의적절한 문제제기가 아닐 수 없다. 그동안 미술관 교육은 어린이를 중심으로 시작되어 왔으며, 점차 청소년에게로 확대되는 추세이다. 그러나 관람객의 대다수를 차지하고 있는 성인에 대한 프로그램의 실시 및 실태에 대한 연구는 매우 부족한 것이 현실이다. 이러한 문제의식 속에서 미술관의 특성에 맞는 성인대상 전시연계프로그램의 현황을 고찰해 봄으로써 성인대상 미술관 전시연계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사례에 대한 제안을 하고자 한다. 먼저 미술관 교육의 개념과 전개를 살펴보고 변화된 미술관의 교육적 기능과 중요성에 대해 재고하였다. 그동안 단편적으로 논고되었던 관련 연구들을 정리하여 미술관 교육의 특성에 대하여 분석하고 미술관 교육프로그램에 대한 분류와 미술관 전시연계교육의 개념에 대해 파악하였다. 그리고 국내외 미술관에서 최근에 진행하고 있는 성인대상 전시연계프로그램의 현황을 조사하고 분석하였다. 각 기관의 성인대상 전시연계프로그램은 교육내용과 형식면에서 크고 작은 차이를 보이는데 미국과 영국의 경우에 다음과 같은 공통점이 발견되었다. 첫째, 관람자 중심의 프로그램이다. 학습자를 수동적 존재가 아니라 프로그램에 능동적으로 참여하는 존재로 인식하고 있다. 둘째, 특별한 경험으로서의 프로그램이다. 미술관 개관시간 이전 또는 이후에 전문가의 작품설명과 함께 소수의 인원으로 진행되며 사교 혹은 참가자의 편의를 결합하는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고 있다. 셋째, 교육중심의 전시가 바탕을 이룬다. 대규모의 전시연계교육 특별 프로그램을 진행하며 일반대중이 중심이 되는 전시회를 진행한다. 국내의 성인대상 전시연계프로그램은 글쓰기와 작가 스튜디오 탐방 프로그램이 활성화 되어 있는 것이 특징이며 최근 전시연계프로그램이 활성화되고 있다. 이러한 분석은 오늘날 미술관 프로그램에서 관람객이 얻는 것은 더 이상 정보와 학습이 아니라 미술관이라는 환경에서의 특별한 경험이며 그러한 경험의 질이 관람객을 다시 방문하게 한다는 점에서 주목하여야 할 것이다. 이와 같은 논의는 미술관 교육자들을 위한 동시대 현황 자료를 제시하는데 그 의의가 있다. 이러한 점들에 대한 연구는 성인대상 미술관 교육의 한국적 프로그램 개발에 있어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며 향후 미술관 교육 담당자들이 성인대상 프로그램의 기획과 개발 작업을 하는데 있어 유용할 것이라고 생각한다. 본고의 논의에 대한 비판을 통하여 향후 우리나라 미술관 교육 프로그램들이 발전적으로 개발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 만화 전시기획의 패러다임 변화와 실천 전략에 관한 연구 : 2000년 이후의 국내 만화전시 동향을 중심으로

        조희윤 경희대학교 경영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1990년대 중후반을 기점으로 만화문화의 확산과 더불어 만화전문기관이 설립되고 만화페스티벌이 개최되면서 주목되기 시작한 만화전시에 대해 2000년 이후의 한국 만화전시 동향을 중심으로 패러다임의 변화와 전시기획의 실천 전략을 살펴본 연구이다. 본 연구는 만화 전시가 만화가와 작품에 대해 이해를 돕는 단순한 관람용 도구로서가 아니라 만화가 지닌 다양한 요소들을 전시를 통해 적극적으로 선보이게 됨으로써 만화의 본질적 개념을 반영하고 확장시키는 능동적 주체로서 독립적인 연구의 대상이 될 수 있다는 시각에서 출발하였다. ‘만화를 전시한다’는 행위의 대상은 한국 만화의 역사와 그 역사를 일궈낸 작가 그리고 그들의 작품을 조명하는 것이며 이 전시물들을 대규모 공간에서 선보이면서 단순히 읽는 만화에서 시각적으로 보는 매체로서의 만화로 관람객들에게 새로운 관심을 자극했다. 만화가와 만화 그리고 그 안의 구성되어지는 다양한 요소들을 세분화하고 분석하며 기획에 따라 다시 조합하여 재현하는 방식의 형태로 진행해온 만화전시는 만화의 문화적 영향력을 과시하며 여러 분야를 넘나드는 통합적 매체로서 그 영역을 확장하기 시작했다. 만화 작가들의 개인전과 그룹전시 그리고 전시기획 공모사업을 통한 소규모의 전시부터 대규모 예산이 투여된 축제들에서의 전시들 그리고 국제교류를 통한 국내에서의 해외 작품 전시와 해외로 나가는 국제전시 등 다양한 전시들은 관람객들에게 새로운 경험을 제공 해주고 있다. 원화를 액자에 넣어 벽면에 배치하는 전통적인 전시형태와 함께 다양한 오브제와 설치기법 그리고 멀티미디어 장비를 효율적으로 활용한 전시들은 만화전시의 새로운 가능성들을 보여주며 만화만이 갖고 있는 상상력들을 공간에 실재할 수 있게 하기에 충분했다. 작은 사이즈의 만화 책 속에서만 보던 만화 칸과 말풍선, 주인공의 얼굴들을 커다란 수퍼 그래픽으로 보거나 작가의 숨결이 담긴 원화의 형태로 접한다는 것은 시각적 즐거움만을 뿐 만 아니라 전시 작품과 작가, 독자 간의 창조적인 커뮤니케이션 기회 제공의 의미가 크다. 1990년대 후반부터 현재까지 만화전시는 다양한 주제를 바탕으로 수많은 전시들이 이루어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만화 전시에 대한 내용적, 형식적 체계에 대한 연구가 미흡한 것이 현실이다. 과거의 만화 전시가 이미지 중심의 평면적 전시였다면 최근 만화전시의 동향은 내용, 공간, 주제 등에 따라 구성과 연출 그리고 작품 장르 또한 탈장르적이며 융복합적인 양상을 띠게 된다. 이러한 만화전시의 동향은 과거의 만화전시 부터 최근까지 이루어진 전시들의 역사를 짚어보면서 살펴보게 되고 만화 전시의 다양한 변화를 4가지 개념으로 구분하면서 앞으로의 만화 전시 방식에 대한 전망을 제시한다. 만화전시의 사례 연구에서는 본 연구자가 직접 진행한 만화 전시들을 중심으로 만화 전시 패러다임 변화에 대해 4가지 쟁점으로 분석하였다. 만화전시는 이제 만화만을 다루던 전시의 형식에서 벗어나 새로운 실천 전략을 갖추어야 할 때이다. 현대의 시각예술은 문화의 변동과 테크놀로지를 통해 진화하고 있다. 이러한 시각예술의 발달은 만화 전시를 다양한 예술과의 결합으로 이끌어 만화가 엘리트 문화와 대비되는 저급문화로 치부되는 것이 아니라 새로운 시각예술문화로서 자리매김 할 수 있는 중요한 계기가 되었다. 만화 전시는 시각문화 발전에 주도적인 역할을 수행 할 수 있도록 탈장르화를 추구해야하며 현대사회의 다양한 관람객의 눈높이에 부응하기 위해서는 기존의 고정 관념을 탈피하고 여러 실험적인 전시를 꾸준히 시도해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만화의 양적 질적 성장과 함께 작가와 작품을 새롭게 조명하고 그것을 연구하여 전시라는 형태로 나타냄으로써 만화와 독자의 일방적 소통이 아닌 작가와 연구자 그리고 독자들이 상호 소통 할 수 있는 장을 지속적으로 마련하는 것이 필요하다. 