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탈(脫)한류 하는 일본 속 K컬처: 문화수용에서 문화융합으로

        조규헌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 2023 아시아리뷰 Vol.13 No.3

        일본 한류는 부정적인 한일관계 속에서 새로운 향유층들을 넓혀 가면서 일본 사회 속에 단계적으로 정착해 온 문화사(文 化史)로서의 성격을 지닌다. 본 연구는 2020년 4차 한류 이후 일본 사회에서의 한류가 더 이상 ‘한류’라는 명칭에 종속되지 않는다는 점에 착목해 “탈(脫)한류 하는 일본 속 K컬처”의 구체적인 양상을 검토한 것이다. 지금까지 일본 속 한류는 일본사회가 콘텐츠를 통해 점진적으로 문화를 이해해 가는 ‘문화수용’의 성격이 컸다. 하지만 현재는 일본 사회가 K컬처를크리에이티브(creative)한 요소로 인식해 일본 사회문화 시스템에 연결시키는 새로운 ‘문화융합’의 단계에 접어들고 있다. 즉 일본에서 K컬처는 일부 팬덤들에 의해 향유되는 ‘서브컬처’로서만이 아닌, 한층 보편적 문화로 인식되어 주류 ‘사회문화’에서도 다양한 관점으로 활용되기 시작한 것이다. 따라서 앞으로의 K컬처와 J컬처의 새로운 ‘문화융합’ 양상은 한일 간문화사적 교류 관점에서도 더욱 주목해야 할 것이다. The Korean Wave in Japan takes on a characteristic as a cultural history that has been gradually established in the Japanese society, while expanding its social classes enjoying K-culture amid negative Korea-Japan relations. Having noticed the fact that after the fourth Korean Wave in 2020, the Korean Wave in the Japanese society is no longer subordinate to the title, ‘the Korean Wave’ we commonly say, this study aimed to examine concrete aspects of ‘K-culture in Japan in process of post-Korean Wave. Until recently, the Korean Wave in Japan had a strong characteristic of ‘Cultural Acceptance’ that the Japanese society was getting to understand the Korean contents and culture more and more. At present, however, the Japanese society is entering a new phase named ‘Cultural Convergence’, where they started recognizing K-culture as a creative element and connecting it to the Japanese social and cultural systems. Therefore, we should pay more attention to such aspects of ‘Cultural Convergence’ between K-culture and J-culture from the perspective of exchanges in the Korea-Japan cultural history.

      • KCI등재

        야나기타민속학의 도작농경일원론 계승이 남긴 과제 ―히토쓰메 코조(一つ目小僧)의 재해석을 중심으로

        조규헌 한국일본근대학회 2011 일본근대학연구 Vol.0 No.32

        야나기타민속학은 <논신과 산신의 거래(去來)신앙>으로 도작농경일원론(稻作農耕一元論)을 전개했다. 이것은 일본 연중행사의 다양한 속성을 배제하고 농경중심의 획일적인 의례론을 성립시킨 계기가 되었다. 야나기타 민속학을 계승한 민속학자들은 일본의 대표적 연중행사 중 하나인 ‘고토요카’를 도작농경의례로 파악하였다. 야나기타 민속학 이론의 무비판적 수용은 ‘고토요카’에 대한 엄밀한 분석을 결여시킨 채 도작농경의례라는 결론을 제출한 것이다. 본고에서는 ‘고토요카’ 속에 ‘8일 셋쿠’라는 명칭이 있다는 것에 주목하였다. 일본민속에서 ‘셋쿠’는 아이의 성장 등을 기원하는 날이다. ‘셋쿠’의 관념은 ‘액땜’에 의한 개인의 행복과 깊이 관계한다. 즉 ‘8일 셋쿠’는 ‘농경’ 보다 ‘재앙’ 예방을 위한 날인 것이다. ‘8일 셋쿠’에 내방하는 히토쓰메 코조(외눈박이 어린 승)는 산신과 불교의 습합에 의한 존재로 판단했다. 히토쓰메코조는 ‘8일 셋쿠’에 찾아오는 ‘맞이해야만 할 신’이다. 이 날이 ‘셋쿠’라는 점에서 히토쓰메 코조는 풍작을 위한 신이 아니라 재양을 진압해주는 신이라는 것을 충분히 추정할 수 있다. Yanagita kunio unfolded his theory of folklore by rice-farming monism which motivated from the faith of dealings by Gods of rice peddies and dry fields. This led to a uniform theory on rituals of annual events which excluded there various characters. Scholars succeeded him understood kotoyoka, one of the representative annual events, as a ritual of rice-farming culture. The viewpoint was the result of non-criticized reception of his theory. It is worth notice that the 8th day sekku in kotoyoka, praying day for safety growth of children in Japanese folklore, is deeply concerned to personal happiness by escape from a calamity. We can find the meaning of the day is to prevent a calamity rather than pray for the fertility in agricultural society. Hitotsume kozo who comes at 8th day sekku is a creature of connection of mountain God and Buddhism. Hitotsume kozo is the God must be greeted at that day in Japanese traditional society and we can reasoning that the function of the God is to prevent calamity, not to bring abundance in agricultural society.

