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元代 文人畵의 發展과 ‘尙意’傳統

        조정래Jo, Jeong-rae 미술사학연구회 2005 美術史學報 Vol.- No.24

        원대는 송대로부터 시작된 문인화 이론이 조맹부와 원사대가를 중심으로 한 문인화가들의 산수화 작품을 통해 본격적으로 구현된 시대이다. 이민족치하에서 소외되었던 문인에게 있어 전통회화 특히 산수화는 심미적인 의식, 감정의 토로, 마음의 표현 등으로 중요한 수단이었다. 산수화는 문인생활과 긴밀한 관련을 가지고 있었으며, 일종의 ‘인생을 위한 예술’로 발전하였고, 문인들은 의식적으로 산수화라는 예술형식을 빌어 자신의 정감을 표현하였는데, 이는 그들의 심미태도나 인생의 이상과 깊은 관련이 있다. 이러한 변화와 발전은 원대 문인들의 자연에 대한 심미의식과 예술풍격의 변천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었다. 자연경물의 객관적이고 사실적인 意象의 표현을 중시하던 송대와는 달리 필묵의 운용을 통한 자유로운 意境의 표현이 강조되었다. 원대 문인화가의 ‘尙意’를 추구하는 경향은 뚜렷하다. 원대 초기부터 주창된 ‘古意’의 화풍은 시의 情趣, 서예의 筆法, 회화의 傳統이 부가되면서 자연경물의 감흥과 체험을 충분히 발휘하였다. 여기에서 원대 문인화의 특징을 몇 가지로 정리할 수 있다. 우선 화가의 환경을 살펴보면 관방주도가 아닌 화가 개인의 자발적이고 자생적인 창작활동으로 바뀌었고, 이에 따라 회화의 기능도 교화적인 면보다 화가의 오락적 취미가 많이 반영되었다. 소재와 기법에 있어서도 문인의 정신을 잘 드러내는 방법으로 갈필의 수묵산수를 숭상하였다. 이에 비해 채색화와 인물화는 상대적으로 쇠퇴하였고, 원체화를 담아내기 쉬운 비단보다는 필묵의 효과를 잘 드러내는 종이를 선호하였다. 원대화가들이 남송의 화풍을 이어받지 않고 오히려 그 이전의 당과 북송으로 돌아간 것도 관방의 경직된 회화 전통에서 벗어나 창조적이고 자유로운 창작방식을 흡수할 수 있었기 때문으로 보인다. 그들은 대상을 사실적으로 묘사하기보다는 심상을 개성적으로 표현하기를 좋아했으며, 이러한 사의적 요소야말로 원대 문인화의 가장 두드러진 특징이라 할 수 있다. 또한 중국 회화사에 있어 남송까지는 형상에 국한되어 그림이 발전해 온 데 비해 원대에는 ‘시, 서, 화’ 등 여러 예술 장르가 융합되었고 그림이 회화의 세계를 벗어나 문화적 현상으로 나아가는 계기가 되었다. 이러한 원대 문인산수화의 성숙은 오랫동안 문인들의 미적자각과 심미정취의 발전 결과이며, 사상과 표현의 통일을 추구한 그들의 노력에 의한 성과이다.

      • 사료산업 재도약의 길 - 국내 사료산업의 현황과 발전방향

        조정래,Jo, Jeong-Rae 한국단미사료협회 2004 사료산업 Vol.2 No.9

        우리나라의 사료산업은 1961년도에 사료수급계획을 처음으로 수립한 이후 1963년 사료관리법을 제정 공포함으로써 사료산업 발전을 위한 제도적 기틀을 마련하였다. 이를 계기로 원료의 단순 가공단계를 탈피하여 새로운 사료공장이 출범하였고, 1970~80년대에는 경제성장과 더불어 가축의 사육두수 증가로 사료산업의 양적 성장 시대에 돌입하였으나 부산.인천.울산 등 수입항을 중심으로 근대적 사료제조시설이 건설되는 등 급성장기를 맞이하였다. (중략)

      • KCI등재
      • KCI등재

        중국 고대예술의 도상서사와 시각문화 연구

        조정래(Jeong-rae Jo),황국례(Kuo-Li Huang) 한국콘텐츠학회 2016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6 No.9

