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웹기반 문제중심학습(WB-PBL)과 면대면 문제중심학습(FTF PBL)간의 학습태도 및 비판적 사고력에 대한 비교 사례 연구 : 초등학교 5학년 사회과를 중심으로

        조진미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는 구성주의 학습방법인 문제중심학습을 교실과 웹이라는 상이한 학습환경에 적용하였을 때, 두 집단 간의 협동학습과정에서 나타난 학습태도, 개별학습에 대한 성실성 및 학습 후 PBL에 대한 만족도를 비교하고, 학습과정에서 나타난 표현과 결과물 등을 비판적 사고와 연관하여 비교 분석한 사례이다. 연구 방법은 초등학교 5학년 두 개 반을 선정하여, 사회과 5개의 문제를 가지고 8주 동안 같은 교사가 웹과 교실의 다른 환경에서 수업하였다. 학습태도와 문제중심학습에 대한 만족도의 비교는 모든 학습활동을 마치고 난 후에 설문 조사와 면담, 진술 내용을 토대로 분석하였고, PBL과 비판적 사고와의 관계는 학습토론과 결과 발표 등 학습 전반적인 활동에서 나타나는 표현들을 연구자가 정한 근거에 의해 이루어졌다. 비판적 사고력의 근거는 D'Angelo가 제시한 비판적 사고력의 태도 준거 10가지 중 해당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되는 네 가지 '지적회의성', '체계성', '객관성', '지속성'을 중심으로 접근하였다. 연구 결과, 웹기반 토론과 면대면 토론 활동의 상이한 학습환경에서 PBL을 적용하였을 때, 협동학습 과정의 참여 태도와 PBL 유형 만족도에는 학습환경 요인이 작용하지 않았다. 그러나 개별 학습에 대한 성실성에서 WB-PBL 집단이 우세하게 나타났다. 비판적 사고력의 태도 하위영역 중 '지적회의성', '지속성'의 영역에서 WB-PBL이 FTF PBL 보다 유리한 환경으로 작용하였다. 결과에 대한 요인을 웹의 특성과 견주어 분석해 보면, ① 시, 공간에 대한 제약에서 자유로운 웹의 특성이 학습자에 긍정적으로 반영되었다고 본다. 즉 학습시간의 통제권을 스스로 가짐으로서 자기에게 적절하고 유리한 시간에 학습할 수 있는 환경이 개별 학습의 성실성으로 표출되고 또 이를 바탕으로 비판적 사고력 향상의 요인으로 발전될 수 있다고 본다. ② 웹의 기능 중 다양한 자료 접근의 용이성 즉 학습자가 학습에 필요한 다양한 자료를 쉽게 활용하고 정보를 공유할 수 있는 등의 환경이 유익하게 작용하였다고 할 수 있다. ③ 웹의 기록성, 텍스트 중심의 의사소통 도구 활용이 비판적 사고력의 증진에 도움을 준다고 할 수 있겠다. 글로 이루어지는 토론 활동이므로 학습자는 책임감 있고 신중한 태도로 학습에 임하며, 또 제시되는 의견이 보존되어 시각적으로 언제든지 확인할 수 있으므로 비판적 사고력을 바탕으로 한 이해, 비교검토, 비평 등을 주고받기에 좋은 환경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분석 과정에서 교실 면대면 과 웹이란 학습환경의 이외의 학습 구성원의 질적 요인, 제시되는 문제와 과제의 성격 등과 같은 다양한 변인에 의해서도 비판적 사고력의 향상과 관련이 있음을 시사 받았다. 본 논문은 구성주의 학습의 실천방법인 PBL과 비판적 사고력과의 관계를 연관하여, 교실 면대면과 웹 기반 토론의 서로 다른 학습환경에서 실천할 때 나타난 결과를 비교한 연구로, 현실적으로 아동의 비판적 사고력 향상을 위한 학습환경 개선에 대한 방향성을 일부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를 갖는 This report is a case study that applied FTF PBL, a constructive learning method to two different learning environments, a class-environment and a web-environment, and compared learning attitudes shown during the concerted study of two groups, individual sincerity, and satisfaction degrees toward PBL after conducting the case study. Therefore, this study is an example that presents a critical comparison of students' expression and its outcomes shown during the study. The research method used in this case study is as follows; two classes of 5 year elementary school students were selected, one teacher conducted two kinds of classwork, web-based instruction and school-class instruction for 8 weeks, and the study subjects dealt with in this case were 5 questions concerning the social subject. A questionnaire survey conducted after all learning activities and students' statements & interviews with them were applied in order to compare satisfaction degrees of students' learning attitude and PBL. In order to know the relationship between PBL and critical thinking faculty, the standards set by this researcher were applied by an examination of students' expressions shown through the whole learning activities such as learning discussion and study-result presentation. Students' critical thinking faculty was evaluated 4 items out of D'Angelo's 10 standards referred to critical thinking faculty and attitude; intellectual doubt, systematic-ity, objectivity, and persistence. The findings are as follows; the results shown after conducting two kinds of classwork in different learning environments, namely, WB-PBL and FTF PBL are that the elements of learning environments didn't work in the items of students' participation attitude in concerted learning activity and satisfaction degrees with PBL pattern. However, in the item of individual sincerity toward learning activity, the WB-PBL group proved a superiority. WB-PBL showed a superior effect to FTF PBL as a better environment in the items of 'intellectual doubt' and 'persistence' among the independent areas on 'the critical thinking faculty and attitude'. The comparative analysis on the study outcome's elements with the characters of web told the followings; ① It was proved that the free environment of the web influenced learners in the positive direction, in item of time & special restriction. In other words, students could own a power controlling learning hours and select the most appropriate and profitable time and conditions for themselves, which enabled them to study with sincerity in their individual learning activity. And all of this learning activity led to students' developing critical thinking faculty. ② Web enabled students to approach to various learning materials, so that learners could profitably use the web environment as well as various materials useful for learning more easily and share common information. ③ The documentary literature of web and application of text-centric communication instrument were helpful for increasing students' critical thinking faculty. The discussion activity was made progress in documentary literature, learners could look out on learning activity with a responsible and considerate attitude when they study, and suggested opinion are preserved in order that students might refer to. Therefore, the web-environment is profitable for comprehension based on critical thinking faculty, comparative survey, and presentation of critical statements. However, it was also proved during the analysis process that other various variables except for WB-PBL and FTF PBL, such as learners' quality and suggested problems & tasks are related with students' thinking faculty improvement. This report compared the learning activity results from PBL, a practical method of constructive study with critical thinking faculty, which were conducted in different environments, as WB-PBL and FTF PBL. The importance of this study lies in it proposed an improvement direction to increase students' critical thinking faculty and improve the learning environments in actuality.