      • KCI등재

        하라이(拂い)의 일본민속 고찰 -세시풍속과 야쿠도시(厄年) 의례의 관계를 중심으로-

        조규헌 한국일본근대학회 2014 일본근대학연구 Vol.0 No.45

        하라이(拂い)란 일본에서 부정을 없애는 정화의식 등으로 통용되는 일본어이다. 본 고에서는 하라이 의례가 일본민속에서 실제로 어떠한 형태로 존재하는지‘세시풍속과 ’일생의례’의 관계 속에서 파악하였다. 이러한 두 개념의 관계에 주목한 이유는 기존의 ‘도작(稻作)농경’ 중심의 민속학적 개념에 반론을 제시하기 위해서 이었다. 본고의 분석내용을 정리하면 첫째 일본 세시풍속에서는 농사를 위한 의례가 아니라 잡귀(雜鬼)를 퇴치하여 재액(災厄)을 방지하기 위한 의례가 상당히 많다. 둘째 일본의 일생의례에는 전통적으로 유아, 성년, 장년, 노년 등 연령축하 행사가 많다. 여기에도 재액예방과 건강기원 관념을 배경으로 하고 있다. 셋째 야쿠도시(厄年)의 의례가 세시풍속의 일환으로 행해지는 점에 주목하였다. 즉 일본의 세시풍속의 내용 속에는 농경과 무관하게 오로지 개인의 건강과 관계하는 성격이 분명히 존재한다는 것이다. 이 점이기존의 ‘도작농경’ 중심의 민속학적 개념을 재검토하는 중요한 시사점이 될 수 있다고 생각한다. In this article, it was investigated in the relationship with seasonal customs and lifetime ceremony to figure out in which form this Harai had been actually existing in Japanese folklore. As the conclusion of the analysis of this article, first, among the Japanese seasonal customs, there were considerably many rituals that were not ceremonies for agriculture but rituals to prevent calamity by casting out evil spirits. Second, among Japanese lifetime ceremonies, there are traditionally many age-celebration events for childhood, adulthood, late middle age and old age. These are also based on the concept of calamity prevention. Third, the fact that the ceremony of calamity year ‘Yakudosi’ had been conducted as an seasonal customs was brought into the attention. In other words, it implies that, in the content of Japanese seasonal customs, a characteristic related only to individual health but irrelevant to agriculture was absolutely existing. This fact may provides an important implication to reexamine the existing folkloristic concept which focuses on ‘rice farming agriculture’.

      • KCI등재후보

        日本文化一元論における <田の神・山の神去来信仰>再考 ― 正月儀礼としてのコトハジメ・コトオサメ ―

        조규헌 한림대학교 일본학연구소 2009 翰林日本學 Vol.0 No.14

        본고에서는 도작농경일원론(일본문화일원론)의 틀 안에 아직 갇혀 있는 ‘고토요카’를, 종래의 이론적 선입견에서 벗어나 민속 사상事象 자체의 재검토를 통해 일본문화 다원론의 맥락에 올려놓고자 하였다. 특히 ‘고토요카’의 다양한 의례론 가운데에서도‘고토요카’고토하지메/고토오사메’론의 재검토에 초점을 맞추었다. 그 이유는 ‘고토하지메’와 ‘고토오사메’가 야나기타 구니오에 의한 <논신과 산신의 거래신앙>에 적용되어 ‘고토요카’가 도작농경일원론에 흡수되는 최대의 논거로 존재해 왔기 때문이다. ‘코토하지메’와‘코토오사메’는‘고토요카’의 전체를 대변할 수 없고 어디까지나 지역적 분포 상의 특징이라는 점에 착안하면, 옥내에 내방하는‘신’에 대한 의례, 이날 내방하는 ‘신’이 ‘고토요카’의‘8일’과는 무관하게 연2회 내방한다는 점, 거기에서의 공물이 신년 정월의 가가미모치와 구별되는 보타모치등 이라는 점, 논신과 산신의 이질성등을 확인할 수 있다.‘고토하지메/고토오사메’는 도작농경과는 이질적인 전작농경과 관계하는<도시가미(정월신)과 다노가미(밭신)의 거래신앙>의 정월의례적 성격을 지니고 있는 것으로 판단하였다. 정월의 다원적 성격을 확인한 본 연구는 금후 민속학적 일본문화다원론 연구의 활성화에 기여하는 바가 적지 않으리라 생각한다.

