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상호작용 결핍과 정신운동 지체를 보이는 레트증후군 여아의 감각통합 놀이치료 사례

        정희승 ( Hee-seung Jung ) 한국영유아아동정신건강학회 2010 영유아아동정신건강연구 Vol.3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적 상호작용의 결핍과 정신운동지체를 보이는 레트 증후군 여아에게, 감각통합 이론에 기초한 놀이치료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아동의 전반적인 발달을 지지하고, 사회적 상호작용 및 정신운동의 발달에 긍정적인 변화를 미치는 결과에 대해서 기술하고자 하며, 감각통합이론 접근의 놀이치료 가치에 대해서 기술 하고자 하였다. 본 사례 아동은 만 6세 7개월 레트 증후군 여아로서 감각통합 이론에 기초한 구조화된 놀이치료 프로그램 총 28회기를 실시한 후, 사회적 상호작용의 결핍과 정신 운동 지체에 미치는 긍정적인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사전 사후검사로, K-DDST Ⅱ· SMS · CARS · SSP를 실시하였다. 감각통합이론에 기초한 구조화된 놀이치료 프로그램 실시 후, 사회적 상호작용에 있어 긍정적인 변화가 나타났으며, 정신운동의 지연을 예방하고 발달을 촉진하는데 있어서 의미있게 변화되었다. 감각통합이론에 기초한 놀이치료 중재방법은 레트 증후군 아동의 발달 지연 및 퇴행을 완화하고, 현재 아동의 기능 수준을 유지 및 촉진시킴으로서 발달 지연의 위험이 있는 레트증후군 아동에게 놀이치료 중재접근의 한 유형으로서 의의를 가질 수 있다고 본다. This study examines a sensory integration approach with play therapy for a 6.7-year-old girl who shows Rett syndrome of social interaction deficiency and delayed psychomotor development and discusses the effectiveness of play therapy based on the sensory integration approach. The therapy was provided through 28 sessions, and major problems of the child were eased, which was verified by pre- and post-test results (K-DDST Ⅱ, SMS, CARS, SSP). After the play therapy based on the sensory integration approach, the child showed increased social interaction responses and her psychomotor development was expedited. The results implied that play therapy based on the sensory integration approach could improve social interaction and psychomotor development of children with Rett syndrome.

      • KCI등재

        고기능 자폐스펙트럼 장애 아동을 위한 DIR/Floortime® 부모코칭치료의 효과

        정희승 ( Hee-seung Jung ) 한국영유아아동정신건강학회 2018 영유아아동정신건강연구 Vol.11 No.1

        본 연구는 사회적 미성숙과 위축 및 우울 증상을 보이는 만6세 남아인 자폐스펙트럼 장애 아동과 한국어머니의 특성에 맞게 DIR/Floortime<sup>®</sup> 부모코칭치료를 구성하여 적용하였다. 어머니의 주 호소 문제는 아동의 주 증상에 관해서 어떻게 가정에서 지도해야 자녀의 사회적 상호작용과 의사소통이 개선되는지 배우는 것이었다. 또한 아동의 우울이나 위축과 같은 내재화 정서 행동이 긍정적으로 바뀌길 원하였고 양육스트레스를 호소하였다. 따라서 연구자는 어머니가 지각하는 아동의 주 증상의 원인이 자폐스펙트럼 장애 아동들의 사회적 상호작용과 의사소통의 결핍, 감각 이상성에서 기인하는 것이라고 보고, 자폐스펙트럼 장애 아동을 위한 발달적 중재인 DIR/Floortime<sup>®</sup> 부모코칭치료 프로그램을 한국형으로 보완 및 수정하여 10회기를 적용하고 프로그램의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프로그램 내용은 아동과 어머니의 기능적 정서 발달 단계와 개인적 차이 프로파일을 분석하여 최적의 상호작용을 할 수 있도록 DIR/Floortime<sup>®</sup> 치료 원칙을 비디오 피드백과 직접 코칭을 하며 상담하는 것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 프로그램 치료목표는 첫째, 어머니와 아동의 사회적 의사소통 및 상호작용이 질적으로 변화하는 것이었다. 둘째, 어머니가 아동과의 상호작용에서 느끼는 양육 스트레스가 개선되는 것이었고 셋째, 아동의 사회적 미성숙과 위축, 우울 증상이 개선되는 것이었다. 프로그램 적용 결과, 첫째 어머니와 아동의 사회적 상호작용 및 의사소통이 긍정적으로 변화하였고, 양육스트레스는 감소하였으며, 아동의 사회적 미성숙과 위축, 우울 증상이 개선되었다. 결론적으로, DIR/Floortime<sup>®</sup> 부모코칭치료는 고기능 자폐스펙트럼 장애 아동의 주 증상개선에도 효과가 있었으며 가정에서 어머니와의 사회적 상호작용 및 의사소통 기능개선에도 임상적 치료 효과가 있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with an autism spectrum disorder who exhibited depression, withdrawal, and social immaturity. The mother's main complaint was that she had no interest in understanding the child’s repetitive play patterns, and wanted to improve her social interaction and communication with child. In addition, she wanted to change her child’s internalized emotional behaviors. Therefore, the researcher conceptualized that the cause of the main problem was the mother’s lack of social interaction and communication with her child. The DIR/Floortime<sup>®</sup> parent coaching therapy, a developmental intervention for children with an autism spectrum disorder, consisted of 10 sessions. The content of the therapy was to give training on the DIR/Floortime<sup>®</sup> treatment principle through video feedback and to consult after interactive coaching to analyze the child's and mother’s functional emotional developmental stages and individual differences profiles to ensure optimal interaction. As a result of applying the therapy, the social interaction and communication between the mother and child changed positively; the level of parenting stress decreased; and the child's social immaturity, withdrawal and depression symptoms improved. This study implies that the DIR/Floortime<sup>®</sup> parent coaching therapy has clinical therapeutic effects on the improvement of social interaction and communication function between a mother and her child with a high-functioning autism spectrum disorder.

