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여씨춘추』 와 『예기』「악기」 에서 “음악은 천지의 조화[和]”가 갖는 의미 비교

        조정은(Jo, Jung-Eun) 서울대학교 철학사상연구소 2012 철학사상 Vol.43 No.-

        『여씨춘추』「대악」과 『예기』「악기」는 모두 음악을 천지의 조화라고 하지만 그 함의는 다르다. 음악을 욕구의 대상으로 보는 『여씨춘추』에서 음악은 조화로운 소리로 감각 기관에 유쾌한 물리적 자극을 줘야 한다. 음악의 물리적 성격에 주목하는 『여씨춘추』에서 천지의 조화인 음악은 천지의 물리적 기와 공명하여 천지의 원활한 운행에 기여하는 조화로운 소리로 볼 수 있다. 이와는 달리 음악을 교화 수단으로 보는「악기」에서 음악은 사회 조화에 도움이 되는 올바른 행동을 이끌어내는 도적적 소리여야 한다. 음악의 윤리적 성격을 강조하는 「악기」에서 천지의 조화인 음악은 인체의 도덕적인 기와 공명하여 천지의 조화에 비견할 만한 조화를 인간사회에 이뤄내는 음악이라 할 수 있다. 음악은 조화 기능이 강조되면 구분된 질서를 추구하는 예와 결합돼 상보적 ‘예약’개념이 제기되고, 이는 「악기」에서 천지의 질서와 조화로 인식된다. 이러한 「악기」의 ‘예악’개념은 조화 기능을 제기하며 음악을 예와 대등한 위치로 끌어올린 「악론」의 시각과 음악의 조화를 천지의 조화로 확장시킨 『여씨춘추』의 시각과 관련시켜 이해해 볼 수 있다. Music is compared to the harmony of Heaven and Earth in both the “Dayue” chapter of Lushi chunqiu and the “Yueji” chapter of Liji, yet from different perspectives. Lushi chunqiu mainly sees music as an object of desire that provides a pleasing physical stimulus. In this case, the physical properties of music are considered crucial; therefore, the cosmic harmony of music in the “Dayue” chapter could suggest the ideathat music can contribute to cosmic harmony by its harmonious sound resonating with qi in the natural world. In contrast, from the viewpoint of the “Yueji” chapter, which emphasizes the ethical properties of music, music contributes to social harmony by its moral sound resonating with moral qi in the body. In this case, social harmony created by music is comparable to harmony in the natural world. From this perspective, the cosmic harmony of music in the “Yueji” chapter can be understood as a metaphorical expression that complements the effect of music in achieving social harmony. Because of its effect of creating harmony, music’s status is equal to that of li , thus rendering the complementary concept of “li and music” in the “Yuelun” chapter, a concept that assumes cosmic significance in the “Yueji” chapter. This significance can be understood as a conjoined viewpoint of the Lushi chunqiu, where music is perceived as the harmony of Heaven and Earth, and the “Yuelun” chapter, where music is considered to be part of a complementary pair with li.

