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투고논문 : 『무예도보통지(武藝圖譜通志)』의 자형검토(字形檢討) -『규장전운(奎章全韻)』과 18세기 문집(文集) 비교를 중심으로-

        조성덕 ( Sung Duk Cho ) 동방한문학회 2013 東方漢文學 Vol.0 No.54

        18C末은 正祖의 ``文體反正``이 정점을 이루는 중요한 시기라고 할 수 있다. 이 시기는 漢字 字形의 변화에서도 주목할 만하다. 특히 『武圖』는 字種은 적지만 조선 전기에 비해 많은 古字와 獨特한 字形을 사용하였다. ``履`` ``眉`` ``蒡`` ``□`` ``宿`` ``□`` ``申`` ``寅`` ``殿`` ``暴`` 등이 포함된 유형은 『奎章』에 대표자로 수록되었고, 18C末 이후 문집에서도 계속 사용되었다. ``字形變化``에서 ``追加``는 출현시기가 비교적 빠르며, ``康`` ``唐`` ``亂`` ``奔`` ``劒`` 등이 『奎章』에 대표자로 수록되었다. ``省略``은 ``鳥`` ``尤`` 이 포함된 2종만이 『奎章』에 대표자로 수록되어 생략한 형태는 대부분 채택되지 않았다. ``변화``는 출현 시기가 古字보다 빠르며, ``개`` ``鷄`` ``군`` ``飜`` ``胸`` ``劇`` ``死`` ``鎖`` ``□`` ``敍`` ``隔`` ``勇`` ``賦`` ``鐵`` ``慌`` 등의 유형은 『奎章』에서 대표자로 수록되었다. 『武圖』의 가장 큰 特徵은 이전까지 사용하지 않던 ``古字``와 特異字形을 사용한 것이다. 이 字形은 이후 『奎章』에서 대부분 수용되었으며, 『奎章』의 자형은 이후 문집에 수용되어 조선 말기까지 사용되었다. 이러한 현상은 단순한 필획의 기교나 학파와 관계된 것이 아니라 正祖의 ``文體反正``의 일환으로 이루어진 『奎章』이 영향을 끼쳤음을 방증하는 자료라고 하겠다. The end of 18th Century, is regard as very important time of the vertex spread King Chung Jo(正祖)`s “let`s back to pure Stylistic(文體反正)” claim. This time is also need to pay attention in the change of Han Character shape. Among them, in the MuYeDoBoTongJi(『武藝圖譜通志』), the number of Character is very few, but compare with character shape in Early Chosun Dynasty(朝鮮) works, contain used many old character shape and unique Character shape. In the field of type ``履`` ``眉`` ``蒡`` ``□`` ``宿`` ``□`` ``申`` ``寅`` ``殿`` ``暴``, used in standard Character shape in 『GyuJangJeonUn(奎章全韻)』, and this shape continue used in personal works press to the end of 18th Century. In the view of Change of Character shape method, use add some component make various type way is Earlier than other way, like a ``康`` ``唐`` ``亂`` ``奔`` ``劒``, all is used in standard Character shape in 『GyuJangJeonUn(奎章全韻)』. In the case of Remove some component make various type, only include two component shape ``鳥`` and ``尤``, is used in standard Character shape in 『GyuJangJeonUn(奎章全韻)』, but the other character is not accepted to this press. In the Case of substitute some component shape is early than use old character , like ``개`` ``鷄`` ``군`` ``飜`` ``胸`` ``劇`` ``死`` ``鎖`` ``□`` ``敍`` ``隔`` ``勇`` ``賦`` ``鐵`` ``慌`` is used in standard Character shape in 『GyuJangJeonUn(奎章全韻)』. A view of used character shape in The 『MuYeDoBoTongJi(武藝圖譜通志)』, The most special thing is acceted and press ``old Character shape`` and different Character shape, not used in any book in the earlier. This character shape is also accepted to 『GyuJangJeonUn(奎章全韻)』, 『GyuJangJeonUn(奎章全韻)』`s character shape is continue used in personal works press to End of Chosun Dynasty. Through this research, can know some of Character shape change in not connect to simple using stroke and component who using, also not connect to some of school `s thinking and using way. Can prove using some of Various character shape in the press to End of Chosun Dynasty, is connected with press 『GyuJangJeonUn(奎章全韻)』 by King Chung Jo(正祖)`s “let`s back to pure Stylistic(文體反正)” claim.