      • 노인의 분노에 대한 목회상담학적 접근 : 오정희 소설 속 노인의 '분노'를 중심으로

        조진미 서울신학대학교 2019 국내석사

        RANK : 248639

        This dissertation is to analyze anger as a major emotion shown in the fiction novel Dong-Gyeong(1982) with an assumption that there is no difference between the aged and the aged character in the fiction in terms of emotional experiences. This dissertation aims to develop a pastoral counseling approach to the aged who are depressed along with dysfunctional anger because of absence of mutual interactions with others as well as the God. In order to explore emotions that characters in the fiction show, this dissertation utilizes the lens of psychologist Richard Lazarus and theologian Theodore Jennings and the pastoral theological questions addressed by pastoral theologian Hee Cheol Lee. The process of the old man’s rage repressed in the fiction is analyzed through the study of relations between Lazarus’ moral appraisals and Jennings’theological methodology. This dissertation attempts to explore anger biblically and theologically as well as to examine the old man’s anger in the fiction and raged old people addressed in newspapers in order to relate the fiction to human reality. The study on the aged’s emotion is motivated because of the current social reality that gerontological issues are in demand. Comparative study on the fictional character and the aged in newspapers determines that their behavioral, emotional, and cognitive decisions operate according to complicated mental process which interacts with negative thoughts. Developmentally speaking, the aged should be able to manage spiritual life properly because they are in maturity period. Anger is a complicated emotion and pastoral counselors need to learn how to respond to anger related human interactions. Anger is not simply a dangerous emotion. It may evoke change and even healing. Therefore, pastoral counselors need to attain interdisciplinary expertise because they are theologically trained professionals who perform care and counseling with comprehension of human life. A pastoral theological exploration helps to find that the aged character in the fiction novel continues to commit himself to dysfunctional relationships and negative emotional interactions because of lost self-esteem that results from broken human life. A significant role of pastoral counselors is to help the aged reflect one’s identity of the past and the future, become aware of repetitive thinking and gestures, hold non-distorted self identity, and responsibly express one’s deeply rooted anger. A pastoral counselor needs to help the aged to perform a