      • KCI등재

        「악기」에서 악과 감정의 밀접성이 이끌어 낸 예악의 대비와 악 제정자의 중요성

        조정은(Jo, Jung-Eun) 서울대학교 철학사상연구소 2015 철학사상 Vol.58 No.-

        이 글은 「악기」 도입부 및 「악론」에서 예악이 나오는 부분과 「악기」의 상응 부분을 분석하여, 「악기」가 악과 감정의 밀접성을 주목하며 예악의 대비와 악 제정자의 역할을 드러내고 있음을 주장한다. 악의 영향력을 주로 행동차원에서 말하는 「악론」과 달리 「악기」는 악의 영향력을 감정에 한정시켜 서술하는 경향이 짙다. 악이 내면과 연결되는 성격이 강해지며 외적 행동을 향하는 예와 대비가 이뤄지면서, 악은 예에 부속된 개념에서 벗어나 대등한 짝 개념으로 자리 잡는다. 예악의 대비는 예악이 땅과 하늘, 수렴성과 발산성 등에 대응하는 데까지 확장되는데, 악대와 무용을 포함하는 악의 전체 구성은 자연계에 유비되며 이러한 우주적 차원의 예악론을 전개하는 데 유리하게 작용한다. 악과 감정의 밀접성은 「악기」에서 악 제정자의 역할을 드러내기도 한다. 즉, 악제정자의 내면 성향이 음을 매개로 악 수용자에게 전달되면서 악 제정자는 악이 지닌 영향력의 근원이 된다. This paper argues that the “Yueji” chapter of the Liji pays attention to the close relationship between music and emotion, thereby establishing a contrast between ritual and music and revealing the importance of the establisher of music. In formulating this argument, I analyze the beginning part of the “Yueji”, and compare passages of the “Yuelun” where the concept of ‘ritual and music’ appears and their corresponding parts of the “Yueji”. Unlike the “Yuelun” that describes musical effect mainly focusing on behavioral changes, the “Yueji” discusses musical effect mostly in relation to emotion. As music is more closely related to the inner heart/mind in the “Yueji”, music is contrasted with ritual which guides exterior behavior. As a result, music becomes closer to the counterpart of ritual rather than a subordinate concept of ritual. This contrast goes even further to relate ‘ritual and music’ to ‘earth and sky’ and ‘convergence and divergence’. The whole musical performance, which includes not only singing but also various musical instruments and dance, can support this cosmic dimension of ‘ritual and music’ as the performance is believed to symbolize the cosmic world. Another aspect that the close relation between music and emotion led to is the importance of the establisher of music. That is, the establisher of music is deemed to be the root of musical effect in that music affects people’s heart/mind by conveying the establisher’s inner disposition.

      • KCI등재

        『회남자』의 음악론

        조정은(Jo Jung eun) 한국동양철학회 2014 동양철학 Vol.0 No.42

        유기체적 세계관을 지닌 『회남자』에서 음악은 주로 감정 교류의 매체로서 다루어진다. 비록 『회남자』가 노자의 시각을 이어서 고요함을 중시하지만 고요함 자체보다는 이 고요함으로부터 가능한 이상적 상태, 즉 만물이 전체 체계에 가장 적합한 방식으로 감응하며 상호 영향력을 발휘하는 상태를 지향한다. 감정 교류 매체로서 기능하는 음악은 이러한 상호 영향력을 돕기 때문에 긍정적으로 묘사된다. 이와 달리 감각 자극으로 기능하는 음악은 본성의 고요한 상태를 깨뜨려 외부 세계와 감응하는 것을 방해하기 때문에 부정적으로 평가된다. 『회남자』에 서술된 즐거움 유발과 교화 작용 같은 음악의 순기능은 노자 사상에 유기체적 세계관을 더해 새로운 음악관을 전개한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음악을 듣고 즐거움 같은 타인의 감정을 느끼게 되고, 성왕의 뜻에 감화되는 것은 다양한 개체들이 유기적으로 연결된 세계에서 감응을 통해 상호 영향력을 발휘하는 예로 이해할 수 있다. 음악은 유기체적 세계에서 감응을 돕는 매체이고, 이러한 감응은 노자가 중시한 본성의 고요함이 전제될 때 제대로 이뤄진다. 이전 시기 논의된 음악과 기의 유사성, 감정을 기와 관련시키는 사유에 더하여, 만물이 유기적으로 연결된 세계에서 기를 통해 같은 부류끼리 응한다는 동류상응의 관점을 지닌 한 대 학자들은 음악을 무엇보다 감정 전이의 매체로 여기기 쉬웠을 것이다. 그 결과 『회남자』의 음악론은 음악에 관한 외부 기준과 음악의 효용이 중심을 차지한 이전 시대 음악론과 달리 그 초점을 음악을 생산하고 수용하는 사람의 감정에 놓게 된다. The Huainanzi which holds the view of the world as an organic whole mainly sees music as a medium for emotional transfer. Even though the Huainanzi puts emphasis on the tranquil state of the heart following Laozi's idea, it does not aim at tranquility itself; the tranquility is required as a prerequisite for all under Heaven interacting with others in a way best suited for the whole organic system. Therefore, music as a medium for emotional transfer is perceived positively since it helps resonate with others' feelings. In contrast, music as a sensory stimulus is perceived negatively because it breaks the tranquil state of the heart, and as a result hinders resonance with others. The positive effects of music described in the Huainanzi such as evoking pleasure and edifying the people can be more properly understood from a converged view of Laozi's idea and an organic world view. Through music, people share other people's feelings and they are also edified by sage kings. These effects can be regarded as examples that show emotional transfer by means of resonance in a world where various beings are organ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Music facilitates resonance, and this resonance occurs properly when the inborn tranquility on which Laozi puts emphasis is provided. Along with a view that sees similarity between music and qi as well as a view that understands feeling in relation to qi, Han scholars espouse a view that things of the same kind resonate with each other through the medium of qi in an organic world. Therefore, it would be a natural step for the scholars to illuminate music's function of emotional transfer. As a result, musical discourse of the Huainanzi puts its focus on the feelings of people who produce or receive music, distinguishing itself from previous musical discourses where the focus was mainly on what music should be and do.

