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중학교 과학교과 메이커 탐구활동 프로그램의 적용 및 효과 분석 연구

        조은상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8639

        이 연구의 목적은 과학 교과 형 메이커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를 적용하여 중학교 과학 수업의 탐구활동에 메이커 활동이 유용한지 그리고 그 효과는 어떠한 지 알아보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중학교 2학년 과학 교과서를 분석하여 메이커 탐구활동을 진행할 수 있는 단원을 선정하고 엔트리와 아두이노를 이용한 탐구활동 프로그램을 제작하였다. 프로그램의 원활한 투입을 위해 방과후학교와 파일럿 실험을 통하여 학생의 학령과 능력에 맞는 메이커 탐구활동의 수준을 조절하였고 메이커 스페이스를 구축하고 필요한 장비들을 마련하였다. 다섯 가지 주제 총 10차시의 탐구활동 수업이 만들어졌고 이를 2학년 1학기 수업에 적용하였다. 각 주제의 수업 끝에 형성평가를 실시하였으며 프로그램이 종료된 이후에 형성평가 문제들을 모아 총괄평가를 실시하였고, 과학 학습 능력과 메이킹 능력을 고려하여 4개 그룹으로 나누어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메이커 교육 관련 설문 결과 메이커 교육이 과학수업에 도움이 된다는 긍정적인 응답을 한 학생이(53%) 부정적인 응답을 한 학생보다(16%) 많았으며, 앞으로 과학수업에서 메이커 활동을 하고 싶다는 학생은 전체의 73%를 차지했다. 메이커 교육의 교과 내용 이해에 대한 연구에서는 메이킹 활동에서 학생 스스로 성공했다고 생각하는 주제가 실패했다고 생각하는 주제보다 내용의 기억이 더 오래 남는 결과를 얻었다. 현 중등 과학 교육에서 교과 내용과 탐구활동에 메이커 교육을 접목한 연구사례로서 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에 의의가 있으며 앞으로 진행될 다음 메이커 탐구활동 프로그램의 연구를 위해서는 메이커 탐구활동 주제의 다양한 개발, 교육과정의 재구성, 교사의 전문형 향상과 함께 새로운 수업 형태에 맞는 평가 방법의 개발이 필요함을 제언하였다.

