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아내학대와 아동학대의 중복발생을 둘러싼 여성주의비판모델과 여성복지적 과제의 검토

        정혜숙(Hye-suk Chong) 한국여성학회 2009 한국여성학 Vol.25 No.4

        본 연구는 아내학대와 아동학대의 중복발생이 현대사회의 보편적 사회문제 현상임을 전제하고 그 현상과 관련된 여성주의의 비판적 논점들을 확인하여 여성복지적 과제를 도출하는 것이다. 피해자비난모델과 모성비난모델, 남성의 비가시화와 여성의 병리화, 실천과 연구의 편의성, 두 현장간의 실천가치 갈등 등의 복합적 이슈들이 두 문제의 중복현상을 바라보는 사회적 인식과 문제해결과정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분석하였다. 아내학대 피해여성의 병리에 초점을 두거나, 아동학대발생시 어머니의 자녀보호실패에 주목하는 것은 두 문제의 중복발생시 피해자인 여성에게 이중적 책임을 부과하여 그 여성의 권리침해와 역량위축를 초래한다. 피해여성들의 권리옹호와 역량강화를 위한 정책과 실천은 피해자비난과 모성비난 이데올로기의 극복이 전제되어야 하며, 피해 여성과 아동 모두의 안전과 권리를 동시에 보호 할 수 있는 연계적 대응과 협력을 포함해야 한다. This study aims to identify women's issues in social welfare from feminist points of view on linked understanding and responses to wife abuse and child abuse. It demonstrates how ‘ideologies of victim-blame and maternal blame’, ‘excusing men invisible', ‘pathologizing women', and ‘conflictual values between two fields of wife abuse and child abuse’ have impacts on society's perceptions and problem-solving related to the co-occurence of the two problems. Paying attention to the pathology of the victim of wife abuse and the mother's failure of protecting her child results in disempowering the woman in terms of giving her dual responsibilities for the overlap of wife abuse and child abuse. The subjugation of the ideologies of victim-blame and maternal blame should be preceded, and linked responses to the safety and rights of both women and children should be included for social work practice for empowering the woman victim.

      • KCI등재

        성폭력 피해자를 돕는 사회복지사들의 분투와 성장: 원스톱 위기개입 현장 사회복지사들의 경험을 중심으로

        정혜숙 ( Hye Suk Chong ),송지연 ( Jee Yeon Song ) 한국사회복지연구회 2015 사회복지연구 Vol.46 No.4

        본 연구는 성폭력 피해 클라이언트와 직접적으로 상호작용하는 사회복지사들이 겪는 심리적 분투와 그 분투를 통해 그들이 어떠한 보람과 성장을 경험하는지에 대해 심층적으로 이해해 보고자 질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국내 원스톱 위기 개입 사회복지사 7명을 대상으로 수행된 심층면접 자료를 분석한 결과, 성폭력현장 사회복지사들이 경험하는 분투의 맥락적 원천과 양상, 분투 속 보람과 성장에 관한 내부자적 관점을 도출하였다. 이와 관련된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참여자들은 성폭력피해자의 심각한 위기들을 다루며 늘 긴장감과 싸워야 하고, 우리사회에 잔존해 있는 성폭력에 대한 왜곡된 사회통념과 성폭력가해자를 다루는 형사체계의 모순으로 인해 이차피해를 겪는 클라이언트들을 목격하며 좌절하고 분노하기도 한다. 참여자들이 그들의 역할을 ‘액받이 무녀’에 빗대어 표현한 것은 그들의 정신적·신체적 분투를 보여주는 상징적 비유라고 볼 수 있다. 그러나 이런 분투 속에서도 그들은 클라이언트의 긍정적 변화와 동반 성장을 경험하면서 보람을 느끼게 되고, 성폭력예방을 위한 사회개혁 활동과 성찰적 실천 등을 통해 전문가로서 성장하고 있음을 깨닫고 있다. 이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는 이 현장 사회복지사들을 위해 정기적 자기돌봄을 의무적으로 수행하도록 지원하는 정책 및 프로그램과 상시적으로 제공받을 수 있는 임상수퍼비젼 강화의 필요성, 그리고 사회복지 교육과 연구 차원에서 성찰적 실천과 전문가로서의 성장에 대한 관심이 증대될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This qualitative study aims to deeply understand the experience of social workers working directly with victims of sexual violence, related to their psychological struggles and how they become rewarded and growing through their struggles.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in-depth interview data from seven social worker participants in one-stop crisis intervention centers, this study draws the insider`s perspective on the contextual source and the appearance of the struggle, and the reward and growth from the struggle of social workers in the field of sexual violence. Associated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social workers are used to struggle with senses of tension and anxiety when dealing with the victim`s serious crises, and senses of frustration and anger when witnessing the client`s revictimization due to the myth of sexual violence rooted in this society, and to the contradiction of criminal justice system dealing with perpetrators. The symbolic metaphor of “exorcism shaman’ reported by the participants implies their mental, physical struggles in this field. Despite such struggles, they feel rewarded by their clients’ positive changes and mutual growth, and realize that they grow professionally through social reform activities for sexual violence prevention, reflective practice, and so on. Based on the findings, the necessity of policy and program enforcements obligate to support the social worker’s self-care on a regular basis, and of the establishment of clinical supervision system for the social worker to get when needed, and revitalizing concerns in social welfare education and research on social workers` reflective practice and professional growth are suggested.

