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신라(新羅) 하대(下代) 승려(僧侶)들의 입당(入唐) 유학(留學)과 선종(禪宗) 불교(佛敎) 문화의 확산(擴散)

        조범환 ( Bum Hwan Cho ) 한국사상사학회 2012 韓國思想史學 Vol.0 No.40

        이 글은 신라 하대에 중국 유학을 다녀온 승려들과 그들이 새롭게 수용한 불교 문화가 나말려초 변혁기에 어떠한 영향을 끼쳤는가 하는 것에 대하여 밝힌 것이다.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신라 하대에 중국 유학을 다녀온 승려들은 신라 사회가 새로운 방향으로 나갈 수 있은 길을 제공하였다. 그렇다고 해서 그들이 귀국한 다음 곧바로 호족들과 연결되어 선종이라는 새로운 사상적인 이념을 제공하였다고 하는 기왕의 견해를 그대로 수용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도리어 그들의 당나라 유학과 귀국으로 말미암아 신라 사회에서 고려 사회로의 변화에 큰 디딤돌 역할을 하였다고 할 수 있다. 즉 신라 승려들의 외국에서의 새로운 체험은 그것이 곧 새로운 사회로 나아갈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해 주었다고 하는 점에서 볼 때 그렇다고 하는 것이다. 신라 하대에 중국에 간 승려들은 그곳에서 새로운 불교인 선종을 접하게 되었고 그것에 매료되었다. 선종 사찰에서 공부하면서 선에 대한 이해뿐만 아니라 그곳의 승려들과 일상생활을 같이 함으로써 공부와 수행 등 여러 가지 새로운 생활을 접하게 되었다. 가령 차를 마시는 것과 그것을 마시기 위해 사용되는 다구 등에 대해서도 새로운 경험을 얻을 수 있는 기회를 가지게 되었다. 또한 선종 사찰에서 열반에 든 승려들을 위해 만든 부도와 석비 등도 눈 여겨 보았던 것이다. 또한 신라에서는 익숙하지 않았던 철불에 대해서도 이해의 폭을 넓혔다. 이러한 경험이 결국에는 그들이 귀국한 다음 신라 사회에 풀어놓은 새로운 불교문화라고 할 수 있다. 여기에 범패까지 더 첨가해 볼 수 있을 것이다. 선승들은 비록 기울어가는 신라이기는 하였지만 그들이 당나라에서 배우고 익힌 것을 고국에 적용하기 위하여 매우 노력하였다. 심지어 왕에게 정치적인 조언도 아끼지 않았는데, 이러한 태도는 신라 사회를 변혁시키고자 하는 바람이 컸기 때문으로 해석된다. 당나라에서 경험한 것을 토대로 하여 신라 사회를 변화시키고자 하는 의도를 드러낸 것이라 할 수 있다. 그러한 노력의 과정에서 그들은 새로운 사회의 도래를 맞이하였다. 신라 사회를 변화시키고자 한 그들의 노력이 결코 헛되었던 것은 아니었다. 중국 유학을 하였던 선승들의 제자들과 또한 새롭게 중국 유학을 하였던 승려들은 새로운 왕조를 개창한 왕건과 밀접한 관계를 유지하였고 그 속에서 성장하고 발전하였다. 이들이 나말려초에 끼친 영향은 사상적으로 뿐만 아니라 문화적으로도 컸음을 지적하지 않을 수 없다. This paper examines the Buddhist Monks who brought new Buddhism from Tang China to Silla and their role in the Silla-Koryo transition in the 800s and the early 900s. Korean Buddhist monks who returned from Tang China played an important role in the evolution of Silla into a new society, or Koryo, culturally as well as ideologically. Fascinated by Son (Zen) Buddhism, which they encountered in Tang China, Korean monks eagerly studied the Son scriptures to deepen their knowledge in meditation and asceticism. While leading ascetic lives in Son Buddhist monasteries, they also became accustomed to the Son Buddhist lifestyle, including practices like tea ceremonies, stone stupas, and monuments erected to pay tribute to the memory of Buddhist priests who were believed to have entered into Nirvana. They were also well learned in casting the statue of the Buddha in iron, which was then unfamiliar to Silla, and chanting the eulogy of Sakyamuni. Their experiences in Son Buddhism contributed to the spread of new Buddhist culture in late Silla. On returning to Silla, the Son priests made efforts to apply what they had learned in Tang China to Silla society in many aspects. Some of them even gave advice to the throne with respect to political affairs of the time, suggesting that they were very much interested in bringing about a large reform of Silla society on the basis of their experiences in Tang China. When their reform proposals were rejected in the end, however, they began to turn their backs on the Silla dynasty and lined up with Wang Kon, a local power who stood against the authority of Silla and eventually established a new dynasty, Koryo, which would reunify the Korean peninsula shortly thereafter. Under the patronage of Wang Kon, the monks developed as new intellectuals and priests and laid a foundation for the new era. They contributed to the remodeling of Korean society in the Silla-Koryo transition with respect to culture as well as to sociopolitical ideology in the late 800s and the early 900s.