      • 대학생의 e-스포츠 몰입도가 스포츠 참여 및 태도에 미치는 영향

        조은상 경희대학교 2012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는 대학생의 e-스포츠 몰입도가 스포츠 참여 및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개인적 특성에 따른 e-스포츠 몰입도의 차이. 둘째, 개인적 특성에 따른 e-스포츠 참여의 차이. 셋째, 개인적 특성에 따른 스포츠 태도의 차이. 넷째, e-스포츠 몰입도가 스포츠 참여 및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문제로 설정하여 이를 규명하였다. 본 연구의 조사대상은 2012년 현재 경기도 소재 K대학교 남학생들을 모집단으로 설정하였다. 이 모집단을 대상으로 편의표본추출법을 이용하여 총 400부를 추출하였으며 자기평가방식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총 325부의 자료가 회수되었으며, 실제 분석에 사용한 설문은 12부의 자료를 제외한 313부이다. 조사도구는 설문지를 사용하였으며 개인적 특성을 묻는 배경변인 항목, e-스포츠 몰입도를 묻는 독립변인 항목과 스포츠 참여와 태도를 묻는 종속변인 항목으로 구성하였다. 작성된 설문지는 PASW Statistics 18.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전산처리 하였다. 자료분석 통계기법은 요인분석, 신뢰도, 빈도분석, 일원변량분석, 상관관계분석, 회귀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이에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개인적 특성에 따른 e-스포츠 몰입도에 부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e-스포츠를 즐기는 빈도와 시간, 그리고 참여기간에 따라 정서적 부적응, 심리적 집착, 생활 태도에 모두 차이가 있고 전공계열에 따라서는 생활태도에 차이가 있다. 둘째, 개인적 특성에 따른 e-스포츠 참여는 부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e-스포츠를 즐기는 빈도와 시간, 그리고 참여기간에 따라 행동적, 인지적 참여에 모두 차이가 있고, 스포츠 종목에 따라서는 행동적 참여에 차이가 있다. 셋째, 개인적 특성에 따른 스포츠 태도는 부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e-스포츠를 즐기는 시간, 전공계열에 따라 개인적 태도에 차이가 있고, 스포츠 종목에 따라 심리적 태도에 차이가 있다. 그리고 스포츠 활동 빈도에 따라서는 사회적, 심리적, 개인적 태도 모두 차이가 있다. 넷째, e-스포츠 몰입도는 스포츠 참여 및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서적 부적응과 생활 태도가 행동적 스포츠 참여에 영향을 미치고, 인지적 스포츠 참여와 사회적 스포츠 태도에는 정서적 부적응과 심리적 집착, 생활 태도의 모든 요인이 영향을 미친다. 또한 심리적 스포츠 태도 정서적 부적응과 생활 태도의 e-스포츠 몰입도가 영향을 미치며, 개인적 스포츠 태도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This study aims to figure out the effect of university students’ e-sports commitment on the sports participation and attitude. For this objective, the following research themes are raised. First is the difference of e-sports commitment by individual characteristics. Second is the difference of e-sports participation individual characteristics. Third is the difference of e-sports attitude by individual characteristics. And finally fourth is the effect of e-sports commitment upon sports participation and attitude. The population were selected from male students in K University in Gyeonggi-do as of 2012. The random sampling was made out of the population. The self assessment questionnaire survey was carried out to 400 sheets. Total 325 questionnaire papers were collected and 313 were used for an analysis except for 12 insufficient sheets. As for the tool, it uses a questionnaire sheet consisting of background variables for personal characteristics, independent variables for e-sports commitment, and dependent variables for e-sports participation and attitude.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using PASW Statistics 18.0 program. As a data analysis and statistics method, this study carried out factor analysis, reliability, frequency analysis, One-Way ANOVA, correlation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ly, e-sports commitment by individual characteristics had partially significant differences. There were differences in emotional maladjustment, psychological obsession, and life attitude by frequency, time and participation period. And the life attitude had differences by the major affiliation. Secondly, e-sports participation by individual characteristics had partially significant differences. There were differences in emotional behavioral and cognitive participation by frequency, time and participation period. And there was a difference in behavioral participation by the type of sports. Thirdly, e-sports attitude by individual characteristics had partially significant differences. There were differences in individual attitude by time and major affiliation, and there was a difference in psychological attitude by the type of sports. And social, mental and individual attitude showed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frequency of sports activity. Fourthly, e-sports commitment influenced sports participation and attitude. The emotional maladjustment and life attitude influenced the behavioral sports participation while cognitive sports participation and social sports attitude were influenced by emotional maladjustment, psychological obsession and life attitude. And e-sports commitment influenced psychological sports attitude, emotional maladjustment and life attitude while, it did not influence individual sports attitude.