      • KCI등재

        DIR/Floortime<sup>®</sup> therapy가 자폐스펙트럼 장애 아동의 놀이성과 자기조절에 미치는 효과

        정희승 ( Hee Seung Jung ) 한국영유아아동정신건강학회 2019 영유아아동정신건강연구 Vol.12 No.1

        본 연구의 목적은 DIR/Floortime<sup>®</sup> therapy가 자폐스펙트럼 장애 아동의 놀이성과 자기조절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 것이었다. 연구대상은 서울, 천안, 광주에 거주하는 만6세에서 만8세 해당하는 아동들로 실험집단 10명, 통제집단 1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중재 프로그램은 주2회, 총16회기, 두 시간씩 실시하였다. 제공된 DIR/Floortime<sup>®</sup> therapy 놀이는 감각 운동 놀이와 상징 놀이였다. 본 연구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사용한 평가도구는 아동의 놀이성 및 자기조절평가를 연구 목적에 맞게 수정 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을 위해 집단 간의 차이는 맨 휘트니 U검정(Mann-Whitney U test) 비 모수 검정방법을 사용하였고, Cohen’s d 효과 크기를 산출하여 중재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 실험집단은 통제집단과 비교해 중재 후, 놀이성과 자기 조절력에서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결론적으로 자폐스펙트럼 장애 아동들의 놀이성과 자기조절기능 향상에 DIR/Floortime<sup>®</sup> therapy가 발달놀이치료 기법으로써 임상현장에서 놀이치료사들에게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DIR<sup>®</sup>/ Floortime™ therapy on playfulness and self-regulation of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children from 6 to 8 years old residing in Seoul, Chungnam and Gwangju in South Korea, The subjects were 10 in an experimental group and 10 in a control group. The intervention program was conducted for a total of 16 sessions. The provided DIR<sup>®</sup> / Floortime™ therapy playfulness was a sensory motor playfulness and a symbolic playfulness. To test the effectiveness of this study, the evaluation tools used were modified and supplemented with the Children's Playfulness Scale(CPS) and the Self-Regulation Assessment. The Mann-Whitney U test nonparametric test method for differences between groups was used for data analysis, and the effect of the intervention program was verified by calculating the Cohen's “d’ effect size. As a result, after the intervention program,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both playfulness and self-regulation. In conclusion, DIR<sup>®</sup> / Floortime™ therapy can be applied by playfulness therapists in clinical settings as a developmental playfulness therapy technique for improving playfulness and self-regulation of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 KCI등재