      • KCI등재

        赫居世 勢力에 의한 斯盧 小國의 形成

        조범환(Cho Bum Hwan) 서강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7 서강인문논총 Vol.0 No.48

        본고는 현재 경주 지역 일원에 혁거세 세력이 세운 사로 소국의 건국 과정에 대하여 살펴본 것이다. 신라의 시조로 알려진 박혁거세는 외부에서 들어온 이주민으로서 사로 육촌의 세력을 아우르고 사로 소국을 세울 수 있는 바탕을 마련하였다. 그리고 같은 지역에 들어온 또 다른 이주민인 알영 세력과 연합하여 사로국을 형성하였다. 그들은 새로운 묘제인 목관묘를 조성하여 기존의 사로 육촌 세력과는 다른 존재였음을 드러내었다. 현재 이와 관련된 고고학적 자료가 발견되고 있어 사로국의 건국을 입증하는 데 도움이 되고 있다. 이러한 고고학적 증거는 사로 소국의 탄생과 관련하여 매우 주목되는 사실이라 하지 않을 수 없다. 박혁거세가 세운 사로국은 한반도에서 소국의 탄생이 어떻게 하여 이루어지게 되었는가 하는 것을 제일 잘 보여주는 하나의 예라 할 수 있다. 사로 소국의 탄생을 이해하게 되면 고구려나 백제의 탄생도 쉽사리 이해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이는 소국 탄생의 이정표 역할을 하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혁거세 세력에 의한 사로 소국의 탄생은 한국 고대 국가의 기원을 잘 보여준다는 점에서 다시금 언급되어도 결코 지나치지 않다. This article is about how authorities centered in Pak Hyŏkkŏse developed early state of Saro and meaning of its development. It was recorded that Hyŏkkŏse found state of Saro in 57 B.C., but based on former research, he found it far more earlier, 2nd Century B.C. based on former research. With this perspective, early part of Silla’s Records(or Silla bongi) in Samguk sagi for Pak Hyŏkkŏse‘s founding date of Saro was not incorrect. Hyŏkkŏse and his authorities did not establish state of Saro autonomously but with Aryŏng and their authorities, who were immigrants. This was an noticeable fact related with founding of Saro. Also, they made new memorial service(墓祭), Wooden coffin grave(木棺墓) which was fairly proved by archaeological data. If more related archaeological sources are gathered, those sources must be regarded as an helpful materials to prove establishment of Saro. Saro is one of the outstanding example to demonstrate development of state country. Understanding state of Saro establishment will be signpost of studying foundation of state country, because it will help to figure out Koguryŏ or Paekche’s establishment as well. Referring repeatedly about establishment of state of Saro by Hyŏkkŏse and his authorities will not be overemphasized, for it remarkably showed origin of Ancient Korean Countries.

