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부모와 유아 자녀의 놀이에 관한 연구: 부모의 놀이신념 및 놀이참여를 중심으로

        김명순 ( Myoung Soon Kim ),조항린 ( Hang Rin Cho ),박영림 ( Young Lim Park ),신혜영 ( Hye Young Shin ) 열린부모교육학회 2013 열린부모교육연구 Vol.5 No.1

        본 연구에서는 만 3-5세 유아 부모의 가정에서의 놀이참여의 실제를 알아보고, 부모의 놀이신념과 놀이참여 간의 관계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은 서울 및 경기 지역에 소재한 유아교육기관 3곳에 재원 중인 유아 총 287명(남아 148명, 여아 139명)과 그 유아의 부모 287쌍으로 하였다. 부모의 유아 놀이신념을 측정하기 위해 Fogle과 Mendez(2006)가 제작한 부모 놀이신념 척도(Parent Play Beliefs Scale)를 이한별(2008)이 번안한 도구를 사용하였으며, 부모의 놀이참여 횟수 및 시간은 연구자들이 직접 고안하여 구성한 질문지를 사용하여 조사하였다. 부모의 놀이참여 수준 및 시간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Stevenson, Leavitt, Thompson과 Roach(1988)의 놀이 유형과 이숙재(1984)의 놀이참여 단계를 참고로 원희영(1998)이 제작한 부모용 설문지를 수정하여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3-5세 유아 부모의 놀이신념은 ‘놀이지지’ 신념이 ‘학습중심’ 신념보다 전 연령에서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부모의 ‘놀이지지’ 신념은 자녀의 연령에 따른 차이가 없는 반면, ‘학습중심’ 신념은 만 3세 보다 만 4세 부모가 더 높게 나타났다. 둘째, 어머니가 아버지보다 더 많은 시간을 자녀와 더 빈번히 놀이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부모들은 더 어린 연령 자녀와의 놀이참여에 더 많은 시간을 보내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셋째, 부모의 놀이참여 수준에 있어 구성놀이와 기능놀이에서는 아버지가 어머니보다 적극적으로 놀이에 참여하였고, 교수놀이, 게임놀이와 역할놀이에서는 어머니가 아버지보다 적극적으로 놀이에 참여하였다. 또한 구성놀이에서는 만 3세 부모가 만 5세 부모보다 놀이에 보다 더 적극적으로 참여하였으며, 교수놀이에서는 만 3세 아버지가 만 5세 아버지보다 더 적극적으로 참여하였다. 넷째, 부모의 놀이신념 중 ‘놀이지지’의 점수가 높은 경우, 아버지와 어머니 각각 자녀와 더 많은 시간, 높은 수준의 놀이를 자주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부모의 ‘학습중심’ 놀이신념 점수가 높은 경우에는 아버지와 어머니 각각 자녀와 더 적은 시간, 낮은 수준의 놀이를 하고, 놀이하는 횟수 또한 적었다. The primary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beliefs about play and actual participation in their children`s play. Study subjects were fathers (N=287) and mothers (N=287) whose children were across 3 years through 5 years. The parent reports were used to investigate parents` beliefs, frequency of playtime as well as playtime with their children per week. Parent beliefs about play was evaluated using the Parent Play Beliefs Scale(Fogle & Mendez, 2006) and each parent completed the play participation questionaire devised by Stevenson and his colleages(1988). Findings from the study demonstrated as follows; (1) Both parents reported higher levels of play support describing enjoyment of play than academic focus reflecting an emphasis on academic skills. (2) Father-child and mother-child play varied in quantity, hence each parent spent more time with younger children on play. (3) Fathers engaged in physical as well as functional play, whereas mothers took part in instructive play differed by parent gender. (4) Parent play beliefs were positively associated with involvement in play with their children and play level of them. Overall, the results of this study represent that parents should have play belief for encouraging participation with their child.