      • KCI등재

        한국문집의 이체자 자형연구(2)

        趙成德(Cho, Sung-Duk) 한국고전번역원 2010 民族文化 Vol.- No.35

        본고는 한국문집에 나타난 이체자의 자형을 『한국문집총간』에서 추출하여 ‘構件의 변화’라는 틀 안에서 세부 항목을 설정하였다. 그리고, 해당하는 용례를 정리하여 자형 변화가 생기게 된 원인과 변화된 자형이 나타나는 글자들을 검토하였다. 특히 변화의 양상이 다양한 人, 口, 太, 火의 4건 자형을 대상으로 하였다. 본고에서는 漢字 構件을 유형별로 정리하고 용례를 열거한 후 해당 자형의 변화를 간략히 설명하는 방식을 채택하였다. 글자의 범위는 폰트가 있더라도 정자를 제외한 글자에 대해서는 가능한 한 출전을 병기하였다. 분류 항목은 漢字 자형의 변화로 볼 때 연관이 있다고 생각하는 構件을 유별로 정리한 것이다. 따라서 서로 연관이 없어 보이는 構件이 동일한 항목에 포함된 경우가 있다. 또한 構件에 해당하지 않지만 구분이 필요한 경우에도 構件과 동일하게 분류항목을 설정하여 정리하였다. 현재는 여건상 일부의 검토에 그쳤으나 향후 지속적인 연구를 진행하면 문집에 사용된 이체자의 유형에 대한 심도 깊은 연구가 이루어질 것으로 생각한다. This paper progress the research that extract some examples of variant Chinese characters in ‘Comprehensive Edition of Korean Literary Collections’ and set up the details in the changes of structural component. And then we study the reasons that make the changes of characters and the characters changed forms through organizing the examples. Especially, 人(person), 口(mouth), 大(big), 火(fire) which are variant shapes of the change are main research object. We arrange the Chinese characters by structural component types, list the examples, and then give a simple explanation of the changes of the each character. If the characters are not the unsimplified form of Chinese characters even though it could show on the computer monitor, we use the images from Comprehensive Edition of Korean Literary Collection Categories are organized the related structural component types in aspect of the changes of Chinese characters. Therefore some structural component that looks intuitively independent each other could be in the same category. Also, when some cases which are not applicable to structural component need to classify, we give categories them as structural component. This research is continued for the future, we expect the in-depth study about the type of the variant Chinese characters in old Korean literary works.

