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유아특수교육 연구동향 분석 연구 : 1994년~2007년 학술지 중심으로

        조현근 단국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47

        이 연구의 내용은 유아특수교육 관련 연구의 전반적인 동향을 파악하고 향후 유아특수교육의 연구방향을 알아보는 것으로 1994년부터 2007년까지 14년간 발표된 국내 전문 학술지 게재 논문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수집된 논문은 총416편으로 다음의 다섯 가지 기준에 의해 분석하였다. 첫째, 학술지별 빈도 분석과 연도별 동향, 둘째, 연구 대상의 특징(대상유형별, 대상연령별, 대상 장애영역별), 셋째, 연구 유형의 특징(양적연구, 질적연구, 기타연구유형), 넷째, 연구 주제의 특징(상위주제별, 하위주제별), 다섯째, 중재 연구의 특징(독립변인, 종속변인)을 알아보는 것이다. 각 분석기준에 따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특수교육연구’ 82편(19.7%), ‘정서행동장애연구’ 72편(17.3%), ‘특수교육학연구’ 61편(14.7%), ‘특수아동교육연구’ 32편(7.7%), ‘특수교육저널:이론과실천’ 27편(6.5%), ‘유아교육연구’ 23편(5.5%), ‘언어청각장애연구’ 22편(5.3%), ‘언어치료연구’ 20편(4.8%)의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대상유형에 따라 유아대상 188편(45.2%), 비유아 대상 113편(27.6%), 기타(문헌리뷰, 기관) 113편(49.5%)으로 나타났으며, 유아 연령에 따라 영아 5편(2.7%), 유아 177편(94.1%), 영유아 6편(3.2%)으로 총188편(100%)으로 나타났다. 장애유형에 따라 발달지체 71편(44.7%), 자폐성장애 31편(19.5%), 청각장애 13편(8.2%), 정신지체 12편(7.6%), 지체장애 10편(6.3%)의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연구유형은 양적 연구 263편(63.1%), 질적 연구 133편(32.1%), 기타 연구유형 20편(4.8%)으로 나타났으며, 세부연구유형별로는 실험연구 132편(31.7%), 조사연구 94편(22.6%), 문헌연구 88편(21.2%)의 순으로 나타났다. 넷째, 주제별로는 통합교육 125편(30.0%), 발달영역 81편(19.5%), 가족지원 57편(13.7%), 진단과 평가 49편(11.8%)과 문제행동 17편(4.1%)으로 전체 분석 논문의 79.1%를 차지했다. 다섯째, 중재연구는 총141편으로 독립변인의 범주별 빈도는 놀이중심교수와 문학 활동 각각 15편(10.6%), 가족관련 14편(9.9%), 음악과 음률 12편(8.5%), 미술활동 10편(7.1%), 보완대체의사소통 9편(6.4%)으로 나타났으며, 종속변인의 범주별 빈도는 언어 및 의사소통이 46편(32.6%), 문제행동 15편(10.6%), 사회성기술과 일반유아의 발달지체유아에 대한 인식 및 태도가 각 14편(9.9%), 또래 간 상호작용 13편(9.2%)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는 국내의 유아특수교육 관련 연구의 전반적인 흐름을 제시함으로써 향후 관련 분야 연구의 방향성을 알아보는데 유용한 자료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research trends and to explore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in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From fifteen special education journals and one early childhood education journal that published from 1994 to 2007 in Korea, 416 articles met the inclusionary criteria for this review. The 416 papers were analyzed in terms of years of publication, journals of publication, subjects of research, methods of research, the main topics of research, and feature of intervention studies. The results were as followed. First, the research papers of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were greatly increased afterwards 2000 and published the most in Korean journal of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Second, the research subjects resulted into: preschoolers 188 cases (45.2%), adults 113 cases(27.6%), and other subjects(literature review, agency) 113 cases(49.5%). Based on the age stage of the preschoolers: infants(age 0-2) 5 cases(2.7%), early children(age 3-6), 177 cases(94.1%), and preschoolers(age 0-6) 6 case(3.2%), therefore making it total of 188cases(100%). Based on the disability pattern, developmental delay 71 cases(44.7%), autistic disorder 31 cases(19.5%), audiology disorder 13 cases(8.2%), intellectually disability 12 cases(7.6%), and physical disability 10 cases(6.3%). Third, the methodology of researches resulted into: experimental study 132 cases(31.7%), survey study 94 cases(22.6%), and literature review 88 cases(21.2%). Fourth, the main topics of research resulted into: inclusion education 125 cases(30.0%), developmental areas 81 cases(19.5%), family support 57 cases(13.7%), diagnosis and evaluation 49 cases(11.8%), and challenging behavior instruction and comprehension 17 cases(4.1%), therefore resulting it total of 79.1%. Fifth, the intervention researches resulted into the total of 141 cases: independent variable frequency was varied into play-based instruction and biblo-activity 15 cases(10.6%), family-related 14 cases(9.9%), music and rhythm 12 cases(8.5%), art activity 10 cases(7.1%), Argumentative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9 cases(6.4%). Dependent variable frequency was varied into language and communication 46 cases(32.6%), challenging behavior 15cases(10.6%), social skill and attitude of general young children toward young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s 14 cases(9.9%), and interaction among the peers 13 cases(9.2%). Based on this results, the author discussed and explored the implications for the future of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 ‘하느님의 침묵 에 관한 고찰’ : 서방 교회의 신정론과 동방 교회의 부정신학을 중심으로

