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질탄산(重質炭酸)칼슘을 혼합(混合)한 시멘트 경화체(硬化體)의 내구특성(耐久特性) 평가(評價)

        정호섭,이승태,김종필,박광필,김성수,Jung, Ho-Seop,Lee, Seung-Tae,Kim, Jong-Pil,Pak, Kwang-Pil,Kim, Seong-Soo 한국자원리싸이클링학회 2006 資源 리싸이클링 Vol.15 No.3

        본 연구에서는 중질탄산칼슘을 콘크리트용 혼화재로 활용하기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중질탄산칼슘을 시멘트 중량의 0, 5, 10 및 15%의 4단계로 혼합한 시멘트 경화체를 제조한 후 시멘트 경화체의 염소이온 침투저항성, 탄산화 및 황산염침식 저항성 등과 같은 내구 특성을 평가하였다. 실험결과 본 연구 범위내에서 혼합율에 관계없이 중질탄산칼슘을 혼합한 시멘트 경화체의 경우 염소이온 침투저항성, 탄산화 저항성, 황산염침식 저항성은 중질탄산칼슘의 충전효과에 의하여 중질탄산칼슘을 혼합하지 않은 시멘트 경화체에 비하여 저항성이 다소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In this article, we would like to investigate a durability characterization of cement mortar with inert filler, which is ground calcium carbonate(GCC). The kinds of techniques to evaluate cement mortar are chloride ion ingress, carbonation and sulfate attack. For the experimental result of the resistance of chloride ion ingress, carbonation and sulfate attack, as the addition of GCC makes decreasing the permeability by micro-filler effect, the specimens of $5{\sim}15%$ ratio of replacement are superior to the GCC0 mortar specimen with respect to durability of cement matrix in this scope.

      • KCI등재

        백제 벽화고분의 조영과 문화 계통

        정호섭(Jung Ho-Sub) 한국고대사학회 2011 韓國古代史硏究 Vol.0 No.61

        백제에서는 송산리 6호분과 능산리 1호분 단 2기밖에 확인되지 않는 벽화고분의 성격과 위상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먼저 송산리 6호분에 관한 연구에서는 벽돌 제작과 전축분의 축조가 어떻게 이루어졌는지, 벽화의 계통은 어디인지, 피장자는 어떤 사람이었는지 등 많은 과제를 안고 있다. 기존 연구사를 살펴보면서 축조기법에 있어서 공적법에 대한 비판, 고구려 벽화와의 계통성 확인, 피장자가 무녕왕의 형제일 가능성 등을 제기하였다. 능산리 고분군은 고구려가 북위의 능원제를 도입하여 傳동명왕릉과 정릉사의 조합을 이루고 있는 것처럼 백제가 남조에서 도입한 능원제를 시행한 곳으로 이해된다. 능산리 1호분(동하총)은 대체로 6세기 말~7세기 초반경의 무덤으로 이해된다. 벽화도 연꽃, 사신도, 구름 등의 문양에서 보이듯 6세기 이후의 고구려의 벽화 전통을 고스란히 수용하고 있으나, 제작기술에서의 수준 차이는 존재하고 있으며, 전반적인 양상으로 보아 왕릉급 고분은 아니다. 백제의 벽화고분은 파격적으로 수용한 외래문화의 영향에서 발생된 것이다. 백제에서는 보편적이지 않았던 고분벽화 문화는 6세기 양나라와의 교류나 고구려와의 교류선상에서 이해될 수 있다. 6세기 전반과 6세기 말~7세기 전반에 각각 1기씩만 확인된다는 점에서 백제에는 고분벽화의 전통이 보편화되지 않았음을 알 수 있다. 능산리 1호분의 벽화도 고구려의 석벽화 전통이 고스란히 도상에 반영되고 있어서 고구려와 백제의 문화교류의 선상에서 이해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It has been almost 70 years since the discovery of Songsanri Tomb No. 6. Still, however, any substantial conclusions around many debates on it has not been reached. Specifically, the fact that the clear order of the incident between the Songsanri Tomb No. 6 and the Muryeong Royal Tomb has not been reached shows the limit of the research on ancient tombs. The most recommendable way to make the order clear is a reexamination off the soil stratum between them. There remain many tasks such as the process of brick production, tomb construction, origins of the wall paintings, and the person buried in the historical and archaeological researches on the Songsanri Tomb No. 6. Bearing these issues in mind, this paper overviews past researches and indicates new ideas on some of facts such as construction methods, lineage of wall paintings, and person buried in. Neungsanri ancient tomb group is understood as a place where Baekje adopted Tomb Sites system of King, similar to that of Goguryeo from Northern Wei. This point is clearly shown from the fact that it was constructed in contribution to King Seong who died in a battle against Shilla. Donghachong might be concluded to have been built around the 7th century, and the person buried in is speculated to be a member of the royal family, leaving out King or Queen. The wall paintings of it embraces the tradition of Goguryo around 6th century, but there might have been difference in the production skills. The Baekje's wall paintings in ancient tombs had been heavily influenced by foreign cultures. The uncommon culture of wall paintings can be understood to have been derived from interchanges between Baekje and Yang or Goguryeo. Also, this kind of tradition was not widespread because only one tomb with wall paintings is found from 6th and 7th century separately. Moreover, it is thought that the wall paintings of Neungsanri Tomb No. 1. can be understood as a result of interchanges between Goguryeo and Baekje due to the tradition of Goguryeo is clearly reflected in the paintings. The person buried in might be speculated to have played certain roles in the interchanges and had ideas about future life based on the Taoism or Buddhism.

