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영지와 원죄 - 에릭 뵈겔린의 사상에 관한 시론 -

        조효원(Cho Hyowon) 경북대학교 인문학술원 2020 동서인문 Vol.0 No.13

        독일 출신의 미국인 사상가 에릭 뵈겔린은 40여 년 간 공석이던 뮌헨대학의 막스 베버 교수직을 계승한 인물이다. 베버처럼 뵈겔린도 어느 하나의 분과학문에 국한되지 않는 학문 활동을 펼쳤다. 그의 사상은 영지에 대한 항전을 중심으로 전개된다. 뵈겔린은 고대에 발생한 영지주의가 역사 속에서 면면히 지속되었을 뿐 아니라, 여러 이념의 형태로 시대마다 모습을 달리 하며 정신의 영역을 오염시켜 왔다고 믿었다. 영지주의에 맞서 그가 지키려 한 것은 철학적 지혜를 추구하는 형식으로서의 초월 신앙, 즉 기독교이다. 뵈겔린은 기독교의 전통에 대항한 실증주의 철학자 오귀스트 콩트에게서 역사의 질서를 망가뜨린 종말론자의 한 전형을 발견하였다. 또한 그는 근대의 역사적 사유 일반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 피오레의 요아킴이 초월에 대한 믿음을 파괴한 장본인이라고 생각했다. 즉, 그에게서 촉발된 성령주의 운동이 영지주의 역사철학의 효시가 되었다는 것이다. 나아가 뵈겔린은 요아킴에게서 유래한 영지주의 흐름이 헤겔과 칼 마르크스를 거쳐 나치즘에게까지 이어지는 전체주의적 발상의 원흉이라고 주장한다. 그러나 영지에 대항하여 기독교를 지키려 한 뵈겔린의 싸움은 원죄 교리에 대한 이해라는 문제에 봉착하여 난경에 빠진다. 이런 맥락에서, 바울의 후계자로서 영지주의를 널리 퍼뜨리려 한 철학자 야콥 타우베스를 만난 뒤 뵈겔린이 커다란 두려움을 느꼈다는 사실은 매우 시사적이다. 왜냐하면 바울은 영지주의를 통해 원죄에 대한 신앙을 폐기함으로써 기독교를 세운 인물이기 때문이다. Eric Voegelin is a hitherto unknown thinker in Korea. Yet in the USA and in Europe, his fame is on a par with that of Leo Strauss and Hannah Arendt. He was offered a professorship at the University of Munich, a position that had remained unoccupied for over three decades since Max Weber’s premature death in 1920. Voegelin’s way of thinking and his fairly wide range of research proved the University of Munich right in choosing him as Weber’s successor. In formulating his own philosophy of history, Voegelin was fiercely determined to tackle the problem of gnosis, which he believed did not cease to weaken the spiritual power of Christianity from antiquity onwards. In order to grapple with Gnosticism, Voegelin traced various Gnostic epigones throughout the history of the West. In the figure of Joachim of Fiore, the purported author of the ‘Eternal Gospel’, for instance, Voegelin found the trailblazer of the modern belief about the historical progress of mankind. As for the modern thought proper, the most prominent Gnostic thinker was Auguste Comte whose positivistic philosophy made Voegelin characterize him as spiritually diseased. Lastly, the Marxist movement in the nineteenth century was perceived by Voegelin as a harbinger of the Third Reich, which stemmed from the ideas of the Johannite Church, largely promulgated by Joachim of Fiore and his followers. For Voegelin, Joachim’s apocalyptic thinking, Comte’s positivistic program and Karl Marx’ revolutionary philosophy were one and the same: they all resulted in totalitarianism, which culminated with the life and death of the Führer of Nazi Germany. Nonetheless, while Voegelin was consistent in the way he treated the historical malaise of Gnosticism, he failed to address explicitly the question of original sin, which is, however, no less decisive than the question of gnosis in justifying his own conception of Christian faith. This may partially explain why he could not do but shudder after having a conversation with the Jewish philosopher Jacob Taubes who, as a gnostic partisan, strove to emulate Saint Paul and Joachim of Fiore.