      • KCI등재

        최명길의 경전 독법 연구: 「논어기의(論語記疑)」를 대상으로

        조정은 ( Jo Jung-eun ) 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20 한국학연구 Vol.0 No.56

        「논어기의」는 최명길이 기존 주석을 비판하며 『논어』에 대한 더 나은 해석을 모색해 간기록으로 최명길의 경전 독법을 유추할 수 있는 자료가 된다. 「논어기의」는 기존 주석과 마지막까지 타협하기 어려웠던 부분에 대한 기록일 것이다. 하지만 이 기록에서조차 최명길은 기존 주석을 바탕으로 경문에 접근하고, 주석자 입장에서 주석을 이해하는 가운데 경문의 본의를 밝히고 있어서 그의 『논어』 이해가 기존 주석을 정밀히 검토한 바탕 위에 있음을 보여 준다. 이 바탕 위에서 최명길은 실천을 중시하는 시각과 실제 상황을 고려한 독해에 근거해 일부 주석을 비판한다. 전자의 시각에서 나온 비판의 근거로는 마음을 판단 기준으로 삼아 행하는 실천, 이를 뒷받침하는 후천적 노력과 의지, 고정된 의리가 아닌 구체적 사태에 부합하는 유연한 의리가 있다. 현실을 중시하는 시각은 실제 상황을 고려해 『논어』를 해석하는 것으로도 이어져 현실성과 실제, 경문 맥락, 용어의 정확한 뜻을 근거로 기존 주석을 비판하게 된다. 「논어기의」는 기존 논의를 충분히 섭렵한 바탕 위에서 실천을 중시하는 입장과 실제 상황을 고려한 독해를 근거로 기존 주석을 비판적으로 검토하며 경문에 대한 온전한 이해를 추구하는 것이 최명길의 경전 독법이 지닌 한 양상임을 보여 준다. In “Noneo giui” (Notes on Doubtful Parts in the Analects), Choe Myeong-gil criticizes existing commentaries and seeks a better interpretation of the Analects; therefore, we can infer his way of reading the Confucian classics from this work. “Noneo giui” would be a record of what was most difficult to compromise with the commentaries. Even in this record, however, Choe approaches the Analects based on the commentaries, and investigates the original meaning of the text while understanding the commentaries from the viewpoint of commentators, which supports that his understanding of the Analects was deepened through extensive reading on the existing commentaries in a receptive manner. After this extensive reading, Choe criticizes some of the commentaries from the viewpoint that values practice and actual situation. In relation to valuing practice, Choe emphasizes three aspects : practice in specific situations while adopting the mind as a criterion, the sustained effort and will to promote practice, and flexible righteousness in accord with the circumstances. Choe’s view that attaches importance to reality is connected to his criticism of the existing commentaries on the basis of practicality and actuality, the context of the text, and the exact meanings of terms. In sum, “Noneo giui” demonstrates one example of Choe Myeong-gil’s way of reading the Confucian classics : after extensive reading on existing commentaries, Choe seeks a complete understanding of the text through critically examining those commentaries on the basis of his emphasis on practice and interpretation that considers actual situation.

