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후보

        특집 : 북한 주민의 ``일상의 저항``: 저항 유형과 체제와의 상호작용

        조정아 ( Jeong Ah Cho ) 동국대학교 북한학연구소(구 동국대학교 안보연구소) 2011 북한학연구 Vol.7 No.1

        이 글에서는 북한 주민들의 일상적 행위양식의 특성을 ``일상의 저항``이라는 관점에서 살펴보고, 주민들의 저항과 이에 영향을 미치는 제도적·구조적 조건과의 상호작용에 관해 탐구하였다. 최근 북한 사회에서는 일상적 불평불만 표출, 생존전략으로서의 일탈 및 위법행위, 회피적 저항과 같은 세 가지 유형의 일상의 저항이 나타나고 있다. 북한 사회에서 집단적이고 공개적인 저항보다 일상의 저항이 주를 이루고 있는 것은 강력한 통제·억압 기구가 발달해 있으며, 이데 올로 기적 통제기구, 각종 의례와 문화적 상징 등이 주민들의 의식을 형성, 재생산하고 있기 때문이다. 일상의 저항은 생존전략 차원의 저항인 동시에 변형된 체제순응 행위이기도 하다는 이중성을 지닌다. 저항의 목적은 국가 체제 또는 지배관계 자체의 변화라 기보다는 일상적 요소의 개선, 일상생활의 유지, 생존과 같은 것이다. 또한 생산과 재생산의 영역에서, 행위와 사회적 관계와 의식의 차원에서, 지배와 일상의 저항은 편재해 있고 동시적으로 작동한다. 이와 같은 특성으로 인해 일상의 저항이 체제에 미치는 영향은 복합적이다. 일상의 저항은 단기적, 국지적으로는 사회의 불안정을 증가시키는 요소이지만, 장기적, 총체적으로는 체제를 안정시키는 작용을 할 수도 있고, 이와 달리 특정한 역사적 계기를 만나 적극적인 집단적 저항으로 진화할 수 있는 가능성도 내포하고 있다. This paper reviews the features of North Korean`s daily patterns of behavior from the standpoint of ``everyday resistance`` and investigates the interaction between resistance and institutional and structural conditions which influence it. Recently throughout North Korean society, three major forms of resistance have begun to loom large: the routine expression of complaints, the adoption of deviant or illegal acts as survival strategies, and the practice of evasive resistance. The reason why this everyday resistance is more prevalent in North Korean society today as opposed to any sort of collective, open resistance is because North Korea has developed powerful structures of repression and control and because its ideologically controlled organizations, rituals, and cultural symbols have built up and reconstructed the peoples` consciousness. Everyday resistance has a dual character in the sense that it is both a survival strategy and a modified form of system adaptation. Instead of demanding changes per se to the ruling system, the objective of resistance is to improve everyday conditions, to support daily life, and to survive. In the areas of production and reproduction, and in terms of behavior, social relationships, and consciousness, forms of resistance against the ruling power and the daily routine are omnipresent and work together simultaneously. Thus, due to these characteristics, acts of everyday resistance affect the North Korean system in complex ways. While everyday resistance can be a factor in increasing social instability in short-term at the local level, it can also act to stabilize the system overall on a more long-term basis. On the other hand, it is possible that everyday resistance may encounter certain historical events that cause it to develop into a more aggressive, collective form of resistance.