        자폐성향과 애착에 문제를 보이는 아동의 상호작용 놀이치료 사례

        정희승 ( Hee-seung Jung ) 한국영유아아동정신건강학회 2008 영유아아동정신건강연구 Vol.1 No.1

        본 연구는 만 4세 8개월된 여아의 개별놀이치료 사례이다. 본 사례연구는 아동의 놀이치료과정을 살펴봄으로서 아동의 자폐성향을 감소시키고 상호작용을 촉진시키며, 모와 아동의 애착관계를 안정화시킴으로서 아동의 전반적인 발달 지연을 개선하는 과정을 고찰해 보는 것이다. 본 사례 아동의 문제는 모와 회피적인 애착을 형성하며, 지속적인 치료로 인해 가용 어휘력은 4세 ~4세 5개월 수준이나, 비언어성 지능지수는 80점 수준으로 발달 되어 있다. 자발적인 상호작용 시도 행동이 매우 드물고, 상호작용의 시도/ 참여/ 반응이 저조하며, 혼자말을 하거나 빈약한 사회성을 보이며, 손가락 꼬기 등의 상동행동을 보인다. 또한 정서적으로 불안정한 상태이며 놀이수준은 간단한 상징을 할 수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이에 본 치료자는 치료 목표를 초기에는 치료사와 수용적이고 안정적인 관계를 형성하고 , 지지적인 충분한 애정을 줌으로서 기본적인 신뢰를 회복시키도록 하면서 모와 아동의 관계증진을 위해 모 상담을 진행하였고, 치료중기 부터는 아동의 사회성 발달을 촉진시키기 위해서 의사소통 과 표상활동에 중점을 둔 사회적 상호작용 놀이치료를 통해 관계형성 능력을 증진하였다. 말기에는 자폐성 아동의 상호작용을 향상 시키는 부모 교육 활동을 통해서 가정과 치료실이 연계된 치료활동을 함으로 아동의 치료를 촉진시키고 일반화 될 수 있도록 개입하였다. 이러한 접근을 통해 아동의 주 호소 문제가 완화 되었고 이는 심리 발달 평가를 통해서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case study examines the procedures of mitigating developmental delay of a 6-year-old girl with autistic and attachment problems. Individual play therapy was administered to reduce autistic features, facilitate interactions, and stabilize attachment relationship between the child and her mother. The child lacked in socioemotional, cognitive, and communication skills. Therefore, the therapist focused on establishing a stable relationship with the child and recovering her basic confidence by providing supportive affection at the early stage of sessions. In order to improve relations between the child and her mother, the mother was also treated with counseling. The middle stage of the therapy concentrated on enhancing abilities of establishing relations through an interactive play therapy focused on communications and representations. At the final stage, the therapist intervened and worked with her parents to facilitate changes of the child. Major problems of the child were eased, which was verified by pre- and post-test results.

      • KCI등재

        대학생의 스마트폰 과의존 경험에 대한 질적 메타분석

        정희승(Hee Seung Jung),양지웅(Ji Woong Ya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4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4 No.7

        목적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들의 스마트폰 과의존 경험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를 위해 질적 메타분석으로 진행되었다. 이를 통해 대학생 스마트폰 과의존에 대한 보다 확장된 조망과 개입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방법 최명희와 김진숙(2016) 등의 선행 질적 메타분석 절차를 기반으로, 국내에서 실시된 대학생의 스마트폰 과의존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물 10편을 선정하여 자료의 코딩과 범주화, 3인의 연구자 간의 상호 비교분석, 결과 도출, 종합적 결과 도출 및 도식화의 6단계의 질적 메타분석을 실시하였고, 이를 통해 도출된 결과를 통합하고 새로운 의미를 발견하였다. 결과 대학생의 스마트폰 과의존 경험을 6가지의 핵심주제와 종합주제 별 사례로 범주화하였다. 핵심주제는 ‘스마트폰 편의성의 늪’, ‘스마트폰에 집착’, ‘스마트폰 과의존임을 인정’, ‘스마트폰 과의존으로 인한 문제’, ‘스마트폰 자기조절의 어려움’ 그리고 ‘스마트폰 자기조절의 동기 및 노력’으로 도출되었다. 도출된 과정 안에서, 스마트폰 과의존 대학생은 자신의 문제 인식과 문제행동변화를 위한 자기조절 순환 과정을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대학생은 스마트폰 과의존 문제에 대한 자기조절 실패로 문제의 재발을 경험하며 또 다시 자기조절을 시도하는 순환의 과정을 겪게 된다. 이를 토대로 스마트폰 과의존 대학생들의 대응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Objectives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analyze qualitative meta-analysis of university students’ experiences in smartphone overdependence. Though this, we intend to help find alternatives by looking at from various angles and understanding the difficulties of smartphone overdependence experienced by university students. Methods Based on the preceding qualitative meta-synthesis procedures, among the qualitative studies published in Korea on the subject of university students’ experiences in smartphone overdependence, 10 studies to be analyzed were selected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Six stages of qualitative meta-synthesis were conducted: selection of topics and research questions, selection of studies, coding and categorization of data, mutual comparative analysis between 3 researchers, derivation of results, comprehensive results and diagraming. By qualitative meta-analysis of 10 qualitative studies, the results were integrated and new meanings were discovered. Results By analyzing the selected studies, the experience of university students’ smartphone overdependence was shown as six major components and examples of each component. The main components were derived as ‘swamp of smartphone convenience’, ‘obsession with smartphone’, ‘recognition of smartphone overdependence’, ‘problem due to smartphone overdependence’, ‘difficulty in self-regulation of smartphone’ and ‘smartphone self-regulation motivation and effort’. Conclusions In the derived process, university students with smartphone overdependence were found to experience a cycle of self-regulation for their problem perception and problem behavior change. Based on this, we need to find ways to respond to university students with smartphone overdependence, and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 for future study were proposed.

