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의학 학술지에 게재된 대상포진 임상논문에서 사용된 약침에 관한 고찰

        조영선,심성용,Cho, Young-Sun,Sim, Sung-Yong 대한한방안이비인후피부과학회 2016 한방안이비인후피부과학회지 Vol.29 No.1

        Objective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analyze the trends of pharmacopuncture used to treat Herpes Zoster related articles that have been published in the Korean medicine journal.Method : We studied 14 research papers treated with pharmacopuncture for Herpes Zoster in Korean medicine journal. We analyzed for type of pharmacopuncture used, treatment point and clinical type.Results : 1. The number of searched journal is 14 papers. 2. The most common clinical type is herpes zoster generalisatus. Others types are postherpetic neuralgia, ramsay hunt syndrome, herpes zoster ophthalmicus, postherpetic paralysis 3. Pharmacopunctures used to treat herpes zoster are BV, Hwangreonhaedok-tang pharmacopuncture, Ginseng Pharmacopuncture, CF, JsD, Immuno-yakchim, etc. The most frequently used type of harmacopuncture is BV. 4. The most used part as a treatment point is a-shi point.Conclusions : It is needed to improve the cure rate through a comprehensive analysis of the Herpes zoster treatments. It is necessary to comprehensively analyze the treatments to increase the cure rate of about Herpes zoster.

      • KCI등재

        한방안이비인후피부과학회지에 게재된 알레르기성 접촉 피부염의 실험논문에 대한 고찰

        조영선,김경준,Cho, Young-Sun,Kim, Gyung-Jun 대한한방안이비인후피부과학회 2016 한방안이비인후피부과학회지 Vol.29 No.4

        Objectives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analyze the trends of clinical studies of allergic contact dermatitis published in the Journal of Korean Medical Ophthalmology & Otolaryngology & Dermatology. Methods : We studied 10 research papers on allergic contact dermatitis published in JKOOD. We analyzed about experiment methods, pharmacodynamic effects, therapeutic effects in published papers. Results : 1. The number of searched journal is 10 papers. 2. All experiments was performed using DNCB primed mouse. To demonstrate therapeutic effect of drugs, previous researches observed dermatological and histopathogical conditions, erythema, melasma, white blood cell count, Lymphocyte ratio to white blood cell. 3. Most of drugs have heat-clearing and detoxifying effects. 4. Every drugs have positive effect in treating allergic contact dermatitis. Conclusions : Figuring out how experiment proceeded and tendency of drugs in researching allergic contact dermatitis is significance of this paper. Further research about drugs and their treating methods should be carried out to improve curative effectiveness for allergic contact dermatitis.