        조현근 수원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7631

        인간은 역사는 고통의 역사이지만 아이러니하게도 이를 통해 인간은 발전하고 신을 찾는다. 끊임없이 다가오는 악과 고통 앞에서 인간은 좌절하기도 하고 신을 원망하고 무신론을 이야기하기도 한다. 그렇기에 본고는 고통받는 인간이 느끼는 현실 앞에서 하느님이 침묵하는가에 대한 신학적 성찰을 목적으로 한다. 1장은 수많은 인간의 고통의 체험 앞에서 인간이 의지하고자 하는 신에 대한 많은 물음으로 시작해, 성경 안에서도 발견되는 신의 움직임을 중심으로 그리스도교 신정론이 전개된다. 선한 하느님께서 창조하신 이 세상에 왜 악이 존재하는지, 고통은 어디로부터 비롯된 것인지에 대한 물음으로 이어진다. 하지만 신정론의 최종 목적지는 신의 존재 여부에 관한 것이다. 결국 신정론을 논의하기 위해선 신의 존재가 전제되어야 하며, 존재하는 신에 대한 물음들이 신정론의 흐름이 되었다. 이 흐름들을 바라보기 위해 성경과 그리스도교 교부, 근 · 현대의 신학, 철학자들의 의견을 살펴봄으로써 그들이 하느님의 존재를 어떻게 증명하고자 했고, 결정적으로 인간의 삶에 어떻게 희망을 주고자 했는지 발견할 수 있었다. 2장은 지금까지 신정론을 바라보았던 시각에서 벗어나기 위해 '부정신학'의 시선을 위한 동방 교회의 신학을 살펴보았다. 긍정신학과 구분되는 부정신학은 대체로 동방 교회를 통해 지금까지 이어져오고 있으며, 인간의 언어로 표현하고 이해되는 하느님에 대해 오히려 부정함으로써 저능하고 초월적인 하느님에 대한 정형화시키지 않으려는 노력을 발견할 수 있었다. 이러한 동방 교회의 신학을 살펴봄으로써 그리스도교 신정론을 바라보는 또 다른 시각을 가질 수 있었으며 인간의 신화화를 통한 하느님의 합일과 인간의 고통에 대한 새로운 시각을 선사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3장은 동방 교회의 부정신학과 신비신학의 시작이라 할 수 있는 위디오니시우스의 저서를 살펴봄으로써 부정신학에 더 깊이 접근하고 하느님의 침묵에 대한 질문에 대한 답을 찾고자 했다. 인간의 입장에서 하느님이 침묵한다고 느낀다는 것 자체 또한 부정되어야 한다는 것과 오히려 하느님의 끊임없이 움직이고 계시지만 그럼에도 침묵한다고 느끼는 것은 인간의 신화화를 바라시는 하느님의 움직임임이 드러났다. 그러므로 하느님은 침묵하시는 것이 아니라 침묵한다고 생각되어지는 것이며 인간은 창조 때 하느님께로부터 받은 초월성을 발휘해 오히려 하느님과 같아지길 지향해야 한다는 것을 확인했다. 결론적으로 하느님의 침묵에 관한 고찰은 인간의 한계로 한정 지어진 하느님에 대한 개념들에서 벗어나는 작업이기도 했으며, 현실적인 질문에는 새로운 시각을 부여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지금 이 시대에도 하느님을 현재화시킬 수 있었으며 하느님의 움직임은 멈추지 않으며 인간이 신화되길 바라시는 하느님의 창조와 구원 의지를 확인 할 수 있었다.