      • KCI등재

        중학교 역사교과서의 고구려사와 발해사 서술 검토

        정호섭 ( Ho Sub Jung ) 한국고대학회 2015 先史와 古代 Vol.46 No.-

        본고에서는 교육과정의 변화내용을 7차 교육과정, 2007년 교육과정, 2009년 교육과정을 비교하여 분석하였다. 역사교육의 방향성이라는 측면에서는 개선되고 있음은 분명하다고 할수 있지만, 여전히 보완해야 할 점이 있다고 판단된다. 고구려사와 발해사와 관련한 분석내용은 사소한 오류를 지적하기보다는 고구려사와 발해사 인식에 있어서 중요하다고 판단되는 쟁점과 내용 중심으로 정리한 것이다. 특히 고구려사에 있어서 한사군과 관련한 문제, 국가형성론과 초기기록 문제, 고구려와 수당전쟁과 천리장성 문제, 고구려와 주변 나라의 경계 문제, 문화교류에 대한 서술 문제 등이다. 또한 발해사와 관련해서는 발해 건국과 주민구성, 그리고 발해의 고구려 계승 문제 등에 대해 교과서 내용을 중심으로 정리하고 분석하면서 약간의 방향성도 제시하였다. 현행 중학교 역사교과서의 고대사 부분은 내용이 너무 많아 학생들이 역사교육의 흥미를 잃고 시험을 위한 암기과목을 벗어나기 어려운 상황으로 판단된다. 이처럼 과거 인간의 삶에 대한 탐구가 암기과목으로 되는 현실이 우려스럽다. 중학교 역사교과서의 고대사 부분은 그서술 내용을 대폭적으로 줄여야 하며, 전체 역사적 추이와 흐름을 중심으로 한 서술이어야할 듯하다. 특히 동아시아적 관점, 세계사적 관점에서 우리 역사에 대한 이해가 이루어져야하며, 지나친 민족 내지 국가 중심의 시각은 점차 대체되어 나가야 할 듯 하다. 아울러 학계가 통설로 인정하는 최근 연구성과가 적극적으로 반영되어야 할 것이지만 가능한 한 신중하게 접근해야 하며, 적어도 내용상으로는 큰 오류가 없도록 구성되어야 할 것이다. In this paper the changes of education schemes in the 7th edition program, 2007 version program, and 2009 version program are reviewed. It is assessed that there is a progressive development in terms of the orientation in the historical education, but there are still some points to improve further. This article presents a summary of issues and epitomes in recognition of the Goguryeo and Balhae history rather than picking up minor errors in descriptive narratives. They include the descriptions of issues on the Four Commanderies of Han dynasty, state formation process, the reliability of the early historical text, warfares with Shui and Tang dynasties, the defense wall structure(Cheolli Jangseong), and the territorial boundaries distinguishing Goguryeo and other neighboring incipient states. In addition to suggesting its educational orientation, issues related to state formation of Balhae, ethnic groups constituting Balhae and the inheritance of cultural identity from Goguryeo to Balhae are addressed in the history of Balhae part. It appears that there are too detailed explanations in ancient history section so that students may easily lose their interest and recognize history confined to a subject to memorize for gaining good scores in exams. Thus it is required to reduce the amount of ancient history section and to emphasize the trajectory of historical development in text. In particular, the viewpoints of the East Asia and worldwide perspectives should be integrated in the interpretation of the Korean history, while nationalistic or state centered perspectives must be limitedly allowed. It is encouraged to include the most recent explanations commonly agreed by scholars from other academic disciplines of the historical research, but it has to be cautious and there would be no errors in factual details.