      • KCI등재

        골덴하르 증후군(Goldenhar syndrome)아동에 대한 감각통합치료 평가와 중재

        정희승(Hee-Seung Jung) 한국콘텐츠학회 2011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1 No.11

        본 연구는 전반적인 발달지연, 감각 예민성, 촉각 방어와 작업수행의 문제를 가진 골덴하르 증후군 아동에게 감각통합치료를 적용하여, 골덴하르 증후군 아동의 감각통합 치료적 중재 개입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증례 아동은 만 7세 10개월 남아로 학교와 일상생활에서, 놀이와 학습에 대한 어려움, 운동발달 지연을 주 호소로 하여 검사가 의뢰되었다. 감각통합치료를 위한 평가로 캐나다 작업수행 측정(Canadian Occupational Performance Measure)시 바른 자세로 한글 읽고 쓰기가 첫째 작업수행 목표로 나타났고, 단축 감각프로파일(Short Sensory Profile) 과 감각 인터뷰에서는 감각 예민성과 촉각 처리영역에서 확연한 차이로 감각통합치료 중재가 요구되었다. 발달 프로파일 -3(Developmental Profile -3)은 5개 발달영역에서 전반적인 발달 지연이 나타났고, 운동 숙련도 검사 (Bruininks-Oseretsky Test of Motor Proficiency-2)에서 운동발달 수준이 평균 이하로 나타났다. 본 증례 아동에 대한 감각통합 치료를 통해 전반적인 발달, 감각예민성, 촉각방어와 같은 감각조절 기능이 향상되고, 작업수행이 개선되는데 도움이되었다. 본 사례연구를 통해서 국내 골덴하르 증후군 아동의 감각통합치료 접근법에 기초 자료가 될 것이라고 사료된다. This case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the sensory integration therapy on the Goldenhar syndrome child with tactile defensiveness, developmental delay and occupational performance difficulties. The child was 7.10 year old boy. For intervention, four evaluations were used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n Canadian Occupational Performance Measure showed occupational performance goal as reading and writing in upright position. Second, in Short sensory profile and sensory histor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sensory sensitivity and tactile processing. Third, in Developmental Profile-3 showed delay. Fourth, in Bruininks-Oseretsky Test of Motor Proficiency-2 showed below average. After intervention, the results of which showed a positive changes. Therefore, this case study is found that the sensory integration therapy is effective in the Goldenhar syndrome child with tactile defensiveness and developmental delay.

      • KCI등재후보

        시각 차단이 젊은 성인의 동적균형에 미치는 영향

        문덕희(Deok Hee Moon),정희승(Hee Seung Jung),황수진(Su jin Hwang) 한국인지운동치료협회 2017 한국신경인지재활치료학회지 Vol.9 No.1