reflective act upon one’s own self and to reconstruct one’s identity in order to live out the aged life that is oriented according to the Bible. The inner change is a process that is possible by touching the lived life. The process becomes a space where a pastoral counselor and a client need to articulate and think together. This dissertation was concluded with an attempt to develop a pastoral counseling for the aged who may knock the counseling room door after long time lived human suffering. This dissertation was also concluded with hope that it helps to express anger as God’s given emotion for the common good of human life and that it helps to encourage more novels about the aged which are implicated with meanings drawn from pastoral care and counseling. 본 논문은 노인을 대상으로 한 오정희의 소설 동경 (1982)에서의 주인공을 사례로 하여, 소설의 노인의 삶과 현실 속 노인들의 삶과 정서는 크게 다르지 않다는 가정 하에 노인의 분노라는 정서에 주목하였다. 노년기에 하나님과의 상호성이 결여된 정체성으로, 역기능적 분노를 경험하고 우울해 하는 노인들에게 목회적 돌봄이 필요하다고 판단하여 정서심리학적 이론을 배경으로 하여 목회상담학적으로 연구한 논문이다. 소설 속 인물의 정서를 알아보기 위해, 정서진화론적 관점에 있는 정서생리이론과 동기이론에 대해 살펴보고, 정서심리학자인 리차드 래저러스(Richard Lazarus)와 신학적 접근으로 데오도르 제닝스(Theodore W. Jennings)의 목회 신학방법론과 이희철의 목회신학적 질문을 사용하였다. 래저러스의 감정 구성요소와 제닝스의 종교언어와의 연관성을 찾아보고, 노인 인물의 분노가 억눌리는 과정을 가드너의 분노회피모형, 내면 중심 패러다임 도식으로 분석하였다. 소설과 현실의 만남을 시도하기 위해 분노의 성서적 이해와 목회신학하기를 살펴보고, 소설 속 노인과 기사에서 다루고 있는 노인들의 실태를 비교하여 이들의 심리를 살펴보고, 목회신학방법으로 노인의 정서를 분석해 보았다. 본 논문에서 소설 속 노인의 정서를 연구하고 신학적으로 접근하고자 하는 이유는 노인 문제가 지속적인 사회적 이슈로 떠오르고 있기 때문이다. 소설의 인물과 기사에서의 노인들의 문제점을 비교해 본 결과 부정적인 사고를 갖는 정신적 습관에서는 차이가 없었다. 노인의 성서적 정의로는 영적으로는 성숙의 시기이며, 사역자로서 축복의 통로이기에 60세부터 구체적으로 영적 관리가 있어야 한다. 영적성숙은 우리의 육체와 정서의 치료 기준이 된다. 특히 분노는 다루기가 어렵기에 분노에 대한 인식을 성경적 관점에서 지혜롭게 대처할 필요가 있다. 분노는 위험한 감정이기도 하지만, 변화와 치료를 가져올 수 있기에 목회신학하기에 있어서 인간의 신학적 이해와 임무를 수행하는 목회상담자들은 다양한 학문의 전문성이 요구되며, 일반 상담자들이 보지 못하는 한계에도 도전할 수 있어야 한다. 목회신학적 방법으로 본 노인의 현실은 삶의 균열에서 동반되는 결과로, 자아 정체감 손상의 부정적 정서들과 역기능적 자기식의 관계에 반복적으로 그 자신을 헌신하고 있었다. 노인에게 성찰 행위주체로서의 실천적 평가적(판단) 요소로 상담사는 노인에게 왜곡되지 않은 자아를 발견하도록 하면서, 과거와 미래의 정체성을 반성하도록 돕고, 반복적(습관) 요소로. 노인 자신의 문제를 재활성화 해 학습되어 가는 것을 인지하게 하며, 분노를 책임 있게 표현하도록 하면서, 예수님의 복음을 알도록 인도해야 한다. 투사적(상상) 요소는 노인의 동기와 우상의 연관성으로, 상담사는 그의 정체성을 반성(reflexive act)하며, 현실을 재구성하도록 도와 성경에서 의미하는 ‘노인’의 존재 의미와 역할에 헌신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본 연구를 통해 분노의 정서를 하나님이 주신 마음의 질서를 통해 회복, 관리하는 기회가 되었으면 한다. 문학계에도 노년소설의 한 방향으로, 노년기에 일어나는 다양한 양상의 문제와 목회적 돌봄이, 문학적 함의로 담긴 노년소설이 많아진다면 간접적으로도 돌봄의 경험이 될 수 있겠다는 기대도 해 본다. 내면의 변화는 삶을 통한 과정이다. 그 노정(路程)은 목회상담사가 내담자와 함께 생각하고 고민하고 추구해야 할 마음 살핌의 공간이다. 그 삶의 연습장을 마련하고, 부단히 애쓰는 삶을 살아가면서 부서지기도 했을 마음을 들고 상담실 문을 두드릴 ‘한 사람’을 맞이할 준비를 하며 노인의 분노에 대한 목회상담학적 연구를 해 보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