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농암 김창협의 성리학과 경세론

        조성산(Cho Sung san) 경인교육대학교 기전문화연구소 2008 기전문화연구 Vol.34 No.-

        김창협은 훗날 낙론계의 종장으로 인식되면서 그의 사유는 노론 전반에 중요한 영향을 끼쳤다. 김창협 학문의 형성과점을 살펴보면 우선 김상헌・송시열을 통해서 주자학과 의리학 학풍에, 나성두・조성기・이단상을 통하여 邵雍 象數學의 학문성향에, 중국으로부터 전래된 서적들을 통하여 최신 중국 학술동향에 영향을 받았다. 이러한 것이 종합되어 김창협의 학문이 형성될 수 있었다. 이처럼 김창협의 사유 형성에는 다양한 연원들이 존재했으며, 그것은 김창협의 학문이 복합적이고 다층적이게 된 주요 원인이었다. 김창협의 성리학은 이기론과 지각론으로 대별할 수 있다. 그는 기존의 학설을 비판하면서 이기와 심성의 관계를 재정립하였다. 이를 통해서 새로운 인간관을 세웠다. 이는 기존의 보수적인 입장을 견지하면서도 새로운 변화에 적응하고자 하는 문제의식 속에서 나왔다. 이러한 김창협의 학풍은 그의 학문이 가졌던 다층성을 말해 준다. 이러한 다층적인 김창협의 학문은 현실인식에도 반영되었다. 단선적인 반청 분위기가 팽배해 있었던 시대에 오랑캐가 밉다고 해서 중국에 남아있는 중화의 여풍까지 버려서는 안된다는 18세기 후반 북학론과 흡사한 주장을 펼치기도 하였다. 또한 봉건・군현제 논의를 통해서 국정운영의 입장도 보여주었다. 그는 봉건제를 私로, 군현제를 公으로 규정하였으며 군현제가 가지고 있었던 현명한 인재 등용의 측면에 주목하였다. When seen from ongm of academic world of Kim, Chang-Hyup, we can find out what kind of factors have affected formation of his academic world. He had been affected by the doctrines[teachings] of Chu Hsi and the doctrines[teachings] of Ui-Ri義理 through academic trend of Kim, Sang-Hun and Song, Shi-Yeol, and by Shao Yung s Learning of Images and Numbers through that of Na, Seong-Doo · Cho, Sung-Gi·Lee, Dan-Sang. The books handed over to Korea from China had influenced formation of his own world of Kim, Chang- Hyup. These had become part of his own academic world of Kim, Chang-Hyup. Kim, Chang-Hyup criticized Yi yi李珥 s theory of li-tong-gi-guk 理通氣局 and emphasized the meaning of li理 in yi-gi theory. Through this work, he also raised the view of human nature as fundamentally good 性善 and tried to explain various figures of human beings in multiple angles. In the theory of consciousness of Shirni心, he criticized both Buddhism and the doctrines of Wang Yangming陽明學 based upon the principle of division of Shim心· Seong性, with an intention of ensuring a space of Shim and raising the values of Shim. This multiple layer of academic world of Kim, Chang-Hyup was reflected in the recognition of reality. He also proposed a theory identical to Northern Leaming in the latter half of 18th century with tight atmosphere of anti-Qing dynasty spirit throughout the nation. In addition, he showed his position over national operation with feudal(Ponggŏn封建) and counties·prefectures(Gunhyun郡縣) System discussion and proposed a direction of statecraft through Gyu-Mo-Chaek規模策.

      • SCOPUSKCI등재

        강체평면에 흉착접촉하는 반구헝돌기의 유한요소모델링

        조성산,박승호,Cho, Sung-San,Park, Seung-Ho 대한기계학회 2002 大韓機械學會論文集A Vol.26 No.11

        Finite element technique considering adhesive forces is proposed and applied to analyze the behavior of elastic hemispherical asperity adhesively contacting the plane surface of semi -infinite rigid body. It is demonstrated that the finite element model simulates interfacial phenomena such as jump -to-contact and adhesion hysteresis that cannot be simulated with the currently available adhesive contact continuum models. This simulation aiso provides valuable information on contact pressure, contact region and stress distributions. This technique is anticipated to be utilized in designing a low-adhesion surface profile for MEMS/NEMS applications since various contact geometries can be analyzed with this technique.

