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일반화/변별 능력 중심의 개념발달 검사방법 비교 : 의미자극 대 자각자극 측정방법

        조성원 세종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7647

        본 연구에서는 아동의 일반화와 변별 능력을 평가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지각자극중심 검사 방법과 의미자극중심 검사방법 중 어떠한 것이 아동의 개념발달 수준을 평가하는데 있어 측정학적으로 더 타당하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와 관련하여 본 연구에서 살펴본 구체적 연구가설은 다음과 같다. 1. 의미자극중심 검사방법과 아동의 현 어휘 발달간의 상관이 지각자극중심 검사방법과 아도의 현 어휘 발달 수준의 상관보다 더 높을 것이다. 2. 의비자극중심 검사방법이 지각자극중심 검사방법보다 연령별 차이를 더 민감하게 보여 줄 것이다. 본 연구문제에 대한 자료수집과 관련하여 만 4세에서 6세 아동 86명이 의미자극중심 검사에 참여하였으며, 지각자극중심 검사에는 이들 중 45명의 아동만이 참여하였다. 사용된 의미자극중심 검사는 신종호, 조성원(2002)이 사용한 검사도구를 이용하였으며, 지각자극 중심 검사는 Frostig 가 개발한 것을 여광웅(1955)이 편역한 시지각 발달검사(DTVP)와 Miettenen et al.(1997)이 개발한 프로그램을 근거로 검사를 제작하여 사요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과를 종합하면 다음과 같다. 1. 의미자극중심 검사와 어휘력 결과와의 상관은 일반화와 변별 하위검사 모두에 있어 지각자극중심 검사와 어휘력 결과와의 상관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2. 일반화 하위검사에 있어서는 의미자극중심 검사와 지각자극중심 검사 모두 연령별 차이를 민감하게 반영하였으나, 변별 하위검사에서는 의미자극중심 검사만의 연령별 차이를 민감하게 반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는 의미자극중심 검사와 지각자극중심 검사방법에 비해 취학 전 아동의 발달과 관련된 인지능력(일반화와 변별)을 평가하는데 더 타당한 검사 도구라는 것을 시사한다. 따라서, 아동의 개념발달을 평가하는 검사의 경우 검사를 구성하는 자극(문항)들이 아동이 실제 생활속에서 경험할 수 있는 유의미한 내용을 중심으로 구성·실시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본 연구는 아동기 인지능력 발달과 관련한 검사방법 구성에 대해 하나느이 지침을 제공한다고 생각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compare psychometric features of two testing methods for measuring concept-related cognitive abilities of generalization and discrimination. The two methods were meaning- and perception-based tests of generalization and discrimination abilities for young children in preschools and kindergartens. Specifically, two research questions were addressed as follow. 1. The meaning-based test would have higher criterion-related validity than the perception-based one in relation to a criterion measure of children's expressive language. 2. The meaning-based test would have higher group-discrimination validity between different age groups than the perception-based one. Eighty-six children aged 4 to 6 participated in the study who were sampled from two preschool sites located in the Kyoung-Gi providence. The meaning-based test used in the study was developed by Professor Shin at Sejong University, and the perception-based test used was developed on the basis of the Frostig's Developmental Test of Visual Perception and the program developed for enhancing perceptual abilities of young children by Mettinen et al. (1977). Results of the study show that the meaning-based test had higher criterion-related validity than the perception-based test, and that the former also revealed more sensitive discrimination than the latter among different age groups that were expected to be different in developmental levels of cognitive abilities. The results suggest that an approach to measuring young children's cognitive abilities related to concept development should be made of testing stimuli reflecting their meaningful experiences and situations where those experiences occur.