      • KCI등재

        성소수자 청년의 커밍아웃 의미의 재구성: “그냥 온전한 나를 보여주는 길”

        정혜숙 ( Chong Hye Suk ) 한국사회복지연구회 2020 사회복지연구 Vol.51 No.1

        본 질적연구는 성소수자 청년의 핵심적 삶의 과제인 ‘커밍아웃’의 의미를 현상학적으로 고찰하였다. 심층면담과정에서 9명의 성소수자 청년들이 구술한 커밍아웃의 정의들을 종합하면, “커밍아웃은 성소수자 스스로의 의지와 선택에 따라 솔직하고 거짓 없이 자신의 성정체성을 인지하고 수용하여 타자에게 드러내고 알리는 사건이자 과정” 이다. 이 정의에 반영되어 있는 5가지 차원의 커밍아웃 과제는 ‘자기결정과 선택’, ‘솔직함과 진실됨’, ‘성정체성에 대한 자기 인식’, ‘사회적 소통과 인정 및 저항, ‘사건이자 과정’ 임을 확인하였다. 궁극적으로 성소수자 청년의 커밍아웃은 ‘성정체성 긍정화과정’을 통한 ‘자아찾기’라는 성소수자 고유의 과제를 수행하는 것이라 볼 수 있지만, 보다 본질적으로 3가지의 비전 및 방향으로, 1) ‘대상에서 주체로(object to agent)’, 2) ‘자기부정에서 자기긍정으로(self-denial to self-positivity)’, 3) ‘침묵에서 목소리로(silence to voice)’, 성소수자 청년 스스로 삶의 행복을 설계하고 성취해나가는 것이다. 내부자관점에 근거하여 커밍아웃의 총체적 의미에 관한 이론적 모형과 성소수자청년들의 발달적 성장을 돕는 사회복지실천이 제안되었다. This phenomenological, qualitative study is designed to explore the meaning of coming out as a major life task of sexual minority youths. To summarize 9 sexual minority youths’ definitions of coming out reported in an in-depth interviewing process, “Coming out refers to an event or a process which sexual minorities honestly and willingly reveal/inform their sexual identity by recognizing/accepting their sexual identity.” The tasks in the 5 dimensions reflected on the definition above follow as; ‘self-determination and choice’, ‘honest and truthful’, ‘self-awareness of sexual identity’, ‘social dialogue, recognition and resistance’, and ‘an event or a process.’ Ultimately sexual minority youths perform their unique tasks of ‘self-realization’ by ‘making a sexual identity process positive’, but more essentially, they design and accomplish their own happiness by looking forward to three visions/directions: 1) ‘object to agent’, 2) ‘self-denial to self-positivity’, 3) ‘silence to voice.’ Suggestions include a theoretical model of a total meaning of coming out and social work practice for sexual minority youths to support their developmental growth based on the insider’s perspective.