      • Behavioral Feature Model을 통한 AUTOSAR 컴포넌트 분류 방법

        조은상 아주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8639

        차량용 ECU 소프트웨어의 복잡성을 관리하고, 재사용성 및 상호운용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자동차 제조업체와 부품 공급업체가 공통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설계된 개방형 자동차 소프트웨어 아키텍처 표준인 AUTOSAR(AUtomotive, Open System ARchitecture)를 개발하였다. AUTOSAR는 ‘계층형 컴포넌트 기반 소프트웨어 아키텍처’를 정의하여, 분리된 계층에 의해 하드웨어와의 의존성을 낮추고, 소프트웨어를 컴포넌트 단위로 모듈화하여 재사용성을 높였다. 하지만, 기능을 적합한 컴포넌트로 분류하는 방법에 대한 대한 상세한 가이드를 제공하지 않아서 이 과정은 개발자의 경험과 직관에 의존할 수 밖에 없다. 따라서, 기능으로부터 AUTOSAR개발표준을 만족하는 컴포넌트 타입으로 분류하는 명확한 방법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고자 기능 요구사항의 Behavioral Feature 분석을 통한 AUTOSAR 소프트웨어 컴포넌트 분류 방법을 제안한다. “Behavioral Feature”의 Feature 는 피처 기반 도메인 분석 기법인 FODA(Feature-Oriented Domain Analysis)와 애자일(Agile) 소프트웨어 개발기법인 FDD(Feature-Driven Development)에서 유래하였으며, ECU 소프트웨어의 소스코드에서 전역변수나 하드웨어 레지스터에 영향을 주는 동작을 행위(Behavior)라 정의하고 이 관계를 연결하여 조합하면 ECU의 동작을 정의할 수 있다. 이러한 특성을 조합하여 Behavioral Feature를 정의하였다. 기능 요구사항을 Behavioral Feature로 분리하고, 기능 요구사항을 AUTOSAR 표준 소프트웨어 디자인 패턴의 동작 흐름인 “Sensing-Controlling-Actuation”의 관계로 분리하고, 그 동작을 Behavioral(행위기반) Feature 명세 방식으로 표현한 Behavioral Feature Modeling 과정을 통해 AUTOSAR의 Software Architecture의 최 상위 레벨인 Application Layer의 단계부터, 내부 상세 동작을 구성하는 BSW Layer의 단계까지 명세 한다. 이와 같은 Behavioral Feature Modeling순서와 방법을 제시하여 기능 요구사항을 AUTOASR 컴포넌트로 분류하는 과정을 보여주고, 그 결과를 분석함으로써, 개발자에 대한 의존도를 낮추어 일정 수준 이상의 품질이 보장된 설계가 가능할 것으로 기대한다. To manage the complexity of automotive ECU software, and to improve reusability and interoperability, AUTOSAR (AUtomotive, Open System ARchitecture), an industry standard for automotive ECU software architecture that is commonly used by automotive manufacturers and suppliers, has been developed. However, it does not provide the process of classifying the type of components in the AUTSOAR standard, an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quality depends on the developer's experience and intuition. In this paper, we propose a classification method of AUTOSAR software components by analyzing the Behavioral Features of functional requirements in order to solve these problems. Feature of “Behavioral Feature” are derived from Feature-Oriented Domain Analysis (FODA) and Feature-Driven Development (FDD), which is an agile software development technique. In the source code of the ECU software, the behavior that affects the global variables or the hardware registers is defined as a behavior, and the operation of the ECU can be defined by connecting these relations together. Behavioral features were defined by combining these characteristics. Functional requirements are separated into Behavioral Feature, and the functional requirements are separated by the relation of "Sensing-Controlling-Actuation", which is the flow of the AUTOSAR standard software design pattern To the level of the Application Layer, which is the highest level of AUTOSAR's Software Architecture, to the level of the BSW Layer, which constitutes the internal detailed operation, through the Behavioral Feature Modeling process. By showing the sequence and method of Behavioral Feature Modeling, we show the process of classifying functional requirements into AUTOSAR components, and by analyzing the results, it is expected that the design with a certain level of quality can be achieved by lowering the dependency on the developer.