      • 한국인의 견관절에서 상완골 골두 인공관절 치환술의 3차원 시뮬레이션

        조성원 조선대학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47

        Introduction: This study was done to evaluate the accuracy of the commercially available prosthetic designs in replicating the Korean humeral head anatomy. Methods: CT scan data of 24 Korean patients was taken and their 3D CAD models were generated. Then humeral head prosthetic design of a Bigliani-Flatow (BF) shoulder system was used to do simulation humeral arthroplasty surgery and the humeral head size having the perfect fit were found out. This data was compared with the known literature. Results: All the Korean heads were perfectly matched by one of the sizes available. The average head size was 48.5mm and the average head thickness was 23.5mm. The results match reasonably well with the previous data available in the literature. Conclusions: Korean humeral head anatomy can be recreated reasonably well by the commercially available humeral head prosthetic designs and their dimensions are similar to that of the published literature.

      • 외식 종사자의 근무환경과 직무태도가 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 : 서울지역 외식종사자 중심으로

        조성원 경기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Global economic trends are facing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due to the development of scientific and information technology. Technology and knowledge are becoming key elements, especially, the knowledge and information society that is moving towards its peak. On the other hand, labor-intensive industries are in a slump moving away from new industries. There is an industry that has a difficulty in adapting to these environmental changes. It is the food service industry, which is a representative of the labor-intensive industry. Almost all services in the food-service industry are offered by people. Although robots and machines are replacing humans thanks to the development of food tech, the service offered by humans is still important in the front lines of the restaurant industry. The economy is getting worse, the minimum wage rises little by little every year, and soon it is close to 10,000 won. Nevertheless, the number of people who run their own businesses is increasing based on the positive belief in the restaurant start-ups. Restaurant workers frequently change their jobs due to working conditions and job-related stress so they end up starting their own businesses. Anxiety about the future that the workers have also makes them jump into start-ups. Therefore, this study was conducted on how the working conditions and the attitudes of restaurant workers affect the motivations of starting a business and which factor has a more crucial impact. I set self-development and benefits as the detailed factors for working conditions, job engagement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s those for the workers' attitudes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n this study, 310 copies of the questionnaire were distributed to restaurant workers in Seoul and analyzed using the SPSS Win 21.0 version. The results of the research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working conditions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the motivations of start-ups. Second, the workers' attitudes at work also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that. Consequently, through this study, I found out how job conditions and the workers' attitudes affect start-ups and which one has a greater impact on the motivations of start-ups. It was an opportunity to reflect on the current working environment in the Korean restaurant industry and the attitude that individuals should have when working. We need to figure out why employees start their own businesses and prevent doomed start-ups before formulating a policy to boost them. I’d like to present basic data to ensure those start-ups that are ready. 세계적으로 경제의 흐름은 과학기술의 발전과 정보기술의 발달로 인하여 4차 산업혁명을 맞으며 기술과 지식이 핵심요소로 확대되고 있으며 특히 지식정보 사회는 정점을 향해 달려가고 있다. 그에 반면 노동집약적 산업분야는 경제 불황 또는 새로운 산업에서 멀어지고 있는 추세인데, 이러한 환경 변화에 제대로 대응하지 못한 채 어려움을 겪고 있는 산업이 있다. 노동집약적 산업에 대표인 외식산업이다. 외식산업은 거의 모든 서비스를 사람이 하고 있다. 물론 푸드테크의 발달로 인하여 로봇, 기계가 사람대신 일을 하고 있으나 주된 외식산업의 일선에는 사람들의 서비스가 제일 중요하다. 경기는 점차 어려워지고 있고, 최저시급은 매해 조금씩 올라 곧 최저시급 만원이 코앞으로 다가오는 실정이다. 그에 반면 아직도 외식창업을 긍정적으로 여겨 자영업 창업이 점점 늘어나는 추세이다. 외식 종사자들의 근무환경과 직무관련된 스트레스로 인한 불만족이 잦은 이직을 거쳐 창업의 길로 빠져드는 천편일률적인 수순이며 월급받는 서비스직들의 미래에 대한 불안감은 다양한 미래 중 창업을 가장 쉽게 생각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외식 종사자들의 근무환경과 직무태도가 창업 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어느 요인이 더 큰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연구를 하였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근무환경의 요인으로는 자기개발, 복리후생를 세부 요인으로 정하고, 직무태도는 직무몰입, 조직몰입으로 세부 요인을 정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서울 지역의 외식 종사자에게 설문지를 310부를 돌려 310부를 회수하여 SPSS Win 21.0 버전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한다면 다음과 같은 결론이 도출되었다. 첫째, 근무환경은 창업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둘째, 직무태도는 창업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결과적으로 본 연구에서 밝혀진 근무환경과 직무태도가 창업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를 보며 둘 중 어느 것이 더 창업 의도에 중요한지를 밝혀 현재 우리나라 외식업의 근무환경 문제점과 개개인이 가져야할 직무 태도에 대해 돌아보는 계기가 되었다. 창업을 활성화하기 위한 정책보다는 종사자들이 어떤 원인으로 창업을 하게 되었는지 무분별하게 인구대비 과한 창업을 막고 실력과 경험을 쌓아 올바른 창업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시 할 수 있다.