      • KCI우수등재

        연구논문 (硏究論文) : 특허 통상실시권의 대항력에 대한 검토 -미등록 실시권을 중심으로-

        조영선 ( Cho Young Sun ) 법조협회 2014 法曹 Vol.63 No.9

        이 글은 통상실시권의 무등록 대항문제를 다룬다. 최근 우리나라와 동일한 법제를 가지고 있던 일본이 통상실시권에 대한 등록 대항을 폐지하고 무등록 대항제도를 도입한 이후, 우리나라에서도 특허발명의 이용활성화를 위해 통상실시권 제도의 개선이 필요하다는 제안들이 나오고 있다. 그러나 실증조사의 결과, 우리나라는 기술도입의 수단으로 실시권의 설정 못지않게 특허권의 양수를 택하는 비율이 높고, 특허발명의 자기실시가 선호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현실에 비추어 보면 무등록 대항에 관하여 만연히 외국의 입법례를 따르는 것은 부적절하고, 실시권자 보호를 통해 기술의 활용과 확산을 도모하는 동시에 특허권자의 신뢰와 거래안전을 보호하는 절충적 제도를 모색할 필요가 있다. 이 글은 실시권의 대항력에 관한 현행 제도의 개선 문제를 ‘필요성’과 ‘가능성’, 그리고 ‘부작용’의 측면에서 분석한다. 그 결과 무등록 대항 제도를 추가적으로 도입하되, 양수인이 선행 실시권에 대하여 악의이거나 과실이 있는 경우에 한하여 대항을 허용할 것을 제안한다. 무등록 대항 제도를 도입하는 경우 ‘대항’의 의미는 양수인이 실시권자의 지위를 승계하는 것으로 이해해야 후속 법률문제를 간명하게 해결할 수 있다. 그러나 그 과정에서 양수인의 신뢰가 지나치게 훼손되어 거래비용 증대로 이어지지 않도록 승계의 범위를 합리적으로 제한할 필요가 있다. 우리나라의 지적재산권법들은 대항력에 관한 용어의 사용에 혼란을 겪고 있으므로 특허법에 무등록 대항제도를 도입한다면 이 부분에 대한 명확한 기준을 제시하여 전범(典範)으로 삼을 필요가 있다. 이 글은 이 문제에 관한 우리 지적재산권법의 실태를 점검하고 바람직한 규정형태도 제안한다. This article focuses on the legal issue of third party effect for unregistered patent license. Being affected by Japanese adoption of ``third party effectiveness for non-registered license`` system in patent act, a number of proposals for similar legislation are being made in Korea recently. However, the empirical research shows that large portion of Korean enterprises prefer assignment of patent right to license as means of obtaining necessary technologies for their business. In addition, the ``self utilizing rate`` of patented invention turned out to be higher than ``transfer rate`` in Korea. Taking that to render unlimited third party effect for licensee may undermine stability of subsequent patent right transferee``s legal position and enhance transaction cost, it is desirable to design a system that can balance the interests of both parties and reflect market reality. In the mean time, such may be prudential strategy to harmonize the goal between ``widespread of technology`` and ``protection of credit to mobilize transaction``. This article examines current system in view of ``necessity``, ``possibility`` and ``side-effect`` of renovation. As consequence, this author proposes to protect non-registered licensee against subsequent transferee only when he/she transacted patent under awareness or unawareness from negligence about prior license. The substance of ``third party effect`` here shall be interpreted as ``succession`` of contract party``s position by transferee. However, the scope of succession needs to be limited to reasonable extent not to harm transferee``s credit excessively. Current Korean intellectual property laws show confusing manners describing third party effect in respective provisions. Instituting new article to provide non-registered license``s third party effect, articulation to eliminate this confusion is required to be a model for other IP laws. This article also proposes such wordings.

      • KCI우수등재

        상표권 침해에 대한 구제 법리의 재검토 -경과실 감액을 중심으로-

        조영선 ( Young Sun Cho ) 법조협회 2013 法曹 Vol.62 No.8

        This article focuses on ``simple negligence immunity`` in trademark infringement remedies. The key elements constituting trademark infringement such as ``Identity or Similarity of Mark or Goods``, ``Renown of the Mark``, ``Consumer`s Conception``, ``Possibility of Confusion`` commonly have abstract and decision depending natures. On this account, the infringer may have no confidence about the illegality of her conduct in many cases of trademark infringement, which may defeat the individual condemnation against her infringement in the final. This is why the Korean Trademark Act Art. 67 (4) 2nd. paragraph provides the capability of remedy immunity against trademark infringements for simple negligence. Nonetheless, the empirical research illustrates that Korean courts tend to apply Art. 67(5) instead of 67(4) for discretion of trademark infringement damages, which is inappropriate attitude nether in legal nor in realistic aspects. This article proposes categories of standards for deciding trademark infringement and the damages incorporating foresaid traits of trademark infringements. Furthermore, the author argues that the similar rule should be applied to restrict indirect trademark infringement liability for open market entrepreneurs lest it should frustrate online trade infra causing consumers` disadvantage as a whole. Additionally, the author also proposes the same rationale of `elastic remedies reflecting individual condemnation elements` may be applied for the injunction against trademark infringement.

