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분산적 지도성이 학교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조성구 ( Seong Gu Jo ),한유경 ( Yu Kyeong Han ),민윤정 ( Yun Jung Min ),김애신 ( Ae Shin Kim ),주철안 ( Chul An Joo ) 부산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11 교사교육연구 Vol.50 No.3

        본 연구는 분산적 지도성이 학교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하였으며.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분산적 지도성과 학교조직효과성에 대한 교사의 인식은 그 평균이 각각 3. 85. 3. 95로 모두 높게 나타났다. 이는 과거의 지도성이 학교장의 지도성에 중점을 두었는데 비해 현재는 지도성이 어느 정도 분산되고 있음을 교사들이 인지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분산적 지도성과 학교조직효과성에 대한 교사 의 인식을 교사 배경변인별로 보면 분산적 지도성과 학교조직효과성 모두 교육경력과 직위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10년 이상의 고경력 교사가 10년 미만의 저경력 교사보다, 부장교사가 일반교사보다 분산 적 지도성과 학교조직효과성에서 더 높게 인식하고 있었다. 둘째, 분산적 지도성과 학교조직효과성에는 높은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고 분산적 지도성과 학교조직효과성의 하위변인들 간에도 모두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셋째, 분산적 지도성의 모든 하위변인은 학교조직효과성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었는데, 이중 조직학습의 영향력이 가장 컸다. 학교조직효과성의 하위변인과 관련하여 지도자확대 가 직무만족에, 조직학습이 조직적응성과 조직생산성에 가장 크게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 는 분산적 지도성의 하위변인 중 조직학습과 지도자확대가 학교조직에 변화를 이끌어 내어 학교조직효과상을 항상시키기 위한 핵심요소가 됨을 보여준다. This study analyzed effects of distributed leadership on school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nd its research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teachers` average awareness scale of distributed leadership and school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came out 3.85 and 3.95, respectively, they gave relatively higher marks. This shows teachers recognized that the past school leadership focused on the principal`s leadership while the current leadership was distributed on many school faculty members. Analyzing teachers perception about the distributed leadership and the school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by teacher variables, there were also significant differences from teaching experience and position. Higher career teachers who worked for more than 10 years and chief teachers realized higher about the distribution of leadership and school effectiveness than lower career teachers and general teachers. Second, results indicated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distributed leadership and the school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significantly, and sub-factors of them showed a similar trend. Third, every sub-factor of distributed leadership had positive effects on the school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while the influence of organizational learning was the highest among them. In connection with sub-factors of the school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leader-plus influenced on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learning influenced on organizational adaptive-ness and productivity most. These results appear that organizational learning and leader-plus among sub-variables of distributed leadership lead to change on school organization, and thereby becoming key elements to develop school organization effectiveness.

      • KCI등재

        학교평가와 대학평가 연구동향 비교분석

        조성구(Jo, Seong Gu),주철안(Joo, Chul An) 한국비교교육학회 2012 比較敎育硏究 Vol.22 No.1

        본 연구는 지금까지 수행된 학교평가와 대학평가에 관한 연구동향을 비교분석하여 교육기관 평가 연구의 특징을 파악하고 교육기관 평가를 보다 효율적으로 수행하는데 필요한 기초 정보를 제공하고자 수행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첫째, 연구 주제면에서 학교평가 연구는 학교평가 인식 연구, 대학평가 연구는 대학평가 모형연구가 주류를 이루고 있었다. 전반적으로 연구주제는 평가모형 연구, 평가인식 연구, 평가실태 연구의 경향성을 보였다. 둘째, 연구방법 면에서 학교평가 연구는 양적연구, 대학평가 연구는 문헌연구가 활발히 진행되었다. 셋째, 자료분석방법 면에서는 학교평가 연구와 대학평가 연구 모두 문헌분석이 주를 이루면서 양적분석 방법도 다양화 되고 있었다. 하지만 질적분석 방법은 매우 미흡하였다. 향후 교육기관 평가 연구의 제언으로는 연구주제의 다양화, 학교평가 연구와 대학평가 연구를 바탕으로한 개별 교육기관의 특정 부서, 예를 들어 교수학습센터, 취업지원센터 등의 질적 개선을 위한 평가모형 개발, 연구동향 분류기준의 확대 등을 지적하였고, 추후에는 다양한 검색엔진의 활용 및 오프라인에서도 더 많은 학위논문과 학술지 논문을 대상으로 분석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analyzed the research trend of school evaluation and university evaluation to find out aspects and characteristics of researches. By doing so, it purposed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for conducting educational institution evaluation efficiently.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while the subjects of school evaluation researches were mainly surveys on the recognition of school evaluation, university evaluation researches were university evaluation model development. Generally, the subjects of researches were evaluation model development, the recognition of school evaluation, the actual conditions and improvement directions of evaluation. Secondly, in the aspect of inquiry method, while school evaluation study used a lot of quantitative research methods, university evaluation study adopted documentary research methods mostly. Third, in the aspect of data analysis, school and university evaluation both used documentary analysis mainly. Also, diverse quantitative analysis methods were utilized. However, qualitative analysis methods were not used that much. This study suggest that it needs more diversification of research subjects, the expansion of research trend analysis criteria, evaluation model development research for educational institution department(center for teaching and learning, center for employment support, etc). For further studies it also needs more data collection on educational institution evaluation through diverse channels.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