      • KCI등재
      • 『三國史記』新羅本紀 初期記錄에 보이는 樂浪

        曺凡煥(Cho Bum-Hwan) 한국고대사탐구학회 2009 한국고대사탐구 Vol.1 No.-

        본고는 『삼국사기』 신라본기 초기기록에 보이는 낙랑에 대하여 재검토한 결과 몇 가지 새로운 것을 알아낼 수 있었다. 첫째로 『삼국사기』 신라본기 초기기록에 보이는 낙랑은 후대에 개필된 것이 결코 아님을 헤아리게 되었다. 당시 사로국 사람들은 낙랑과의 원거리 교역을 통하여 그들의 존재를 정확하게 알고 있었으며, 그렇기 때문에 그들을 먼 곳에 거주하는 외국인들로 여기지 않고 이웃나라 사람들로 인식하고 있었던 것이다. 더구나 『삼국사기』 초기기록에 보이는 낙랑에 대한 용례 검토를 통해서도 그것이 낙랑임을 입증할 수 있었다. 둘째로 낙랑이 옥저 지역에 위치하고 있었다는 기왕의 견해도 재고할 필요가 있게 되었다. 낙랑국의 최리와 관련된 기록만을 가지고 그곳이 옥저 지역과 관련된 것이라고 단정하기에는 무리가 따른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온조왕대 보이는 '동유낙랑 북유말갈'이라는 기록을 그대로 인정한다면 그것은 말갈과 낙랑의 백제 침공 루트에서 그와 같은 기록이 남게 되었다는 것을 알아낼 수 있었다. 셋째로 이상과 같은 검토를 통하여 고구려본기뿐만 아니라 백제본기의 초기기 록도 새롭게 연구해야 할 처지에 이르렀음을 알게 되었다. 초기기록을 맹목적으로 불신하거나 혹은 사료를 잘못 이해하는 데서 빚어지는 오류를 바로 잡아야 하리라 생각된다. Several things were revealed in this article by reviewing the early statement on Lolang in the History of Three Kingdoms. The first is that the statement on Lolang in the History of Three Kingdoms was not edited at all. Lolang was well known in Saro through long-distance trade so that Lolang was thought to be a neighborhood rather than an alien. By reviewing usages of Lolang in the early statement of History of Three Kingdoms, we could prove they means Lolang. The second is that we have to review the existing opinion that Lolang was situated around Okjeo area. It's a bit difficult to say Lolang was in Okjeo area only by the material of Choi-lee in Lolang. And if we admit following statement 'Lolang is in the east and Malgal is in the north' in the regime of King Onjo, I've found, it's because it followed Lolang's route attacking Baekje. The third is, I've concluded, through reviews above, we are likely to study newly about not only Koguryo but also the early statements of Baekje. We have to correct the mistakes by not trusting the early statements at all or misunderstanding them.