미흡하나마 본 논문을 기초로 만화전시에 대한 다양한 담론이 생산되고 이에 관련한 연구들이 다각적으로 이루어지는 계기가 되기를 바란다. This thesis investigates the exhibition plan and practical strategy and the modification of paradigm of cartoon exhibition introduced through the open of cartoon festival and the establishment of cartoon-specialized institution as well as the spread of cartoon culture since mid-1990s, around the trend of Korean cartoon exhibition after 2000. This study begins with a view that the cartoon exhibition can be the independent object of study as the active subject to reflect and extend the essential concept of cartoon, as the cartoon exhibition is not only the instrument for watching to help audience understand cartoonist and product, but actively shows the various components of cartoons through display. The object of the action, 'exhibit the cartoon' is to highlight the history of Korean cartoon and the cartoonists who have created the history and their products, and as this exhibition was displayed in large space, audience's interest was turned from the cartoon for simple reading into the media for visual watching. The cartoon exhibition which has proceeded by means of subdividing and analyzing the cartoonists and cartoons and their various components and recombining and representing them according to the project, begins to expand the scope as the comprehensive media across the several fields, showing the cultural effect of cartoon. The individual exhibition, group exhibition of cartoonists, small exhibition through the public subscription of exhibition project and the exhibitions in the festivals invested with large scale of budget, and other various exhibitions such as the exhibition of foreign products in Korea or the international exhibition to be opened abroad are providing audiences with the fresh experiences. The traditional form of exhibition setting a framed original picture on the wall as well as the various objets, installation techniques and other exhibitions efficiently using the multimedia equipments show a new possibility and are enough to realize the imagination only displayed by cartoon in actual space. Watching the cartoon partitions and word balloons only shown in small size comic book through the large super graphic or experiencing the form of original picture including the cartoonist's spirit is the highly significant opportunity of not only the visual pleasure, but also the creative communication among cartoons, cartoonists and readers. Though the cartoon exhibitions have been often performed based on the various subjects from the latter of 1990s to the present, in fact the study on the system of contents and forms of cartoon exhibition is unsatisfactory. The previous cartoon exhibition was flat exhibition focused on image, while recent trend of cartoon exhibition, the constitution, direction, and even the genre of cartoon present the aspect of free genre(genre-over) and convergence, according to contents, constitutions, subjects. Through this tendency of cartoon exhibition, the history of exhibition from the past to present was investigated and the various modifications of cartoon exhibitions are divided into four concepts, and a prospect for the method of future cartoon exhibition is suggested. And in the case study on cartoon exhibition, 7 issues for the change of cartoon exhibition paradigm are analyzed around the Korean cartoon exhibitions. Now is the time to prepare the fresh practical strategy by escaping from the form of exhibition only dealing with cartoon. This development of visual arts leads to the combination between cartoon exhibition and various arts and provides the opportunity to establish the cartoon into the fresh visual arts culture rather than low culture contrary to elite culture. The cartoon exhibition should pursue the free-genre movement in order to play a main role in the development of visual culture, and several experimental exhibitions should be continuously attempted and existing fixed idea has to be excluded to adjust to the level of various audiences in modern society.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ontinuously establish the field of intercommunication among cartoonists, researchers and readers, rather than the field of one-sided communication between cartoons and readers, by developing the quality and quantity of cartoon, newly highlighting and examining the cartoonists and cartoons and showing them as a form of exhibition. It is hoped that though this thesis is insufficient, it may be basis to produce the various discourses about cartoon exhibitions and be opportunity to conduct the related studies in many ways.