      • 지속가능한 해양관광지 개발을 위한 환경 조건에 관한 연구

        조현근 서울과학기술대학교 2016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환경보존에 대한 시대적 중요성과 해양관광지 관광자원의 자연환경에 대한 높은 의존도를 재확인하고,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한 지역 특성화와 차별화 전략으로 지속가능한 해양관광지 개발을 위한 환경 조건을 제시하였다. 이는 현재, 대부분의 산업분야에서 그러하듯이, 개발이 환경보존과 경제 활성화의 대립 구도를 보이고 있으며, 특히, 해양 지역은 환경오염에 대한 노출 수준이 높고, 지역사회·경제도 타 지역에 비해 낙후되어 있어, 해양 지역의 환경보존과 경제 활성화의 양립을 위해 지역의 환경 조건을 고려하고 적절히 활용한, 지속가능한 해양관광지 개발은 불가피하기 때문이다. 본 연구의 방법은 문헌적 연구방법과 실증적 연구방법으로 진행되었다. 문헌적 연구에서는, 1) 지속가능한 해양관광지 개발과 관련된 선행연구와 해양관광 활성화와 관련된 선행연구를 조사, 분석하여 본 연구의 방향성을 확인하였으며, 2) 해양관광의 개념과 특성, 시장 흐름과 여행 실태, 정책 방향, 그리고 지속가능성의 개념, 개발지표, 개발사례 등을 조사, 분석하여 환경 조건을 도출하기 위한 항목, 해양관광의 지속가능성 도입을 위한 적용 방법과 이에 따른 긍정적 변화를 확인하였다. 3) 또한, 관광여건 변화를 조사, 분석하여 지속가능한 해양관광지 개발계획 시 요구되는 환경 조건의 항목을 정립하고, 국외, 국내 사례를 조사, 분석하여 지속가능한 해양관광지 개발 유형, 문제점, 개선방안을 도출하였다. 실증적 연구에서는, 4) 문헌적 연구에서 확인하고 도출한 항목을 동질적으로 군집화하고, 계층화하여 보다 독립적이고 구체적인 항목으로 체계적 식별이 가능한 환경 조건을 설계하였으며, 5) 실무자 인터뷰를 통해 환경 조건에 대한 적합성 및 타당성, 중요도를 확인하고, 수정, 보완하여, 최종적으로 구성요소 6개 항목(제 1계층), 세부항목 14개 항목(제 2 계층), 환경 조건 44개 항목(제 3 계층)을 도출하였다. 6) 또한, 최종적으로 설계한 환경 조건에 대한 1차 검증으로 국내사례를 조사, 분석하여 적합성 및 타당성, 중요도를 도출하였으며, 7) 2차 검증으로 전문가 조사를 통해 적합성 및 타당성, 중요도를 도출하였다. 이에 따른 연구의 결과로, 지속가능한 해양관광지 개발을 위한 환경 조건(자연환경 조건 / natural environment condition, 인문환경 조건 / human environment condition)의 중요도는 1) 관광매력물/자연자원의 하위계층인 nec.자연자원의 지속성과 품질유지, 2) 관광매력물/자연자원의 하위계층인 nec.자연환경 청결도 유지, 3) 관광주체/관광객의 하위계층인 hec.국내 해양관광지에 대한 관심과 선택, 4) 관광주체/지역주민의 하위계층인 hec.자연환경에 대한 태도와 책임의식, 5) 관광매력물/자연자원의 하위계층인 nec.지역 특성 파악과 적절한 활용 등을 순으로 도출할 수 있었으며, 이를 통해 환경보존에 대한 시대적 중요성과 해양관광지 관광자원의 자연환경에 대한 높은 의존도를 재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해양관광지의 자연 생태계와 자원의 보호증진, 사회적 기반 구축, 경제적 생산성 향상을 위해서, 해양 지역의 환경보존과 경제 활성화의 양립을 위한 지역 특성화, 차별화 전략으로, 1) 대상지보호, 중요 생태계 보존 등으로 경관의 아름다움과 다양성, 독특성을 유지해야 하며, 2) 폐기물 관리, 재생에너지시설 설치 등으로 녹색환경을 조성해야 하며, 3) 지역의 지형, 기후, 식생, 토양, 생물, 대기, 수질, 해류, 조류, 파랑 등을 고려하고 적절히 활용하여 핵심 콘텐츠를 개발해야 한다. 또한, 관광객은 국내 해양관광지에 대한 관심과 선택이, 지역주민은 자연환경에 대한 태도와 책임의식이, 제도적 역할로 이에 대한 정책적 지원이 요구된다. 본 연구는 지속가능한 해양관광지 개발을 위한 환경 조건을 제시하였다. 이는 해양관광지의 지속가능성과 특성화, 차별화를 위한 디자인 개발계획 수립 시, 콘텐츠 개발계획 수립 시 가이드라인으로 활용될 수 있으며, 기존 해양관광지의 지속가능성에 대한 평가 자료로도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이를 위한 기초자료로 충분한 가치가 있다고 판단되며, 본 연구가 해양관광지의 지속가능성에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 장애 영·유아 가족지원을 위한 개별화가족지원계획(IFSP) 적용 탐색 연구