      • KCI등재

        선왕의 음악에 대한 두 가지 설명 방식

        조정은(Jo Jung-Eun) 한국동양철학회 2009 동양철학 Vol.0 No.32

        이 글은 『순자』「악론」과 『여씨춘추』「치악」「적음」에 근거하여 선왕의 음악에 대한 두 가지 다른 시각을 비교하는 글이다. 선진시대에 음악이 가져다주는 즐거움은 보편적으로 긍정되었지만 그 즐거움이 초래하는 폐해에 대해서는 경계가 있을 수밖에 없었다. 음악에 대한 비난에 맞서 「악론」과 『여씨춘추』는 선왕의 음악을 제기하며 서로 다른 입장에서 음악을 옹호하는 논의를 펼친다. 우선 「악론」에 따르면 선왕은 마음의 좋은 기를 자극하여 긍정적 행동을 유도하도록 음악을 제정했다. 음악이 유도한 긍정적 행동은 사회 혼란을 막고 화합을 이루는 바탕이 된다. 반면 『여씨춘추』에 따르면 선왕은 즐거움의 추구가 적절한 수준에 머물도록 하기 위해 음악을 제정했다. 이 경우 선왕의 음악은 즐거움을 제공하는 적정 수준의 자극으로서 욕구를 과도하게 추구함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혼란을 방지하는 한편 마음의 화평을 유도하여 생명에 보탬이 되게 한다. 「악론」은 즐거움의 표현을 문제 삼으며 논의를 시작하지만 애초의 문제의식과 무관하게 마음에 작용하여 윤리적인 행동을 이끌어내는 음악에 대한 주장을 전개하므로 음악 향유가 초래하는 문제점에 대한 해결책이 되기에 부족하다. 『여씨춘추』는 선왕의 음악을 욕구의 대상에 한계를 설정하는 전형으로 제시하므로 과도한 음악 향유를 막을 수 있는 해결책을 제시한다고 볼 수 있으며, 음악이 욕구의 대상 중 하나로 다루어지기 때문에 음악은 예의 논의 안에 들어오게 된다. This paper aims to elucidate different viewpoints on former king's music between "Yuelun" of Xunzi and Lüshi chunqiu. During the pre-Qin period, pleasure evoked by music was widely acknowledged; however, pleasure was easily indulged and warning against its adverse effect was inevitably raised. Confronting this problem, “Yuelun" and Lüshi chunqiu raise the concept of "former kings' music" with a different interpretation of it. According to "Yuelun," music established by former kings exerts a positive influence on the heart through the resonance of qi, and as a result, it contributes to preventing social disorder by making people act in a disciplined manner. 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Lüchi chunqiu, former kings established music in order to regulate a desire for music. In this case, their music serves as an object of enjoyment which maintains the standard form. By controlling the form of music, former kings intended to prevent an extreme desire for music. Regulation of desires nourishes vitality by inducing calmness and achieves social order by resolving conflicts between desires. From the outset, "Yuelen" indicates the problem that pleasure evoked by music may cause. However, "Yuelun" mainly discusses music whose final function is to transform behavior. Since the main focus of "Yuelun" lies in music which is more than what is passively enjoyed, it pays little attention to solving the problems caused by pleasure. Unlike "Yuelun," Lüshi chunqiu portrays music as an object of desire and advances the concept of former kings' music to impose restrictions on this object of desire. Therefore, its argument is more successful than that of "Yuelen" in explaining how to prevent indulgence in music.