      • KCI등재

        한국문헌 소재 이체자 정형화 방안(2) -목(目)이 포함된 자형을 중심으로-

        趙成德 ( Cho Sung-duk ) 동방한문학회 2020 東方漢文學 Vol.0 No.82

        본고는 한국고문헌에 나타난 異體字를 정리하고 이를 표준화하는 데 어떠한 과정이 필요하며 어떻게 처리하는 것이 합리적인지에 대한 문제제기이다. 기존의 국가DB에서는 가독성을 이유로 대부분 正字로 입력하였으나 사전은 DB와는 달리 구조상 변별성이 있는 자형은 별도의 자형으로 인정하여 수록하는 것이 바람직해 보인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별도의 字形으로 인식될 수 있는 字形을 기준으로 유형을 나누고, 그 유형들이 과연 별도의 표제자로서의 가치가 있는지를 가늠해 보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目이 포함된 자형의 변화를 검토하였다. 目 역시 口와 마찬가지로 독립적으로 쓰일 때는 자형의 변화가 거의 일어나지 않지만 다른 글자와 통합되어 새로운 글자를 형성할 때는 많은 변화가 일어난다. 目의 변화 유형은 直, 眞, 県(縣), 睿, 鼎 등으로 분류하여 검토하였다. 일부 자형은 정자로 통합하는 것이 타당한 경우도 있었으며, 어떤 자형은 원래 형태로 정형화해야 하는 경우도 있었으며, 어떤 자형은 어느 쪽으로 정형화하는 것이 좋은지 결론을 내리지 못한 경우도 있었다. 그러나 이 연구를 통해 한국고문헌에는 중국이나 일본의 문헌에서는 볼 수 없는 새로운 자형들이 사용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처럼 한국문헌의 이체자 연구를 토대로 다른 한자문화권 국가의 경우와 어떻게 다른지 판별함으로써 한자문화권의 同異性을 확인하는 하나의 계기가 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ake a question about how to organize and standardize the variants Characters in Korean old works. When old books digital database produced by the Republic of Korea, is to replace standard characters input with variants for readability reasons, so its original data and database data are inconsistent. But, want to publish a Character dictionary about Korean unique glyph, you should include all variants of each Character. But we can't get all the income in Character glyph. We must judge the rationale. In this study, the classification and type characteristics of variant Characters are mentioned, and the possibility that variant Characters are prefixes is also explained. This paper mainly studies a kind of words which contain “目” components. as well as 口 Component 目 is used alone without any change in shape, but when a word is generated with other components, no matter the number of strokes, components and strokes, there are many glyph changes. The change of component's 目 can be divided into the categories of 直, 眞, 県(縣), 睿, 鼎. Some Characters suitably summarize standard characters; some characters need new glyph characters; some characters are difficult to determine which classification to generalize. Through this study, found that many variants characters in Korean old works, do not exist in Chinese and Japanese. I hoped that a comparative study of the variants in Korea and other countries, will prove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in the cultural circle of Han-characters in East Asia.

      • KCI등재

        한국문집의 이체자 자형연구(1) -『한국문집총간』을 중심으로-

        조성덕 ( Sung Duk Cho ) 동방한문학회 2008 東方漢文學 Vol.0 No.36

        본고는 한국문집총간에 나타난 조선시대의 다양한 이체자의 자형과 원리를 검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같은 한자문화권인 중국·대만·일본의 경우 한자의 이체자형에 대한 연구가 金石文을 비롯하여 각종 서적까지 광범위하게 진행되고 있으며, 그 결과 많은 전문 연구서적과 사전들이 출판되어 자국의 문화를 연구하고 이해하는 데 많은 도움을 주고 있다. 이에 반해 우리나라는 일부 학자와 연구기관에서 산발적으로 연구를 해오고 있으며, 그나마의 소중한 연구 성과도 제대로 활용되지 못하고 있다. 이체자 자형의 연구에서 분류 원칙은 크게 필획의 추가와 생략으로 나눌 수 있다. 일반적으로 글자에 단순한 획이 추가되는 이유를 보면 크게 `필사의 편리함`, `자형의 안정감`, `다른 글자와의 구분의 필요성` 등으로 나눌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자형의 변화는 개인적인 필기습관의 차이나 시대적 특성과 맞물려 다양한 형태로 변화하였다. 반대로 필획을 생략하는 이유를 살펴보면 `빠른 필사를 위해 번거로운 획이나 복잡한 획의 생략`, `글자 구분에 문제가 없는 복잡한 획의 생략`, `쓰기에 편리한 성분으로 대체`, `부호를 사용하여 생략하는 경우`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필획의 생략은 필획의 추가보다 좀 더 다양한 유형으로 나타난다. This paper purpose to research about variant chinese character`s form and principle how they changed original form in old Sino-Korean collection work series at Chosun dynasty. In the same Sino-chinese culture area, like PRC, Taiwan, Japan`s variant chinese characters research is now extend from the epigraph to innumerable old books, their research activities became published and open to the world, can help other person understand and research their old culture. But, in korea only a few people or some of research institute only interest find variant chinese character in some field. Even so their research result limited accept and use for other research. Provide principle about Variant chinese character form`s, can separate two way. One is adding stroke, the other is removing stroke. So many case, adding stroke principle reason is for "more convenient for writing", "stabilization form", "need a distinction between similar character form". But, like this some reason is mixed with one person`s writing way or some age`s special quality, go to changed numerable special form. In case of removing stroke, we can find some of reason, like "for more quickly writing", "removing no need to distinction some character`s stroke", "change more convenient stroke or symbol". Like this removing way more complex than adding stroke.