        조현근 단국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박사

        RANK : 247631

        In order to explore application of the IFSP for family support of infants &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this study attempted (1) to analyze trends of domestic & international research related to the IFSP and family support of infants &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2) to investigate family support status of domestic research based on purposes, principles, and components of the IFSP, (3) to identify problems to applicate IFSP and suggest possible solutions using the Delphi technique. To solve the research problems, literature review and survey methods were used. Literature review was performed as follows. Total 606 articles published in thirty-two peer-reviewed journals in Korea and six special education peer-reviewed journals in the United States were used for this study. The 606 papers were analyzed in subjects of research, methods of research, the main topics of research. Survey methods were conducted by questionnaire and Delphi survey. First, the questionnaire survey was performed as follows. In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organization across the country, total 238 organizations were selected―kindergarten for infants &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special schools for infants &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day-care Center for infants &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151 of 238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data analysis. To analyze the data the following methods were used―mean, standard deviation, frequency analysis, cross-analysis, & Scheffe test. Second, the Delphi survey was carried out three times. In the first Delphi survey, 50 people were selected by Delphi panelists and 21 people responded to the questionnaire about possible solutions and problems to applicate IFSP. In the second and third Delphi surveys were 18 and 15 people have been responding. To analyze the data the following methods were used―mean, standard deviation, median, interquartile range, convergence, consensus, coefficient of variation. & qualitative analysis. According to research questions, the findings were as below. 1) Suggestions for application of the IFSP according to comparative on research trend of domestic & international research related to family support of infants &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First, the research for the management of family of infants &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needs to be done. Second, the research related to professional development needs to be done. Third, the research expanded the rage of subject needs to be done. Fourth, in order to ensure the quality of the research, more effort is required. Fifth, in order to improve the satisfaction of the family of infants &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support methods should be designed. 