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CoCl_2$로 유도된 C6 신경교세포의 사멸에 대한 억간산(抑肝散)의 보호 효과

        조문영,신용진,하예진,우찬,김태정,유주연,최용석,최정훈,신선호,Cho, Mun-Young,Shin, Yong-Jeen,Ha, Ye-Jin,Woo, Chan,Kim, Ta-Jung,You, Ju-Yeon,Choi, Yong-Seok,Choi, Jung-Hoon,Shin, Sun-Ho 대한한방내과학회 2013 大韓韓方內科學會誌 Vol.34 No.2

        Objectives : In this study, we made an effort to investigate the protective mechanism of Ukgan-san (UGS) extracts on hypoxia-induced C6 glial cell death. Methods : The cell viability was assessed by 3-[4,5-dimethylthiazol-2-yl]-2,5-diphenyl tetrazolium bromide (MMT) assay and cell morphological changes were analysed with microscope after staining with crystal violet (CV). Reactive oxygen species (ROS) formation was assessed by flow cytometer after staining with 2'7'-dichlorofluorescein diacetate (DCF-DA). We also analyzed expression of hypoxia-inducible factor-1 alpha (HIF-$1{\alpha}$) and p53, processing of procaspase-3 and procyclic acidic repetitive protein (PARP) by western blot method. Results : We estimated the elevated cell viability by UGS extract on $CoCl_2$-induced C6 glial cells. UGS attenuated $CoCl_2$-induced ROS formation in C6 glial cells and also showed a protective activity compared to antioxidants and exhibited abrogation of LDH-released by $CoCl_2$. UGS suppressed the typical apoptotic cell death markers, caspase-3 and PARP activation. UGS inhibited $CoCl_2$-induced HIF-1${\alpha}$ expression which is known as a major regulator for hypoxia-induced cell death, and suppressed p53 expression. Conclusions : These results suggest that UGS extract contains protective constituents for hypoxia-induced C6 glial cell death.

      • KCI등재

        사회복지(社會工作)의 일상적 연행을 통해 본중국 국가의 구조적 폭력: 선전 폭스콘 공장지대를 중심으로

        조문영(Mun Young Cho) 한양대학교 아태지역연구센터 2014 중소연구 Vol.38 No.1

        As an ethnography of daily perfomances of social work, this study explores why and in what way social workers, whose autonomy the government attempted to stimulate as a new way of solving the crisis ofthe people’s livelihood, have come to be subject to the “mobilization unit” ofthe party-state. The government declared the reposition of its role fromtop-down intervention to a new partnership with civil organizations while emphasizing that it is no longer the “producer” of social service but its“purchaser.” Based on field work in Shenzhen’s Foxconn town, however, Iargue that the novel regime of social work is in fact a form of the state’s structural violence. Young social workers, who are mostly from thecountryside, experience multi-layered temporalities as strange passengers both in the city and in the state apparatus. Structural violence is exercised and produced as these workers are preoccupied with “expertise” in order to defend their own legitimacy, although their precarious condition prevents them from achieving it.