      • KCI등재

        논문(論文) : 『조선왕조실록(朝鮮王朝實錄)』 자형검토(字形檢討) -정족산본태조(鼎足山本太祖), 태종(太宗) 『실록(實錄)』을 중심으로-

        조성덕 ( Sung Duk Cho ) 한국한문고전학회(구 성신한문학회) 2011 漢文古典硏究 Vol.23 No.1

        본고는 정족산본 『朝鮮王朝實錄』의 漢字 異體字形연구의 타당성을 검토하기 위해 진행한 기초 작업이다. 『實錄』은 오랜 기간에 걸쳐 편찬된 歷史書인 만큼 時代나 편찬시기에 따라 여러 자형이 존재한다. 본고에서는 정족산본 『태조실록』 권1, 『태종실록』 권1을 대상으로 검토를 진행하였다. 본고에 열거한 유형은 『韓國文集叢刊』에 나타나지 않은 자형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표제자와 동일한 원리의 자형이 있을 경우 예시하였다. 본고에서 검토한 1. 기존 筆劃이 추가되거나 변형된 유형에서 ``臣`` ``幹`` ``□`` 3種, 2. 글자 판단에 영향을 주지 않는 한도에서 중복되는 필획이나 일부 필획을 생략한 유형에서 ``□`` ``□`` ``□`` ``兜`` 4 種, 3. 유사한 構件으로 변하거나 새로운 형태로 변한 유형에서 ``□`` ``□`` ``留`` ``助`` ``□`` ``擒`` ``□`` 7種의 자형은 中國의 字書와 日本의 『難字異體字典』, 韓國의 『高麗大藏經異體字典』에 나타나지 않았다. 『太祖實錄』에서는 ``□`` ``□`` ``□`` ``□`` ``著`` ``□`` ``草`` ``□`` ``黃`` 등의 윗부분에서 ``□-□``의 변화현상이 자주 나타나며, 『太宗實錄』에서는 ``價`` ``貢`` ``須`` ``實`` ``殃`` ``□`` ``資`` ``積`` ``頁`` 등의 아랫부분에서 ``貝-貝``의 형태의 자형이 자주 나타났다. 中國字書와 비교 검토한 결과 주로 碑文과 隸書에 관련한 책에 『實錄』과동일한 자형이 나타났으며, 이 중 절반이 넘는 15件의 字形은 中國과 日本의 字書에 나타나지 않았다. 漢字文化圈의 모든 자료를 검토하지 않았지만 『實錄』의 일부를 검토한 결과 他國의 字書와 『文叢』에서는 볼 수 없었던 자형과『실록』만의 독특한 자형이 눈에 띄었다. This review is first progress for build Variants Han Character table used in "The Annals of the Choson Dynasty(朝鮮王朝實錄)". "The Annals", as you know, not is one time or one person write, is using long time and join many people make history book, so in this annals book series as when published holding various character shape. This time, I focus on find a various character shape in the "The Annals of the Kings Taejo (太祖) volume1, Taejong (太宗) volume1", and make a result table except the various character shape in the "Comprehensive edition of Korean literary collections(『韓國文集叢刊』)". The result is, 1. kind of change stroke shape or adding, find ``臣`` ``幹`` ``□`` 3 shape. 2. kind of remove storke which repeat or fo make simple, find ``□`` ``□`` ``□`` ``□`` 4shape. 3. kind of change some component shape to similar shape or change to new shape find ``殃`` ``□`` ``留`` ``□`` ``□`` ``擒`` ``□`` 7shape. above 3 kind of shape is can not find any review or Han Character dictionary which China, Japan, and Korea. "The Annals of the Kings Taejo(太祖) volume1, list of ``□`` ``□`` ``□`` ``□`` ``著`` ``□`` ``草`` ``□`` ``黃`` character, we can find top of character ``□ change to □``, The Annals of the Taejong(太宗) volume1, list of ``□`` ``價`` ``貢`` ``須`` ``實`` ``殃`` ``□`` ``資`` ``積`` ``頁`` character, we can find under of character ``貝 change to 貝``. Compare with Han Character dictionary published by China, mostly similar shape using old Inscription(碑文), Han Official script(隸書), but 15 character shape is not find and book and dictionary, is unique shape.

