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핵심역량 중심의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내용 체계화 연구

        정현선(Jeong Hyeon seon),김아미(Kim A mie),박유신(Park Yoo shin),전경란(Jeon Gyeong ran),이지선(Lee Ji sun),노자연(Noh Ja yeo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6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6 No.11

        이 연구는 미디어 리터러시의 개념을 명료히 규정하고, 국내 교육과정을 근거로교육 내용을 체계화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에서는 핵심 역량 중심의 2015개정 교육과정에 따라, 미디어 리터러시의 개념을 핵심 역량과 관련하여 정의함으로써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의 교육과정적 근거를 마련하고, 기초 학습 요소·수행 목표 등을 포함한 교육 내용 체계를 도출하여 제시하였다. 미디어 리터러시는 미디어를 책임 있게 활용하고, 미디어가 생산하는 정보와 문화를 비판적으로 이해·성찰하며, 의미 있는 정보와 문화를 생산·공유할 수 있는 능력이라고 규정할 수 있다. 또한 미디어 리터러시의 하위 요소 간 관계를 규명하기 위해 국내외 문헌 검토를 통해 관계도 초안을 구안하였다. 그리고 초안에 대해 개별 인터뷰와 초점 그룹 인터뷰를 통해 교육과정·교과교육 전문가·현장교사의 자문을 받고 이를 기반으로 연구진의 숙의를 거쳐 숙의 내용에 대해 전문가와의 심층 인터뷰를 진행하여 핵심 역량, 기초 학습 요소 및 수행 목표의 관계도 최종안을 도출하였다. 이 연구는 이론적 체계화를 통해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에 대한 후속 연구를 촉진하는 한편 교육과정적 근거를 마련하여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수업 적용에 실질적으로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aims to clearly reconceptualize media literacy and classify media literacy contents according to the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Various international organizations including UNESCO and OECD define media literacy as an essential 21st century competence to access, analyze, evaluate and create media in a variety of forms. This study justifies the implementation of media literacy in schools by interpreting media literacy in relation to communication and knowledge and information processing , which are included in the key competences that are specified in the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Based on the literature review, in-depth interviews with experts in the field and focus group interviews with teachers, this study contrived media literacy strands and standards including performance objectives and basic teaching and learning contents. By theoretical systemizing media literacy, this study is expected to promote the understandings of media literacy in schools and promote its implementations in the classrooms.

      • KCI등재

        뉴스 리터러시 교육을 위한 중학교 교과서 단원 모형 개발 연구

        장은주(Jang Eun ju),정현선(Jeong Hyeon seon),길호현(Kil Ho hyun),김아미(Kim A mie) 우리말교육현장학회 2017 우리말교육현장연구 Vol.11 No.1

        이 연구는 중학교 교과서에 반영하기 위한 뉴스 리터러시 단원을 개발하는 것이 목적이다. 뉴스 리터러시는 뉴스 미디어에 대한 접근과 비판적 이해 및 생산과 활용 능력을 뜻한다. 국어 교육에서는 정보 텍스트의 이해와 생산이라는 차원에서 뉴스를 중요하게 다루어왔으나, 본격적인 뉴스 리터러시 교육은 국어를 포함한 다양한 과목의 연계와 통합을 통해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또한 뉴스 리터러시 교육은 뉴스에 대한 이해에 그치지 않고 뉴스의 생산활동을 중시하여야 하며, 학생 주도의 프로젝트를 강조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이 연구에서는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강조한 핵심 역량을 근거로 국어, 미술, 도덕, 사회, 기술・가정 교과에서 뉴스 리터러시 관련 성취기준을 선정하여 교과 연계형 통합 단원을 구안하였다. 연구 결과, ‘준비학습부 – 이해학습부 – 프로젝트학습부’로 뉴스 리터러시 단원을 구성하였으며, 각 학습은 교사가 가르치는 과목과 주안점에 따라 모듈식으로 활용될 수 있도록 개발하였다. 이해학습부는 (1) 무엇이 뉴스가 되는가, (2) 뉴스는 우리에게 현실을 어떻게 보여주는가, (3) 뉴스 생산자와 이용자가 지켜야 할 윤리는 무엇인가와 같은 핵심질문에 따라 구안되었다. 이해학습부는 생산학습 활동으로 마무리되도록 하기 위해 수행을 통한 형성평가를 제시하였고, 프로젝트학습부에서는 소집단 활동을 중심으로 한 카드뉴스 제작 활동을 제시하였다. 이 단원은 포트폴리오를 활용한 학습 및 평가, 학생의 삶과 연계한 학습, 활동을 통한 지식의 내면화를 강조한다. 이 연구에서 개발한 뉴스 리터러시 단원은 중학교에서의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을 위한 구체적인 방법을 제시한다는 점, 핵심 역량의 교육을 위한 교과 통합 교육의 모델을 제시한다는 점, 학습자 중심의 다양한 교수・학습 방법을 지원하는 교과서의 모델을 제시한다는 점등에서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News literacy model unit. The unit is based on the standards of 2015 revised curriculum and it can be utilized in textbooks for middle school students. Based on the core competencies emphasized i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we selected the standards related to news literacy in various subjects such as Korean language, Art, Moral education, Social studies, and Technology and Home economics, and in turn designed a unit which can be used for integrated curriculum. The News literacy model unit model consists of the preparatory section - the understanding section - synthesizing section - project section. The preparatory section is centered upon key questions such as (1) what becomes news, (2) how does the news represent reality, and (3) what ethics should the news producers and users follow. The synthesizing section suggests tools for formative and performance based assessments. The project section contains small -group card-news production activity. This model unit emphasizes learning and assessment using portfolios, learning linked to students’ real lives, and the internalization of knowledge based on learning activities. The news literacy model unit developed in this study not only provides concrete methods for media literacy education in middle school but also can be used as a material for integrated curriculum. It can also be used as a material for constructing a textbook supporting various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