      • 스테레오스코프에 의한 주행 방향 및 자세 감지 시스템

        조성원 단국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에서는 지능형 로봇 등에서 영상정보 획득을 위하여 필수적으로 내장되어있는 수동형 영상수집 장치를 이용하여 이동체의 주행방향 및 주행로의 상태에 따른 자세변화를 검출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주행방향 및 자세변화를 검출하는 다양한 방법들 중에서 사람이 인지하는 방법을 모방하여서 시스템에 적용하였다. 이는 사람이 주행을 하거나 자세를 변화시켰을 때 생기는 피사체의 크기변화와 위치변화를 이용하여 주행방향 및 자세변화를 검출하도록 하였다. 피사체에 대하여 다양한 정보들을 얻기 위하여 영상처리 기술들을 사용하여 필요한 인자들을 산출하였으며 이를 통하여 제시된 알고리즘에 적용을 하였다. 또한, 주행방향 및 자세변화를 모델링하여 실험 장치를 구성하고 실험을 통하여 그 실현성을 제시한다. 제안된 방법은 간단한 영상의 분석을 통하여 주행방향 및 자세변화를 검출하기 때문에 알고리즘의 수행시간이 우수하며, 필수적으로 영상수집 장치가 있는 지능형 로봇에서는 추가적인 장치가 없어도 된다는 장점도 갖게 된다. In this paper, it is proposed that on the driving and road conditions, moving directions and position changes can be detected using the embedded passive type image capturing devices. Among the various methods for detecting moving directions and position changes, we applied the similar methods to human's detecting procedure through the eyes. When a human moves or changes the positions, the objects positions and sizes on the human eyes are changed and the object variation informations are used to detect the moving direction an position changes. Image processing technologies are used to obtain the various informations from the captured images and the obtained informations are applied to the proposed methods. Through the experimental systems and the modelling of moving objects, it is shown and proved that the proposed methods of moving direction and position change directions can be implemented. The proposed methods use the simple image processing techniques for fast processing speed and the other advantage is that the intelligent robot system uses the existing image capturing devices for moving direction and position changes detection as well as the image data capturing function without additional sensors or devices.

      • 어린이집의 실내 미세먼지 농도 저감을 위한 공기정화장치 설계기준에 관한 연구

        조성원 한양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최근 우리나라의 대기 중 미세먼지가 고농도를 띄는 날이 증가하고 있고, 건물의 틈새나 창문을 통해 외부 미세먼지가 실내로 유입되어 재실자들의 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것에 대한 우려가 증대되고 있다. 특히 영유아는 성인에 비해 미세먼지 노출에 의한 질환에 더욱 취약하기 때문에 실내 환경 중 어린이집은 미세먼지의 관리가 필수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따라서 연구에서는 실제 어린이집을 대상으로 1년간 실내공기질 모니터링을 수행하였으며, 이를 통해 실내에서 제거되어야 할 미세먼지의 부하를 추정하였다. 또한, 모니터링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어린이집에서의 효율적인 실내 미세먼지 저감을 위한 기계환기 장치 및 공기청정기의 설계기준과 운전 방안에 대해 분석하였다.