      • KCI등재

        ‘인명용 한자’ 자형 및 자음 표준화 방안 연구

        조성덕 ( Cho Sung-duk ) 동방한문학회 2018 東方漢文學 Vol.0 No.76

        우리나라의 ‘人名用漢字’는 여러 차례에 걸쳐 범위가 확대되었으며, 2009년에는 주민 인명용 한자와 호적 인명용 한자를 통일하여 주민등록 발급 및 열람에 적용하고 있다. 그러나 ‘인명용한자’ 확정에 명확한 원칙이 정해지지 않아 일부 자형과 자음에 혼선이 나타난다. 그 중에는 이체정보 오류로 인한 음가오류와 동일한 한자가 음가에 따라 이체자가 다른 경우가 있었다. 또 KS에 포함되지 않은 자형이 대표자로 수록된 경우와 속자가 대표자인 경우가 있었으며, 자형 판독 오류로 인해 자형이 중복된 경우도 발견되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우선 ‘인명용한자’의 기본 원칙의 수립이 필요하다. 한번 예외 조항을 두기 시작하면 결국 유사한 자형의 이체자와 이음자를 인정할 수밖에 없을 것이다. 향후에 발생한 문제 및 오해의 소지를 만들지 않기 위해서라도 ‘인명용한자’의 자형과 자음 정리가 필요해 보인다. 중국이나 일본의 경우 국가기관이 주축이 되어 한자의 대표 자형을 체계적으로 제정한 것을 참고할 필요가 있다. 이체자 정보 오류도 대표자 제정과 맞물려 있는 중요한 문제이다. 정자를 규정하는 원칙이 세워지면 속자를 포함한 이체자 문제는 자연스럽게 정리될 것이다. 이를 위해 본고에서는 ‘인명용한자’의 정리방안을 크게 두 가지로 제시하였다. 첫 번째는 현재 등록된 한자의 빈도를 추출하여 빈도순으로 정리하는 것이고, 두 번째는 현재 등록된 한자의 이체관계를 검토하여 유형별로 정리하는 것이다. 이 두 가지 방법을 통해 「인명용한자표」에 나타난 문제가 개선될 것이다. The number of "Chinese characters for Koreans names(人名用漢字)" has been expanded several times. In 2009, Chinese characters for residents names (人名用漢字表) and Chinese characters for family names are unified and used for issuing resident registration. However, there is no definite principle in the "Chinese characters for human life", and some forms and consonants are mixed. Among them, there were cases where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transcendence according to the sound of the same kanji as the sound error due to the error of the transfer information error. In the cases where the characters not included in the KS code were recorded as representatives and the abstraction was representative, It was also found that the patterns overlap. In order to solve these problems,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the basic principle of "Chinese characters table for Koreans names". Once you begin to place an exception, you will eventually have to accept a similar type more and more. It is necessary to arrange the shape of "kanji mark for the name of life" and the consonant arrangement to prevent future trouble and misunderstanding. It is necessary to refer to the systematic establishment of the representative form of Chinese characters in China or Japan as the main body of the government. The issue of the transferee is also an important issue in connection with the formulation of representatives. Once the principle of spermatozoa is established, the issue of transcendence, including the genus, will be sorted out naturally. sugget two ways of organizing the "Chinese characters for Krean name". The first is to extract the frequencies of the currently registered Chinese characters and arrange them in order of frequency. The second is to review the transfer relations of the currently registered Chinese characters and sort them by type. I think that a lot of kanji will be arranged in ‘kanji for the people’ by way of these two methods.