      • KCI등재
      • KCI등재후보

        圓嶠 李匡師(1705~1777)의 이기심성론과 자연학

        조성산(Cho Sung-San) 한국인물사연구소 2008 한국인물사연구 Vol.10 No.-

        조선후기 사상사 속에서 이광사는 소론 강화학파의 핵심적인 위치에 있었다. 그는 이기심성론과 자연학 인식, 고전학, 문학 부분에서 중요한 전형을 제시하였다. 그는 理의 所以然으로서의 특징을 부각하면서 理의 보편성과 포괄성을 주장하였고 氣의 善한 측면을 강조하였다. 이를 통하여 心이 완결적인 존재임을 보여주었다. 이러한 이기심성론을 바탕으로 그는 心을 번잡하게 하지 않고자 했으며 心을 직접 언급하기보다는 實事를 중시하였다. 이광사는 所以然으로서의 理에 주목하였는데, 이것은 그의 자연학 연구에 중요한 이론적 바탕이 되었다. 그가 편견 없이 서학의 성과들을 수용할 수 있었던 것은 그가 인식한 理가 所當然의 측면보다는 所以然에 있었기 때문이었다. 소이연으로서의 理를 강조하였기에 그것이 주자학적인 것이든 서학에서 얻어진 것이든 사물의 실상에 더욱 부합하면 되는 것이었다. 그 결과 이광사는 朱熹의 自然學에 대하여 회의할 수 있었다. 주요비판의 대상은 渾天說이었고 그것에 주요 근거는 地球說이었다. 지구설을 통하여 그는 인간 중심의 천문학 이해에서 벗어나 새롭게 세계를 인식할 수 있었고, 더 나아가 중국 중심의 세계이해에서도 벗어날 수 있었다. 이광사는 고전학 분야에서도 주희의 학설을 회의하였다. 이는 「呂刑辨」(『斗南集』卷3), 「洛誥辨」(『斗南集』 卷3) 등에 잘 나타나 있다. 이처럼 이광사는 주자학적 학문체계를 이기심성론, 자연학, 고전학 부분 등에서 회의하며 새로운 학문체계를 모색하고자 하였다. In the history of social thought in the latter half of Chosŏn Dynasty, Lee, Kwang-Sah(李匡師) had been placed in the core position of Soron(Young doctrines 少論) Gang-Hwa school(江華學派). He had proposed a new prototype in the field of Li-gi-shim-seong(principle-material-mind-nature 理氣心性) theory, physica, classical study, and literature. He had brought us up characteristics of Li as being soiyeon(factural principle 所以然), asserting universality and all-inclusiveness of Li and emphasizing good sides of Gi. With these, he tried to prove that Shim(心) was a conclusive existence. He made an effort to, establish a unique system of shimhak(心學 learning of the mind-and-heart) of his own based upon this kind of Li-gi-shim-seong theory. Lee, Kwang-Sah had paid attention to Li as being soiyeon. That became a crucial theoretical ground for his research on nature. It is because the Li that he recognized was more likely soiyeon rather than sodang-yeon(所當然 moral principle) that he had accepted outcome of western learning(西學) without any prejudices. As a result, Lee, Kwang-Sah questioned the physica of Chu Hsi(朱熹). Lee, Kwang-Sah had doubts about the teachings of Chu Hsi in the categories of li-gi-shim-seong theory, physica, classical study, etc, to search for a new system of academic learning in 18th century.