      • 터널라이닝 콘크리트 구조물의 열화특성

        정호섭 ( Jung Ho-seop ),김동규 ( Kim Dong-gyou ),김성수 ( Kim Seong-soo ),박광필 ( Park Kwang-pil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2009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Vol.13 No.1

        지하공간에 축조되는 터널구조물에서 발생하는 변상은 여러 가지 내적 및 외적요인으로 인하여 발생할 수 있으며 특히 구조물의 특성상 지하수 및 토양에 접하므로 각종 유해이은의 침식을 받기 쉽다. 본 연구에서는 이와 같은 터널 라이닝 콘크리트 구조물의 열화특성을 현장조사와 현장에서 채취한 코어시편을 대상으로 실내실험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 KCI등재

        가야 고령 고아동 벽화고분의 조영과 성격

        정호섭 ( Jung Ho Sub ) 한국고대학회 2014 先史와 古代 Vol.40 No.-

        고령 고아동 벽화고분은 대가야 지역의 유일한 벽화고분으로 대가야 멸망기에 조영된 고분 이다. 이 고분은 전통적인 가야지역의 묘제와는 달리 백제에서 유입된 것으로 여겨지는 횡혈 식 석실분과 벽화전통을 수용하고 있다. 고분이 상대적으로 보수성이 강한 점을 고려할 때, 백제 계통의 묘제와 벽화 전통을 수용한 측면에서 당시 가야지역의 일부 세력이 외부로부터의 문화수용에 개방적이고 적극적인 면을 볼 수 있다. 특히 패분과 짚이 결합된 회를 제작한 후 그 위를 백토로 살짝 덧바르고서 벽화를 그리고 있다는 점을 통해 보면, 가야에서 벽화제작 기법을 자체적으로 소화하여 표현하고 있다는 것도 주목해 볼 만하다. 가야지역에서만 독특한 벽화제작기법이 확인된 셈인데, 가야 지역에서 좋은 흙으로 알려진 백토를 패분과 함께 바탕재 의 재료로 이용한 것이다. 따라서 가야의 외래적인 벽화문화 수용의 결과와 가야 고유의 벽화 제작 방식이 합쳐진 것이 바로 고령 고아동 벽화고분인 것이다. 당시 동아시아 지역에서 거의 유사한 형태로 진행되었던 벽화 전통이 대가야의 지역에서도 확인되는 사실은 가야의 정치적, 문화적 성격에 관한 역사적 단서를 나타내는 것이라는 점에 서 매우 의미가 있다. 6세기에 신라, 가야, 백제 사이에서 벌어졌던 전쟁의 소용돌이 속에서 당시 가야세력이 백제와의 여러 면에서의 협력을 통해 신라로부터의 위협이라는 정국을 타계 하고자 했던 시대상을 반영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현재로선 무덤의 피장자는 6세기 중엽경에 백제와의 정치, 문화교류에 적극적이었던 가야의 유력한 왕족 내지는 귀족 가운데에서 연화문 과 사신도 계통의 벽화 전통과 이에 연동하는 선불(仙佛)융합적 내세관을 수용하였던 친백제 계 인물이었을 것으로 추측할 수 있지 않을까 한다. 현재 벽화는 대부분 탈락되었고, 천정의 연화문만이 육안으로 확인되는 정도이지만, 연화문을 통해 보면 고구려의 직접적인 영향을 받았다고 할 수는 없겠으나, 적어도 고구려의 영향을 받고 있었던 백제에 의해 가야 지역으로 흘러 들어간 것으로 볼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고구려 에서 백제로, 그것이 다시 백제에서 가야로 이어지던 문화 전파의 연속선상에서 고령 고아동 고분벽화를 이해해야 할 듯하다. 한편 고아동 고분의 벽면에는 사신도가 그려지고 천정에는 연화문과 구름이 그려졌을 것으로 짐작된다. 이것은 당시 동아시아 전반적인 경향성과 맥을 같이 한다고 할 것이다. 