      • KCI등재

        新出字形의 접근방법과 판독유형

        조성덕(Cho, Sung-duk) 한국고전번역원 2015 民族文化 Vol.46 No.-

        본고는 고문헌을 접하는 연구자들이 신출자형을 판독하는 데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고자 필자의 경험을 토대로 몇 가지 유형으로 나누어 정리한 것이다. 신출자형의 판독을 위해 접근할 수 있는 방법은 다양하므로 연구자의 성향이나 전공에 따라 편리한 방법으로 접근하는 것이 유리하다. 2장에서는 신출자형의 접근방법을 ‘원전텍스트’, ‘유사내용’, ‘운서자료’ 세 가지로 나누어 기술하였다. ‘원전텍스트’에서는 13經과 諸子百家와 관련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1차적으로 원전텍스트를 검토하고, 전거를 찾기 어려운 경우 <고전DB> 등 각종 DB를 통해 유사내용을 확인하는 방법과 유사자형의 비교를 통해 검토하고, ‘운서자료’에서는 韻文에 해당하는 자료의 경우 韻字를 검토하여 해당 자형을 검증하는 방법 등을 소개하였다. 3장에서는 자형분석을 통해 판독한 유형을 ‘異體字’ ‘異形字’ ‘音借字’ ‘校勘’으로 나누어 기술하였다. 이중 유형이 많은 ‘異形字’는 새로운 구조, 簡化, 繁化, 異動, 類化, 對替, 追加 등으로 세분하였다. ‘誤字와 校勘’에서는 한국고전번역원의 <교감지침>을 참고하여 誤字로 간주하여 교감처리를 할 것인지, 이체자로 인정하여 바로 대체할 것인지가 애매한 유형들에 대해 검토하였다. This paper is based on my experience of summarizing newly encountered characters into several types. I hope it will be of help to researchers. In reading old documents, it is necessary to recognize and decide if certain Chinese characters are new to the reader or simply represent a variant form. In section two, I will discuss a three-point method to recognize difficult Chinese characters; the three points are their use in old texts, their similarity to other characters, and the contents of rhyming dictionaries (韻書). If a researcher believes that the text in question is related to the thirteen classics (十三經) or an early Chinese philosopher (諸子百家), he must first review the text and look to find the same text in the classics. If it is difficult to locate the text in question in the classics, the researcher should then search for similar content. This can be done by using a large database. The third method is using rhyming dictionaries. The researcher should look for the character’s rhyme and then search for the same or similarly shaped characters in the book. By using the way explained above, the researcher can make decisions about the new character shape and assign it to one of five categories: variant (異體字), various structural component (異形字), characters that are phonetic loans (音借字), wrong shape (誤字) and collation (校勘). Various structural components occur by reason of novelty, simplification, complication, movement, ellipsis, replacement of component, and addition. Also, the wrong shape and collation sections discusses how to review vague characters and divide them into either the category of having the wrong shape or one of various other forms of a character.