      • 공동주택 하자기획 소송에 대한 건설사 사전예방 모델 개발 연구

        조영선(Young-Sun Cho),차회성(Hee-Sung Cha),김경래(Kyung-Rai Kim),신동우(Dong-Woo Shin) 한국구매조달학회 2011 한국구매조달학회지 Vol.10 No.2

        도시인구의 급격한 증가와 경제 성장으로 주택보급 문제를 원활히 해결하기 위한 정부의 주택보급정책으로 공동주택의 비중이 지속적으로 증가하였다. 이러한 보급률 제고와 함께 공동주택의 품질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건설업체들은 소비자의 삶의 질 향상이나 타 업체의 치열한 경쟁에 맞추어 소비자의 만족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노력을 지속적으로 수행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수요자의 기대수준과 공급된 공동주택의 품질의 차이로 인한 갈등이 심화되고 있으며 건설사들의 하자에 대한 소극적인 대처와 사전대응 전략의 미흡으로 하자관련 분쟁과 소송이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건설사의 고객만족 팀과 법무팀의 사후 대처적, 소극적 대응은 이러한 건설관련 소송의 증가를 부추기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실제 하자소송 판례를 중심으로 하자목록의 유형분석과 금액분석을 통하여 관리 우선순위를 도출하여 하자발생 이전에 대응 전략 수립이 가능한 하자기획소송 사전 대응모델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대응 모델은 하자소송이 발생 한 이후의 대응이 아닌 프로젝트 초기단계부터의 대응 모델로서 하자소송의 위험성을 사전에 인지하고 이에 대한 관리전략의 수립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The proportion of apartment housing has been increased to solve the housing problems resulted from rapid growth in urban population and urban economy. With the increase in apartment’s proportions and the concern about quality of housing, the contractors have made efforts to satisfy the customers in improving the quality of housing. Despite these efforts, the conflicts between the contractor and the customers are getting serious. Also the disputes and the litigation of defect are increasing because of the contractor’s negative treatment and inadequate countermeasure. In this study the defect lawsuits which bring actions against the contractors are collected and analyzed. And then the strategic countermeasures are proposed according to the classifying the type of defect and size. The suggested countermeasure model before the defects are resulted is expected to contribute in developing the contractors strategies to reduce the conflicts against customers.

      • KCI등재후보
      • KCI우수등재

        해외자료(海外資料) : 미국(美國) 판례법상(判例法上) 상표(商標)의 오인(誤認), 혼동(混同) 판단(判斷) (1)

