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유동 패턴 분석 방법으로서의 요인 분석에 대한 비판적 검토

        조대헌 한국지도학회 2011 한국지도학회지 Vol.11 No.1

        통근 통행과 같은 복잡하고 방대한 유동 데이터를 분석하기 위해 요인 분석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 논문의 연구 목적은 유동 패턴을 분석함에 있어 요인 분석의 유용성을 방법론적인 측면에서 비판적으로 검토하는 것이다. 요인 분석을 통해 변수들간의 유사성에 기초하여 도착지(출발지)들을 구분하고, 각 그룹에서 도착지(출발지)들과 이동이 큰 출발지(도착지)를 파악할 수 있다. 이때 변수들의 표준 점수와 상관 관계가 사용됨으로 인해 파악된 주요 도착지나 출발지를 해석함에 있어 주의가 필요할 뿐만 아니라 절대 값의 측면에서 주요한 흐름이 드러나지 않을 수 있다는 점 또한 고려해야 한다. 서로 다른 요인에 해당하는 지역들 간에 상관성이 존재하는 경우라면 일반적으로 시도되는 요인의 직교 회전은 해석을 더욱 어렵게 한다. 요인 분석의 결과로 기능 지역을 설정하려는 시도가 있는데, 지역 간의 상호작용은 최소화되고 지역 내의 상호작용은 최대화되는 측면에서의 기능 지역 개념에 비추어보면 요인 분석의 결과는 그 근거가 충분하지 않다. Factor analysis is broadly used for analyzing complex and voluminous flow data such as travel to work data.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view the effectiveness of the factor analysis for flow data in methodological aspect. By factor analysis, destinations (origins) can be regionalized based on the similarity of the variables, and the flow between the grouped destinations (origins) and their main origins (destinations) can be identified. Interpretation of the main destinations and origins identified in this process have to be done with caution and the fact that significant flows in absolute value might be hidden has to be considered when the standard score and the correlation of variables are used. If the orthogonal rotation of factor is done in case factors are correlated, it makes the interpretation of the analysis more complicated. There are attempts to zone functional regions according to the result of factor analysis; however factor analysis does not have adequate logical basis for identifying functional regions when functional region’s conception reflects regionalization by minimizing inter-flow and maximizing the intra-flow.

      • KCI등재

        다국어 세계지도의 제작 방안에 관한 연구

        조대헌,이상일,구형모 한국지도학회 2013 한국지도학회지 Vol.13 No.1

        본 연구는 우리나라 국토지리정보원에서 2011년 제작한 세계지도를 바탕으로 다국어(프랑스어, 스페인어, 포르투갈어, 아랍어) 세계지도를 제작하기 위한 방안의 수립을 주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세 가지 세부 과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각 언어권에서 기 제작된 세계지도의 일반적인 특성을 파악하고, 둘째 다국어 세계지도 제작의 핵심인 다국어 지명 리스트의 작성 방안을 수립하며, 셋째, 다국어 지명 리스트 작성을 실제 실행한 후 과제 및 시사점을 도출한다. 본 연구의 수행 결과 주어진 제한된 여건 속에서 다국어 세계지도를 제작하는 것이 가능하였으나 전 세계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다국어로 표현하는데 있어 과제 또한 존재함을 파악할 수 있었다. 무엇보다 국내외의 세부적인 지명을 다국어로 표현하기 위한 세부 지침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며, 이를 위한 별도의 전담 조직과 지원 시스템의 운영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aims to establish a procedure of producing multilingual world maps (French, Spanish, Portuguese, and Arabic) based on the world map that was published in Korean and English by the National Geographic Information Institute in 2011. To that end, an analysis on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existing world maps is undertaken. Then, a method to draw up the multilingual list of geographical names is established. Finally, the list of multilingual geographical names is compiled, and some challenges and implications are derived. It is found that there are some difficulties to resolve to represent a wide range of information about the world in multiple languages. It is learned that, in order effectively to label worldwide geographical names in multiple languages, detailed guidelines should be made and an organization or a department of it needs to take a full responsibility for these tasks with supportive efforts by other organizations.