      • KCI등재

        日本の年中行事における「負の霊的存在」 の概念についての一考察 ‒ 境界との関わりを中心に ‒

        曺圭憲,李市埈 한국일본근대학회 2015 일본근대학연구 Vol.0 No.50

        This study aims to clearly distinguish divinities between visiting deities and evildoing deities by analyzing ‘Kotoyoka’ of houses and villages. Through this, it further aims to better cla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annual events and monsters. First of all, it was considered that compound words such as ‘one-eyed goddess of small-pox’ or ‘one-eyed ghost’ symbolically represent the transition of the guardian spirit of mountain into evil ghost. In terms of rites theory, the boundary is deemed a space where deities who can eliminate misfortunes are greeted. In the folk religion, since people are sensitive to the awareness of such space (i.e. boundary), they perform rites of greeting and sending off deities. Then, given that misfortunes are based on the spirits of the dead, greeting deities is for subduing disasters inherent in the village while sending off deities is for expelling misfortune inherent in the village to the outside.

      • KCI등재

        야나기타민속학의 도작농경일원론 계승이 남긴 과제 ―히토쓰메 코조, 一つ目小僧의 재해석을 중심으로―

        조규헌 한국일본근대학회 2011 일본근대학연구 Vol.0 No.32

        야나기타민속학은 <논신과 산신의 거래, 去來신앙>으로 도작농경일원론, 稻作農耕一元論을 전개했다. 이것은 일본 연중행사의 다양한 속성을 배제하고 농경중심의 획일적인 의례론을 성립시킨 계기가 되었다. 야나기타 민속학을 계승한 민속학자들은 일본의 대표적 연중행사 중 하나인 ``고토요카``를 도작농경의례로 파악하였다. 야나기타 민속학 이론의 무비판적 수용은 ``고토요카``에 대한 엄밀한 분석을 결여시킨 채 도작농경의례라는 결론을 제출한 것이다. 본고에서는 ``고토요카`` 속에 ``8일 셋쿠``라는 명칭이 있다는 것에 주목하였다. 일본민속에서 ``셋쿠``는 아이의 성장 등을 기원하는 날이다. ``셋쿠``의 관념은 ``액땜``에 의한 개인의 행복과 깊이 관계한다. 즉 ``8일 셋쿠``는 ``농경`` 보다 ``재앙`` 예방을 위한 날인 것이다. ``8일 셋쿠``에 내방하는 히토쓰메 코조, 외눈박이 어린 승는 산신과 불교의 습합에 의한 존재로 판단했다. 히토쓰메코조는 ``8일 셋쿠``에 찾아오는 ``맞이해야만 할 신``이다. 이 날이 ``셋쿠``라는 점에서 히토쓰메 코조는 풍작을 위한 신이 아니라 재양을 진압해주는 신이라는 것을 충분히 추정할 수 있다. Yanagita kunio unfolded his theory of folklore by rice-farming monism which motivated from the faith of dealings by Gods of rice peddies and dry fields. This led to a uniform theory on rituals of annual events which excluded there various characters. Scholars succeeded him understood kotoyoka, one of the representative annual events, as a ritual of rice-farming culture. The viewpoint was the result of non-criticized reception of his theory. It is worth notice that the 8th day sekku in kotoyoka, praying day for safety growth of children in Japanese folklore, is deeply concerned to personal happiness by escape from a calamity. We can find the meaning of the day is to prevent a calamity rather than pray for the fertility in agricultural society. Hitotsume kozo who comes at 8th day sekku is a creature of connection of mountain God and Buddhism. Hitotsume kozo is the God must be greeted at that day in Japanese traditional society and we can reasoning that the function of the God is to prevent calamity, not to bring abundance in agricultural society.