      • KCI등재

        중첩된 시간성과 벌이는 협상: 중국 동북지역 저소득층 대학생들의 속물성에 대한 인류학적 변명

        조문영 ( Mun Young Cho ) 한국문화인류학회 2012 韓國文化人類學 Vol.45 No.2

        1980년대 이후에 태어난 중국의 청년들은``바링허우(80後) 세대``란 이름으로 특별한 주목을 받아왔는데, 이들의 정치적 무관심이나 속물적 경향은 대개 개혁개방이 가져다준 물질적 풍요의 결과로 해석되어 왔다. 이와 반대로 본 연구에서는``농민·노동자 계급의 아이들``이라는 이데올로기적 수사가 아니라``빈곤 2세대(貧二代)``라는 오명을 뒤집어 쓴 채 경제성장의 그늘을 배회하고 있는 저소득층 대학생들이 마찬가지로 드러내는 속물성에 주목한다. 계층적·지역적 열세에 놓인 중국 동북 하얼빈의 저소득층 대학생들이 취업과 주택구입이라는 화두에 대응하는 방식을 통해 속물성의 역사적 맥락과 문화적 의미를 밝히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연구자는 속물성을 주어진 상황에 따라적당히 템포를 맞추는 것으로 정의하면서 신자유주의 하의 청년들이 드러내는``시간적 불안(temporal anxiety)``과 자기계발에 관한 최근의 이론적 논의를 두 가지 측면에서 비판적으로 고찰한다. 첫째, 속물성은``개혁개방``혹은``신자유주의``와 같은 단일한 외적 배경의 산물이 아니다. 이는 청년들이 도시와 농촌, 동북과 남방 등 위계적 공간을 가로지르면서 현대 중국 사회에서 일정한 규범을 강요하거나 역사적인 관행을 구축했던 여러겹의 시간성들(근대적, 신자유주의적, 국가 사회주의적 시간성)과 갈등하고 협상을 벌이는 가운데 나타난 문화적 현상이다. 둘째, 속물성은 현실의 단순한 반영이 아니라 행위자가사회적 고통에 대응하면서 적절한 삶의 템포를 찾아가는 보다 적극적인 과정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이 점에서 자기계발의 의지란 개혁개방의 풍요가 가져다 준 새로운``자유``를 무조건 긍정하는 것이 아니라, 불합리한 현실을 통렬히 인식하고 있는 냉소주의적 주체가 삶의 행로를 모색하면서 악전고투를 벌이는 한 순간을 드러낸다. Broadly called ba ling hou, Chinese youth who were born after the 1980s have become a subject of particular attention. It is commonly said that the political indifference or materialistic concern often found among these youth is the natural consequence of affluence resulting from China`s market reform. This study examines how low-income college students, who are no longer ``the children of socialist peasants and workers``but are merely characterized by the mass media as ``the second generation of the poor``(pin er dai), have come to perform snobbism despite their exclusion from the circles of high affluence. The research presented here delves into the historical contexts and cultural meanings of snobbism by focusing on how disadvantaged students in Harbin respond to two popular topics─the job search and the purchase of housing. Defining` snobbism`as a process of tactfully adjusting one`s life tempo to given circumstances, I engage with recent critiques of` temporal anxiety`and ``self-development,``which are considered widespread among youth living in the age of neoliberalism. First I argue that snobbism is not just a neoliberal product: it is a cultural phenomenon which emerges as disadvantaged youth struggle and negotiate with overlapped (modern, neoliberal, and state socialist) temporalities while intersecting hierarchical spaces such as the urban and the rural, and the northeast and the coastal south. Next, snobbism does not merely reflect harsh realities faced by these youth: rather, it should be considered a more active process in which disadvantaged youth struggle to find a proper tempo while coping with social suffering.

      • KCI등재

        "결함 있는" 인민: 중국 동북 노동자 밀집지역에서 기층간부들의 "사구자치"(社區自治)가 갖는 딜레마

        조문영 ( Mun Young Cho ) 현대중국학회 2011 現代中國硏究 Vol.13 No.1

        계획경제시기 도시 공간을 구성하는 핵심 역할을 했던 단위가 붕괴하자 중국 정부는 소위 기층성 군중자치조직으로 지역 내에서 단위의 보조 역할을 수행했던 주민위원회를 ``사구 주민위원회``로, 그 관할구역을 ``사구``로 재편하면서 ``사구자치``(社區自治)를 강조하기 시작했다. 본 연구는 중국 동북부 하얼빈의 슬럼화된 노동자 집단 거주지에서 기층 사구간부들의 일상을 통해 사구자치가 갖는 딜레마를 고찰한다. 사구자치란 부분적으로 공동체의 자발성 및 전문성을 권장함과 동시에 정부의 짐을 줄이려는 새로운 기획을 포함했으나, 연구자의 조사지에서 이 과업을 맡게 된 기층간부들은 역설적이게도 정부의 ``공익성 강위``(公益性崗位) 제도를 통해 들어온 중년의 저학력(특히 여성) 노동자들이었다. 본 연구는 정부라는 직장에 재고용됨으로써 ``사회주의`` 중국에서 ``인민``이 가졌던 권리를 환기시켰던 이들 기층간부들이 사구자치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결함 있는`` 인민으로 스스로를 자리매김하는 과정을 인류학 민족지(ethnography)를 통해 보여준다. 연구자는 누가, 즉 어떠한 역사성을 가진 집단이 사구건설을 둘러싸고 경합을 벌이는가에 주목함으로써 사구건설에 관한 논의가 ``규제``와 ``자치``라는, ``국가-사회관계`` 모델에 바탕한 이분법적 공방에서 벗어날 필요가 있음을 강조한다. Amidst China`s economic reform, the reformulation of urban space from the work-unit to community has become an urgent issue for the Chinese state. This move has generated widespread debates on "community self-governance", including how community cadres can be transformed from the government`s mere messengers to the active partners with the government. Based on ethnographic research in a run-down workers` village in Harbin, this article examines the processes in which community cadres are forced to fashion themselves as voluntary, self-motivating citizens. Despite new governmental emphasis on the professionalization of community service, most community cadres in the peripheral neighborhood have managed to win their jobs through the policy of "the public post", which privileges urban laid-off workers. Although this policy seems to prove that the Chinese state has not abandoned "the people" in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governmental protection has accompanied the re-configuration of "the people" as the historical tension embedded in the concept runs through the management of community. Historical gender/family problematics within "the people", combined with increasing suspicions about the people`s capacities, have led the state to "protect" mostly female, uneducated cadres in highly hierarchical ways while exploiting their liminal position in the state apparatus. These cadres ironically attach themselves to the old Maoist doctrine of self-reliance to prove that they are voluntary, self-motivating citizens.