      • KCI등재

        중소도시의 내부 인구이동과 주택시장 간의 연관성 분석: 강릉시 사례 연구

        조대헌 한국지도학회 2020 한국지도학회지 Vol.20 No.2

        이 연구의 주된 목적은 중소도시 내부 인구이동의 패턴을 주택 시장의 특성과 연관 지어 분석하는 것이다. 전국 시・군 단위의 인구이동을 살펴본 결과 지역 중심지에 해당하는 도시들은 시・군의 경계를 넘지 않는 내부이동 비중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나고 있다. 이 도시들은 아파트 비율이 높을 뿐만 아니라 인구이동 사유에서 주택 요인이 차지하는 비중이 높은 특징을 가지고 있다. 내부이동의 비중이 높은 강릉시를 사례 지역으로 하여 내부이동의 공간 패턴을 주택 시장에 초점을 두어 분석하였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강릉시는 2014년 이후 신축 아파트 공급이 크게 늘어나면서 인구의 내부이동 비중이 더 높아졌는데, 이 과정에서 아파트 공급이 집중된 곳은 높은 양의 순이동을 기록한 반면 기존의 인구중심지는 큰 음의 순이동을 나타냈다. 둘째, 내부이동에 대한 OD 분석 결과 아파트 공급지로의 지배적 흐름이 강릉시 전역에서 광범위하게 나타났으며, 그 하위에는 인구 유출이 많았던 기존 중심지로 유입되는 소규모의 흐름이 관찰되었다. 셋째, 주택가격과 내부이동 간의 연관성을 살펴보면 전출지에 비해 주택가격이 더 비싼 곳으로 이동하는 경향이 훨씬 강하게 나타났다. 이 연구는 거의 주목받지 못한 중소도시 내부이동을 다루고 있을 뿐만 아니라 그 특성이 수도권 혹은 대도시에서의 이동과는 이질적일 수 있음을 밝히고 있다는 점에서 시사하는 바가 크다.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atterns of internal migration in small and medium-sized cities in relation to the housing market. Examining the characteristics of migration by the county level administrative units shows that major regional cities have a relatively large proportion of internal migration that migrants do not cross the administrative boundary. In theses cities, not only the ratio of apartments to total housing is high, but housing related factors are the biggest reasons for migration. The spatial patterns of internal migration were analyzed with a focus on the housing market in case of Gangneung with high internal migration.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s intensifying internal migration with the large supply of new apartments since 2014, areas where the supply of apartments was concentrated showed high level of net in-migration, while existing areas with large populations showed high level of net out-migration. Second, analysis of OD flows revealed the dominant flows from most areas of Gangneung to areas with new apartments, and the sub-flows towards large residential areas where have suffered great net outflows. Third, there was much more movement to areas with higher housing prices than origins. This study has great implications in that it not only deals with internal migration of small and medium-sized cities that have received little attention, but also reveals that their characteristics may be different from those in metropolitan or large cities.