      • 다양한 국내 연속간행물 일련번호에 대한 정형화 방법

        조은상 서강대학교 정보통신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8639

        It is hard to find any regularity of pattern string for serials’ enumeration and chorology due to variety of periodical publications and different kind of data description methods per regions and generations during publishing. Although there are global standards way to catalogue, many troubles have come over exchanging holding data between institutions because of using institutional internal format for enumeration numbering. Therefore institutions need to manage those data separately with extra efforts by extracting meaningful numbering value out of uneven descriptive enumeration data or converting the data into new formatted one based on the standards. In this thesis, new conversion rules and target schema will be discussed. The rules applied to normalizing process for caption string and formalizing process for numbering data that come from various institutional serials’ enumeration and chronology description. In order to define conversion rules, sample data analysis has been made to categorize descriptive patterns of various serials’ volume-issue. Relevant current global standards were reviewed by comparing its characteristic advantages to design the target schema for converted data. Database tables were created to contain not only the conversion rules but also predefined codes information that identifies meaning of the original numbering value. Finally, tests were made over the conversion system to verify its result where the rules applied. 연속간행물 발행 시 부여되는 다양한 형태의 권, 호 정보는 출판의 다양성과 시대 및 지역에 따라 다양한 표기법이 사용됨에 따라 형태의 규칙성을 찾기란 쉽지 않다. 관련 표준에 따라 표기 및 입력을 권장하지만 기관 간의 메타데이터 교환 시 권, 호 표기 방식이 통일되지 않아 메타데이터를 구축, 관리하는 기관의 입장에서는 불규칙한 권, 호 정보 중 의미 있는 숫자 데이터를 추출하여 따로 관리하거나 표준입력방식에 따라 변환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도서관에서 보유하고 있는 연속간행물의 다양한 권, 호 정보의 캡션데이터를 일반화하고 텍스트 형태로 기술된 넘버링데이터를 숫자 형태의 데이터로 변환하는 규칙 및 스키마를 제안한다. 제안한 방법에서는 연속간행물의 권, 연차 데이터의 다양성을 조사하고 이를 바탕으로 데이터 형태별로 일반화와 정형화 규칙을 설계한다. 마지막으로 권, 연차 표기 방법에 대한 여러 가지 국/내외 표준 기술의 종류를 파악하여 각 표준의 특징과 장, 단점을 비교 분석 후 제안하고자 하는 스키마의 조건에 가장 맞는 표준을 선정하여 스키마 설계 시 이를 최대한 반영 한다. 스키마 설계 과정에서 텍스트 형식의 넘버링 데이터 형태 및 연차표기 형태 구분을 위한 코드정보 테이블을 별도로 구현하여 이를 통해 원본 데이터에서 기술된 데이터의 의미적 정보를 최대한 반영 하고 캡션과 넘버링 형태를 관리할 수 있도록 고려한다. 마지막으로 데이터 변환 규칙과 제안된 목표 데이터 스키마를 구현하고자 하는 시스템에 적용하고 구현을 통하여 그 유용성을 분석한다.

      • 스마트폰에서 빠른 디코딩이 가능한 무손실 이미지 압축 알고리즘

        조은상 아주대학교 일반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8639

        스마트폰에서 중요한 이슈는 제한된 자원 안에서 최대의 성능을 구현하여 사용자에게 최적화된 기능을 제공하는 것이다. 현재의 모바일 환경은 디지털 컨버전스가 진행되며 하나의 모바일 기기에 다양한 기능을 아우르게 되었다. 이러한 특징은 스마트폰에서 특히 잘 나타나고 있다. 다양한 기능들을 유저들이 더욱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UX의 개념이 사용되며 더 많은 이미지들이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현재 사용중인 이미지 압축 기술들은 컴퓨터에서 사용하던 것으로 스마트폰에서 최적의 성능을 발휘하지 못한다. 본 논문에서는 스마트폰에 적합한 이미지 무손실 압축 알고리즘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그 내용을 다룬다. 스마트폰에서 주로 사용되고 있는 PNG 이미지 압축 포맷을 분석, 정리하였으며 LZ77 알고리즘도 다루고 있다. 또한 LZ77 알고리즘을 기반으로 그 성능을 개선한 이미지 압축 알고리즘인 FastLZ77알고리즘을 개발, 테스트하였다. The most important issue of smart phone is to support optimized function for users within limited resources. Many different functions is merged at this mobile device in recently, and many images are used on UX to help users to use easier. But current image compression techniques does not work optimally on smart phone, because it is designed for personal computer, not for mobile device. This study researches the optimized image lossless compression algorithms for smart phone. PNG image compression format primary used at smart phone were analyzed, and LZ77 algorithms also. I've developed and tested more improved FastLZ77 algorithm based upon LZ77 algorithms