      • KCI등재

        활용하는 문헌학

        조효원 ( Hyowon Cho ) 한국비교문학회 2021 比較文學 Vol.- No.85

        영역을 막론하고 현재의 이론들이 처한 심각한 답보 상태와 관련하여 필요한 것은 독일의 사회학자 니클라스 루만의 지침을 따르는 일, 즉 사용 가능한 이론적 자원들을 최대한 활용하는 작업이다. 이는 통상적인 의미에서의 사회학에 국한될 수 없다. 차라리 그것은 루만의 체계이론이 원래 지향했던 목표, 즉 보편적인 것의 층위에 도달하려는 시도라고 해야 옳다. 이를 위해 본 논문은 ‘모든 이론은 언어적 구성물’이라는 가설에 기초하여 루만의 지침을 적극적으로 수행하려 한다. 이 작업의 내적 동력은 독일의 이론가 베르너 하마허의 문헌학적 이념이 제시하는 범(汎)언어적 표상으로부터 길어진다. 제1장에서는 루만의 텍스트에 삽입된 “마치 원죄처럼”이라는, 일견 사소해 보이는 비유 안에 숨겨져 있는 거대한 이론적 잠재성에 대하여 고찰한다. 이는 제2장의 주제, 즉 원죄와 영지라는 신학적 근본 개념의 중요성을 재고하는 작업으로 이어진다. 원죄와 영지는 루만의 ‘구별’ 개념의 이론적 기능을 선취하는 개념이며 나아가 그것을 지탱하는 형식이라고 할 수 있다. 이상의 논의를 통해 밝혀지는 사실은 신학과 사회학이 문헌학이라는 무한한 자장(磁場)의 두 극을 구성한다는 점이다. 이러한 통찰을 바탕으로 제3장에서는 카프카의 ‘자연극장’이라는 형상을 통해 ‘구별 속의 구별’이라는 루만 이론의 중핵 개념에 접근하는 작업이 이뤄질 것이다. 결론에서는 모든 이론이 필연적으로 지시하거나 포함할 수밖에 없는 ‘미표시 영역’이 곧 문헌학의 근원적 장소라는 사실이 밝혀질 것이다. 바로 이 장소의 존재 덕분에 우리는 실패를 무릅쓰면서도 이론적 작업을 거듭 재개할 수 있는 것이다. Given the present situation in which we are faced with an impasse in terms of theory and theorization, it is imperative that we take seriously Niklas Luhmann’s instruction to make use of every possible resource we have at our disposal. This article aims at such attempt, although it would be far from being confined to sociological research, a notion that has unduly characterized what Luhmann had striven for. With his own system theory, rather, the German sociologist sought to lay the ground for a framework of general theory that should exhibit the most coherent-cum-conclusive explanatory capacity. In the present study I will follow Luhmann in his footsteps with a crucial modification assuming that every theory is fundamentally a linguistic construction, a contention against which Luhmann might have raised an objection. And it is through taking my cue from Werner Hamacher’s work on the idea of philology that I set the stage for making use of sundry inventions and suggestions for theorization. Hamacher’s lifelong commitment to renewing deconstructionist theory for the sake of, and in the name of, philology would shed much light on the question of what is and should be theory. In the first chapter I take note of a trope that Luhmann has interpolated into his text: “like the original sin.” This simile reveals itself as a great storehouse of constructive potential for theory because it amounts to ur-distinction that is pivotal to his theoretical conception in general. In the second chapter I bring into focus two theological concepts, the original sin and gnosis, in order to demonstrate that Luhmannian sociology is in principle no different from the gnostic theology the radicality of which, e.g., Jacob Taubes took much pains to set in motion. This comparison leads us to postulate that sociology and theology be two pillars of philology Hamacher has envisioned, for philology endeavors to give each and every decedent a certain afterlife by virtue of language that undergirds all kinds of imagination. In the third chapter I argue that Kafka has prefigured what Luhmann calls ‘distinction within distinction’ when he conceived the idea of ‘nature theater.’ Lastly, I conclude by suggesting that since it brings to the fore “unmarked space”, Luhmann’s system theory deserves to be considered a propaedeutic of philology that works towards linguistic nekyia, which obligates us to keep theorizing in every possible way.