      • KCI우수등재

        ‘사회’의 위기와 ‘사회적인 것’의 범람

        조문영(Cho, Mun Young),이승철(Lee, Seung Cheol) 비판사회학회 2017 경제와 사회 Vol.- No.113

        본 연구는 오늘날 우리가 목격하고 있는 사회의 ‘해체’, ‘위기’, ‘종언’에 대한 분석적 논의들과 사회적경제, 사회적기업, 사회혁신, 사회치리, 사회발전 등의 이름으로 등장하는 다양한 ‘사회건설’ 프로젝트의 증식이 병존하는 현상에 주목한다. “사회 따위는 없다”라는 말로 대변되는 신자유주의 독트린이 시장화의 지속적 헤게모니를 통해 주체화의 영역까지 확대된 상황에서 ‘사회’의 중요성을 강조하면서 국가 통치의 구체적 개입 대상이자 개인과 집단의 도덕적·윤리적 실천 공간으로 사회를 재구성하려는 시도들이 범람하는 현실을 어떻게 이해할 것인가? 이 질문에 대한 그간의 논의들이 복지국가의 해체와 신자유주의 시장화로 이어지는 서구의 경험을 보편화했던 경향에 문제제기하면서, 본 논문은 서구식 복지국가의 해체와 재구성과는 상이한 경로를 밟아온 한국과 중국에서 진행되는 최근의 사회건설 사례들을 살펴봄으로써 다음과 같은 세 가지 질문에 답하고자 한다. 첫째, 서구식 복지국가의 ‘사회적 통치’ 단계를 거치지 않은 한국과 중국에서 벌어지는 사회건설 프로젝트는 어떠한 맥락에서 파악될 수 있는가? 둘째, 이들 나라의 사회건설 프로젝트에서 국가가 수행하고 있는 이중적 역할, 즉 자신의 권한을 사회라는 공간에 적극적으로 이양하면서 동시에 이러한 사회건설 과정을 하나의 프로젝트로서 진두지휘하는 국가의 역할은 실제 사회건설 정책에 어떻게 기입되는가? 셋째, 한국과 중국에서 사회건설 프로젝트에 참여하는 행위자들은 ‘상호작용의 지평 혹은 사회적 권리의 기반으로서의 사회’와 ‘국가의 통치적 개입 공간이자 프로젝트의 목표가 된 사회’ 간의 긴장과 갈등을 어떻게 경험하고 있는가? 한국과 중국의 사회건설 프로젝트에 대한 장기간의 현장연구를 기반으로, 본 연구는 ‘기술적 윤리성’의 확산, 즉 빈곤, 노동, 불평등과 같은 문제들이 시공간적으로 구획된 사회건설의 장에서 개개인의 윤리적 실천과 통치 기술을 통해 관리 가능한 대상으로 변형되는 점을 규명한다. 또한 사회건설 프로젝트가 사회의 ‘위기’를 마름질하는 한편, 한국과 중국의 상이한 역사적 궤적을 따라 다양한 ‘마찰점들’을 열어젖히고 있음을 강조한다. In this article, we give attention to the coexistence between increasing concerns about the “crisis” of society and increasing “social construction” projects exercised in the name of “the social.” Under circumstances where neoliberal doctrines, epitomized as Margaret Thatcher’s notorious phrase that “there is no such thing as society,” penetrate deep into a realm of subjectification, how can we understand the reality that “society” is central to state governance and, furthermore, reconstructed as an ethical field? With an eye to recent projects of social construction in South Korea and China, this study calls into question Eurocentric propensity to universalize “the death of the welfare state” and “neoliberal marketization” by answering the following inquiries. To begin, how can social construction projects be analyzed and contextualized in countries where the state did not go through the so-called stage of “social government” found in the Western welfare state? Next, how does the state accomplish a double mission to disperse its functions to social realms and re-articulate managerial power when it intervenes in social construction projects? Finally, how do various participants in social construction projects in the two countries experience and react to the tensions between “society” as the assemblage of social rights, solidarities, and socialities, and “society” as the target of state governance and engineered projects? Based on ethnographic fieldwork in Seoul, South Korea, and Guangdong, China, this article sheds light on the emergence of “technological ethicality,” that is, a series of practices in which structural problems like poverty, labor, and inequality are transformed into manageable objects that can be solved through technical interventions and ethical performances. It also delves into “frictions” that social construction projects unfold as they are intersected with historically sedimented events, policies, and experiences, which appear differently in the two countries.