      • 정밀 튜닝에 의한 진동 기반 고 효율 에너지 하비스터

        조성원 경상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설비관리를 수행하는데 있어 무선센서는 이동성과 통합성이 편리하기 때문에 기계 상태감시에 널리 쓰이고 있다. 그러나 온라인 상태감시를 위해 독립적으로 구동하기 위해서는 배터리를 사용하지만, 배터리용량의 한계로 인해 주기적으로 교환해야하는 번거로움이 있다.1) 이를 해결하기 위해 무선센서가 자체적으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장치가 필요하며, 그 방안 중의 하나가 에너지 하비스터(EH, Energy Harvester)이다.1~3) EH에는 에너지원으로 진동, 온도, 바람, 태양에너지 등이 이용되고 있지만, 본 연구에서는 Fig. 1와 같이 진동에너지를 기반으로 무선센서와 통합하여 사용할 수 있는 EH를 연구하고자 한다. 특히 회전기계는 지속적으로 진동에너지를 공급받을 수 있어 이를 이용한 하비스터 개발이 유용하다.4) 진동에너지를 이용한 EH 개발에서 대상 물체는 압전소자와 코일로 이루어져있다. 여기에서 전기에너지를 최대로 얻기 위해서는 진동의 공진현상을 이용하여 대상 물체를 최대변위를 발생시켜야 한다. 공진주파수는 재료의 질량, 강성, 감쇠를 조정하여 변화시킬 수 있으나 진동하는 물체의 경계조건을 변화시키는 것이 가장 현실적이고 편리한 방법이다. 그래서 이를 이용하여 정밀하게 주파수 튜닝을 할 수 있는 EH 제작이 본 연구의 핵심이다. 이를 검증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압전 재료와 전자기 현상을 이용한 PEH(Piezoelectronic Energy Harvester), EMG (Electromagnetic Generator) 모델의 공진설계, 실험 및 검증을 수행하였다. In the case of the narrow or dangerous place, there is significantly the limitation in using piezoelectric sensors due to the complexity of connection between sensors and acquisition equipments. An alternative way to solve the limitation to the wireless sensors. However, wireless sensors require independent power source to support their activity. Battery is one of the power sources, which can be straightforwardly used for this purpose. This paper presents a design of energy harvester that can take the place of batteries and eliminate the effect on equipment caused by failed batteries. The energy harvesters are capable of creating usable electricity based on many sources such as mechanical vibrations, temperature, wind, solarpower, etc. Among them, vibration source often can be used easily due to machine vibration. Therefore, vibration-based source is used for energy harvester in this study. In addition, for the purpose of using the resonance energy to obtain the maximum amplitude value of energy harvester and magnetic generator used piezoelectric amplitude, the length of piezoelectric method can be adjusted by utilizing the regulator. It is the novel contribution in the developed energy harvester.