      • KCI등재

        로마와 예루살렘 간의 법적 투쟁 - 칼 슈미트와 게르숌 숄렘의 카프카 독해

        조효원(Cho, Hyowon) 한국카프카학회 2019 카프카연구 Vol.0 No.42

        프란츠 카프카의 문학은 ‘로마 대 유대’의 대립을 서구 역사를 관통하는 보편적 구도로 설정한 니체의 역사철학을 초극한다. 본 논문은 독일 법학자 칼 슈미트와 유대 종교철학자 게르숌 숄렘의 개략적인 카프카 해석을 확대 및 재구성하여 상호대비시킴으로써 카프카의 문학이 초-니체적 관점주의를 구현한다는 사실을 논증하려는 시도를 담고 있다. 슈미트는 카프카 문학에 대한 로마적 해석을, 반대로 숄렘은 유대적 해석을 가능케 하는 의미심장한 언급들을 남겼다. 적과 동지의 구별 및 교황의 지상권이라는 두 가지 정치신학적 원리에 입각하여 카프카의 소설을 독해하려 한 슈미트는 니체가 설정한 두 항 중 로마를 선택하여 극단으로 밀어붙인다. 반면 ‘계시의 무(無)’라는 이념에 착안하여 카프카의 『소송』을 성서 욥기와 카발라 신비주의 전통에 견주어 이해한 숄렘은 배타적인 예루살렘 정신을 보여준다. 요컨대 두 사람은 각각 니체가 설정한 구도의 두 대립항을 대변하는 셈이다. 하지만 프라하의 작가 카프카는 독일인 슈미트처럼 로마-교회법 앞에 부복하지도, 시오니스트 숄렘처럼 약속의 땅으로 망명하지도 않았다. 역사와 종말에 대한 질문을 끝없이 뒤집음으로써 카프카는 니체의 관점주의 역사철학을 넘어선다.

      • KCI등재

        ‘순수하게’ 정치적인 것에 대하여 ―칼 슈미트의 결단주의와 그 비판자들―

        조효원 ( Hyowon Cho ) 한림과학원 2021 개념과 소통 Vol.- No.27

        법학자 칼 슈미트의 결단주의 사상은 통상 민주주의 원리에 역행하는 것으로 인식된다. 하지만 결단주의에 기초한 슈미트의 정치신학은 극도로 복잡한 사유의 회로로 구성된 건축물이다. 따라서 그의 결단주의를 제대로 이해하기 위해서는 그것의 맥락과 근원에 주의 깊은 시선을 던질 필요가 있다. 그의 정치신학은 기본적으로 역사철학과 흡사하지만, 한 가지 결정적인 차이가 존재한다. 이는 슈미트의 시간관념이 역사적 사건의 ‘일회성’에 대한 철저한 인식에 뿌리를 둔 것이라는 점에서 기인한다. 일회성에 대한 그의 관심은 독특한 형태의 일기 철학, 즉 부리분켄학을 통해 구체적인 형태로 구현된다. 역사적 구체성을 중요시한 슈미트에게는 적대자들이 많았으며, 그는 이들과의 사상적 대결을 통해 자신의 정치신학을 발전시켜 나갔다. 그의 사유의 중핵을 이루는 것은 ‘정치적인 것의 개념’이다. 즉, 그의 결단주의는 ‘순수하게 정치적인 것’에 바탕을 두고 있다. 슈미트의 결단주의와 관련하여 가장 주목해야 할 적대자는 법학자 한스 켈젠과 철학자 레오 스트라우스이다. ‘정치적인 것’을 법학의 영역에서 배제하려 한 켈젠의 실증주의적 순수법학을 논파하기 위하여 슈미트는 ‘예외상태’ 개념을 주창했다. 그런가 하면, 스트라우스는 인간의 본성이 ‘무고한 악’에 의해 지배될 수 있다는 인간학적 통찰에 입각하여 ‘정치적인 것’의 성립 불가능성을 주장함으로써 슈미트의 홉스 해석 및 이에 기초한 정치신학의 핵심 주장에 치명타를 가했다. 이에 맞서 홉스를 자유주의에 맞서는 결단주의자로 옹립하기 위하여 슈미트는 오랜 세월 고투해야 했다. 생애 말년에 이르러 자신의 결단주의 정치신학이 처음부터 패배자의 사유였음을 인정한 슈미트는 일기를 통해 자신의 사유가 19세기 철학자 막스 슈티르너의 허무주의에 젖줄을 댄 것임을 시사한다. 즉, 슈티르너의 무신론적 사유가 슈미트의 부리분켄적 역사철학의 주요 원천이었던 것이다. 그러나 슈티르너의 극단적 개인주의를 온전히 수용할 수 없었던 슈미트는 자신의 정치신학이 로마 가톨릭교회의 전통을 충실히 따른 것이라는 생각을 끝까지 고수했다. 요컨대, ‘순수하게 정치적인 것’은 초개인적 허무주의와 기독교의 기묘한 결합에 의해 탄생한 사상이다. Most readers find Carl Schmitt’s decisionism rather a perilous stance, considering it to have pernicious anti-democratic tendencies. His decisionism is, however, far more complex than it appears at first sight. To appreciate it rightly, we should take a careful look at the context to which he applied it, as well as at its origins. Schmitt’s political theology, which derives from his decisionism, is actually similar, in many respects, to the philosophy of history represented by Walter Benjamin, among others. When it comes to the notion of time, however, Schmitt diverges from such thinkers by his emphasis upon the singularity [Einmaligkeit] of historical events. His fascination with the uniqueness of historical and political vicissitudes is expressed most clearly in his idiosyncratic conception of the act of keeping a diary, i.e., buribunkology [Buribunkologie]. Seeing himself as a Buribunk who was solely concerned with ‘the concept of the political’, Schmitt had a great many opponents who condemned his decisionistic notion of jurisprudence. In this regard, two Jewish intellectuals are worthy of notice, among many others: the jurist Hans Kelsen and the political philosopher Leo Strauss. In fact Schmitt only disseminated his own concept of a ‘state of exception’ after Kelsen had proposed the idea of a ‘pure theory of law’, which derives from a positivist idea that Schmitt detested. And Strauss very perceptively pointed out that the anthropological premise upon which Schmitt’s political theology depends is unsustainable in the face of what Strauss called ‘innocent evil’. Indeed, after Strauss’demolition of Schmitt’s political theology, Schmitt was deeply perturbed, struggling for decades to overcome the resulting trauma. In the end, however, Schmitt admitted that he had been vanquished from the outset. In a diary entry he intimated that he contrived his political theology in response to the nihilistic philosophy of Max Stirner. Yet, Stirner’s nihilistic egoism could not wholly absorb Schmitt, who considered himself a devout Catholic, whatever he meant by that.