      • KCI우수등재
      • KCI등재

        新羅 中古期 郎徒와 花郞

        曺凡煥(Cho Bum-hwan) 한국고대사학회 2008 韓國古代史硏究 Vol.0 No.52

        본고는 신라 중고시대 낭도와 화랑과의 관계를 살펴본 것이다. 먼저 낭도들은 신분에 따라 화랑을 선택하는 기준이 달랐다. 眞骨 신분의 젊은이는 명예나 武事 등 화랑이 추구하는 理想을 쫒는 경우가 많았고, 頭品 신분이나 平民의 입장에서는 앞으로의 출세나 지향하는 바를 충족시켜 줄 수 있는 화랑을 선택하였다. 물론 화랑의 입장에서도 낭도가 되려고 찾아오는 이들을 아무런 조건 없이 받아들이지 않았다. 화랑이 정한 어느 정도의 기준에 합당하였을 때 낭도가 되는 것을 허락했다고 생각된다. 따라서 낭도와 화랑의 만남은 쉽지 않았지만 인연을 맺게 되면 낭도의 입장에서는 매우 자부심을 가질 수 있었다. 다음으로 낭도와 화랑은 매우 밀접한 관계를 유지하면서도 때로는 그렇지 않은 경우도 있었다. 예컨대, 화랑도 무리에서 모시던 화랑이 讓名하고 새로운 화랑이 선출되었을 때 그 휘하의 낭도들 가운데는 계속해서 낭도로 활동하지 않고 전임 화랑을 따라 양명하는 경우를 볼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많은 수의 무리를 거느린 화랑의 경우 모든 낭도들과 가깝게 지낼 수는 없었다. 그렇기 때문에 진골 신분을 가진 낭도의 역할이 매우 컸는데, 그들은 낭도와 화랑을 연결시켜 주는 매개체 역할을 하였다. 또한 낭도의 나이와 화랑의 나이를 지금까지는 서로 비슷한 것으로 파악하였는데, 연구 결과 대체로 그렇지 않은 경우가 더 많았음을 알 수 있었다. 특히 낭도들 가운데 관직을 가진 사람의 경우에는 더욱 그러하였다. 이러한 사실로 미루어 볼 때 화랑과 낭도와의 관계가 친구나 동년배 관계가 아님을 알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더 나아가 그들의 관계가 카리스마적 관계도 아니었음을 헤아릴 수 있게 되었다. 본고를 통해 신라 중고기 낭도들의 모습을 새롭게 알게 되었는데, 그들의 성원권은 자동적으로 주어지는 것이 아니라 自願에 의해 가지게 되었다. 그렇기 때문에 성원들은 그들의 단체에 대하여 매우 강한 자부심을 가지게 되는것이다. 결국 낭도와 화랑이 모여 만든 화랑도는 청소년 집단의 공동체이거나 이해집단의 특성을 가지고 있었음이 다시금 입증된다고 하겠다. This thesis examined Hwarang and Hwarangdo(the code of Hwarang) in the middle years of Shilla in the viewpoint of Nangdo. First, Nangdo had a different basis to choose Hwarang. Jingol, the true bones, mostly pursued the ideal such as fame and chivalry while non-royal kins like Dupum and commoners chose Hwarang for their success and career advancement. However, that doesn't mean Hwarang unconditionally accepted Nangdo. They accepted Nangdo only if Nangdo met their standards. In other words, for Nangdo, having a relationship with Hwarang is quite difficult but very honorable to Nangdo. Nangdo and Hwarang usually kept close relationship but sometimes didn't. For example, when one Hwarang retired and a new one replaced his position, the Nangdos under his control also retired. Also, it was hard for Hwarang with lots of Nangdos to have close relationship with all of them. With this situation, Jingol Nangdo's role was important. They were the medium of Nangdo and Hwarang. Generally, it was accepted opinion that the age of Nangdo and Hwarang was similar. However, research found that there was numerical difference between the age of Nangdo and that of Hwarang. That was more outstanding when Nangdo was in government post. This situation implies the relationship between Hwarang and Nangdo. They were not about the same age and friends, either. Furthermore, they were not in the charismatic relationship. To become Nangdo was making a decision, not automatically decided. It needed one's voluntary application and thus, Nangdo had strong pride for their organization. That proves Hwarangdo consisting of Nangdo and Hwarang was a sort of youth community or organization sharing same interests.

      • KCI등재
      • KCI등재

        9세기 海印寺 法寶展 毗盧遮那佛 조성과 檀越세력

        조범환(Cho, Bum-hwan) 한국고전번역원 2015 民族文化 Vol.45 No.-

        이 논문은 2005년에 해인사 법보전 비로자나불 복장에서 발견된 묵서명을 새롭게 판독한 다음 누구들이 비로자나불을 조성한 단월이었으며 무엇 때문에 그와 같은 일을 하였는가 하는 것에 대하여 검토한 것이다. 검토한 결과를 간단하게 나열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로 우측 묵서명 맨 아래 두 글자의 판독이 어려웠으나 검토한 결과 그것은 ‘事也’로 쓰여 있음을 알게 되었다. 그리고 그것은 ‘일을 마치다’라는 의미로 해석된다. 또한 묵서명 전체가 楷書로 쓰여 있으나 두 글자만이 초서로 쓰여 있는데, 이는 공간 부족에서 비롯된 것이라고 해야 할 것이다. 둘째로 묵서명에 쓰인 大角干은 기왕에 알려진 것처럼 魏弘이 아니라고 하는 사실이다. 그 이유는 죽은 자를 추복하기 위한 목적에서 비로자나불을 조성한 것이라면 이 때 위홍이 살아 있었기 때문이다. 셋째로 비는 眞聖王이 아니다. 그 이유는 제작 년대가 진성왕이 활동하던 시대와는 너무 앞서고 있기 때문이며, 여왕이 되기 이전이므로 이와 같은 일을 할 수 있는 상황이 아니었다. 넷째로 憲康王이 비로자나불을 조성한 목적은 그의 祖父와 祖母를 추복하기 위한 목적에서 그렇게 한 것으로, 묵서명에 보이는 大角干은 金啓明이고 妃는 그의 처인 光和夫人임을 알게 되었다. 그리고 경문왕으로 이어진 왕실의 영원함을 기원할 필요성에서 이와 같은 비로자나불을 조성한 것으로 판단된다. 다섯째로 헌강왕이 해인사에 이와 같은 불사를 주관하게 된 계기는 崔致遠의 母兄인 賢俊의 노력이 있었기에 가능한 것이었다. 그는 신라 왕실과 밀접한 관계를 맺었으며 헌강왕 사후에는 그를 위한 불사에 많은 노력을 하였다. Some new understandings learned through Mukseomyeong, which is an explanatory legend with black ink, are as follows. First, two words written on the bottom right-corner of Mukseomyeong were hard to decipher, but turned out to be ‘事也’ as a result of careful examination. And ‘事也’ is interpreted as meaning ‘finish the work’. Secondly, the word ‘Daegakgan’ (大角干) written on Mukseomyeong does not mean Wi-hong (魏弘) as previously believed. The reason is that if the Vairocana Buddha Statue was built for the purpose of praying for the deceased, Wi-hong was alive at that time. Thirdly, the word ‘Bi’ (妃) written on Mukseomyeong does not refer to Queen Jinseong. The reason is that she did not have a high enough position to make the Vairocana Buddha Statue at that time. Fourthly, the Vairocana Buddha Statue was made by King Hun-Gang (憲康王) to pray for his grandparents, which means that grandfather is Gimgyemyeong (金啓明) and the grandmother is his wife Lady Gwanghwa (光和夫人).

