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알쯔하이머형 치매환자에서 SPM 방법을 이용한 뇌 관류 SPECT 와 정신 - 인지기능 수행성능의 상관

        강혜진(Hye Jin Kang),강은주(Eun Joo Kang),이재성(Jae Sung Lee),여정석(Jeong Seok Yeo),김진영(Jin Yeong Kim),이동수(Dong Soo Lee),이동우(Dong Woo Lee),조맹제(Maeng Ja Cho),정준기(June Key Chung),이명철(Myung Chul Lee),이명훈 대한핵의학회 2002 핵의학 분자영상 Vol.36 No.2

        N/A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brain areas in which reductions of regional cerebral blood flow (rCBF) were correlated with decline of general mental function, measured by Mini-Mental State Examination (MMSE). Materials and Methods: Tc-99m HMPAO brain SPECT was performed in 9 probable AD patients at the initial and follow-up periods of 1.8 years (average) after the first study. MMSE scores were also measured in both occasions. The mean MMSE score of the initial study 16.4 (range: 5 - 24) and the mean MMSE score of the follow-up was 8.1 (range: 0 - 17). Each SPECT image was nomalized to the cerebellar activity and a correlation analysis was performed between the level of rCBF in AD patients and the MMSE scores by voxel-based analysis using SPM99 software. Results: Significant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the blood-flow decrease in left inferior prefrontal region (BA 47) and left middle temporal region (BA 21) and the MMSE score changes. Additional areas such as anterior and posterior cingulate cortices, precuneus, and bilateral superior and middle prefrontal regions showed the similar trends. Conclusions: A relationship was found between reduction of regional cerebral blood flow in left prefrontal and temporal areas and decline of cognitive function in Alzheimer`s disease(AD) patients. This voxel-based analysis is useful in evaluating the progress of cognitive function in Alzheimer`s disease. (Korean J Nucl Med 2002;36;91-101)

      • KCI등재

        알코올의존 고의심군의 사회인구학적 특성 및 위험요인 분석 : 전국적 확률표본을 대상으로 Nationwide Probability Sample Survey

        조성진,서국희,남정자,서동우,조맹제 大韓神經精神醫學會 1998 신경정신의학 Vol.37 No.6

        연구목적 : 본 연구는 일반 성인인구중 '술을 즐겨 마신다'고 응답한 20세 이상의 대상자들에게 CAGE를 적용하고, CAGE 총점이 2점 이상일 때 알코올의존 고의심군으로 규정하였다. 이들 알코올의존 고의심군들의 유병률을 산출하고. 사회인구학적 특성 및 음주양태를 알코올 비의존군과 비교분석하고 알코올의존 고 의심군의 위험요인들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전국을 6대도시, 기타도시. 군 지역으로 층화하여 얻은 110개 기본 표본조사구에서 15∼69세에 해당되는 5,805명중 20세 이상인 5,331명을 선정하였다. 시골지역에서 대상자가 과잉 선정된 것이 결과에 미치는 영향을 제거하기 위하여. 실재 면접대상자인 5.331명에 대하여 지역에 따른 보정을 시행하였다 이들을 비의존군(CAGE<1)으로 구분하여. 이들의 사회인구학적 특성과 음주양태를 비교하였다. 조사자료 통계는 빈도, 백분율, chi-square test 및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를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 본 조사연구의 분석결과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인 항목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1) 전체 음주비율은 33.7%였고, 남녀별 음주비율은 각각 26.3%와 7.40%였다. 전체 알코올의존 고의심군 비율은 10.9%였으며. 남녀별 알코올의존 고의심군 비율은 각각 9.94%와 0.94%였다. 2) 음주자들의 사회인구학적 특성을 비교한 결과. 남자에서 알코올의존 고의심군이 알코올 비의존군들에 비해서 나이가 더 많고, 학력이 낮으며, 서비스직에 종사하며, 기혼자나 배우자와 사별한 사람이 많았고, 우울증상을 동반한 경우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여자의 경우, 알코올의존 고의심군이 알코을 비의존군보다 학력이 낮고,월평균수입이 작으며 우울증상을 동반한 경우가 많으며, 흡연경험이 많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3) 음주자들의 음주양태를 비교한 결과를 보면, 남자에서 알코올의존 고의심군들은 알코을 비의존군 보다도 음주횟수가 많고, 음주량도 많으며 , 절주를 시도한 경우도 많았고, 또 소주를 선호하였다. 여자의경우, 알코올의존 고의심군들이 알코올 비의존군과 비교하여 음주 횟수가 많았고, 음주량도 유의미하게 많았으며. 지난 1년간 과음 횟수도 많았고, 절주나 금주를 더 많이 시도하였다. 4)사회인구학적 변인들의 다중로짓분석 결과, 남자는 교육년수가 6년 이하이고.우울증상을 동반할 경우, 알코올의존 고의심군이 될 위험성이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여성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위험요인은 없었으나, 역시 저학력과 우울증상이 높은 위험도를 시사하였다. 결론: 본 연구에서 알코올의존 고의심군의 유병률은 10.9%이었고, 남녀비율은 10.6대 1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알코올의존 고의심군의 위험요인며 우울증상과 초등학교 이하의 학력인 것을 고려할 때 우울증상의 조기발견과 치료, 저학력자에 대한 집중적인 교육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0bjectives : The aims of this study were 1) to estimate prevalence rates of drinkers, two subtypes of drinkers-drinkers without dependence and drinkers with probable alcohol dependence(AD) using CAGE, and 2) to fed out the correlates of sociodemographic variables and drinking patterns of the drinkers with probable AD by comparing those of the drinkers without dependence,3) to analyse risk factors for the drinkers with probable AD. Methods : Using data from face-to-face interviews conducted during 1995, we investigated the prevalence and characteristics of two subtypes of drinkers in a national probability sample of 1,695 drinkers 20 years of age and older, We defined drinkers with CAGE scores 2 and over as drinkers with probable AD, and scores less than 1 as drinkers without dependence. The comparisons of sociodemogaphic characteristics and drinking patterns between two subtypes of drinkers were examined through chi-square test using weighted data. Statisical analysis including multiple logistic recession analysis were done for each sex, respectively. Because of the large number of coefficients estimated, Bonferroni's method was used to compute p values. Results : The results were as fo11ows 1) Prevalence of the drinkers was 33.7% in the total sample. Prevalence rate of male and female drinker were 26.3% and 7.40%, respectively. Prevalence of the drinkers with probable AD was 10.9%. for males the prevalence of the drinkers with probable AD was 9.99% and for females 0.94%. 2) According to sociodemographic variables between drinkers without dependence and drinkers with probable AD, males drinkers with probable AD were older, less educated, more depressive, married marital status and were more likely to have occupations of service section than male drinkers without dependence. female drinkers with probable AD were less educated, more depressive and had less monthly income than drinkers without dependence. 3) As for the drinking patterns, male drinkers with probable AD drank more frequently, had more drinks, had more trying to quit drinking and preferred Soju. Female drinkers with probable AD drank more frequently, had more drinks, were more trying to quit drinking, too. 4) Multiple logistic recession analysis showed that the risk factors for male drinkers with probable AD were lower education(≤6 years) and depressive symptoms. For females, depressive symptoms and lower education(≤6 years) were strongly indicative of risk factors though not reaching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Conclusions : Preva1ence of the drinkers with probable AD was 10.9%, and male to female ratio was 10.6 1, which was lower than previous results. Depressive symptoms and lower education proved to be strong predictors for alcohol dependence. This suggest that early detection and treatment of depression and public education for the lower education group should be important.