        조영선 ( Young Sun Cho ) 법조협회 2004 法曹 Vol.53 No.10

        미국은 상표와 관련하여 사용주의를 취하고 상표분쟁은 보통법(Common Law)의 적용을 받는 것이 원칙이나, 근래에 들어 성문법인 연방상표법의 적용을 받는 경우와 그 비중이 점차 높아져 가고 있다. 연방 상표법은 상표의 오인·혼동으로부터 등록상표와 미등록 상표를 보호하기 위한 규정을 각각 두고 있으며, 부정경쟁방지법으로서의 성격을 띠고 있는 관계로 다양한 유형의 침해행위를 상표의 ``사용``으로 포섭하여 폭넓게 규제하고 있는 특징이 있다. 미국의 각 연방항소법원이 유지하고 있는 상표의 오인·혼동 가능성 판단 기준에 관한 공통분모를 추출하면 ① 원고상표의 영향력(Strength of plaintiff``s mark), ② 상표자체의 유사 정도(The degree of similarity of the marks), ③ 지정상품 또는 서비스의 유사 정도(The proximity of the products or services in the marketplace), ④ 지정상품이나 서비스에 차이가 있는 경우, 일반 대중이 그것을 결국 원고의 지정상품이나 서비스라고 믿게 될 가능성, 즉 원고의 시장에서의 영향력의 크기(The likelihood that the plaintiff will bridge the gap; narrowing the significant market difference), ⑤ 실제 혼동이 일어나고 있음을 알 수 있는 증거, ⑥ 침해 상표를 사용함에 있어서의 피고의 선의 여부(Defendant`s good faith in adopting the mark), ⑦ 침해 상표를 사용하는 피고의 상품이나 서비스의 질(The quality of the defendant`s product or service), ⑧ 지정상품 혹은 서비스를 이용하는 소비자들의 주의력(The sophistication of the buyers)등으로 정리할 수 있다. 미국의 법원들은 상표의 오인·혼동 판단함에 있어 상표의 존재목적이 상품의 출처에 관한 소비자의 혼동을 방지하여 소비자를 보호하는 한편 상표권자가 그 상표를 중심으로 쌓은 상업적 명성을 보호하려 하는 것으로 이해하고 있고, 상표의 오인·혼동을 판가름하는 가장 핵심적인 요소는 상표 자체의 유사여부를 살펴보는 것이며 이를 위한 구체적인 방법으로 상표의 외관, 호칭, 관념의 유사여부를 대비한다는 점, 그 과정에서 상표를 대비함에 있어서는 상표의 요부를 중심으로 상표 전체가 일반 수요자에게 주는 인상을 종합적으로 고려한다는 점, 상표의 유사로 인한 오인·혼동을 판단함에 있어서는 상표뿐 아니라 지정상품의 동일, 유사여부도 아울러 고려한다는 점, 구체적인 출처의 혼동 유무를 밝히기 위하여 상표의 식별력의 크기, 주지 저명성의 정도 등 구체적인 거래실정까지 고려한다는 점 등에 있어 우리나라와 다르지 않은 반면, 상표를 식별력 있는 상표와 기술적 상표(descriptive mark)로 나누고 식별력 있는 상표는 다시 식별력의 정도에 따라 독창적 상표(fanciful marks), 이중의미(二重意味) 상표(arbitrary marks), 암시적 상표(suggestive marks)로 분류한 뒤 그에 따라 오인· 혼동의 가능성을 달리 평가하고, 오인·혼동의 판단기준을 앞서 추출한 연방항소법원의 판단기준들과 같이 세분화함은 물론 실제로 시장에서 유사 상표의 사용으로 인한 혼동이 일어난 실증적 자료를 최종판단의 매우 유력한 증거로 삼는 점, 상표의 유사 등으로 인한 혼동 및 그에 대한 규제의 근거를 최초혼동, 구매당시의 혼동, 구매 이후의 혼동, 역혼동 등의 개념으로 분류하여 분석적으로 접근함으로써 각각의 사안에 합당한 결론을 도출하려는 경험적, 실증적 태도를 취하는 점 등의 특징이 있다. 인터넷과 관련된 상표법상의 쟁점으로는 도메인 네임의 사용, 메타태그, 링크, 프레이밍, 키워드 셀링에 있어서의 상표와의 마찰 및 긴장관계를 들 수 있으며, 미국에서는 이를 관통하는 최초혼동(Initial confusion)의 이론이 최근 쟁점으로 재조명 받고있다. 나아가 이러한 문제들은 상당부분 이미 우리 법 현실에도 일어나고 있을 뿐 아니라 인터넷 기술의 발전 속도와 인터넷의 범용화에 비추어 조만간 우리에게도 현실적인 분쟁의 대상들이 될 것이 분명하므로 이에 관하여 미국 판례법이 미리 축적한 경험의 성과를 잘 분석하고 이해하여 우리 재판실무에 참고할 수 있도록 준비하는 것이 필요하다.