      • KCI등재

        전국 시대 말엽에서 한나라 초기 오음(五音)과 십이율(十二律)의 음악 외적 용례에 관한 고찰

        조정은(Jo, Jung Eun) 서울대학교 철학사상연구소 2014 철학사상 Vol.53 No.-

        이 글은 오음과 십이율, 그리고 이들과 밀접한 개념인 오성과 육률의 용례를 선진 시대와 한 초 문헌을 대상으로 살피면서, 오음과 십이율이 전국 시대 후기에 이르러 세시 체계 및 오행 이론과 관련성을 지니며 개념적 중요성을 얻게 되었음을 주장한다. 오음은 음이 지닌 음악적 소리라는 뜻이 뚜렷해지며 전국 후기에 이르러 오성의 우세 경향을 뒤집는다. 그리고 그 용례는 병법과 세시 체계 등을 다루는 음악 외적 맥락으로까지 확대된다. 육률은 율 체계를 대표하는 용어로 두루 쓰였는데 전국 말엽에 이르러 십이율이란 용어가 『여씨춘추』?에 새롭게 등장한다. 이는 율 체계에서 이전에는 별로 중요하지 않던 열두 개의 전체 구성이 열두 달 체계에 대한 관심으로부터 중요해진 결과로 해석할 수 있다. 세시 체계의 영향은 오음과 사계절의 대응, 십이율과 열두 달 및 24절기의 대응에서도 찾을 수 있다. 전국 말엽 오행 이론의 영향을 보여주듯『여씨춘추』는 오음을 오행에 배속하고 이러한 시각은『회남자』?에도 그대로 이어진다. 이들의 서술을 『할관자』,『사기』??율서?와 함께 비교할 경우, 오음은 방위나 계절보다 늦게 오행에 배속되었고, 이후 오행 상극 이론을 음률 인식에 적용할 만큼 오행의 틀 안에서 오음을 이해하는 경향은 짙어졌다고 추측할 수 있다. 『좌전』에 실린 ‘기에서 나온 소리’라는 개념과 전국 말엽 이래로 팽배해진 천인상관적 사유에서 비롯되었을 한 해의 운행에 대한 관심이 있었기에 오음과 십이율은 세시 체계와 관련하여 다뤄질 수 있었을 것이다. 또한 오행 이론이 정교해지며 음률 체계까지 포섭하게 되었을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맥락에 놓인 음률론은 음악적 관점보다 사상적 관점에서 더 큰 의의를 지닐 수 있다. This paper examines the concepts of wu yin and shier lu which appear in ancient Chinese texts with relevant concepts, namely wu sheng and liu lu,up to the early Han Dynasty. I suggest that wu yin and shier lu developed conceptual significance during the late Warring States period, partly in relation to calendrical systems and Wu xing theory. The term wu sheng, which appears widely in pre-Han texts, gave way to wu yin in the late Warring States period as yin came to be associated more strongly with the meaning of musical sound. With this tendency, wu yin began to be discussed in non-musical contexts where military strategies or calendrical systems are a matter of concern. Furthermore, liu lu was widely used as a term that represents the whole set of lu. However, at the end of the Warring States period, the term shier lu made its first appearance in the Lushi chunqiu. This suggests that the whole set of twelve lu assumed ever-greater significance as a result of growing interest in the twelve divisions of the year. Wu yin and shier lu’s relation to calendrical systems is also found in their respective correspondence to the four seasons, twelve months, or solar terms. Exhibiting the influence of Wu xing theory in the late Warring States period, the Lushi chunqiu correlates wu yin to wu xing, and the Huainanzi follows the same idea. When comparing their descriptions of wu yin with those in the Heguanzi and the “Lushu” of the Shiji, we can suggest that wu yin were assigned to wu xing later than directions and seasons, and that Wu xing theory became more strongly reflected in the perception of wu yin as supported by the belief that wu yin follow the mutual conquest cycle of wu xing. As the possible philosophical backgrounds that caused wu yin and shier lu to be discussed in relation to calendrical systems, we can indicate two main concepts: one is sounds generated from qi, which are described as early as the Zuo zhuan, and the other is the interest in cosmic operations, which might be partly inspired by the correlative thinking which dominated intellectual life from the late Warring States period. In addition, Wu xing theory became more elaborated as to affect the perception of wu yin and shier lu. In this sense, some discourse on notes and pitch-standards can be more properly understood from a philosophical perspective rather than a musical perspective.

      • 외국인의 뮤지엄 관람행태에 관한 연구

        조정은(Jo, Jung-Eun),문정묵(Moon, Jung-mook) 한국실내디자인학회 2011 한국실내디자인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13 No.3

        With the fever of Korean popular culture, the number of foreign tourists is increasing and for the understanding of Korean culture and experiential desire dissolution it is reported that the visiting rate of palaces in Seoul, Insadong, and museum is high. Meeting with this social phenomenon, national museums provide education service for foreigners such as diverse services such as exhibition explanation mediums and so on. However, there is no research so far regarding change of foreign visitor’s behavior on the exhibition information medium. The study researches change appearing in the foreign visitor’s behavior on the exhibition medium experience of diverse language system to get the planned index which can make the accurate information delivery. In the result, it is found that foreign visitor’s movements depend on the personal preference of the exhibit itself rather than exhibit explanation medium. In the result of studying exhibit media used by visitors by analyzing halt point and movement direction regarding the temporary halt phenomenon appearing in the visitor’s behavior, the watching rate of exhibit itself is higher than watching exhibit panel. Since there is distance difference at the location of exhibit and exhibit explanation panel, by studying visitor’s behavior on exhibit and panel located at the same spot hereafter and approaching foreigner’s watching dependence form on exhibit medium of letter system, it is expected to be used as planned fundamental information in the exhibitmedium usage of museum.