        목적: 본 연구는 건강한 젊은 성인을 대상으로 시각정보 입력에 해부학적인 제한을 주었을 때 그들의 동적 균형능력에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연구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성별, 연령, 신장, 몸무게)을 측정한 후, Space Balance 3D를 이용하여 동적균형능력을 평가하였다. 동적균형능력은 3가지 시각정보 조건(눈뜬조건, 우세눈 감은조건, 비우세눈 감은조건)에서 실시하였다. 연구대상자들은 우세눈검사카드(hold-in-the-card test)를이용하여 우세눈을 검사하였다. 본 연구는 동적균형능력을평가하기 위하여 Space Balance 3D 평가 프로그램 중 진단플러스검사, 사선운동, 자동차피하기게임을 사용하였다. 결과: 진단플러스검사는 왼쪽사선앞(front oblique left)이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또한 사후 검정결과 왼쪽사선앞은 눈뜬 조건은 우세눈 감은조건과 비우세눈 감은조건과 모두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우세눈 감은 조건과 비우세눈 감은 조건도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5) 사선운동은 시각차단 유형에 따라 효과시간, 운동능력, 비운동능력이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효과시간과 운동능력은 눈뜬 조건이가장 낮고 우세눈 감은조건이 가장 높았다. 그러나 비운동능력은 눈뜬 조건이 가장 높았고 비우세눈 감은조건이 가장 낮았다(p<0.05). 결론: 본 연구의 결과는 우세눈에서 제공하는 시각정보가비우세눈에서 제공하는 시각정보보다 동적균형능력을 유지및 조절하는데 더 크게 작용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Visual inputs are an important source of information for postural control, This study examines whether such inputs are absolutely necessary for one eye or both eyes, and whether such visual information are more important to left eye or right eye for postural control.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investigating the comparison of dominant and non-dominant eye-closed condition on dynamic postural balance in healthy young adults. Six health young adul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After measured the hold-in-the-card to check the dominant eye, the sample was then measured dynamic postural balance using the Space Balance 3D system. The measuring programs consisted of a diagnosis plus test, an oblique exercise, and a car avoiding game. To analyze the effect of visual occlusion on dynamic postural balance, this study used the one-way ANOVA. After analyzing, the front of left in the diagnosis and the test was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in various conditions, such as an open-eye condition, a closed dominant eye condition, and a closed nondominant eye condition. Average time, effect exercise, and non-effect exercise in the oblique exercise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in various conditions (p<.05).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he visual information of dominant eye is more effectual information to control postural balance than that of non-dominant eye in healthy young adults.

      • KCI등재

        상호작용 결핍과 언어발달지연을 보이는 유아의 사례연구와 집단 지도감독

        이경숙 ( Kyung-sook Lee ),정석진 ( Suk-jin Jung ),김윤미 ( Yun-Mi Kim ),정희승 ( Hee-seung Jung ) 한국영유아아동정신건강학회 2009 영유아아동정신건강연구 Vol.2 No.1

        상호작용 결핍, 언어발달지연과 감각통합 문제를 보이는 4세 된 남아의 진단, 놀이치료, 감각통합치료 내용과 이에 대한 여러 소아정신과 전문의, 임상심리학자의 집단 지도감독(supervision)을 자세히 기술함으로서, 상호작용 결핍과 언어발달지연을 보이는 유아 사례에 대한 진단명에 대한 논의, 감별진단의 중요성과 치료 진행시 과제와 향후 치료 방향에 대해 살펴보았다. 유아에게는 놀이치료, 감각통합치료를 실시하였으며, 양육 기술이 미숙한 어머니에게는 상호작용 기술 향상에 초점을 둔 부모교육을 진행하였다. 치료 1년가량 경과 후 유아는 상호작용면에서 반응성, 참여, 시도 횟수가 증가하고, 신체적 접촉에 대한 과민 반응은 줄어들고, 타인에 대한 관심을 보이고 전반적으로 명랑하고 활동적이 되었다. 어머니도 유아와의 적절한 상호작용이 증진되었다. 그러나 여전히 유아는 낯선 환경에서는 긴장, 경계되고, 청각 자극에 대한 과민성을 보이고 연령에 비해 언어능력이 지연되고 상호작용능력이 원활하지 않는 상태이다. 유아의 진단명에 대해 조절장애, 언어장애, 초기 모의 우울과 역기능적 양육이 발달에 부정적 영향을 미쳤다는 다각적인 측면에서 논의가 이루어졌다. This study reviews diagnosis, play therapy, and sensory integration therapy for a four-year-old boy who shows problems of deficient interaction, delayed language development, and inappropriate sensory integration and discusses supervision of child mental health specialists and clinical psychologists in order to examine issues accompanying diagnosis of preschooler with interaction deficiency and language development delay, significance of differential diagnosis, tasks involved in treatment, and future therapy directions. The preschooler was administered with play therapy and sensory integration therapy, and his mother, who had problems with parenting, was treated with parent education focused on improving interaction skills. After one year of treatment, the preschooler showed increased response, participation, and initiative in terms of interaction, reduced oversensitivity to physical contact, and interest in other people, and behaved cheerfully and actively overall. His mother also showed a proper increase in interaction with her preschooler. However, the preschooler was still nervous and wary in an unfamiliar environment and showed oversensitivity to auditory stimuli, delayed language development compared with his peers, and deficient interactive capabilities. Diagnosis was approached from multifaceted directions such as control disorder, language disorder, and the effect of depression of his mother at the early years of parenting and her poor parenting skill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