      • 한자 교육의 관점에서 본 正·簡 한자 자형 비교 연구 : 교육용 기초한자 1,800자와 HSK 5급 한자를 대상으로

        조은상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논문의 목적은 전통 正字體와 중국 規範漢字의 자형 구조 비교를 통해 중국어와 한문 두 교과에서 각각 학습한 한자를 자연스럽게 연계해 학습상 시너지 효과를 얻고, 학습장애로 작용하는 일부 한자의 자형 차이를 보다 쉽게 극복하도록 도움을 주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중국어 학습이건 한문 학습이건 한자는 어휘를 익히는데 중요한 핵심요소이며 학습이 심화되면서 자연스럽게 한자 학습량과 부담도 증가한다. 그런데 학생들은 전통 正字體와 중국 規範漢字의 자형이 다를 경우 양자를 잘 연계시키지 못할뿐더러 때로는 혼동을 겪기도 한다. 하지만 사실상 어떤 교과에서 한자를 먼저 접했든지 간에, 한문 교과와 중국어 교과의 한자 학습은 서로 시너지 효과를 일으킬 수 있다. 왜냐하면 중국 규범한자라는 것이 다수의 簡化字를 포함하고 있기는 하지만, 1950년대 중국의 문자개혁위원회에서 모든 한자를 간화시킨 것은 아니기 때문에 상당 수량의 한자는 우리의 한문 교과에서 배우는 전통 정자체와 중국의 규범한자가 모양이 같다. 그리고 간화자라는 것도 사실 전통 정자와 전혀 다른 새로운 글자가 아니라 예로부터 널리 통용되던 略字나 俗字를 두루 채용하고, 몇 가지 간화원리를 활용하여 한자의 자형을 체계적으로 간략화 시킨 것에 불과하여 정자와 강한 연계성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한문 시간에는 정자를 배우고, 중국어 시간에는 간화자를 접하게 되는 우리 학생들이 두 교과를 통해서 배운 한자를 잘 연계시킬 수 있도록 하려면 正·簡 두 자형의 비교 및 간화원리에 대한 지도가 필요하다. 본 논문은 ‘교육용 한자 1,800자’와 ‘HSK 5급 한자 1,758자’에서 양자간의 공통 字種인 1,275자를 추출해내어, 그 중 正·簡 자형의 차이를 크게 보이는 한자를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자형 분석을 통해서 전통 한자 자형 중 일부가 어떻게 중국 규범한자의 간화편방으로 변화하게 되었는지 고찰하였고, 더불어 활용도가 높은 간화규칙을 간화편방에만 쓰이는 간화자형(28개)과 독체자 및 간화편방으로 쓰이는 자형(17개)으로 양분해 살펴보았다. 편방으로만 쓰이는 간화자형 중 讠(言) · 纟(糹) · 钅(釒) · 饣(飠) 등의 활용도가 다른 간화자형보다 월등히 높다는 사실을 확인하였고, 독체자 및 간화편방으로 쓰이는 한자 중에서는 (貝) · (車) · (門) · (見) 등의 활용도가 높아, 학습자들의 정자체와 간화자 연계를 돕기 위해서 이들을 우선적으로 가르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된다. 일부 간화편방 중에서는 본래 다른 部件이지만 동일한 간화편방으로 합병된 것들이 있다. 여기에는 서로 다른 한자의 자형 일부가 초서에서 윤곽만 살려 줄여 쓰는 과정에서 동일하게 변한 경우가 많은데, 이러한 간화편방에는 ‘’ · ‘舌’ · ‘不’ · ‘又’ 등이 있다. 이러한 간화편방은 간화 규칙이 일대일 대응하지 않기 때문에 정자체를 중국 규범한자로 간화하거나 반대로 중국 규범한자를 전통한자 자형으로 바꿔 쓸 때 유의해야 하지만 자형구조의 유사성을 자형비교를 통해 이해하면 쉽게 간화원리를 익힐 수 있게 된다. 한자는 오랜 세월을 거쳐 변화해왔으며 크게 두 번의 간화과정을 거쳤다. 첫 번째가 隸變이고 두 번째가 현대 중국의 한자 간화인데 그 결과가 중국에서 현재 사용하고 있는 규범한자이다. 규범한자가 포함하고 있는 간화자형은 전통 정자체와 매우 다른 것으로 받아들여지기도 하지만, 사실상 간화원리를 이해하면 이 둘은 강한 연계성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를 통해 전통 정자와 규범한자는 서로 다른 것이라는 인식으로부터 벗어날 수 있으며, 더불어 한자의 구조를 체계적으로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이것을 중국어 교육 관점에서 중국 규범한자 교육에 적용한다면 한문 교과에서 학습한 정자체 지식이 중국어 학습에 십분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한문 교육에 있어서도 중국어 교과에서 학습한 규범한자 지식을 충분히 활용할 수 있다면 학습자의 한자 학습 부담을 줄이는 동시에 학습 능력을 효과적으로 신장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aeoniflorin derivatives from peony root promoting the differentiation of osteoblastic MC3T3-E1 cells