      • SCOPUSKCI등재
      • KCI등재

        창계 임영의 개인 수양서로서 『논어』 읽기 - 「독서차록-논어」 「학이」편을 중심으로-

        조정은 ( Jo Jung-eun ) 한국실학학회 2019 한국실학연구 Vol.0 No.37

        이 글은 창계 임영이 지은 독서차록-논어 중 학이 편에 관한 기록을 분석하여 임영의 『논어』 독해 관점을 밝히는 것을 목표로 한다. 임영의 독서차록 은설선의 독서록 에 영향을 받아 등장한 글쓰기 양식에 속한다. 비록 양식적 측면에서는 중국의 영향을 받았으나 독서차록-논어 는 주자학적 경학에 대한 이해가 심화된 17세기 조선의 지적 토양에서 차별적 내용을 구성하게 된다. 임영의 『논어』 독해 관점은 일상 실천을 중시하는 임영의 수양론과 맞닿아 있다. 즉, 학이 편 5장, 6장과 관련해 논한 포괄적 이치, 9장의 특별한 큰일, 10장에 나온 공자의 성인다운 면모, 옹야 편 22장에 나온 성현의 고원한 경지를 일상의 지속적 노력을 통해 다다를 수 있다고 본 해석은 일상 실천이 최종적으로 경세보다는 개인적 도덕 성장을 지향한다고 보는 점에서 개인 수양서로서 『논어』의 가치를 높이 보는 임영의 인식을 방증한다. 임영의 수양론은 학이 편 7, 12, 14, 15장에 대해 『논어집주대전』에 실린 주석과 다른 해석을 이끌어 내는 데에도 기여한다. 임영은 주로 일상 실천과 늘 견지해야 하는 근본적 자세를 강조하는 방향에서 다른 해석을 제시한다. 이처럼 임영의 독서차록-논어 는 17세기 조선경학의 영향 아래 설선의 독서록-논어 와 차별화되고, 개인적 성장을 위한 수양서로서 『논어』를 이해하는 인식 아래 일상 실천을 중시하는 수양론적 관점을 투영시켜 본인의 『논어』 독해의 근간을 제공했을 『논어집주대전』과도 차별화되는 해석을 제기하게 된다. This paper aims to elucidate Changgye Im Yeong's interpretive reading of the Lunyu by mainly analyzing his records on the "Xueer" chapter in the Dokseo charok-Noneo (Notes on Reading-Lunyu). Im Yeong's Dokseo charok belongs to the writing style that emerged under the influence of Xue Xuan's Dushulu (Essays on Reading). Although influenced by China on the stylistic level, the Dokseo charok-Noneo shows its uniqueness on the content level rooted in the intellectual soil of Joseon in the 17th century, when an understanding of Jingxue (Confucian Canon Studies) largely based on Zhu Xi's thoughts was deepened. Im's interpretive perspective on the Lunyu is mostly related to his theory of moral cultivation which values daily practice : the comprehensive principle in regard to Lunyu 1.5 and 1.6, significant events in 1.9, the sacred appearance of Confucius in 1.10, and the high-mindedness of sages in 10.22 can be attained through continuous efforts in one's everyday life. This interpretation supports Im's appreciation of the Lunyu as a guide book for self-cultivation in that he sees that everyday practice ultimately aims at personal moral growth rather than governance. Im's theory of cultivation also encourages him to make different interpretations on Lunyu 1.7, 1.12, 1.14, 1.15 from the annotations in the Lunyu jizhu daquan (Great Compendium of Commentaries on the Lunyu). These different interpretations are largely related to his emphasis on daily practice and a fundamental attitude that one should always maintai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