      • Sn-doped Bi2Te3 위상절연체 박막에서의 벌크전도성 억제

        조성원 科學技術聯合大學院大學校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밴드구조의 특별한 위상(topology)으로부터 기인하는 ‘위상적으로 보호된 표면 상태’(topologically protected surface state, TSS)를 보이는 위상절연체(topological insulator)는 새로운 양자상태의 하나로, 최근 학문적, 실용적 중요성으로 인해 많은 관심을 끌고 있다. 위상절연체의 독특한 표면상태를 관찰하고, 이를 이용한 소자 개발에 있어서 현재 가장 큰 문제점은, 본래 부도체의 특성을 보여야 할 벌크(bulk)에서 여전히 큰 전기전도도가 나타난다는 점이다. 그 이유는 결함에 의한 도핑 때문인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이로 인해, 잘 알려진 3차원 위상절연체(Bi2Se3, Bi2Te3, Sb2Te3)에서는 n-type의 전도 특성이 나타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보상 도핑(compensation doping) 방법에 대한 실험을 진행하였다. 이를 위해, 잘 알려진 위상절연체 물질이며 n-type을 전도 특성을 보이는 Bi2Te3에 Sn을 도핑하여 도핑 농도에 따른 벌크 전도성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Sn도핑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벌크 전도성이 크게 억제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자기저항(magnetoresistance, MR) 특성에 대한 연구를 통해, Sn이 도핑된 Bi2Te3 박막에서 높은 스핀-궤도 결합에 의한 약한 반국소화(weak antilocalization)현상에 의해 전하 수송이 지배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스핀-궤도 결합의 세기는 Sn의 도핑에 의해 크게 감소하여, 상 감쇠거리(phase relaxation length)가 도핑을 하지 않은 Bi2Te3 박막에 비해 약 3배 정도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특정 온도에서 자기저항이 최대값을 가지는 현상이 관찰되었는데, 이는 보상 도핑에 의해 전자와 정공(hole)의 공존에 의한 것을 설명할 수 있다. 이러한 결과들은 모두 전하의 보상도핑과 관련하여 해석될 수 있으며, 우리는 이 결과가 위상절연체의 표면상태를 활용하는 완전히 새로운 전자소자의 개발에 많은 아이디어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한다. A topological insulator (TI), a new quantum state featured with the topologically-protected surface state (TSS) originating from its unique topology in band structure, has attracted much interest due to academic and practical importance. A major issue to the study and the application of the TSS is a large contribution of the bulk conduction, which should be suppressed in nature. The large bulk conductivity is reported to be attributed to the free carriers unintentionally doped by defects. As a result, most of the famous three-dimensional (3D) topological insulators (Bi2Se3, Bi2Te3, Sb2Te3, …) usually show n-type conductivity. To resolve this problem, we have performed experiments on the method of compensation doping. To this end, we investigated the change in bulk conductivity by doping Sn in Bi2Te3, which shows n-type conduction for undoped films grown by Metal-Organic Chemical Vapor Deposition (MOCVD) technique. As Sn concentration increases, it was found that the bulk conductivity was strongly suppressed resulting in the insulating behavior of the bulk. Moreover, through the investigation of the magnetoresistance (MR) of the Bi2-aSnδTe3 thin films, the carrier transport was found to be dominated by the weak antilocalization (WAL) due to the strong spin-orbit coupling. The strength of the spin-orbit coupling was found to decease with increasing Sn concentration, leading to about three-fold increase of the phase-relaxation length of the Sn-doped Bi2Te3 films compared to the undoped Bi2Te3 film. And, the last, the temperature dependence of MR was found to show an intriguing behavior, a broad peaked structure around a temperature depending on the Sn concentration, which is explained in terms of the coexistence of electrons and holes supplied by defects and compensation doping, respectively. We believe, provide an important step for the application of topological insulators for developing novel functional devices based on the topological surface states.