2) Suggestions for application of the IFSP according to status of family support of infants &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First, training on the use of family assessment tools is required. Second, in order to cooperate among experts, better understanding of each other’s areas on ​​expertise is required. The cooperation programs and workshop need to be developed. Third, screening & educational assessment tools for infants &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need to be developed. Fourth, management documents for family of infants &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need to be developed. Sixth, the concepts of service coordinator and case manager should be clearly defined. Seventh, the supports for the transition, such as provision of information and DB construction are required. 3) Problems to applicate IFSP and possible solutions that might overcome them using the Delphi technique. First. social consensus for the implementation of the IFSP is required―promotion through IFSP practices etc. Second, in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appropriate IFSP standards documents need to be developed. Third, various methods for professional development should be carried out; IFSP teacher training, IFSP learning content development, IFSP implementation manuals development. Fourth, professionals for IFSP planning, implementation, management and evaluation should be placed; placement of service coordinator, family support specialists with expertise & administrative personnel. Fifth, understanding individual family characteristics and the cultures of the home, education and training is required. As a result of this study, conclusions on application of the IFSP are as follows.; (1) introduction on the concept of case management by family unit of infants &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2) implementation of comprehensive family assessment for families of infants &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3) training of experts and developing professionals for family assessment, (4) conjunction with the local communities through the expansion of the concept on family with infant &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5) improvement of the level of family involvement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and cultures of each family, (6) construction of academic exchange and cooperation among experts by the case manager or service coordinator, (7) development of case management documents to manage family of infants &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8) building of information-sharing system and ensuring the accuracy and accessibility of information necessary to the family of infants &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In the future,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contribute as follows; proposing the direction on researches related to the IFSP for effectiveness of family support and providing a basis for the application of the IFSP in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fields. 본 연구는 장애 영․유아 가족지원을 위한 IFSP의 적용 탐색 연구로써 가족지원 관련 국내ㆍ외 연구 동향 고찰과 국내 장애 영․유아 가족지원 실태를 통하여 IFSP의 적용 시사점을 알아보고, 국내 유아특수교육 현장에서의 IFSP 확대 적용에 따른 문제점과 해결 방안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문헌 연구와 조사 연구를 실시하였다. 문헌 연구는 국내 32개 전문학술지와 국외 6개 특수교육 전문 학술지에 게재된 장애 영․유아 가족지원 연구 606편에 대하여 연구 주제, 연구 유형, 연구 대상으로 비교 분석하였다. 