      • KCI등재

        우리나라 도시축소의 공간적 특성 분석: 인구집중구역의 변화를 중심으로

        조대헌,이채현 한국도시지리학회 2023 한국도시지리학회지 Vol.26 No.3

        The unprecedented phenomenon of population decline in South Korea has emerged as a significant issue, leading to active research on urban shrinkage. However, most studies focus on identifying the extent, factors, and characteristics of urban shrinkage using the city as a whole as the unit of analysis, with limited research on the spatial patterns of shrinkage within cities.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spatial characteristics focusing on the change of densely inhabited districts in municipalities experiencing population decline. After defining relatively densely inhabited districts (RDID), spatial changes of them were classified and analyzed with multiple indicators based on the population grid with 500m for 2000 and 2020. The findings showed that RDIDs generally shrank and urban compactness also tended to decrease in depopulating cities, and these patterns of change were classified into five clusters. Based on these results, we suggested several implications related to urban maintenance and regeneration centered on RDIDs considering the shrinkage characteristics of each region within the broader direction of transitioning towards a more compact urban spatial structure. 우리나라에서 전례 없는 인구감소 현상이 주요 이슈로 부상하며, 도시축소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연구는 전체로서의 개별 도시를 분석 단위로 하여 축소 정도, 요인, 특성 등의 파악에 중점을두고 있어, 도시 내부의 축소 양상, 특히 공간적 측면에 대한 연구는 드물다. 이에 본 연구의 주된 목적은 인구감소가 진행 중인 시군의 인구집중구역에 초점을 맞추어 도시 내부의 공간적 변화 특성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2000년과 2020년의 500m 격자 인구 통계를 사용하여 상대적 인구집중구역을 설정, 그 변화 특성을 유형화하여 분석하였다. 인구감소 시군은 대체로 인구집중구역이 축소되고 압축도 또한 저하되는 경향을 보였는데, 변화 양상은5개 군집으로 세분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압축적인 도시공간구조로의 전환이라는 큰 방향성 속에서 각 지역의 변화 특성에 따라 인구집중구역을 중심으로 한 도시 유지 및 재생과 관련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 하위인구집단의 분포 재현을 위한 에어리얼 인터폴레이션의 비교 분석

        조대헌,Cho, Daeheon 한국공간정보학회 2014 한국공간정보학회지 Vol.22 No.3

        Population data are usually provided at administrative spatial units in Korea, so areal interpolation is needed for fine-grained analysis. This study aims to compare various methods of areal interpolation for population subgroups rather than the total population. We estimated the number of elderly people and single-person households for small areal units from Dong data by the different interpolation methods using 2010 census data of Seoul, and compared the estimates to actual values. As a result, the performance of areal interpolation methods varied between the total population and subgroup populations as well as between different population subgroups. It turned out that the method using GWR (geographically weighted regression) and building type data outperformed other methods for the total population and households. However, the OLS regression method using building type data performed better for the elderly population, and the OLS regression method based on land use data was the most effective for single-person households. Based on these results, spatial distribution of the single elderly was represented at small areal units, and we believe that this approach can contribute to effective implementation of urban policies. 공간 분석 연구를 위해 사용되는 대부분의 통계 자료는 행정구역 단위로 구축되어 있어 보다 세밀한 분석을 위해서는 에어리얼 인터폴레이션이 필요하다. 본 연구의 주된 목적은 전체 인구가 아니라 하위 인구집단에 초점을 두어 에어리얼 인터폴레이션을 실행하기 위한 방법들을 비교 검토하는 것이다. 서울의 2010년 센서스 데이터를 이용해 행정동 단위의 고령인구와 일인가구를 사례로 고해상도의 공간 단위로 인터폴레이션 한 후 경험 데이터와 비교함으로써 서로 다른 방법들의 적용 가능성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 전체 집단과 하위 집단 간에, 그리고 하위 집단 간에도 우수한 실행방법이 다소 간의 차이를 나타내었다. 총인구와 총가구는 건물용도 및 GWR(geographically weighted regression)을 이용한 방법이, 고령인구는 건물용도 및 OLS 회귀분석을 이용한 방법이, 일인가구는 토지용도 및 OLS를 이용한 방법이 가장 좋은 결과를 보였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대표적인 사회적 약자인 서울의 일인고령가구에 대한 분포를 고해상도의 공간 단위로 재현하였으며, 이러한 접근은 관련 도시 정책의 실행에 큰 기여를 할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우리나라 도시 축소의 인구 요인 및 특성 분석