      • KCI등재

        제조방법이 기재된 물건 청구항의 신규성ㆍ진보성 판단

        조영선(Young-Sun Cho) 한국법학원 2015 저스티스 Vol.- No.148

        이 글은 제조방법이 기재된 물건 청구항의 특허요건 판단 기준에 관한 대법원 2015. 1. 22. 선고 2011후927전원합의체 판결에 대한 비판적 검토를 내용으로 한다. 전원합의체 판결이 PBP 청구항과 공지된 선행기술을 물건으로 비교하여 신규성, 진보성을 살펴야 한다고 한 점 및 청구항에 기재된 제조방법은 최종 생산물인 물건의 구조나 성질 등을 특정하는 하나의 수단으로서 그 의미를 가질 뿐이라고 한 점은 타당하고 비교법적 기준에도 부합한다. 그러나 전원합의체 판결이 선행 판례들이 화학, 생명공학 분야 등에서 사용되는 진정 PBP 청구항의 특허요건 판단 시 한정설을 택한 것으로 오해하여 이를 모두 변경한 것은 부당하다. 오히려 선행 판례들의 취지는, 생명공학이나 화학 등 특수한 기술분야에서는 필요에 따라 물건의 제조방법이 물건의 구조를 특정하는 하나의 수단으로 비중 있게 고려될 수 있다는 의미로 이해될 뿐, 오로지 제조방법의 진보성만을 근거로 물건의 진보성까지 인정할 수 있다는 취지로는 해석되지 않는다. 전원합의체 판결은 마치 기술분야에 관계없이 모든 물건발명은 분석화학의 방법을 통해 그 궁극적 구성을 파악한 뒤 이를 선행기술과 대비해야만 한다는 오해를 야기할 우려가 있다. 그러나 이는 PBP 청구항을 인정하는 기본 취지에 반한다. 따라서, 진정 PBP 청구항의 경우, 물건을 제조하는 방법이 선행기술과 다르고, 그 결과물의 특성이 뚜렷이 다르거나 기술적 효과가 의미 있게 달라짐이 확인되면, 물적 구성도 서로 다른 것이라는 추론을 통해 이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합당하며, 이는 세계적으로 심사 및 재판실무에서 널리 이용되어 오고 있는 방법이기도 하다. 전원합의체 판결이 ‘모든 PBP 청구항의 특허요건을 판단할 때는 제조방법을 고려함이 없이 선행기술과 대비하여야 한다’고 판시한 진의는 ‘어떤 PBP 청구항도 선행기술과 제조방법의 대비만으로 특허요건이 판단되어서는 안된다’는 것이라고 이해될 여지가 있다. 만약 그런 것이라면 향후 대법원은 전원합의체 판결의 내용에 대한 오해가 계속되지 않도록 이를 보다 적절히 표현한 후속 판례를 내는 것이 중요하다. 아울러, 심사단계에서 심사관이 언제나 신규성ㆍ진보성 부재의 입증책임 전부를 부담하는 대신 발명의 분야나 특성에 따라 그 입증책임을 합리적으로 분담시킬 필요가 있으며, 향후 판례를 통해 미국, 유럽, 일본 등에서 실무관행으로 정착되어 있는 ‘일응의 입증’이나 ‘입증책임의 사실상 전환’ 등을 도입한 가이드라인을 제시함이 바람직하다. This study is a critical review on the en banc decision of the Supreme Court of Korea: 2015. 1. 22. - 2011 Hoo 927 (Hereinafter, “en banc decision”). It is reasonable and corresponding to global jurisprudence that en banc decision articulated Product by Process Claim shall be deemed as a product and the invention shall be compared with prior art by “structure to structure” method than by “process to process” method. Meanwhile, en banc decision was based upon erroneous understanding that the prior group of the Supreme Court decisions regarded the process in the claims of chemical or biological invention directly works as a limitation in deciding patentability against prior art(s), narrowing the target to identical process. Rather, prior decisions refer that the process in PBP claims in such a field of art shall be regarded as an element to assume the ‘structure’ of claimed invention: the process alone shall not determine whether novelty or inventive step is achieved. En banc decision could arouse misconception that every claimed invention must be defined as its ultimate structure in recognizing patentability, which is obviously unrealistic and against the rationale of PBP. It is mostly the case in the field of chemistry that a material produced by a different process and shows different character has different structure. Hence, it is appropriate to rely on this rule of assumption in recognizing the novelty of ‘unrevealed structure’ of material produced by a new process. Furthermore, this has been admitted as a general method to analyze the patentability of PBP claims in chemistry or bio-technology fields. Probably, en banc decision’s diction saying “the patentability of whole PBP claims must be decided under total disregard of process” may be interpreted as “the patentability of no PBP claim shall be decided by process only”. In this aspect, it is desirable for the Supreme Court to render sequential decisions to eliminate said possible misconception. On the other side, the Supreme Court needs to provide a guideline of ‘Reversed Burden of Proof’ in the process of deciding patentability of PBP claims. This is because in many arts where PBP claims are written, the capability to prove that filed invention is different product from prior art lies on the applicant"s side, not on the examin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