따라서 고령 고아동 벽화고분은 가야 지역에 당시 동아시아의 벽화 전통이 유입되었음을 보여줌과 동시에 가야 지역도 당시 동아시아 문화권속에 포함되어 있었 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는 대표적인 유적인 것이다. Goadong murals in Goryeong, the only one in the Greater Gaya regions, was constructed during the fall of Greater Gaya. Contrary to the traditional ancestral rites held before the grave in Gaya territory, this grave adopts the corridor-style stone chamber and murals that appear to be imported from Baekje. When the relatively conservative characteristic of tombs is considered, it reveals active and open attitude on the cultural exchanges of some powers within Gaya region. Particularly, the usage of white clay and painting of murals after making a ground layer with lime of Hobun (oyster shell white) and straw draws attention on the fact that Gaya developed its own mural production skills. Therefore the Goryeong Goadong murals represents the combination of Gaya`s active cultural exchanges and its own production methods. During the vortex of wars among Shilla, Gaya, and Baekje in the 6th century, they also reflect Gaya`s efforts to avoid the threat from Shilla with various cooperation with Baekje. For now, the buried person is speculated to have been a pro-Baekje one among Gaya`s aristocrats with active attitude toward cultural exchanges with Baekje in the 6th century, who also accepted the tradition of lotus pattern murals and Zen Buddhism oriented view on after life. While most of murals are now decolorised and drawings of lotus at the ceiling can be seen, it is judged that the lotus gate and clouds had been painted at the ceiling of Sa-shin-do(Painting of Four Gods). This is relevant to the contemporary tendency within East Asia. Goryeong Goadong mural is a typical site that deserves attention for it represents historical evidences regarding political and cultural characteristics of Gaya.