      • KCI등재
      • KCI등재

        자녀를 양육하고 있는 매맞는 여성의 생존(survival)에 관한 연구

        정혜숙(Chong Hye-Suk) 한국사회복지학회 2006 한국사회복지학 Vol.58 No.4

        본 연구는 폭력가정에서 여성과 자녀 모두 심각한 수준의 위기를 경험하고 있다고 전제하고 그들의 생존과 대처와 관련된 갈등과 딜레마를 모-자녀관계의 관계적 경험을 이해하고자 현상학적 조사를 수행하였다. 쉼터에 거주하고 자녀양육경험이 있는 10명의 여성들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수행하였으며 질적분석 소프트웨어인 아틀라스티를 활용하여 자료 분석의 효율성을 극대화하였다. 가정폭력은 언제든지 아동학대로 전이, 통합될 가능성이 매우 높은 사건으로 매맞는 여성과 자녀는 ‘모성과 효성의 위기'를 공유하며 대처노력에 있어 서로를 위한 생존 에너지를 동원할 수 있는 상호적 존재의미를 갖는다. 폭력가정의 여성과 자녀들을 위한 사회복지적 개입은 피해가족구성원들의 복합적 현실을 심도 깊게 이해함을 전제로 여성과 아동을 동시에 역량강화 시키는 통합적 접근이어야 한다. The recent domestic violence research has emphasized an integrated approach to wife battering and child abuse to overcome separated understanding and problem-solving alternatives of the two phenomena in the past. This phenomenological study is designed to understand struggles and dilemmas of battered women and their children related to their surviving and coping with domestic violence in a mother-child relationship.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ten battered women who have children and reside in shelters in Seoul and Anyang, and were analyzed by Atlas.ti(a qualitative software program) to maximize the efficiency of data analysis. Domestic violence can be transformed into and integrated with child abuse anytime, so battered women and their children share their crises and challenges related to motherliness and filial love. However, the mutual, existential meaning embedded in the mother-child relationship can be the most important sources to mobilize their life energy and resilience in their copping efforts. The social work interventions for battered women and their children should be integrated with a premise of deep understanding of the complex realities of domestic violence victims.