      • KCI등재

        배달이륜자동차 주행행태 분석 연구 - 아파트단지를 중심으로

        임준범(Joonbum Lim),김형규(Hyungkyu Kim),조효원(Hyowon Cho),이혜린(Hyerin Lee) 한국산학기술학회 2021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2 No.9

        최근 우리나라는 배달을 이용한 외식업문화가 대중화되었으며, 모바일 배달앱의 개발과 COVID-19로 인해 배달수요가 2020년에 2019년 대비 698% 증가하였다. Door to Door 서비스를 지향하는 소비자들의 요구에 맞춰 인구밀집지역에서 이륜차를 이용한 배달통행이 더불어 증가하고 있으나, 이륜차 통행관련 교통사고 예방대책은 개선이 미흡하다. 특히 사유지인 아파트 내 도로는 교통관련 법령의 사각지대로 이륜차 사고예방에 취약한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지난 5년간(2015~2019년) 경찰청 및 보험사 교통사고자료를 기반으로, 배달이륜자동차 사고특성을 분석하였다. 운전자의 신호위반 사고가 60%, 중앙선 침범 16%로 법규위반원인이 높았으며, 30세 미만의 운전자가 74.4%로 대다수로 나타났다. 세부원인 분석을 위해 통행실태를 영상기반의 TCA(Traffic Conflict Analysis)를 실시하였으며, 보행로 이륜차 차단시설이 없는 아파트 단지의 경우 TC(Traffic Conflict) 비율이 7%~31%로 발생하였고, 평균속도는 40㎞/h로 과속상황이었다. 또한, 이륜차 주행행태에 대한 이용자관점의 설문조사를 수행하였으며, 교통사고 및 TC의 원인은 제도 부재 및 이륜자동차 운전자의 안전의식 문제로 분석되었다. 상기 원인에 대하여 교통안전시설설치, 단속시스템, 자격제도 개선으로 분류하여 국내 아파트 내 도로 배달이륜자동차 주행특성에 상응하는 안전대책을 제시하였다. The restaurant delivery business has become popular in Korea, and the demand for delivery increased by 698% in 2020 compared to 2019. Delivery traffic using motorcycles is increasing in densely populated areas in line with the needs of consumers aiming for door-to-door services, but measures to prevent two-wheeled vehicle traffic accidents are insufficient. Therefore, this study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two-wheeled delivery vehicle accidents based on traffic accident data from the National Police Agency and insurance companies over the past five years (2015-2019). The data showed that approximately 60% of drivers’ signal violations and 74.4% of delivery drivers under 30 years were associated with accidents. A video-based TCA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precise cause of traffic accidents. The TC ratio ranged from 7% to 31% in apartment complexes without two-wheeled vehicles blocking facilities on pedestrian roads. The average speed was 40 ㎞/h. The survey of the user’s perspective on two-wheeled vehicle driving behavior was conducted, and the causes of traffic accidents were analyzed as problems with the absence of a system and safety awareness of two-wheeled vehicle driv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