      • KCI등재

        고구려 고분벽화에 대한 도상학적 해석과 동아시아적 성찰

        정호섭(Hosub Jung) 한국사연구회 2011 한국사연구 Vol.154 No.-

        I have examined author’s points on this book and raised couple of issues on some parts. As a junior scholar, it is not my position to develop critical comments on this book considering the fact that it is author’s research results over 10 years. Still 1 have learned suggestions from this book. Also brief summary of this book might give impression which can bring confusion against author’s intention. So might my lack of knowledge on Koguryeo mural painting. It can be highly evaluated that author have successfully analyzed historical records, artifacts and mural paintings in the context of ideas, religion and social structure, which are against the research methodology on comparisons and similarities between Koguryeo’s mural paintings and Weijin-Nanbeichao period. Various floor plans enhance under8tanding on them. These features have significance to the research methodology on Kog’ryeo's mural paintings, and further understanding of cultural historical meaning of it. Various perspectives on Japanese mural paintings arc what Korean historiography academia needs to pay attention in the absence of monographs on Koguryeo’s mural paintings. Specifically, understanding on Japanese tombs can give an indicator to comprehend Koguryeo paintings. However, some points explained by author have weak arguments or are difficult to agree with. Although author’s micro-historical study is not enough to provide a paradigm shift in the understanding of that period as a whole, this comparative historical research through iconological interpretation shall contribute to dissolve controversies by buttressing the historiography on this period. However, it surely does have limits on the understanding of Koguryeo mural painting due to the fact that this research covers Anak number 3 tomb, Deokheungri tomb. The owners of these tombs were political exiles from China, and therefore they were under Chinese influence. As author mentions, it is a distinct feature of this methodology, but it also has contradiction at the same time. Moreover, in the context of cultural history, multi-sided reviews are necessary to give Chinese and Koguryeo identical features. It is due to difference in the development process between Koguryco mural paintings and China. In order to appreciate Koguryco, whole tombs and mural paintings should be objects of an independent research. A good example of it is a change in the contents of mural paintings from figures and customs to decoration and 4 spiritual figures. In the 5th century, acceptan ce of mural painting culture in the Koguryeo Jeokseokchong can be found. A study on these changes and individual objects in the painting can enhance understanding on Koguryco's society. It is clear that author conducted a meaningful research on the early paintings for the first level study of Koguryeo mural painting. As author is expected to expand his scope of research to later period, a research on it is required to understand Koguryeo mural paintings in the perspective of East Asia.

      • KCI등재

        고구려 적석총의 被葬者에 관한 재검토

        정호섭(Jung Ho-Sub) 한국사연구회 2008 한국사연구 Vol.143 No.-

        Many of researches about buried people in Kogury? stone-filed tombs and locating of Kogury? kings' tombs have been preceded without general analysis on written records. The location of the Kogury? king's tombs is recently discussed energetically. It is considered better to work based on historical records for the moment. Also, making a chronicle according to the location. size, excavated remains and style of the tomb to figure out approximate period of its establishment and tomb's original location is crucial. This study will point out few problems in other theories and verify historical facts precisely from Samguksagi, Samgukyusa, Japanese historical material, and inscriptions engraved into stones or metal to scrutinize the location of the Kogury? king's tomb. Because the burial site of the Kogury? king's tomb is kept on record in Samguk Sagi, if the location of tombs in other studies differ to a great extent from that of Samguk Sagi, that location might be wrong. Gukyang. Gogukwon and Gukgansang are found out to be indicating the same region, a certain plain area around Gungnae Castle. Thus, instead of the original theories on river in Ji'an. Gukcheon can be located as Amnok River, Seocheon as Tongu river, Dongcheon as a small river in front of Taewanghyang. Jungcheon as a small river from Woo Mountain to south of Gungnae Castle and Micheon as Maseonguha. This implies a number of tombs of Kogury? kings since King Shindae had existed at Woo Mountain tomb or near the Chilsung Mountain tomb group. Considering the development procedure of Kogury? stonefiled Tomb closely. these kings' tombs which were established after the late of 3rd century when stepped tombs were common could be located at following places: Woo Mountain tomb NO.2110(late 3C) as the tomb of King Jungcheon: Chilsung Mountain tomb No.0211 (late 3C) as the tomb of King Seocheon: Imgang Tomb(late 3C~ mid 4C) as the tomb of King Bonsang: Seodae Tomb(early 4C) as the original burial site of King Micheon and Masungu tomb No.2100 (mid 4C) as the second burial site: Woo Mountain tomb No.0540 (late 4C) as the tomb of King Gogugwon: Cheonchu Tomb(late 4C) as the tomb of King Sosurim: Taewang Tomb(late 4C) as the tomb of King Gogugyang: Jangun Tomb(early 5C) as the tomb of Gwanggaeto the Great. Meanwhile, the burial site of the Kogury? nobility is found out to be located based on the land territory of family or one's hometown. From now on, it is important to carry out investigations on this subject, locating the Kogury? king's tomb, with great care and from various views. Particularly the way of selecting archaeological features which is regarded as the utmost reliable should be examined divided into two periods: when the tomb is originally established, and when it was restored.