      • KCI등재

        청년자본의 유통과 밀레니얼 세대-하기: 젊은 소셜벤처 창업자들에 관한 문화기술지

        조문영 ( Cho Mun Young ) 한국문화인류학회 2018 韓國文化人類學 Vol.51 No.3

        본 연구는 소셜벤처에 종사하는 젊은이들에 관한 문화기술지다. 연구자는 소셜벤처를 기업의 사회적·윤리적·기술적 진화의 결과로 일축하는 대신, 한국사회 구조적 불안의 집합표상이자 사회문제로 부상한 ‘청년’을 둘러싸고 다양한 주체(기업, 정부, 대학, NGO 등)와 서사, 제도적 장치가 집결된 장(場)으로 분석한다. 단순히 청년 일반이 아니라, 자신의 삶과 일을 재미있고 의미 있는 방식으로 결합하고, 온·오프라인으로 타인과 접속하면서 개인의 경험을 세상의 변화로 확장해 가는 ‘밀레니얼 세대’ 청년이 소셜벤처 장이 가치화할 ‘청년자본’이 된다. 젊은 소셜벤처 종사자들은 개개인의 삶의 스토리를 청년자본으로 전환하고 유통시키면서 플랫폼 비즈니스에 필수적인 네트워크와 커뮤니티를 확산시키며, ‘소셜’ 가치를 비즈니스에 유용한 방식으로 마름질 하는 가운데 활력을 잃어가는 사회를 돌보고 변화시킬 책무를 자임하게 된다. 연구자는 이들의 비즈니스 활동을 ‘세대-하기’의 수행성으로 접근하면서, 자율적 일에 초점을 둔 소셜벤처 공론장에서 사라진 노동의 문제를 복기한다. 청년 일자리 위기를 창업의 호기로 전환하기 위해 조성된 지원 구조 하에서, 상당수 젊은 창업가들은 창업 지원금을 얻기 위한 분배노동과 생계를 벌충하기 위한 알바 노동을 비즈니스와 병행하고 있다. 자본가이자 기업가로 호명된 장에서조차 생존과 불확실성의 문제와 고투하는 청년들의 세대-하기는 취업과 창업, 의존과 자립, 냉소와 긍정 사이의 회색 지대를 드러낸다. This ethnography focuses on young entrepreneurs in social ventures. In South Korea, a social venture is not just the result of the social, ethical, and technological evolution of enterprise. It is also a field where various subjects, narratives, and apparatuses are assembled surrounding “youth,” a term which has emerged as denoting a social problem as well as being a collective representation of structural anxiety. It is not youth in general, but “millennials” who are qualified as “youth capital” in the field of social venture. Young entrepreneurs convert their own stories into youth capital, valorize and circulate it, thus expanding their networks and the community that is fundamental to businesses that operate as online platforms. The entrepreneurs also take on a mission to defend society while negotiating with the floating signifier of the “social” in their businesses. Drawing on the performative concept of generation, in this article I give particular attention to the problem of labor, which is often veiled in the celebration of flexible and autonomous work in social venture discourses. Many of the college students or graduates have little choice but to combine their business with distributive labor for receiving startup grants and they also use their part-time labor for survival. The ethnography of “doing millennials” sheds light on how adult youth struggle with the uncertainties of life even when they are summoned as capitalists or entrepreneurs. It thus unfolds the grey areas of convergence between dependence and independence, cynicism and optimism, and finding jobs and building startups in their practices and life aspirations.