      • KCI등재

        18세기 영ㆍ호남 유학의 학맥과 학풍

        조성산(Cho Sung-San) 한국국학진흥원 2006 국학연구 Vol.9 No.-

        18세기 영남과 호남은 학술문화가 발전하기에 결코 좋은 환경이 아니었다. 기축옥사ㆍ무신란, 그리고 18세기 이후 심화되는 경향분기 과정으로 인해 두 지역은 여러모로 불리한 입장에 놓일 수밖에 없었다. 이러한 정치ㆍ경제ㆍ사회의 제환경은 이 두 지역 학풍의 전개에 깊은 영향을 끼쳤다. 18세기 영남은 학봉-갈암-대산 학맥을 중심으로 전개되고 있었다. 이 외에 이들 학맥과 직ㆍ간접적인 관계를 가졌던 서애학맥, 최흥원, 남용만, 박손경 등이 각각 개성 있는 학풍을 전개시켜 가고 있었다. 18세기 영남 학풍을 정리하면 첫째로 이기심성론 연구를 들 수 있다. 이는 주로 이황의 ‘이기불상잡’을 강조하면서 율곡학파 성리설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방향에서 이루어졌다. 둘째는 서애학맥 일부에서 진행된 상수학과 천문학 연구였다. 이 연구는 유성룡-유원지의 영향 속에서 진행되었으며 비록 전통적인 주자학의 한계를 벗어나지는 못했으나, 영남학풍의 다양성을 보여준다는 점에서 주목할 필요가 있다. 한편, 18세기 호남에 사상적으로 중요한 영향을 끼쳤던 학풍은 서경덕 계열의 학문경향이었다. 당색을 떠나 이 시기 호남의 지식인들은 대부분 상수학에 깊은 관심을 가지고 연구를 진행하였다. 대표적인 이들은 신경준ㆍ황윤석ㆍ위백규 등이었고, 그 밖에도 많은 인물들이 영향을 받았다. 이 과정에서 명물도수지학과 경세학, 실용학에 대한 다양한 저작들이 나올 수 있었고, 이는 훗날 호남의 실학으로 명명되기도 하였다. 서경덕 학풍의 영향이 장기간에 걸쳐 이루어진 것이라면 18세기 당대의 것으로는 호락논쟁의 영향을 지적할 수 있다. 황윤석, 이기경, 양응수는 낙론에, 위백규는 호론에 가담하여 활동하였다. 18세기 영남지역이 자체의 지역적 전통 속에서 학풍을 전개시켜 가고자 하는 경향이 강했다면 호남지역은 서경덕 학풍의 전통을 계승하면서도 호락논쟁과 같은 중앙학계의 동향에도 민감하게 반응하고 있었다. 이러한 차이는 두 지역이 처한 정치ㆍ사회적 환경의 차이에서 찾을 수 있다. 영남지역이 노론의 정치 공세를 막아내고 남인으로서의 사상적ㆍ정치적 정체성을 지키기 위해서는 나름의 지역적 학술전통을 지켜야 했지만, 호남지역은 상대적으로 그러한 점에서 자유로웠기에 중앙학계와의 연결도 자연스러울 수 있었다. No such favorable atmosphere was made in order to develop acad emic culture in Yeungnam and Honam in the 18th century. As a result of Gi-chook-ok-saha(己丑獄事), coup d'Etat in 1728(戊申亂), and the following process of division between Seoul and the country in the 18th century, those two regions were placed on disadvantageous positions in developing Neo-Confucianism. These general surroundings of politics, economy, and society at that time couldn't help but influence the development of Nee-Confucianism of both regions. In the 18th century, Yeungnam region put more importance on development of academic tradition within its own unique tradition of the region, while Honam region had inherited academic tradition of Suh Gyeong-deok(徐敬德) at the same time reacting to the tendency of central academic world including Horak Debate. These differences can be resulted from various gaps in political and social environment in those two regions. Yeungnam region had to keep up with local academic tradition of its own to prevent its region from the Old Doctrine faction(老論)'s political aggression and maintain ideological political identity of the South erners(南人). On the other hand, Honam region was relatively free from such a thing so that it could easily share academic achievements, accordingly, naturally connect its academic tradition to central academic tradition. Taking these differences into consideration, the differences of academic tradition between Yeungnam and Honam Confucianism in the 18th century can be revealed.

      • KCI등재
      • KCI등재

        18세기 영남 남인 大山學派의 心無出入 논쟁과 그 사회적 의미

        趙成山(Cho, Sung-san) 역사교육연구회 2021 역사교육 Vol.160 No.-

        This article investigates the social significance of the debate about “Sim mu churip,” the idea that the heart-mind neither leaves nor enters the body within the Daesan school in the eighteenth century. The main point of discussion was whether the heart-mind (Sim, 心) was only inside the body or whether it could extend outside of it. This Neo-Confucian debate in the Daesan school had important social significance beyond the theoretical concerns. The argument that the heart-mind is restricted to the body gradually became dominant, a development that was closely related to the social status of the southerners of Yeongnam region. Those who argued that the heart-mind is only in the body thought that the heart-mind was inside the body and grasped the outside and that it could not go out of the body and merge with the outside. I argue that the contention that the Sim must be in our body was more persuasive to the intellectuals among the southerners who were defeated in the Yeongnam region after Yi In-jwa’s rebellion of 1728. From this perspective, the argument that the Sim is only in our body was a Neo-Confucian metaphor for the social position of the southerners of Yeongnam region at the time. This belief separated nature and human beings by dividing the inside and the outside and, in the process, led to the idea of distinguishing people from animals and plants and an emphasis on the difference between the physical heart and other organs in the human body.

      • KCI등재
      • KCI등재

        18세기 후반~19세기 전반 朝鮮의 歲時風俗書와 ‘일상’의 記述

        趙成山(Cho Sung-San) 역사교육연구회 2011 역사교육 Vol.120 No.-

        Dailiness can rarely be recognized to us clearly and it happens to be described or drawn only when it becomes special on account of certain motives or events. It is interesting that many books of seasonal customs were written in the way of reflecting past seasonal customs related to this matter. This suggests the fact to us that books of seasonal customs not only describe contemporary actual seasonal customs but also those of the past in a positive way. In reality, main characteristics of books of seasonal customs at the time were mostly featured in collecting reorganizing those of the past and present. It is the view to seasonal customs which was changed during the reign of King Jeongjo why they were trying to collect and reorganize those of the past and present. In comparison with King Yeongjo, King Jeongjo tried to protect seasonal customs affirmatively, which had an wide range of influence on the contemporary intelligent. Consciousness of crisis that they should protect and conserve living community lied in emergence of independent books of seasonal customs in the 19th century based upon view to seasonal customs which was changed during the reign of King Jeongjo. Consciousness of crisis became a crucial motive in rediscovering dailiness such as seasonal customs. Consciousness of crisis enabled them to experience dailiness differently from before, which also contributed to the development of books of seasonal custom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