      • KCI등재

        문학적 서사의 역사화와 기억의 전승

        정호섭(Jung Ho-Sub) 한국고대학회 2021 先史와 古代 Vol.- No.66

        본고에서는 한국 고대사와 관련한 내용이 문학적 서사를 통해 창작되었고, 만들어진 역사에 대한 집단 기억이 역사적 사실처럼 사람들에게 수용되고 전승되고 있는 몇 가지 사례를 제시하였다. 아울러 그것이 어떠한 과정을 거쳐서 역사화되었고, 집단 기억으로 자리잡아 현재까지도 잘못된 인식을 낳고 있는지도 살펴보았다. 역사적 소재가 문학적 서사를 통해 구현되는 과정에서 어떤 의도성이나 목적이 내재되었던 것이다. 전근대사회에서는 그것이 忠, 여성의 정절이라는 유교적 관념일 수도 있고, 근현대사회로 오면서 국가나 민족의 위기 속에서 민족주의나 주체성이 강하게 발현되었을 수도 있으며, 때로는 그 속에서 민족을 넘어 민중의 모습을 찾기도 하였다. 결국 국가 혹은 민족 중심의 역사서술이 소위 ‘만들어진 고대’라는 이미지로 형상화되고 있듯이 근대 국민국가의 태동 이후에 민족주의 역사학이나 문학에서 민족주의를 내재한 문학적 서사는 거의 동질적인 결을 지니고 있다. 역사도 그러하듯이 대체로 기억은 기록이나 구전을 통해 축적되고 전승되게 마련인데, 기억의 내용과 방법이 문학적 서사에 기반한 것이라고 한다면, 그것은 분명 역사 너머 다른 저편에 자리잡아야 한다. 안시성과 양만춘, 을지문덕과 살수대첩, 연개소문과 당태종, 의지왕과 삼천궁녀, 무영탑과 아사달·아사녀 등은 어쩌면 우리 고대사 소재 가운데 극적이어서 주목된 것이었다. 대체로 민족주의 역사학에서나 근현대 문학가들도 민족의식의 발로에서 이러한 문학적 서사를 추구했다는 점은 공통된 현상이다. 이러한 민족의식을 자극시킬 수 있는 역사적 소재가 이용되었고, 문학작품 등에서 이러한 역사적 소재를 보다 극적이고 생동감있게 전달하는 방편으로 문학적 서사를 활용하였다. 인물이나 사건들에 대한 역사적 서사를 시대적 필요라는 차원에서 극적으로 표현한 것으로 당시 시대정신을 엿볼 수 있으나, 역사인식의 차원에서는 문제의 소지가 있다. In this paper, the contents of ancient Korean history were created through literary narratives, and several examples were presented in which collective memories of the history were accepted and handed down to people as historical facts. In addition, we also looked at how it was historized throughout the process and became a collective memory, creating false perceptions to this day. In the process of implementing historical materials through literary narratives, some intention or purpose was embedded. In the pre-modern society, it could be the Confucian idea of women s fidelity, or in modern society, nationalism or identity could be expressed strongly in the crisis of the nation or nation, and sometimes people could be found beyond the people. After all, as state- or ethnic-oriented historical descriptions are shaped by the so-called the ancient society created image, literary narratives made after the birth of modern national states have almost homogeneous characteristics. As with history, memory is usually accumulated and transmitted through records and phrases, and if the content and method of memory are based on literary narratives, it must be located beyond history. Ansiseong Fortress and General Yang Man-chun, Euljimundeok and War of Salsu, Yeongaesomoon and Emperor Taizong of the Tang Dynasty, King of the Uija and three thousand palace women, Muyeong Pagoda and Asadal·Asanyeo were probably the highlights of our ancient history. In general, it is a common phenomenon that modern and contemporary writers, as well as nationalist historians, pursued these literary narratives in the footsteps of national consciousness. Historical materials that can stimulate this national consciousness were used, and literary narratives were used to convey these historical materials more dramatically and vividly in literary works. It is a dramatic expression of historical narratives about characters and events in terms of the needs of the times, but it is problematic in terms of historical awarenes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