      • 한국어의 저지현상에 대한 계량언어학적 연구

        조성원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논문에서는 한국어의 접사에 의한 파생에서의 저지(blocking)가 일어나는 양상을 계량언어학적 방법론을 도입하여 포착하고 그러한 모습으로 나타난 이유에 대해 탐구하고자 했다. 저지란 어휘부에 존재하는 어떤 형태가 다른 동의적인 경쟁 형태의 출현을 방해하는 현상이다. 선행 연구에서는 서구의 연구자와 국내의 연구자를 가리지 않고 저지를 형태론적 현상의 변방에 두어 홀대한 경향이 있다. 고전적인 연구에서 저지현상은 언어적 제약으로 설명할 수 없는 단어의 출현 제약을 이름 짓는 역할에 머물렀고, 코퍼스와 빈도를 통한 최근의 연구에서도 기술이 비교적 간단한 생산성에 관한 논의가 대부분이었다. 특히 계량언어학적 측면에서 저지를 독립적으로 다룬 국내의 연구는 전무하다고 보아도 무방하다. 그러나 최근 품질이 높은 한국어 말뭉치가 수차례 구축되고 자료를 처리할 통계적인 방법론과 소프트웨어도 다양하게 개발되면서 앞선 연구에서 타협한 문제에도 도전할 수 있는 여건이 마련되었다. 파생과 같은 형태론적 현상은 빈도와 깊은 관련을 맺고 일어나기 때문에 이는 그동안 소홀했던 주제인 저지현상을 보다 나은 계량언어학적 방법으로 연구하기에 절호의 기회라고 여겨졌다. 이와 같은 인식 아래 본 논문에서는 크게 세 가지 목적을 정하여 논의를 전개하였다. 첫째, 직관적인 분석에 그쳤거나 기술적인 한계가 있어 부족한 점이 있었던 기존의 계량적 연구 방법을 종합하고 수정한다. 둘째, 접사별 파생어들의 최신화된 빈도 분포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여 필요한 지표를 구하고 언어학적 의미를 탐구한다. 셋째, 정리한 자료를 바탕으로 한국어 저지현상의 공시적인 모습과 기존에 알려지지 않은 발생 양상을 파악한다. 2장에서는 코퍼스에 나타난 언어의 상태를 논의의 목적에 알맞게 가공할 계량적 방법을 고안하였다. 선행 연구에 따르면 어떤 파생어가 어휘부에서 인출될 때는 단어 전체가 통째로 저장·인출되거나 접사+어근으로 분석(parsing)되어 새로 조합하는 두 가지의 경로 중 하나를 통한다. 이 현상은 단어의 빈도와 밀접하게 관계되어 있다. 빈도가 높은 파생어는 대체로 어휘부에 그대로 저장되는 경향이 강하지만 빈도가 낮은 파생어는 필요에 따라 조합해서 쓰는 경향이 강한 것이다. 생산성에 관한 계량적 연구에서는 이들 두 부류의 파생어 집합이 만나는 지점인 분석 임계점, 혹은 저장 임계점을 찾을 방법을 찾기 위해 부단히 노력해 왔다. 접사의 생산성을 계산하기 위해서는 분석 경로를 따르지 않은 파생어를 분석 대상에서 제외할 수 있어야 하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서는 낮은 빈도에서는 주로 분석 경로를 거치다가 빈도가 높아짐에 따라 저장되는 경향이 더 강해지기 시작하는 임계점을 특정하고 그 빈도를 구할 수 있어야 한다. 2장에서 기존 연구를 종합하여 고안한 빈도 분석 방법은 바로 이 지점을 찾기 위한 것이다. 3장에서는 경쟁 관계에 있다고 생각되는 접사들과 그렇지 않은 접사들을 묶어 파생어의 빈도 분포를 분석하고 각 접사의 생산성과 저장 임계 빈도를 추정하였다. 파생어의 빈도 정보는 4장에서 저지의 실현 양상을 확인하는 데에 필수적인 기초 자료가 된다. 기존의 연구 결과에서 주장한 바와 같이 저지는 어휘부에 미리 저장된 파생어가 다른 파생어의 출현을 막는 것이므로 저장 강도를 간접적으로 나타내는 지표인 빈도를 통해 분석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런데 4장에서 무엇보다 새롭게 주장하고자 한 점은 신어 파생에서도 경쟁하는 접사들 사이에 저지가 일어난다는 것이다. 여러 접사의 생산성과 임계 빈도를 구해 보면 경쟁 접사의 그룹 내에서 생산성의 전반적인 격차가 규칙적으로 나타난다는 사실도 확인할 수 있다. 빈도와 접사의 의미에 따라 파생어들을 분류해보면, 이는 경쟁하는 접사들 사이의 의미별 분업에 의한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이러한 신어 파생에서의 분업은 접사의 전형적인 용법과는 관계없이 일어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렇다면 의미적으로는 파생할 수 있으며 실제로 종종 파생이 일어나는 영역에서도 단지 경쟁하는 접사가 담당했다는 이유만으로 파생이 억제되고, 결과적으로 생산성의 격차가 발생한 것이므로 이를 신어 파생에서의 접사 간 저지로 볼 수 있다. 저지현상은 어휘부의 저장과 관련된 현상이므로 빈도를 통한 계량언어학적 연구에 적합하지만, 생산성과 같이 접사 내적인 빈도 구조를 살피는 것으로 충분한 개념들과 달리 여러 접사를 함께 비교해야 하므로 더 고차원적인 분석 방법이 필요했다. 즉, 파생어들을 빈도와 함께 단순히 나열하고 그 목록을 직접 해석하는 기존의 방식으로는 저지를 충분히 이해할 수 없다. 언어 자료가 갖는 통계적 특성을 적극적으로 활용함과 동시에 관련된 언어학적 개념을 도입했을 때에야 비로소 인지할 수 있는 거시적인 구조가 언어 내에 분명 존재하는 것이다. 이런 측면에서 볼 때, 형태론뿐 아니라 언어학의 다양한 분야에서 계량적 방법론이 새로운 시각을 제시할 수 있는 여지는 무궁무진하다고 할 수 있다. This paper is about capturing the pattern of blocking of affixal derivation in Korean by introducing quantitative linguistic methodologies, and about seeking for explanations behind such pattern. Blocking is a phenomenon in which a certain morphologically complex form being not able to appear due to the mere existence of a synonymous rival. Unfortunately, there has been tendency among both Western and Korean researchers in the field of morphology to shun dealing with this concept because of its complexity. Unlike more popular subjects such as morphological productivity, one has to deal with multiple affixes(or derivational rules) simultaneously in order to find any regularities from blocking. So the concept of blocking has long been treated like a dustbin which contains all the non-occurrence leftovers that linguistic restrictions could not handle. It was of course for most of morphologists, even those who are familiar with quantitative approaches, to concentrate working with