        조은상 Graduate School of Dankook University 2019 국내석사

        RANK : 248639

        Osteoporosis is a common disease which causes fracture, back pain and loss of weight. The number of osteoporosis patients increases every year particularly in elderly population. The most common therapeutics used to treat osteoporosis are vitamin D, bisphosphonates and selective estrogen receptor modulators, but these drugs can cause side effects such as GI trouble, microfracture, jaw necrosis, venous thromboembolism, myocardial infarction and stroke. Therefore, in this study, natural products which can treat or prevent osteoporosis without severe side effects have been searched. Paeonia lactiflora Pall (Paeoniceae) is distributed in China, Japan, Eastern Siberia, and Korea. It has been used as a traditional medicine as anti-inflammatory agent and analgesic. In this study, we evaluated whether P. lactiflora roots could stimulate the differentiation of osteoblast determined by ALP assay. As the results, the ethanol extract of P. lactiflora roots and its ethyl acetate fraction significantly increased ALP activity. Thus the active constituents were isolated based on the bioassay-guided isolation method, and 9 compounds including 4-O-methyl-moudanpioside C (1), 4-O-methylbenzoyloxypaeoniflorin (2), oxypaeoniflorin (3), (+)-catechin (4), catechuic acid (5), paeoniflorin (6), benzoylpaeoniflorin (7), albiflorin (9) were isolated as pure compounds. Among 9 compounds, 4-O-methylmoudanpioside C (1), 4-O-methylbenzoyloxypaeoniflorin (2), oxypaeoniflorin (3), benzoylpaeoniflorin (7) and albiflorin (9) significantly increased ALP activity. Particularly, 4-O-methylmoudanpioside C (1), 4-O-methylbenzoyloxypaeoniflorin (2) significantly stimulated the differentiation of osteoblasts with all treatment concentrations (1, 4 and 20 µg/ml) compared to ODM treated control group. Taken together, the extract of P. lactiflora roots and 4 active constituents significantly increased the differentiation of osteoblasts.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extract of P. lactiflora roots and 4 active constituents could be developed as preventives or therapeutics of osteoporosis. However, further mechanism study and animal study should be performed in order to confirm the positive effects. 골다공증은 골절, 등 통증, 체중 감량 등을 유발하는 질환으로, 오늘날 그 환자는 매년 점차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특히 노년층에는 치명적일 수 있다. 가장 일반적인 골다공증 치료약으로는 비타민D, 비스포스포네이드 (bisphosphonate) 계열 약물과 선택적 에스트로겐 수용체 조절제 등이 있으나 비타민D는 신장결석, 비스포스포네이드 계열 약물은 위장 장애, 턱뼈괴사, 미세골절, 선택적 에스트로겐 수용체 조절제는 정맥혈전 색전증, 심근경색, 뇌졸증 등의 부작용이 보고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부작용이 적어 안전하게 장기간 복용할 수 있으며 골다공증 치료 및 예방약으로 활용할 수 있는 천연물 소재를 개발하고자 한다. 작약 (Paeonia lactiflora Pall.)은 중국, 일본, 동 시베리아, 한국에 주로 분포하는 작약과의 식물이다. 작약은 전통적으로 항염제, 항알러지 치료제로 잘 알려져있다. 그러나 작약이 골다공증에 효과가 있다는 연구 결과는 부재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작약 에탄올 추출물의 조골세포 분화 촉진 효과를 ALP assay를 활용하여 연구하였다. 그 결과 작약의 에탄올 추출물과 에틸아세테이트 분획이 MC3T3-E1 pre-osteoblastic cells의 분화를 유의미하게 촉진하였다. 따라서 그 유효성분을 활성 추적 연구법을 이용하여 분리하였는데 9개의 순물질이 분리되었으며 이 물질들은 4-O-methylmoudanpioside C (1), 4-O-methylbenzoyloxypaeoniflorin (2), oxypaeoniflorin (3), (+)-catechin (4), catechuic acid (5), paeoniflorin (6), benzoylpaeoniflorin (7), albiflorin (9)으로 1H-, 13C-NMR 결과와 문헌을 참고하여 동정하였다. 9개의 물질 중 4-O-methylmoudanpioside C (1), 4-O-methylbenzoyloxypaeoniflorin (2), oxypaeoniflorin (3), benzoylpaeoniflorin (7), albiflorin (9)은 ODM만 처리한 대조군에 비해 ALP 활성을 현저히 증가시켰다. 특히, 4-O-methylmoudanpioside C (1), 4-O-methylbenzoyloxypaeoniflorin (2), oxypaeoniflorin (3)은 모든 처리 농도 (1, 4, 20 µg/ml)에서 ALP 활성을 유의미하게 증가시켰다. 뿐만 아니라 4-O-methylmoudanpioside C (1), 4-O-methylbenzoyloxypaeoniflorin (2)의 ALP 촉진 활성은 본 연구에서 처음으로 보고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볼 때, 작약의 추출물과 그 유효성분들은 MC3T3-E1 pre-osteoblastic cells의 분화를 효과적으로 촉진하였다. 그러므로 작약의 추출물과 그 유효성분들은 향후 골다공증 치료 또는 예방약으로 개발될 가능성을 가지고 있다. 이를 위해서는 물질의 작용 기작 연구 및 동물 실험을 통해 그 결과가 뒷받침 되어야 할 것이다.