        조대헌 한국도시지리학회 2021 한국도시지리학회지 Vol.24 No.1

        최근 국내에서 도시축소에 대한 연구가 늘어나고 있지만 인구학적 요인에 대한 실증 분석은 드물다. 이 연구의주된 목적은 우리나라 시급 도시를 대상으로 축소의 인구 요인과 그 특성을 분석하는 것이다. 먼저 78개 도시를 대상으로 2000년 이후의 인구 변화 경향에 따라 유형을 구분하고 출생, 사망, 인구이동의 측면에서 변화의 요인을 파악하였다. 31개 도시에서 총 10% 정도의 인구가 감소하였는데, 그중 21개 도시는 연속적으로 감소하여 지속성이 강하게 나타났다. 낮은 자연증가에 비해 큰 음의 순이동이 인구감소의 주요인이었는데, 주로 청년층이 대도시 및 인구증가 도시로 빠져나갔다. 인구감소 도시는 인구증가 도시에 비해 출산율, 사망률, 순이동률이 모두 부정적일뿐만 아니라 더 악화되고 있는데, 특히 젊은 여성의 순전출과 출산율 저하가 자연증가의 감소를 촉진하였다. 종사자 증가율과 주택 증가율이 인구 증가율과 높은 양의 상관성을 가지는데, 인구감소 도시의 종사자 증가 및 주택 공급은 미약했다. 또한 3차산업비율은 인구변화와 양의 상관관계를 보인 반면 2차산업 비율은 음의 관계를 나타내 인구감소 도시에서는 2차산업의비율이 증가하였다. 이 연구는 도시축소에 대한 이해를 높일 분만 아니라 더 세밀한 정책적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다. Though research on urban shrinkage have been increased recently, empirical analysis of its demographic factors is still insufficient in Korea.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demographic factors and characteristics of shrinkage in Si-level cities in Korea. First, 78 cities were classified into sub-groups basis on the trend of population change since 2001, and factors of demographic change were identified in terms of birth, death, and migration. A total of 10% of population decreased in 31 cities, of which 21 showed long-term continuous decline. With the large outflow of young people to metropolitan and growing cities, the negative net migration greater than natural increase was the main factor of the population decline. Compared to the growing cities, the fertility rate, mortality rate, and net migration rate of declining cities has been negative and worsened, and outflow of young female and falling fertility rate has accelerated decline in natural increase. The growth rate in workers and the housing growth rate had a high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population growth rate, so the number of workers and the supply of housing has increased marginally in declining cities. In addition, there i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share of service industry and population change, whereas the share of secondary industry that increased in declining cities has a negative correlation with it. This study can improve our understanding of urban shrinkage, and also provide more detailed policy implications.