        본 연구는 중국 고대예술의 이미지 서사와 시각문화에 관한 연구로, 문학과 회화형식이 결합된 복합적인 텍스트와 시각성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특히 고대예술의 시각적 사유방식과 이시동도(異時同圖)적 표현, 고대의 도상 서사방식과 만화예술의 칸의 상호 해석을 통한 매체적 합일성 그리고 도상서사의 만화적 연원과 현대적 수용방식이다. 중국 고대의 시각에 대한 인식은 전통적인 양식적 형상과 의미적 상징을 포괄한다. 예술의 서사적 이미지로서 도상의 형상적 사유와 시각적 표상은 예술 창작활동 가운데 중요한 의의를 가지며, 예술적 사유 또한 시각적 표상과 분리되어 질 수 없다. 시각적 이미지를 매개로 하는 도상적 서사방식은 일종의 이성적 사고를 지닌 창의적 언어표현이다. 고대예술의 이미지 사유방식과 이시동도적 시공간표현 특징은 일종의 예술적 공간의 시간화로 현대 만화예술의 사유공간으로서 또 다른 조형적 수용방식이다. 이러한 이미지의 서사방식은 새로운 조형미와 매체형식 그리고 문화가치가 결합된 현대인의 대중적 미적욕구와 소통을 필요로 한다. This study is to exhibit the iconographic narrative and visual culture of ancient Chinese art. The focus of the study is the composite integration of literature and graphic forms, in particular the heterochronous expression of different scenarios of scenes occurring in different time periods in pictures of ancient art. The unity of their origins with picture narration and comic art creation is the fusion of our modern times. The ancient Chinese understanding of visual art includes the traditional style of images and their symbolic meanings. Among artistic narrative expression, imagery contemplation and visual presentation have significance. Artistic thinking is inseparable from visual articulation. It is a rational thought process through creative language interpretation in visual media of imagery narratives. The characteristics of ancient imagery thinking and the way of presenting sequential incidents in the form pictures is a creative space of time. This is the spatial thinking of modern comic art, which is demonstrated through acceptance in artistic styles. Image narration needs new forms and media styles, including integrating with cultural values as aesthetic communication is necessary.

      • KCI등재

        宗白華的美學實踐和人生觀

        趙正來(Jo Jeong-rae) 중국문화연구학회 2004 중국문화연구 Vol.0 No.5

        종백화는 중국 현대미학의 개척자이다. 현대미학사에 있어 그의 지위는 본인의 학술여정과 예술관에 잘 체현되어 있다. 그의 뛰어난 점은 중국 전통미학과 예술의 심층적 연구와 현대문화의 자성을 통한 진일보적 발전에 대한 자각이라고 할 수 있다. 종백화는 중국철학과 예술에 대한 독특한 체험과 연구뿐만 아니라 동서미학의 비교연구를 통해 서양미학의 본질은 물론 중국전통예술의 생명정신을 새로이 발현시켰으며, 특히 심령적 체감을 통한 중국전통의 미의식을 찾는데 역점을 두었다. 그 중심사상은 예술의경(藝術意境)에 잘 드러나 있으며, 道, 舞, 虛實, 空間, 空白 등의 범주를 통해 명확하게 설명하였다. 종백화의 미학실천은 대략 세 시기로 나누어 볼 수 있다. 1910년대 말에서 1920년대는 그의 청년시기로 5.4신문화운동과 함께 "少年中國"에서 활동하면서 철학과 미학을 연구한 시기로 전통사상의 비판과 반성을 통해 현대적 정신위기의 문제를 인식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 예술을 통한 자아 인격의 함양을 강조하였으며, "超世入世"적 인생관을 지녔었다. 1930년대에서 1950년대는 풍부한 학술경험과 체험을 통해 학문적 발전을 구가하던 중년시기였다. 학문의 중심이 서양에서 중국전통학문으로 전환하였으며, 중서미학의 비교연구와 체험을 통해 중국예술의 생명정신을 발견하고 체계화하여 예술의경이론을 정립시켰다. 이는 "예술적 인생관"의 실천이며 완성이다. 1950년대 말에서 1980년대까지는 종백화의 만년시기이며, “散步美學”의 황혼기로 인생 哲理의 感悟를 담고 있다. 즉 예술적 인격의 자유스러운 逍遙를 추구하였으며, 그 실제는 "인생의 예술화"였다. 비록 종백화의 학술적 연구가 중국전통예술과 미학이 중심이었지만, 그가 정립한 이론은 결코 고대의 답습이아니라 현대 중국인의 미의식과 시대정신을 반영한 것이었다. 그의 미학실천과 인생관을 통해 남긴 것은 학문에 대한 열정과 학문을 위한 자기인격의 함양이며 우리는 여기서 종백화 미학사상의 진정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