조사 연구는 설문 조사와 델파이 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 조사는 국내 유아특수교육 현장 중에서 유치원특수학교, 특수학교유치원, 장애전문어린이집 238기관이 대상으로 선정되었으며, 151기관의 응답이 분석 자료로 사용되었다. 설문은 장애 영․유아를 위한 교육 및 서비스 제공 시 IFSP 구성요소에 기초한 가족지원 실태의 내용으로 구성되었으며, 자료 분석은 평균, 표준편차, 빈도분석, 교차분석, 집단의 표본 수의 차이가 있을 경우 사용할 수 있는 Scheffe 검증을 통한 집단 간 통계적 유의미성을 분석하였다. 델파이 조사는 3차에 걸쳐 진행되었다. 1차 델파이 조사에서는 50명이 토론참여자로 선정되었으며, 21명이 응답하였다. 2차와 3차 델파이 설문에서는 각각 18명, 15명이 응답하였다. 델파이 설문은 IFSP의 적용에 대한 문제점과 가능한 해결방안에 대한 질문으로 구성되었으며, 각 문항에 대한 평균과 표준편차, 중앙치, 사분범위, 수렴도, 합의도, 문항 안정도의 확보를 위해 변이계수(Coefficient of Variation)를 산출하였으며, 개선 및 시행의 가능성 정도와 희망 정도에 대한 정성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문제에 따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장애 영․유아 가족지원 관련 국내․외 연구 동향 비교를 통한 IFSP 적용 시사점 첫째, 국내의 사회-문화적 상황에 적합한 장애아 가족 관리 방법에 대한 연구가 꾸준히 수행될 필요가 있다. 둘째, 장애 영․유아 가족지원의 질적 향상을 위해 전문가의 전문성 향상 및 개발을 위한 다양한 연구가 수행될 필요가 있다. 셋째, 효과적인 장애 영․유아 가족지원을 위해 연구 대상의 범위를 확대한 연구가 수행될 필요가 있다. 넷째, 국내 장애 영․유아 가족지원의 질적 향상을 위해 연구 대상자 정보 등 연구 절차의 정확성과 타당성에 충실함으로써 연구의 질적 수준을 확보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다섯째, 장애 영․유아 가족 당사자의 실질적인 요구와 교육 및 서비스 만족도 향상을 위해 지원 절차 및 방법 등에 대한 방법론적 접근이 필요하다. 2) 국내 장애 영․유아 가족지원 실태를 통한 IFSP 적용 시사점 첫째, 가족의 전반적인 영역을 진단할 수 있는 평가 도구 등에 대한 연수와 관련 전문 인력의 활용이 요구되며, 가족 참여의 질적 향상을 위해 관련 전문가의 방문 지원 등의 노력과 관리 체계가 필요하다. 둘째, 전문가 간의 질적인 교류를 위해 서로의 전문 영역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는 워크숍과 원활한 협력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셋째, 국내의 교육 상황에 적합한 장애 영․유아 선별 및 교육진단 평가 도구가 필요하다. 넷째, 장애 영․유아의 교육 및 서비스 지원이 가족 단위의 지원으로 수행되기 위한 가족 관리 문서의 개발이 필요하다. 다섯째, 효과적인 장애 영․유아 가족지원을 위해 서비스 조정자(service coordinator)에 대한 명확한 개념 정립과 사례 관리자(case manager)의 개념 도입이 필요하다. 여섯째, 영아에서 유아로, 유아에서 초등학교로의 효과적인 전이 지원을 위해 전이 결정에 대한 정보 제공과 진학하게 될 학교 유형 파악을 위한 DB 구축 등의 구체적인 지원 방법 마련이 필요하다. 3) 합의델파이 기법을 통한 국내 IFSP 적용에 따른 문제점과 해결방안 첫째, IFSP의 필요성과 중요성에 대한 사회적 공감대의 형성을 위해 인식 개선 프로그램의 개발과 실시, IFSP와 부모참여의 중요성에 대한 부모교육의 실시, 효과성이 입증된 IFSP를 통한 홍보 실시 등이 필요하다. 둘째, 국내의 유아특수교육 현장에 적합한 IFSP 표준양식 개발을 위해 타당성과 용이성을 갖춘 IFSP 모델 프로그램의 시범 운영 및 교수, 현장전문가, 학부모의 다각적인 검토가 요구된다. 셋째, 유아특수교육 전문가의 전문성 향상을 위해 IFSP 관련 교사 교육 및 연수 실시, IFSP 관련 학습컨텐츠 및 시행 매뉴얼 개발, 전문가 간 의견교환 및 질의응답 공간의 마련이 필요하다. 넷째, IFSP의 계획, 시행, 관리, 평가를 위해 IFSP 시행에 필요한 재원의 확보, 서비스 조정 역할을 담당할 전문가와 관련 전문성을 갖춘 별도의 전문 인력 배치, 행정업무를 담당할 별도의 지원인력 배치 등이 필요하다. 다섯째, 가정사 등의 공개를 어려워하는 국내 가정 문화와 모(母)-중심의 국내 양육 문화로 인한 IFSP 시행의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하여 개별 가족에게 필요한 경제적 지원 방안 마련과 개별 가족 특성 및 가정 문화 이해를 위한 교육 및 연수 등이 필요하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한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IFSP의 국내 확대 적용을 위해 첫째, 장애 영․유아의 가족 단위별 사례 관리(case management) 개념의 도입, 둘째, 장애 영․유아 가족 단위에 대한 포괄적인 가족 진단(family assessment) 실시, 셋째, 장애 영․유아 가족 평가의 전문성 향상 및 관련 전문 인력의 양성, 넷째, 장애 영․유아 가족의 개념 확대를 통한 지역사회와의 교류 및 연계, 다섯째, 개별 가족의 문화 및 국내 가정문화의 특성에 기초한 가족의 참여 수준 향상, 여섯째, 사례 관리자 또는 서비스 조정자 중심의 전문가 간 학문적 교류와 협력 체계 구축, 일곱째, 장애 영․유아 개별 가족을 관리할 수 있는 사례 관리 문서의 개발, 여덟째, 장애 영․유아 가족에 관한 정보공유 체계 구축과 가족이 필요로 하는 정보에 관한 정확성 및 접근성의 확보가 필요할 것이다. 이러한 연구의 결과는 향후 유아특수교육 현장에서 효과적인 장애 영․유아 가족지원을 위한 IFSP 적용 관련 연구의 방향성과 IFSP의 실제적인 적용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가 있다.