      • KCI등재

        신세대 농민공의 자원봉사 활동을 통해 본 국가 주도 윤리적 시민권의 성격과 함의

        조문영 ( Mun Young Cho ) 현대중국학회 2014 現代中國硏究 Vol.16 No.1

        본 연구는 중국 남부 이민도시 선전에서 활발히 전개되고 있는 자원봉사의 일상적 연행에 관한 문화기술지(ethnography) 작업으로서, ‘신세대농민공’으로 범주화된 저학력, 저소득 외지 청년들이 사회적 돌봄의 대상이자 주체로 초대받는 과정을 고찰하고 있다. 연구자는 이 과정이 윤리적시민권의 형성, 즉 자기와 타자에 대한 도덕적 책무를 지닌 자발적 시민주체를 만드는 작업이란 점에 주목했다. 선전 외곽 폭스콘 공장지대에 자리 잡은 커뮤니티 센터에서 진행하는 자원봉사 활동은 ‘농민공’ 정체성을 감성적 언어들을 바탕으로 선별적으로 재구성하는데, 이는 기존의 사회적, 정치적 시민권 논의가 제기한 각종 권리 요구를 비가시적으로 만든다는 점에서 외지 청년들의 사회적 고통을 심화시키는 측면이 있다. 그러나 이청년들이 정부가 기획한 통치의 문법을 그대로 따르면서도 자원봉사라는 장을 사회적 관계를 생산하는 공간으로 전유해내는 방식은 또 다른 시사점을 제공한다. 주어진 장을 통해 잠재된 재능을 발휘하고 인적 네트워크를 넓히면서 공공의 성원됨(membership)을 경험하는 과정은 외지 청년들을 ‘농민공’, ‘(공장) 노동자’ 범주로만 한정시키지 말고 이들이 삶의 다양한 차원에서 수행하는 물질적, 비물질적 노동을 포괄적으로 주시할 것을 제안한다. 결국 이때의 자원봉사란 ‘신세대 농민공’이라는 범주 아래 사회적으로 허용될만한 다름을 마름질하는 통치 기제이자, 동시에 정부의 계몽 의지가 예기치 않게 열어젖힌 삶정치적 생산의 자리인 것이다. This article is an ethnography of volunteering activities in Shenzhen, in which migrant youth commonly called “new generation of migrant workers” ( xinshengdai nongmingong) are invited as both recipients and providers of social care. Such invitation pertains to the formation of ethical citizenship, that is, a pedagogic mode of cultivating a care for others as well as a care of the self as the new citizens’ ethic. Fieldwork in Shenzhen’s Foxconn town, where social workers interpellate migrant youth as “volunteers,” has brought to my attention both violences and new possibilities. By mobilizing sentiments, volunteering selectively reconstruct what people commonly imagine about nongmingong. It also makes the right-based claim, which has appeared in the discussions of social, political citizenship, invisible, thus exacerbating social suffering of migrant youth. Nevertheless, it is important to note that these youth appropriate the site in order to produce social relationships. They demonstrate hidden capacities, extend social networks, and pursue membership, that is, being full and equal citizens of society where they actively participate in its making. Such performances lead us to give attention to both material and immaterial labor of migrant youth, instead of identifying them solely in terms of “factory workers” or “ nongmingong.” In all, volunteering functions not only as a mechanism of trimming socially admissible differences but also as an unexpected site of biopolitical production, in which potential talents, capacities, and desires of migrant youth erupt “thanks to” state-led mobilization.