      • NCS 기반 중등 피부미용 교과서 분석 및 학습모듈 개선 연구

        조희윤 남부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현대 사회는 산업 현장에서 바로 적용될 수 있는 현장력을 교육과정에 구현되기를 원하고 있으나 현재 이루어지는 교육은 각 교육기관에 따라 혹은 교수자에 따라 수업의 내용과 질이 달라져 표준을 기대하기 어렵고 학문중심의 교육으로 인해 현장 실무중심의 교육이 부족한 실정이다. 하지만, 현재 고등학교에서 배우고 있는 교육과정에 준한 교과서와 NCS를 보다 나은 교재로 개발하여 기본 이론지식과 실기부분이 재편성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2009개정 교육과정인 피부미용교과서와 국가직무능력표준(NCS)의 수행준거와 피부미용교과서의 학습목표를 중심으로 비교하고 내용의 문제점을 분석하고 이를 개선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함으로써 추후의 교과서와 국가직무능력표준(NCS)학습모듈 개정 시 반영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첫째, 국가직무능력표준의 직무과정을 분석한 결과 총 9개의 능력단위로 나뉘며 피부미용 고객상담, 피부미용 피부분석 및 위생, 얼굴관리, 몸매관리, 피부미용 특수관리, 피부미용기기활용, 피부미용기구활용, 피부미용화장품사용, 피부미용 샵 경영관리로 나뉜다. 능력단위 안에 포함되어 있는 학습모듈을 통해 각 직무를 수행할 수 있다. 둘째, 피부미용교과서의 내용체계 및 구성을 분석한 결과 피부미용의 의의, 피부의 이해, 피부 미용 화장품, 피부 미용 기기, 피부 미용의 실제의 5개의 단원이 있었고 학습목표를 통해 학습을 할 수 있다. 한국교과서의 내용체계 및 구성을 분석한 결과 피부 관리의 이해, 피부의 구조와 기능, 피부의 유형, 피부 관리 화장품, 피부 관리기기, 피부 관리의 실제 6개의 단원이 있었고 학습목표를 통해 학습을 할 수 있었다. 셋째, NCS와 피부미용교과서의 내용체제를 분석한 결과 교과서에서는 얼굴 관리의 비중은 높았으나 전체적인 부분에서 낮은 비중을 차지하였다. 피부미용 고객 상담, 피부미용고객마무리, 피부미용 기구 활용, 피부미용위생관리, 피부미용 샵 경영관리는 모두 포함되어있지 않았으며 교과서만으로는 차후의 직무를 수행하는데 불가능하다고 사료된다. 또 NCS에서는 필요지식이 미흡했고 교과서에서는 실질적으로 산업현장에서 하는 관리를 할 수 있는 내용이 미흡했다. 넷째, NCS 학습모듈의 개선점을 분석한 결과 필수 이론 지식이 부족한 것을 알 수 있었다. 필수 이론 지식을 알지 못하고 직무를 수행했을 때에는 제품이나 관리에 대한 이해도가 떨어질 수 있으며 올바른 관리를 할 수 없다. 또 필수 이론 지식에는 주의 사항이 많이 부족한 것을 알 수 있었다. 학생들이 기구사용이나 실질적인 관리를 했을 때에는 안전에 대한 위험성이 있을 수 있으므로 주의 사항을 넣어 안전에 유의해야 한다. 또 단어의 오류를 찾아 볼 수 있었으며 사진이나 학습목표의 설명이 부적합하거나 부족한 점을 볼 수 있었다. 따라서 피부미용 교과서와 국기직무능력(NCS)학습모듈 재개발 시 기초자료가 될 것으로 사료되며, NCS의 교육과정이 피부미용 국가기술자격검정의 규정과도 상호 유기적 관계를 통해 보다 나은 피부미용 교과과정이 개발되어야 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