      • KCI등재

        데이터 정제의 관점에서 본 한국문집총간 XML 문서 검토

        최지연 ( Choi¸ Ji Yeon ),조성덕 ( Cho¸ Sung Duk ),최동빈 ( Choi¸ Dong Bin ) 근역한문학회 2021 한문학논집(漢文學論集) Vol.60 No.-

        정보화 기술이 고도화됨에 따라 단순한 데이터베이스의 서비스보다 DB의 재가공 또는 DB 융합 서비스 등 다양한 형태의 정보 서비스 방식이 요구되고 있다. 본고는 데이터 정제의 관점에서 현재 구축된 한국 고전 데이터베이스 가운데 한국고전종합 DB의 한국문집총간 XML 문서를 검토하였다. 한국문집총간은 한국고전번역원이 삼국 시대부터 대한제국 말기까지 저작된 한국의 문집 중에서 주요 문집을 선정하고, 표점·영인하여 간행한 것으로, 한국고전번역원은 지난 1999년부터 2021년까지 전체 1,259종 500책에 대한 DB 구축 사업을 진행하였다. 본 연구진은 한국문집총간 DB를 기초데이터로 사용하는 과제를 진행하면서 한국문집총간 XML 문서를 검토하였다. 데이터 정제에 영향을 주는 장애요인을 ‘페이지 번호 불일치’, ‘데이터 추가’, ‘데이터 누락’, ‘원문 이미지와 XML 한자의 불일치’의 네가지로 나누고 그 원인을 고찰해 보았다. 본고에서 살펴본 한국문집총간 XML에 대한 논의가 신뢰도 높은 데이터를 구축하는 데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From the perspective of data reprocessing, this paper intends to review the XML document of the Korean Anthologies Collection Database among the oriental classic databases currently constructed. 'Korean Anthologies Collection' is a book published by the Institute for the Translation of Korean Classics, from the Three Kingdoms Period to the end of Joseon Dynasty by selecting and imprinting major collections of Korean literature. From 1999 to 2021, the establishment of a database (DB) for a total of 500 books of 1,259 species was completed. The researchers divided the types of errors found in the process of reprocessing and using the DB between Korean literature as basic research data into four categories: page number mismatch, data addition, data omission, and, mismatched XML Chinese characters. As information technology is advanced, various types of information service methods such as reprocessing DB or DB convergence service are required rather than simple database services. We hoped that the discussion on XML between the Korean Anthologies Collection examined in this paper will help build reliable research data.

      • 연구논문 : 지방분권화 시대 대구광역시의 신재생에너지 보급 확대방안

        최용호 ( Yuong Ho Choi ),조성덕 ( Sung Duk Cho )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2004 환경정책연구 Vol.3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 way to develop and disseminate the renewable energy technologies and industries in the local community. Fundamentally, the renewable energy is able to reduce environmental pollution and diminish a use of fossil-fuel energy in the local area. And it will lead to promoting regional sustainable energy in the future, as well as making contributions to local economic development. Above all, based on the environmental conservation project, including greening of the city and improving water quality, Daegu metropolitan city has launched a series of renewable energy projects, such as solar city programs and local energy plan. But, some problems still exist, due to the technological, economic and socio-political barriers. Thus, to encourage and disseminate a renewable energy in Daegu city, we need to examine a present condition on renewable energy and analyze constraint elements to prevent its distribution. Based on the results, we have to set the feasible strategy to develop and disseminate renewable energy in Daegu city and help it systematically integrate renewable energy technologies and industries into environmental economics and city planning. Ultimately, to achieve this purpose, we need to adopt the following policy measures: (1) establishment of a master plan for renewable energy; (2) interconnection between local development project and energy industry; (3) promotion of technological development; (4) inducement of and assistance to renewable energy industry; (5) fostering venture companies; (6) specializing Daegu`s public office by energy-specific education programs. In particular, local entities including local company, consumers, policy-makers and citizen`s groups have to pay attention to local energy plan for the regional sustainable energy future. These measures will lead to establishing an environmentally friendly and sustainable c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