      • KCI등재

        동일연령반에서 유아의 자유선택놀이에 관한 연구

        김명순(Kim Myoung-Soon),유정은(Yoo Jung-Yeun),이민주(Lee Min-Joo),조항린(Cho Hang-Rin)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10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5 No.3

        본 연구는 유아들의 놀이행동 유형과 흥미영역 및 놀이상대에서 연령과 성별에 따른 차이를 알아보고, 놀이행동, 흥미영역, 놀이상대 각각의 관계성 및 놀이성과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서울시 소재 대학부설유치원의 만 3, 4세 유아 75명을 대상으로 자유놀이 상황에서 나타나는 유아의 놀이행동과 흥미영역, 놀이상대를 관찰하였고, Barnett(1990, 1991)의 놀이성 도구를 이용하여 교사평정으로 유아의 놀이성을 측정하여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유아의 연령과 성별에 따른 놀이행동 유형, 흥미영역 및 놀이상대에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유아의 놀이행동은 참여하는 흥미영역 및 놀이상대와 관계가 있었다. 셋째, 놀이성 총점 및 하위범주 중 신체적 자발성, 즐거움의 표현이 높은 유아들이 집단놀이를 많이 하였으며 규칙있는 게임을 적게 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신체적 자발성이 높을수록 혼자놀이는 적게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연령에 따라 차이를 보였다. This study investigated young children's play behaviors through direct observations at their same -aged classrooms. The subjects were seventy five 3- and 4-year-old children from a university lab in Seoul. To analyze the relationships among children's play behaviors, play mates and participation rates of learning areas, time sampling method was conducted. The teachers rated each child's playfulness using CPS(Barnet, 1990).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t test and Pearson's correlation using SPSS.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children's play behaviors, play mates, and learning areas were significantly related to gender and age. Second,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s among children's play behaviors, play mates and participation of learning areas. Third, there was a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children's play behaviors and playfulness. Among the subscales of playfulness, ‘physical spontaneity’ and ‘manifest joy’ were positively related to ‘group play’ and negatively related to ‘games with rules’. The higher score the children were rated in 'physical spontaneity', the less they participated in solitary play.

      • KCI등재

        혼합연령과 동일연령 학급 구성 및 놀이성에 따른 유아의 놀이행동

        김명순(Kim Myoung-Soon),유정은(Yoo Jung-Yeun),이민주(Lee Min-Joo),조항린(Cho Hang-Rin)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11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6 No.1

        본 연구는 혼합연령반과 동일연령반 만 3, 4세 유아의 놀이행동이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 혼합연령반과 동일연령반 유아의 놀이행동이 학급연령 구성과 놀이성 수준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서울시 소재 대학부설유치원의 만 3, 4세 유아 총 159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그 중 동일 연령반에 속한 유아가 75명이었고, 혼합연령반의 유아가 총 84명이었다. 동일한 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하면서 학급의 연령 구성을 달리하여, 한 해는 동일연령반으로, 한 해는 혼합연령반으로 구성하여 각 유아의 사회·인지적 놀이행동을 관찰하였다. 놀이성은 Barnett(1990, 1991)의 척도를 이용하여 교사평정으로 조사하였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혼합연령반이 동일연령반보다 혼자놀이는 적게 하였고, 집단놀이, 상징놀이는 더 많이 하였으며, 비참여 및 공격적 행동은 적게 나타났다. 둘째, 학급 연령 구성과 놀이성 수준에 따라 유아의 놀이행동은 각각 다르게 나타났다. 놀이성 수준이 낮을수록 혼자놀이를, 놀이성 수준이 높을수록 집단놀이를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인지적 놀이 중 상징놀이에서는 놀이성 수준 상, 중, 하 집단 모두에서 동일연령반보다 혼합연령반에서 상징놀이가 많이 나타났음을 알 수 있다. This study investigated young children's play behaviors and playfulness in mixed- and same-age classrooms for two years. The subjects were 159 3- and 4-year-old children from a university lab in Seoul, 75 children in same-age classrooms in the first year and 84 children in mixed-age classrooms in the second year. Direct observations using time sampling were conducted. For two years, the operated program had been identical except age organizations of classrooms. The teachers rated each child's playfulness using CPS(Barnet, 1990).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t test and two-way ANOVA using SPSS.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children in mixed-age classrooms were more likely to engage in group play and dramatic play than children in same-age classrooms, but less engaged in solitary play and non play such as aggressive behaviors. Second, children's play behaviors were different depending on the age composition of the classroom and the playfulness. The higher score the children were rated in playfulness, the more they participated in group play. In all groups of playfulness' level, children in mixed-age classrooms showed more dramatic play than children in same-age classrooms.

      • KCI우수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