      • KCI등재

        GIS 분석을 이용한 『대동여지도』의 투영법 추정

        조대헌,이상일 한국지도학회 2017 한국지도학회지 Vol.17 No.2

        대동여지도의 지도학적 특성에 대한 연구가 상당히 이루어졌음에도 불구하고 투영법에 대한 체계적이고 종합적인 연구는 드문 편이다. 이 연구의 주된 목적은 GIS 분석에 기초하여 대동여지도의 투영법을 추정하고, 그 특성을 파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먼저 대동여지도와 같은 고지도에 대한 투영법 추정의 절차와 GIS 기반의 분석 방법을 정립하였다. 핵심적인 과정은 각 후보 투영법을 적용한 준거 지도 상의 통제점을 고지도 상의 좌표로 기하변환한 후 고지도와의 위치 일치도와 형태 일치도를 분석하는 과정을 모든 후보 투영법에 반복적으로 수행하여 가장 적합도가 높은 투영법을 선정하는 것이다. 13종의 후보 투영법에 대해 다양한 투영 기준선을 적용하여 대동여지도의 투영법을 추정한 결과 정형원추도법 혹은 정형원통도법의 적합성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오차의 분포가 이질적으로 존재하는데, 남부는 상당히 오차가 작은 반면 북쪽으로 갈수록 위치 오차와 형태 오차가 증가되었다. 따라서 남북 간에 적합한 투영법이 서로 다를 것으로 간주하고, 대동여지도의 북부와 남부에 대한 분석을 별도로 수행하였다. 그 결과 대동여지도의 북부는 정적원통도법이, 남부는 정거원추도법 및 정형원추도법의 적합도가 가장 높았으나, 남부의 경우 투영법 간에 적합도의 차이가 크지 않았다. 이 연구는 고지도에 대한 GIS 분석 연구의 확대에 기여한다는 의의가 있으나 향후 적합도를 측정하는 방법의 개선이나 통제점의 검증 등이 필요하다. Despite many studies on the cartographic characteristics of Daedongyeojido, there has been little systematic research focusing on the map projection. This study aims at estimating the map projection of Daedongyeojido and examining its characteristics through a GIS-based analysis. First of all, practical procedures for estimating map projections of old maps and related GIS-based analysis methods are established. The best fit projection is chosen after the process that the control points in the reference map based on each candidate projection are converted to the old map using geometric transformations and the location similarity and the shape similarity is measured, is repeated for all candidate projections. These procedures were applied to 13 candidate projections of various types with varying projection parameters (central meridian and standard parallels) to estimate the projection of Daedongyeojido. As a result, it was revealed that the conformal conic projection and the conformal cylindrical projection was the best fit. However, the distribution of errors showed spatial heterogeneity that both the positional error and the shape error increased toward the north. So, additional analyses were performed assuming that the projections with better fit would be different between the southern and northern regions. It turned out that the best fit one was cylindrical equal area projection in the north, but the equidistant conic projection and the conformal conic projection showed the highest fitness in the south. It is meaningful that this study contributes to expanding the study of old maps based on the GIS analysis, but further research is needed to improve methods for measuring fitness of map projections and to analyze using verified control points.

      • KCI등재

        국가 지형도 도엽명 부여 원칙 설정 및 적용: 1:50,000 지형도를 중심으로

        조대헌,이상일,김진혁 한국지도학회 2015 한국지도학회지 Vol.15 No.3

        국가 지형도에 있어 도엽명은 도엽의 효율적인 관리 및 검색을 위한 인덱스이면서 동시에 특정 도엽의 위치를 참조할 수 있게 하는 지리참조 체계의 역할을 수행한다. 우리나라의 지형도 제작 역사가 100여 년이 지나고 있으나 도엽명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는 거의 전무하다. 본 연구의 주된 목적은 국가 지형도의 도엽명 부여 원칙을 정립하고, 이를 실제 적용하여 현행 도엽명의 적절성을 검토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국가 지형도 도엽명 부여 원칙의 필요성을 살펴본 후 도엽명 부여 원칙을 수립하기 위한 실행 방안을 제시하였다. 둘째, 현행 지형도 도엽명을 기초로 행정구역명 중심의 도엽명 부여 원칙을 제안하였다. 셋째, 이 원칙에 입각하여 현행 1:50,000 지형도 도엽명을 검토하였다. 그 결과 제안된 원칙을 적용할 경우 현행 도엽명 가운데 약 20% 정도가 변경 가능한 도엽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제안된 원칙은 향후 발생 가능한 도엽명의 신규 부여 및 갱신 과정에 효과적으로 적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e sheet names of national topographic maps serve as an index for the efficient management and search of map sheets as well as a georeferencing system to inform the location of the area that they cover. Although national topographic maps have been compiled over 100 years in Korea, there has been very little research on the sheet names of topographic map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a map sheet naming principle for national topographic maps and to examine existing map names on the basis of the proposed principle.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practical ways to establish the principle for the map sheet naming are suggested in accordance to a discussion on the importance of the principle. Second, the principle for map sheet naming to prioritize the administrative unit names is developed based on existing map names. Third, an examination is undertaken for the names of existing 1:50,000 national topographic maps with respect to the proposed principle, suggesting that around 20% of the current map names need to be renamed. The proposed principle is expected to provide an effective foundation on which new maps are named and existing maps are renamed as wel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