      • KCI등재

        특집논문 : 구술자료를 활용한 북한 도시연구 이론적 자원과 방법

        조정아 ( Jeong Ah Cho ) 동국대학교 북한학연구소(구 동국대학교 안보연구소) 2012 북한학연구 Vol.8 No.2

        본 논문은 북한 주민들의 구술자료, 특히 생애사 구술자료를 활용하여 어떻게 북한 도시를 연구할 것인가에 관한 글이다. 이 논문에서는 공간의 성격과 지역정체성의 개념, 도시에 관한 사회학적 이론을 검토하고, 이들 이론이 북한 도시공간 연구에 주는 다음과 같은 몇 가지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첫째, 북한의 도시공간을 탐구한다는 것은 북한의 도시공간 내의 행위자들의 행위와 상호작용에 의해 어떻게 특정한 사회적 공간이 생산되는가를 밝히는 작업이어야 한다. 둘째, 다양한 행위자들과 사회세력들 간에 일어나는 공간의 생산을 둘러싼 경합과 갈등, 권력관계에 착목할 필요가 있다. 셋째, 주체들의 상호작용 속에서 공간이 생산될 뿐만 아니라 공간이 인간 행위를 규제하고 물질들의 공간적 배치가 인간의 활동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행위자들에 의한 공간의 소비와 체험, 공간에 대한 행위자들의 해석과 의미부여를 밝히는 작업이 필요하다. 넷째, 공간을 통해 이루어지는 권력의 지배에 초점을 둘 것인가, 공간을 점유하는 다양한 행위자들의 저항과 갈등, 공간의 전유에 초점을 둘 것인가라는 쟁점이 존재한다. 또한 이 글에서는 북한 주민들의 구술생애사 자료가 북한 도시연구, 특히 북한 도시의 정체성을 탐색하는데 있어 중요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음에 주목하고, 그 의의와 활용가능성을 살펴보았다. 북한 도시연구에서 탈북이주민의 생애사자료를 비롯한 구술자료는 ‘주관성’이라는 속성으로 인해 주체의 공간경험과 그를 통해 형성되는 지역정체성을 밝히는데 있어 적합한 자료가 된다. 개별적인 질적사례의 설명력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구술자의 기억이 생산, 변형, 재현되는 사회적, 공간적 맥락을 고려하고, 사례를 해석하고 분석하는 과정에서 구술자의 경험을 맥락, 의도, 의미와 함께 서술하는 다양한 전략을 활용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이 글에서는 구술자료를 활용한 북한 도시연구의 주제 영역으로 일상적 공간을 통한 주체 형성과 주민들의 대응, 도시공간의 전유와 활용, 일상 공간의 변화와 지역정체성 변화를 제시하였다. This paper focuses on the North Korean urban studies by utilizing oral materials of North Korean refugees. The paper examines characteristic of space, concept of local identity, and sociological theories relevant to urban studies, and draws implications from these theories for further research as follows. First, studies into North Korean urban spaces should reveal how social space is produced by behavior and interaction of actors. Second, the study needs to focus on competitions, conflicts, and power relations in regard to the production of space between the various actors. Third, consumptions and the actors` experiences of the space, as well as their interpretations must be revealed because the social space is not only produces within interactions by agents, but it also regulates human behaviors. Fourth, there are relentless debates on whether focus should be placed on the domination of power through space, or on the resistance, conflict, and appropriation of space by various actors. This paper addresses the oral materials of North Korean refugees which can be utilized as valuable data for the North Korean urban studies, and the paper also examines the significance and possibility of application. In order to set aside the explanatory power of individual qualitative cases, social and spatial context should be considered where the interviewee`s memory is produced, transformed, and reproduced. And various strategies of interpretation should be utilized by narrating experience of interviewee`s experience as well as the context, intention, and meaning. Lastly, the subjects of North Korean urban studies based on the utilization of oral materials are identified in this paper as following: the formation of agents through the space of daily life and response of agents, the appropriation and utilization of urban space by agents, and the change of daily space and the change in local identity.

      • KCI등재

        선형모형을 적용한 청소년의 우울 변화에 관한 종단연구 : 변화경향과 개인차에 대한 성별ㆍ부모ㆍ또래ㆍ교사 요인 검증

        조정아(Cho Jeong-Ah)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09 한국청소년연구 Vol.20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들의 우울수준의 변화 경향을 추정하고, 변화에 있어서 개인차에 대한 부모ㆍ또래ㆍ교사 영향을 검증하는 것이다. 검증을 위해서 한국청소년패널자료의 중3,고1, 고2, 고3의 총 4년간의 종단자료를 사용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청소년의 우울 수준은 중3시기부터 고3시기까지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에서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중3시기의 우울 초기치에는 성별, 부모애착, 부모의 학대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남자청소년에 비해 여자청소년의 중3시기(초기치) 우울 수준이 더 높고, 부모애착 수준이 높을수록 우울 수준은 낮고, 부모로부터 학대받은 경험이 많을수록 우울 수준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초기치를 통제한 상태에서 우울수준의 변화에 미치는 부모ㆍ또래ㆍ교사 효과를 검증해본 결과 성별, 부모의 학대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청소년 의 우울 수준을 낮출 있는 개입 방안과 연구의 한계점 및 후속연구에의 함의를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imate the changes in the patterns in adolescent depression, and to test the effects of parents,peer, and school teachers on individual differences in these changes. For the current study, the longitudinal data taken from the Korea Youth Panel were analyzed using multi-level modeling. The first result of the analysis revealed that adolescent depression decreased significantly. The depression level of female adolescents is higher than that of males on the initial status (middle school 3th grade). The second result of the analysis is that gender and degrees of parental abuse showed significantly positive effects on the initial status. However parent attachment showed significantly negative effects on the initial status. The third result of the analysis is that controlling for the initial status according to gender and parental abuse had significantly positive effects on the change rate. These results, have implications for intervention and prevention strategies which can decrease the levels of adolescent depression