      • KCI우수등재

        빈곤 여성 한부모 자활 경험의 재구성

        정혜숙(Chong, Hye-Suk) 한국사회복지학회 2015 한국사회복지학 Vol.67 No.4

        본 질적연구는 ‘아래로부터의 관점(bottom-up approach)’에 근거하여 빈곤 여성 한부모의 자활 경험을 재구성하였다. 국가와 지역사회가 제공하는 복지가 “쓰러진 그들의 손을 잡아 일으켜 준”, “남 편 대신”이었다는 연구참여자들의 메시지를 통해 ‘복지의존’은 그들 스스로와 자녀의 삶을 지켜내는 데 긴요한 도움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그들에게 자활이란 ‘복지의존으로부터 벗어난 상태’라기보다 ‘복 지의존을 통해 이루어갈 수 있는 과정적 지향’이며, 경제력 외에도 자존감을 세우고 자신의 가치를 찾 을 수 있는 일을 통해 찾아나갈 수 있는 길이다. 빈곤 여성 한부모의 자활을 돕기 위해서는 ‘일을 통 한 탈수급’의 성급한 초점보다는 그들이 겪고 있는 심리사회적 스트레스를 다루어 자활 잠재력을 복원 하고 장기적 차원의 자활을 성취하는데 필요한 직업 능력 개발과 자녀 보육 및 교육 지원 서비스의 확 충이 선행되어야 한다. 한편 현재 자활 사업이 참여자들에게 비추어진 ‘종속과 낙인’의 이미지를 벗고 근로연계복지의 애초 의미를 살리기 위해서는, 사업 참여 동기와 과정에 대한 내부자관점을 반영하는 수행 및 평가시스템을 갖추고 그들의 욕구와 관심에 따른 맞춤형 자활사업을 개발하는 것이 필요하다. This qualitative study is designed for the reconstruction of the experience of single mothers in poverty based on the bottom-up approach. Welfare dependency is identified as vital help to protect their own and children’s lives, through their stories telling that welfare services provided by government and community take care of them “in place of their husbands”, and “raise them up by hand.” What is self-sufficiency to them is more of a process-orientation through welfare dependency than a state out of it, and a way to look through building their self-esteem and working to discover their self-worth except their economic power. Restoring their potential to self-sufficiency through dealing with their psycho-social stresses and expanding services for them related to child-care(education) and occupation ability development for long-term self-sufficiency, rather than hasty focusing on welfare exit, should be built on the foundation of helping them self-sufficient. In order for the self-sufficiency program to overcome the participant’s images of “subordination and stigma” and to convey the original meaning of “welfare to work”, the performance and evaluation system of self-sufficiency programs that reflects the insider’s perspectives on their participation motive and process, and the self-sufficiency program customized for their needs and interests should be encouraged to develop.

      • KCI등재

        미국 한인 가정폭력피해 한부모 빈곤여성들의 자활 경험

        정혜숙(Chong, Hye-Suk) 한국사회복지학회 2013 한국사회복지학 Vol.65 No.4

        미국의 복지개혁 이후 근로연계와 더불어 가정폭력분야 여성복지에서 가장 중요한 정책 목표 중 하나로 설정된 것은 ‘자활(self-sufficiency)’이다. 본 연구는 ‘아래로부터의 관점(bottom-up approach)’ 에 근거하여 가정폭력피해로 한부모가 된 미국 한인 빈곤 여성들의 자활 경험을 심층적으로 탐색하기 위해 질적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결과를 통해, 참여자들에게 ‘자활’은 '경제적 자립뿐만 아니라 정신적 자립 능력을 모두 갖추어 나가는 삶의 지속적 과제이자 과정'으로 확인되었다. 그들의 자활로의 도전들은 자활 과정 초기 가정폭력피해의 후유증으로 무너진 자활 잠재력의 복원이 필요한 시기와 장기적 차원에서 자활 과정을 유지해야 하는 자활 지탱력의 개발 시기를 포함한다. 이 도전들에 대처하기 위한 그들의 욕구는 ‘친정집 같은 도움과 지원’, ‘선택과 집중의 복지지원’, ‘성숙한 의존과 자활’ 그리고 ‘생계유지가 아닌 꿈의 성취로서의 자활’ 등으로 확인되었다. 가정폭력피해 한부모의 특수성과 이민자로서의 현실에 민감한 자활 정책 및 서비스 개선의 구체적 전략들이 제안되었다. Self-sufficiency has been recognized as one of the most important welfare goals for women in the domestic violence field since the welfare reform in the U.S. A qualitative research design was conducted to explore the self-sufficiency experience of Korean-American single mothers with the history of domestic violence in poverty. The meaning of 'self-sufficiency' to participants is that a continuing task or process in life to move toward being independent mentally as well as economically. Their challenges toward self-sufficiency include the period of restoration of their potentials for self-sufficiency destroyed by domestic violence victimization and divorce, and the period of developing their sustainability for self-sufficiency. Their needs for 'help and support similar to care from the woman's parents' home', 'welfare service of select and concentration', 'mature dependency and self-sufficiency', and 'self-sufficiency from survival to dream come true' to cope with the challenges formentioned are reported. Concrete strategies for the development of self-sufficiency polices and services sensitive to immigrant single mothers with the history of domestic violence are suggested.