      • KCI등재

        일 농촌지역의 우울 증상에 관한 역학연구 -위험요인 및 요인구조분석

        하양숙,홍진표,김한규,이군희,한경자,조맹제,김용익,송미순,박성애,김창윤 大韓神經精神醫學會 1999 신경정신의학 Vol.38 No.2

        연구목적 : 세계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우울증 척도인 the Center for Epidemiologic Studies Depression Scale(CES-D)을 이용하여 지역사회 주민의 우울증상의 정도를 평가하고, 우울증상의 위험요인을 분석하고, 한국인에서 우울증상의 요인구조를 알기 위해 본 연구를 실시하였다. 방 법 : 경기도 일 농촌 지역의 30세 이상 주민에 대해 무작위 군집 집락 추출을 실시하였고, 훈련된 면담원들이 가정 방문을 통하여 면접 및 자기보고 검사인 CES-D를 실시하였다. 총 1,315명에서 응답을 하였고 응답율은 59.3%이었다. 결 과 : CES-D에 의한 우울증 점수는 0∼5점이 57%정도를 차지하였고, 평균 점수는 남자 7.8점 여자 9.5점으로 비교적 낮은 편이었다. ANCOVA 분석 결과 비결혼, 저학력, 여성이라는 위험요인은 독립적으로 우울증상을 악화시키는 요인이었으나 연령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CES-D 결과를 요인분석을 시행한 결과 4가지 요인이 추출되었는데 우울증상 및 신체증상이 한 개의 요인으로, 다른 나라에서 보고되지 않는 정서적 고통이 별도의 요인으로 추출되었다. 결 론 : 국내 역학 조사에서도 외국과 유사한 우울점수 및 위험요인이 확인되었으나 우울증의 요인에서는 특이한 요인이 추출되었다. 한국인에 독특한 우울 반응에 관한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 Objectives :The rates, correlates, and factor structure of depressive symptoms in a Korean rural sample were examined using Korean version of the Center for Epidemiologic Studies Depression Scale(CES-D). Methods : Door to door visiting survey was conducted by trained interviewers. A random cluster sample of 1,315 respondents, aged 30 and over completed the CES-D scale along with additional sociodemographic questionnaire. Results : In this sample, mean CES-D score of male and female were 7.8 and 9.5, respectively which were lower than those reported previously. Symptoms of depression were most common among the less educated, non-married and female according to ANCOVA. Age was not a significant risk factor for depressive symptoms. Different factor structures emerged from this sample as compared to other studies using this approach. Somatic symptoms and affective symptoms were combined as one factor and emotional hardship emerged as a separate factor. Conclusion : Symptoms scores and risk factors were similar to the results reported in other countries but unique factor structures were found in this study. Further research is needed about the Korean depressive symptomatology and related area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