      • KCI등재

        청소년의 학교적응 잠재유형 분류와 생태체계적 영향요인 검증

        조정아(Cho Jeong-Ah)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2 한국청소년연구 Vol.23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 학교적응의 잠재유형을 파악하고, 각 잠재유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검증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한국아동청소년패널의 중1패널 제1차년도 자료를 사용하여 잠재적 프로파일 분석과 다항로지스틱 분석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학교적응 잠재유형 분석결과 최종적으로 4개의 잠재유형이 도출되었다. 각 유형이 갖는 특성에 따라 4개의 잠재유형은 각각 부적응 근접 유형, 적응 근접 유형, 적응 우수 유형, 부적응 심각 유형으로 명명되었다. 다항로지스틱 분석을 통해 학교적응 잠재유형 영향요인을 검증한 결과 성별, 자아탄력성, 부모감독, 부모애정, 또래의사소통, 또래소외, 지역사회 인식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변수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학교적응을 증진시키기 위한 개입 방안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latent class of adolescents’ school adjustment. In order to do this, data harvested from the Korea Child &Youth Middle School Panel Data was used in latent profiles analysis and multinominal logistic analysis. Four distinct profiles of school adjustment were identified. They are listed here as follows; approach to maladjustment class, approach to adjustment class, excellent adjustment class, severe maladjustment class. Multinominal logistic analysis revealed that gender, self?resiliency, parental supervision, degrees of parental affection, peer communication, peer alienation, and perceptions of community were all significant determinants of latent class. Based on these research findings, implications for adolescents’ school adjustment and limitations of current study were also discussed.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봉사학습(Service Learning) 교과로 운영된 자유학기제 멘토링 프로그램에 참여한 대학생의 경험 분석

        조정아(Cho, Jeong-Ah),권진희(Kwon, Jinhee),신자영(Shin, Jayo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21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 1학년 학생들이 자유학기제 멘토링 캠프 봉사학습(Service Learning) 교과에서 멘토의 경험을 질적으로 분석하고, 대학과 연계한 자유학기제 멘토링 프로그램의 성공적 운영을 위한 함의를 도출하는 데 있다. 방법 연구에 사용된 자료는 멘토링 프로그램 진행 후에 실시한 프로그램 평가에서 대학 1학년 학생들이 작성한 개방형 질문에 대한 응답 자료이다. 프로그램 평가를 위한 질문지에는 ‘멘토링 활동을 하면서 느낀 점’, ‘자유학기제 멘토링 캠프에 멘토로 참여하여 기억에 남는 경험’, ‘자유학기제 멘토링 캠프에 참여하여 배운 것”에 관한 개방형 질문이 제시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주제분석 방법(Thematic analysis)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분석 결과 개인역량-관계-환경 차원에서 멘토는 전인적 성장 경험을 한 것으로 나타났다. 개인 역량 차원에서 멘토는 진로 태도가 성숙해지고, 기획력·문제해결능력·자기효능감과 같은 다양한 핵심 역량이 성장하였다. 관계 차원에서 멘토는 타인에 대한 이해력과 공감 및 소통 능력이 증가하고, 멘티와 멘토가 함께 성장하는 것을 경험하였다. 환경 차원에서 멘토는 멘토링을 준비하는 과정에서 자신의 준비 부족과 멘티의 소극적인 태도로 인한 어려움을 경험하였고, 멘토링 활동에 대한 보다 체계적인 지원이 필요함을 인식하게 되었다. 결론 대학의 봉사학습 교과로 운영된 자유학기제 진로 멘토링 프로그램은 멘토인 대학생에게 다양한 차원의 교육적 효과가 있음을 분석 결과에서 알 수 있었다. 이 프로그램이 지속가능하고, 각 대학에서 효과적으로 운영하기 위해서는 멘토링 프로그램 준비와 실행 과정에서 멘토와 멘티의 상호이해를 위한 시간을 보다 충분히 확보해야 한다. 또한 멘토와 멘티 일대일 멘토링과 팀 차원의 그룹 멘토링 연계를 강화하고, 자유학기제 진로 멘토링 캠프 운영에 참여하는 중학교와 대학이 프로그램의 기획과 준비 단계에서 사전 협의를 충분히 진행하고 프로그램에 반영하는 것이 중요하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provide the implications of Service Learning in college education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Residential College student mentors experience who participated in the Free Semester Mentoring Program. Yonsei Free Semester Mentoring Program is characterized by student-led planning of mentoring camp under residential college environment and one-to-one customized practice of mentoring between mentor and mentee, along with the supervision and teaching of professors on service education. Methods The data used in the study were collected through questionnaire and reflection essays conducted to students after the mentoring program, and data were analyzed based on thematic analysis through open-coding and comparative analysis. Results As a result of our study, we showed that through the mentoring mentors experienced the positive changes in core competence such as development of personal competence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as well as recognition of the challenge. Conclusions As a result of our analysis, we proposed practical and policy implications for the college service learning program emphasizing on its educational effect on mentors. For the sustainable operation of this kind of mentoring program and for it’s effective application to other mentoring programs, it is suggested that more time should be invested in the process of preparing and executing the program in order to promote mutual understanding among mentors and mente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