      • 2020년 도쿄올림픽과 글로벌 문화도시 구상 : 긴자와 긴자식스의 사례

        조규헌 글로벌문화콘텐츠학회 2018 글로벌문화콘텐츠학회 학술대회 Vol.2018 No.1

        일본은 2020년 도쿄올림픽 개최를 맞이하여 일본문화 해외 개척사업인 ‘쿨 재팬(Cool Japan)’에 역점을 두면서, 해외 방문객 편의성을 높이는 정책 등을 통해 지방창생(地方蒼生)과 관광산업 활성화에 큰 기대를 걸고 있다. 한편 올림픽 개최도시 도쿄는 최근 도시재생 사업과 연계한 복합쇼핑몰 추진이 주목할 만하다. 본 발표에서는 2017년 새롭게 오픈한 긴자식스(GINZA SIX)라는 복합 쇼핑몰을 통해 도쿄올림픽과 연계한 ‘글로벌 문화 도시’ 및 ‘관광입국(觀光立國)’이라는 일본의 문화콘텐츠 전략과 그 특징을 고찰하였다.

      • KCI등재

        아니메 투어리즘에 의한 지역문화콘텐츠의 가능성: 사이타마현의 사례를 중심으로

        조규헌 한림대학교 일본학연구소 2017 翰林日本學 Vol.0 No.31

        This study pays attention to Anime Tourism, which emerges as the core of the theme of tourism in Saitama Prefecture in order to seek a new possibility of research on local cultures of Japan from the perspective of cultural contents. Lucky Star in 2007 and Anohana: The Flower We Saw That Day in 2011 are box office hits, set in the Saitama area. The success of the two works became a catalyst for Saitama Prefecture’s promotion of animation as a local brand. In particular, this study focused on the fact that Saitama Prefecture’s animation tourism and local promotion policy actively connect communication with the visitors who visit the area to the application for Anime Tourism of the “Trip to the Stages.” Along with this, as Ryusei Festival (Annual Grand Festival at the Muku Shrine), the traditional festival of Yoshida, Chichibu City was utilized in animation stories, it could be noted that this festival has become a new platform in which the existing festival participants, residents, and animation fans interact with each other. 본 논문은 문화콘텐츠의 관점에서 일본 지역문화연구의 새로운 가능성을 모색하기 위해사이타마현 관광 테마의 핵심으로 부각되고 있는 ‘아니메 투어리즘’에 주목한 것이다. 2007 년의 <러키스타>와 2011년의 <그날 본 꽃의 이름을 우리는 아직 모른다>는 사이타마 지역을 배경으로 한 흥행작이다. 이 두 작품의 성공은 사이타마현이 애니메이션을 지역브랜드로추진하는 기폭제가 되었다. 특히 본 논문에서는 사이타마현의 애니메이션 관광 · 지역 진흥정책이 지역을 방문하는 방문객과의 소통을 <부타이 메구리>라는 ‘아니메 성지순례’를 위한어플리케이션과 적극적으로 연계시키는 점에 주목하였다. 아울러 치치부시 요시다의 전통축제인 류우제이사이(龍勢祭)는 애니메이션의 스토리에 활용됨으로써 이 축제가 기존의 축제참여자 – 지역주민 – 애니메이션 팬이 교류하는 새로운 플랫폼이 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있었다.

      • KCI등재

        제국일본 시기 민간학에서 관학으로의 이행과 그 특징 -야나기타 민속학, 柳田民俗學을 중심으로-

        조규헌 한국일본근대학회 2009 일본근대학연구 Vol.0 No.25

        本硏究の目的は近代日本の帝國主義とともに學問や知識がどのように文化權力として展開しているのかを明らかにすることである。そのため、本硏究では近代日本の知識體系として誕生され學問として體系化をはかってきた柳田民俗學に焦点をあてた。具體的にそこでの方法論や槪念がもつ特徵を檢討し、こうした柳田民俗學がどのような人的ネットワ―クとかかわりをもちながら植民地統治に影響をあたえているのかを明らかにした。初期柳田民俗學の被差別部落民や山人硏究を檢討すると、柳田民俗學の經世濟民は<國民―常民―大和民族>のための學問を指向する官制イデオロギを內在するものであり、したがって植民地の人人を日本に同化させるための學術的基盤をもっていることがわかる。柳田民俗學は在野から民衆の生活を學問的對象とする民間學として誕生されたものであった。しかし、柳田民俗學の學知は帝國日本という空間的膨張とともに植民地では官學として變貌し植民地統治のための知的資源として活用されることになる。さらにいえば、內地では民衆の側から國家へのナショナリズムを發信するものとしてあらわれたが、植民地朝鮮では京成帝國大學とのかかわりをもちながら國家が植民地を支配する上からのナショナリズムとして作動されていた。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