      • KCI등재
      • KCI등재

        연구논문 : 공공이라는 이름의 치유: 한 대기업의 해외 자원봉사활동을 통해 본한국 사회 "반(反)빈곤"과 "대학생"의 지형도

        조문영 ( Mun Young Cho ) 한국문화인류학회 2013 韓國文化人類學 Vol.46 No.2

        본 연구는 대학생 해외 자원봉사가 한국의 대학 사회를 특징짓는 가시적인 문화현상의 하나로 등장한 맥락을 이해하려는 시도이다. 연구자의 문제의식은 두 가지 질문으로 구체화된다. 첫째, 현재 범람하는 해외 자원봉사가 대학생이라면 응당 도전해 봄직한 기회이자 반빈곤활동의 상시적인 장으로 등장하게 만든 조건은 무엇인가? 둘째, 해외 자원봉사의 핵심 주체로 호명된 대학생이 실제 활동에 부여하는 의미는 프로그램의 기획과 비교하여 어떤 차이를 갖는가? 첫 번째 문제의식의 경우, 연구자는 해외 자원봉사, 국제협력 및 개발, 기업의 사회공헌에 대한 문헌 검토를 통해 대학생 해외 자원봉사활동이‘빈곤’과‘대학생’에 대한 새로운 통치이성이 조우하는 지점에 위치하고 있음을 주장하고 있다. 두 번째 질문에 대한 답을 구하기 위해 연구자는 사회공헌활동이 활발한한 대기업에서 주최하는 한중 대학생 해외 자원봉사활동에 대한 현지조사를 진행했는데, 이 과정에서 연구자가 발견한 것은 해외 자원봉사가 경제적 빈곤에 대한 적극적 개입이라기보다는 무한경쟁에 내몰린 대학생의 마음의 빈곤을 어루만지는‘공공’이라는 이름의‘치유’기제로 작동한다는 점이다. 사회에서‘정상적’이라 가정되는 궤도를 벗어나지 않는 상태에서 고립과 결핍에 대한 즉각적인 보상과 치유를 바라는 심리는 결국 봉사활동 전 과정에서 자족적·분절적인‘에피소드’를 양산하는 것으로 귀결되는데, 각각의 에피소드에서 개인적 치유에 대한 바람과 사회적 공생에 대한 희구는 엄격히 분리되지 않는다. 연구자가 강조하고 싶은 것은 에피소드식 활동의 연쇄 속에서 완벽한 치유, 완벽한 공생이란 불가능하다는 점, 대학생 해외 자원봉사를‘글로벌 리더’를 향한 자기계발의 과정으로 찬양하는 수사를 거두고 봉사활동의 주체로 호명된 대학생이 미봉(彌縫)하고 있는 불안의 정체를 규명하는 작업이 선행되어야 한다는 점이다. This article explores the phenomenon of overseas volunteering that has recently emerged in South Korean universities. My inquiry is two-fold, encompassing both the social conditions for the emergence of overseas volunteering and also the university students` experiences and responses. First, I explain the conditions under which such a project has come into existence, both as a common field of anti-poverty intervention and as an attractive opportunity in which students are encouraged to participate actively. My exploration is based on textual analysis of overseas volunteering activities, international development, and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in South Korea and beyond. I argue that volunteering abroad is situated at the convergence of new governmental rationalities of“ poverty”as“ light”intervention, now undertaken without any criticism or questioning of structural violence under capitalism, and in the context of the “university student”being viewed as a selfdeveloping subject who is expected to increase global competitiveness. Second, how do university students experience, interpret and respond to the project that interpellates them as the subjects of volunteering abroad? What does the friction between their practices and the official discourses of voluntarism and participation tell us about the condition of youth amidst the normalization of“ growth without employment”and increasing competition in the job market? Towards this end, I have examined the processes in which South Korean students performed a corporate-sponsored volunteering activity in China. What intrigues me is that volunteering abroad does not alleviate economic poverty so much as it operates as “public therapy”which cures the “poverty of the mind”for students who are wounded by fierce competition and life insecurities. However, these students` struggles to pursue what their society deems a “normal”life end up producing a series of self-sufficient, segmented“ episodes”in volunteering activities, which suture their wounds only temporarily. Ethnographic research on volunteering abroad prompts us to pay attention to rampant anxieties among youth rather than celebrate it as a process of self-development toward global leadership, as often narrated by government and corporate bodies.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