      • 친족 성폭력의 치유와 회복을 위한 목회상담적 연구

        조은상 감리교신학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8639

        친족 성폭력은 한 개인의 영혼까지 짓밟는 끔찍한 범죄행위임에도 불구하고 오늘 우리 사회에서 친족 성폭력 사건의 범죄 빈도는 늘어나고 있으며, 여전히 이에 대한 사회적 관심과 연구는 턱없이 부족한 실정이다. 이로 인하여 친족 성폭력 생존자들은 오랜 시간을 자신의 존재가 찢겨버린 상처와 아픔 속에서 홀로 견뎌내며 오늘도 여전히 그늘 속에서 침묵으로 살아간다. 그러나 그런 이들을 치유해야 할 한국교회는 오히려 가부장적 신학 전통 위에서 생존자들의 경험과 목소리를 온전히 수용하지 못하고 때로는 침묵을 강요하며, 충분한 위로와 연대를 제공하지 못하고 있던 것이 현실이다. 이에 따라 연구자는 본 논문을 통해 점증하는 친족 성폭력의 문제와 심각성을 조명하고, 생존자의 치유와 회복을 위한 목회적 돌봄과 실천적 과제를 다음과 같은 전개를 통하여 마련하고자 한다. 1장에서는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그리고 방법을 소개할 것이다. 2장에서는 친족 성폭력 생존자 김영서의 생존기 『눈물도 빛을 만나면 반짝인다』의 실제 사례를 통해 친족 성폭력의 피해를 조명하고, 사례에 담긴 목회적 돌봄의 문제들을 분석할 것이다. 3장에서는 제임스 폴링과 크리스티 누거 그리고 쉘리 램보의 신학을 통해 여성과 피해자 그리고 힘의 차원에서 성폭력 문제를 다루고, 성서에서 나타나는 친족 성폭력 생존자 다말의 사례와 김영서의 사례를 비교 분석하여 친족 성폭력 생존자를 위한 신학적 성찰을 논하려고 한다. 이를 통해 친족 성폭력은 개인이나 가정을 넘어서 사회구조와 이데올로기에 이르기까지 복합적으로 긴밀하게 연결되어있는 문제임을 또한 성의 문제가 아니라 폭력의 문제임을 분석 및 논의할 것이다. 이에 따라 한국교회에 필요한 성폭력 생존자를 위한 신학은 ‘관계적’ 신학이며, 교회 공동체는 사랑의 공동체로써 나아가야 함을 주장할 것이다. 또한, 교회와 교단 차원에서 할 수 있는 목회적 돌봄의 실천적 방법들을 제시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