      • KCI등재

        在唐 고구려 遺移民의 삶과 죽음

        조범환(Cho, Bum-Hwan) 한국고대사탐구학회 2020 한국고대사탐구 Vol.35 No.-

        본고는 재당 고구려 유이민의 삶과 죽음에 대해서 살펴본 것이다. 재당 고구려 유이민으로 살게 된 것은 당 태종의 원정 기간 중에 투항하거나 혹은 포로가 되었기 때문이다. 또한 고구려 멸망 직전 및 직후에는 주로 자발적인 귀순에 의한 것이었다. 그리고 이 과정에서 부모를 따라 이주한 1.5세대 유이민도 있었다. 당으로 들어간 고구려 유이민은 주로 蕃將으로 출사하였고 드물기는 하지만 文官 혹은 宦官으로 출세하였다. 그리고 유이민과 함께 들어간 어린 자녀들은 멸망한 나라에서 입당하였다는 굴레에서 쉽사리 벗어나기가 어려웠다. 이와 같은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그들을 필사적인 노력을 하였는데 특히 유이민 1세대와 1.5세대의 경우는 다음 세대에게 蔭職으로 진출할 수 있는 기회를 주기 위해 전쟁터에서 인생의 대부분을 보냈다. 재당 고구려 유이민 중 1.5세대 및 2세대의 경우 당나라 여인과 혼인하였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그들 중 일부는 고구려 유이민의 후손이라는 것을 인지하고 살기도 하였으나 점차로 그러한 인식은 희미해졌고 점차 당나라 사람으로 동화되었다. 그 결과 재당 고구려 유이민의 후손이라는 인식은 옅어졌으며 出自까지 변개하게 되었다. 고구려 유이민 가운데 출사를 한 이들은 수도인 장안 그리고 동도인 낙양에 私第를 가지고 있었다. 사제는 황제로부터 사여받은 경우도 있지만 대체로는 노력해서 구입한 것이었다. 마지막으로 유이민은 사제나 혹은 근무하던 곳에서 죽음을 맞이한 다음 묻힌 곳도 밝혀져 있다. 유이민의 이와 같은 삶을 통해서 볼 때 비록 역사서에서 이름을 찾을 수는 없으나 묘지명을 통해 그들의 삶의 일 단면을 찾아볼 수 있다는 점에서 주목된다. Among the Goguryeo emigrants in the Tang dynasty, there were some prominent figures such as civil servants or eunuchs. After their death, they buried with a memorial inscription. Part of their life is well-organized on the memorial inscription. It was written by their acquaintances or the government. Thus, the contents are sometimes distorted and different from the fact. However, the inscriptions are worthy enough in that we can understand a part of the life and death of the Goguryeo emigrants in the Tang dynasty. Since the Goguryeo emigrants embraced the Tang dynasty culture, the cemetery shows how their lives were. They gradually assimilated into the Tang society, and their culture from Goguryeo was also gradually integrated into the culture of the Tang dynas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