      • KCI등재

        가정폭력과 아동학대의 중복발생과 관련된 국내 사회복지 현장 실무자의 경험에 관한 질적연구

        정혜숙(Chong Hye-Suk) 한국사회복지학회 2011 한국사회복지학 Vol.63 No.3

        본 연구는 가정폭력과 아동학대의 중복발생과 관련된 국내 사회복지현실을 탐색적으로 진단하기 위해 두 현장 실무자들을 대상으로 질적연구를 수행하였다. 현장에서 접하게 되는 중복문제 사례들을 통해 실무자들은 그 두 문제가 ‘따로 또 같이’ 발생하고 있다는 사실을 알아채고 있었지만 그 문제에 초점을 둔 의도적 사정과 개입을 수행하고 있지는 않았다. 두 현장 실무자들은 중복문제를 감지하더라도 그들의 서비스 우선순위 대상인 여성 혹은 아동의 욕구에 초점을 두고 ‘따로’ 분리된 대응을 해왔지만, 피해 여성과 아동의 욕구 및 문제해결 방법이 상호의존적 차원으로 교차하는 현실을 직시할 때 ‘또 같이’ 협력하고 연계할 수 있는 대안을 기대하였다. 중복문제에 관한 다차원적 조사와 사정도구의 개발, 관련 실무자 의무교육과 보수교육의 필요성 등을 제안하였다. This qualitative study is designated to explore the reality of social welfare related to the co-occurence of domestic violence and child maltreatment in Korea. “Alone and Together” is elicited as the main theme from the analysis of social workers' experiences with the co-occurence problem in the two fields of domestic violence and child maltreatment. Despite the fact that the social workers are aware of the co-occurence problem embedded in their field cases, they don’t assess and intervene with the problem on set purpose. Each field has dealt with the problem according to the field priority for either women or children separately. However, the social workers in the both fields desire alternatives effective for their cooperation and linkage to each other when confronted with the intersection of interdependent needs and problem-solving for the woman and the child. The development of multi-level research, assessment tools, and compulsory education courses for practitioners related to the co-occurence problem is suggested.

      • KCI등재
      • KCI등재

        사회복지전공 대학생의 인권교과목 수업경험에 관한 탐색적 연구

        정혜숙(Hye-Suk Chong),송지연(Jee Yeon Song),최문정(Moon Jeong Choi) 한국사회복지교육협의회 2022 한국사회복지교육 Vol.60 No.-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 인권 교과목을 수강한 사회복지전공 학생들의 수업경험을 조명하고 이해하고자 함이다. 이를 위해 학습경험에 대한 내부자 관점을 탐색적으로 고찰하는데 강점을 가진 질적연구방법을 활용하여 연구참여자 8명의 심층면담자료를 분석하였다. 대학생들은 인권기반관점의 학습과 인권감수성 강화 훈련을 동반하는 도전과 성장의 수업과정을 통해 인권의 의미에 대한 자기인식의 강화, 다양한 인권주체들과 사회문제에 대한 새로운 이해와 통찰을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경험을 바탕으로 그들은 생활습관, 관계 맺기, 진로설계 등에 있어서도 인권기반 비전과 실천 노력을 수행하고 있음을 보고하였다. 사회복지 인권교육에 대한 과제로 인권 친화적인 교수학습법 개발 및 적용 확대와 현장학습과의 연계를 제안하였다. This study is designed to illuminate and understand the experience of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social welfare who participated in the class of human rights.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with the merit of exploring insiders’perspectives were utilized to analyze in-depth interviews for 8 students. Students reported their experiences of strengthening their self-awareness of the meaning of human rights, and new understanding and insights on diverse human-rights stakeholders and social problems, by learning human rights-based knowledge accompanied with human rights sensitivity training. Furthermore, their ongoing efforts to push human rights-based vision and practice with ways of living, building relationships, and developing professional careers are demonstrated. Promoting extended application of human rights-sensitive teaching methods and the field-linked learning process are suggested for future directions for human rights-based social welfare edu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