productivity. As for the Korean linguistics, It would be safe to say that there has not been any research in the field of quantitative linguistics that was exclusively on blocking. However, as high-quality Korean corpus continue to be built and various statistical methods and software to process big data developed, dealing with intricate morphological topics is becoming unprecedentedly feasible. Since morphological phenomena such as derivation are closely related to frequency, it was considered golden opportunity to study the neglected subject of blocking in a quantitative perspective. Under this context, three general objectives were set for this paper. First, revise the existing quantitative methods, which resorted largely to intuitive analysis. Second, collect the latest frequency distribution data of derivatives for each affix and analyze them to obtain necessary indicators for exploring their linguistic implications. Third, identify the previously unknown type of blocking that occurs between affixes. In chapter 2, new quantitative method for processing corpus into data table and visualizing them to be more suitable for the purpose of this discussion was devised. According to previous arguments, when a derivative is retrieved from the lexicon, it follows one of either paths: direct whole-access route or parsing route. This mechanism is related with frequency, since derivative words with high frequency tend to be stored as a whole, while infrequent ones are more likely to be composed when they are needed. It was natural that a lot of quantitative researches on productivity eventually endeavored to locate frequency threshold where the derived words start to be easier to be stored as a whole. The threshold was necessary for calculating productivity in the sense that words that did not follow the parsing route should be excluded from analysis beforehand. The new method for analyzing frequency distributions in chapter 2 was designed to locate this critical point of parsing. In chapter 3, frequency distribution of derivatives of competing and non-competing affixes are analyzed, and then the results are used to estimate productivity and parsing/storage threshold of each affix. Analyzed data of frequency distribution works as an basic data for identifying how blocking realizes between word tokens. As former researchers asserted, frequency takes crucial part in accounting for blocking. This is because blocking is basically a deterrence in morphological occurrence, of which deterring power is a function of frequency of the pre-stored word. What this paper tried to assert the most in chapter 4, though, is that the blocking between suffixes – which have long been disproved of its existence - does occur, when neologisms are coined. Correlation between productivity and threshold frequency of multiple affixes suggest that there is a systematic and general gap in productivity between competing affixes. This gap is caused by ‘semantic specialization’ in producing new words between affixes. The specialized meanings were irrelevant to their typical usage. Then it could be said that blocking between affixes has occurred, since the mere presence of competing affix coerced each affix to specialize in certain meaning and usage, which in turn lead to the productivity gap between them. Highly convoluted phenomenon like blocking reveal its true identity only if adequate means are introduced. By integrating linguistic theories and statistical achievements into more advanced quantitative linguistic methodology, this paper was able to capture the macroscopic structure inherent in natural languag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