      • 백서에서 림프부종 진단을 위한 형광염색시약으로써 ICG-MB의 검증 연구

        조현근 경북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Backgroud: Lymphedema which has recently been increasing in patients is common after malignant tumor treatment and edema occurs and in severe cases, skin changes and ulcers occur causing a lot of discomfort in patients. Since animal models are an experimental basis for disease research, effective animal models for lymphedema need to be establishe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stablish an animal model for the study of lymphedema and to confirm the efficacy of drugs that can replace Indocyanine green (ICG). Methods: Eleven Spraque-Dawley (SD) rats were classified into two groups. Full thickness skin was removed from 2 control groups and 9 rat tails and divided into lymphedema induced groups. ICG was injected into 5 mice for a week after the surgery, and chemically synthesized Indocyanine green-methylene blue (ICG-MB) agents were injected through the tail in the remaining 6 mice. Lymphatic flow was photographed through a SPY camera. After that the tail of the euthanized mouse was cut and the volume was measured through Micro CT scan. Histological findings were checked through H&E staining. Results: For all mice growth was normal without death-free. On the 7th day after surgery, lymphatic flow through the SPY camera was confirmed in the group injected with ICG-MB. In MicroCT, the preoperative Rat tail volume was 3992.72 ± 144.80 mm3. The Rat tail volume was 5216.71 ± 1131.88 mm3 at 1 week after lymphedema was induced. It was confirmed that the tail volume increased statistically significantly. Pathological biopsy confirmed that the number of lymphocytes increased, inflammatory response increased, and a clear subcutaneous fat layer is three to four times thicker,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ICG and ICG-MB injection groups. Conclusion: The rat tail model as an important animal model as an experimental basis for disease research also confirmed the stability of the drug when using relative high doses. Based on the results obtained in this animal experiment, it is believed that various clinical studies on lymphedema and the possibility of using a new agent (ICG-MB) other than ICG can be confirmed.

      • 성과주의에 입각한 초 중등학교 회계제도 개선 방향 연구

        조현근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정책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2001년 학교회계가 도입되어 학교의 재정이 제도적 시스템에 의해 운영되는 계기를 마련하였다. 현재는 학교에 많은 자율권을 부여함으로써 학교교육의 내실화를 기하기 위한 학교 자율화 정책으로 학교 전출금의 총액 배분제가 확대 시행되고 있다. 따라서 학교재정운용을 투입중심에서 성과중심으로 전환하여 책임경영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학교회계제도를 개선해야 할 필요가 있으며,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이 개선방안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첫째, 학교의 교육목표 달성을 위한 노력과 성과를 평가할 수 있는 성과주의예산제도의 구조화된 정책 사업과 단위사업, 세부사업의 분류에 관한 연구와 둘째, 학교회계제도의 개혁을 위한 교육과학기술부의 학교회계기준(안)에 대한 실제적 적용과 분석을 하고, 관리회계로서 활동기준원가회계의 적용방안에 대하여 고찰함으로써 간략하고 쉽게 이해될 수 있는 학교회계기준 모형을 제시하였으며, 셋째, 단위학교의 교육 서비스노력 및 성과(SEA : Service efforts & Accomplishments)보고 도입 가능성에 대한 탐색을 하고 도입전략 방안을 제시하였으며, 우리나라 초·중등교육의 현실을 반영한 단위학교 성과지표로 장수명(2007)의 「초중등학교의 산출 및 성과관리 모형」을 초·중등학교 SEA보고서에 활용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넷째, 사업에 대한 책무성이 병행되는 성과 측정 등에 대한 부분은 점진적인 적용으로 교직원의 부담을 최소화하여 정착이 될 수 있어야 한다. 성과지향적인 재정운영은 제도적 장치에 의해서만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학교 교직원의 인식변화와 자발적인 협조가 이루어져야 가능하다. 일반 행정기관은 관료주의적이고 수직적인 업무분장 체계인 반면, 학교 조직은 교사의 전문성에 의한 직무수행으로 수평적인 성향의 조직으로서 개별적 업무수행에 대한 성과계약과 측정이 비교적 용이하다고 볼 수 있다. 성과주의에 입각한 학교회계제도가 정착되기 위해서는 보다 정밀한 성과 측정도구가 개발되어야 하고, 교사들의 자발적인 참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학습이 충분히 이루어져야한다. There were arranged some motives that make the governmental finance operated by institutional system, adopting school accounting system in 2001. Currently, by imposing a lot of autonomous rights to schools, lump-sum appropriations is carried out for consolidation of school education as a school autonomy policy.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improve school accounting system that in order to induce responsible management which can be accomplished by transforming from input-oriented to result-oriented. For this purpose, the following improvement directions were studied. First, the necessity of introduction of performances and results based budgeting system was confirmed by program which can evaluate the school education objectives accomplishment efforts and results. Second, this study covered actual application and analysis of school accounting stand bill made by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And as a management accounting it suggested standard of school accounting can be easily understood by reviewing the application method of Activity - Based Costing for reforming school accounting system. Third, the studies on SEA (Service efforts & Accomplishments) are not a lot in level of unit school. And there are many difficult pointes to apply it to reality. It is necessary that the success index should be developed fit to real status of Elementary and Secondary Education and suggested with financial reports together. Output - outcome management model of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s by Jang, Soo-myung(2007) can be referred as the applicable index to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s SEA reports. Fourth, for part of evaluation, which run parallel with obligation characteristic about business it should be settled down by minimizing the school personnel's charges with gradual application. The result-oriented finance management is not only accomplished by institutional systems but possible when the recognizing change of school employees and their voluntary cooperation are. While the general management institution is very bureaucratic and vertical tasks-distribution system. As the school organization is a horizontal institution by teachers' professional performances, the contraction related to results and evaluation on private task performances are relatively easy. Therefore, the conditions for transforming school accounting system into results-oriented finance management system are easier than general administrative institution. More studies should be carried out for teachers to participate actively and for precise results-measurement tools to be developed.

      • 2007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과 2009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 비교 분석

        조현근 국민대학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교육과정 운영을 개선하기 위하여 우리나라 수학교육과정의 변천 과정을 확인하고, 2007 및 2009년 개정 교육과정의 특징을 비교·분석하였다. 2007과 2009 개정 교육과정 사이의 큰 차이는 다음과 같음을 확인하였다. 첫째, 공통교육기간의 단축으로 기초학력을 강화하였다. 둘째, ‘학년군’제 도입으로 수준별학습을 가능하게 하고, 학년간의 연계성에서 내용간의 연계성으로 바꾸었으며, 확산적 사고를 할 수 있게 하였다. In this paper, we examine the mathematics curriculum changes in South Korea, compare and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curriculum for 2007 and 2009 revised curriculums to improve the curriculum operation. The major differences between the 2007 and the 2009 revised curriculums were confirmed as follows. First, the basic academic ability was strengthened by shortening the common education period. Second, the introduction of the ‘grade group’ system made it possible to learn by level, changed from the linkage between grades to the linkage between the contents, and allowed for divergent think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