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드론 영상 식생지수와 질소 비료 처리 수준별 밀 종실 단백질, 수량과의 관계

        이경도 ( Kyung-do Lee ),정한용 ( Han-yong Jeong ),나상일 ( Sang-il Na ),안호용 ( Ho-yong Ahn ),류재현 ( Jae-hyun Ryu ),이병모 ( Byung-mo Lee ),손지영 ( Ji-young Shon ) 한국농공학회 2022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22 No.-

        2020년 기준 국민 1인당 밀 소비량은 약 31kg으로 58kg인 쌀 소비량 다음으로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그러나 소비량에 비해 자급률은 0.8% 수준으로 매우 낮고, 최근 우크라이나 전쟁 등 국제 밀 가격의 변동이 심화되고 있어 자급률 향상을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국내 밀 재배 확대를 위해서는 생산적인 측면에서 재배면적 확대와 함께 국산밀 품질 향상을 위한 재배 관리기술의 개발이 요구된다. 밀은 용도에 따라 제빵용인 경질밀, 제과용인 연질밀로 나눌 수 있는데 경질밀의 경우 밀 품질이 종실 내 함유된 단백질 함량에 큰 영향을 받는다. 본 연구는 제빵용 밀 품종을 대상으로 질소비료 처리구별 수량 및 단백질 함량과 드론영상 식생지수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드론 영상정보 기반의 밀 수량 및 단백질 추정 가능성을 평가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2021년 10월 27일 해남군 해남읍 복평리에 휴폭과 파폭을 각각 180cm, 150cm로 포장을 조성하고, 제빵용 품종인 조경, 백강, 황금알 등 3개 품종을 파종량 16kg/10a로 파종하였다. 질소비료는 1) 기비로 9.1kg/10a, 2) 기비 3.6, 생육재생기 5.5kg/10a, 3) 기비 3.6, 생육재생기 2.75, 출수 후 1주 2.75kg/10a, 4) 기비 3.6, 생육재생기 5.5, 출수 후 1주 3kg/10a, 5) 기비 3.6, 생육재생기 5.5, 출수 후 1주 6kg/10a, 6) 기비 3.6, 생육재생기 5.5, 출수 후 1주 9kg/10a 시용 등 6처리로 처리하였다. 인산과 칼리는 각각 7.4kg/10a, 3.9kg/10a로 전량 기비로 시용하였다. 드론 항공영상은 회전익 드론(M200, DJI, China)에 R-G-B-RE-NIR밴드(REDEDGE-MX, MICASENSE, USA) 카메라를 부착하여 출수후 1주 경과된 2022년 4월 20일과 등숙기인 5월 17일 촬영하고 NDVI, GNDVI, NDRE 식생지수를 산정하고 상관계수가 가장 높은 시기와 식생지수를 선정하였다. 조졍밀의 경우 밀 수량은 4월 20일 NDRE 식생지수와 0.62, 단백질 함량의 경우 5월 17일 NDRE 식생지수와 0.86의 상관계수 값을 보였다. 백강밀의 경우 밀 수량은 4월 20일 NDRE 식생지수와 0.74, 단백질 함량의 경우 5월 17일 NDRE 식생지수와 0.71의 상관계수 값을 보였다. 황금알의 경우 수량은 5월 17일 NDRE 식생지수와 0.83, 단백질 함량의 경우 5월 17일 NDRE 식생지수와 0.79의 상관계수 값을 보였다. 대체로 밀 종실 단백질 함량은 등숙기인 5월 17일의 NDRE 식생지수와 0.71~0.86의 높은 상관계수 값을 보여 비슷한 경향이었다. 그러나 수량의 경우 NDRE 식생지수가 가장 높은 상관성을 보인 것은 동일한 경향이었으나 품종별로 최고의 상관계수를 보이는 시기는 차이를 보였다. 밀 출수기 및 등숙기 드론 영상 식생지수와 수량, 단백질은 0.71~0.86의 높은 상관성을 보여 드론 영상 식생지수 기반의 밀 수량 및 단백질 추정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으나, 향후 연차간 반복 시험을 통해 밀 수량 및 단백질 추정을 위한 최적 시기 및 식생지수를 선정하고 추정 모형을 구축할 계획이다.

      • KCI등재

        한국어판 사회적응자기평가척도(SASS)의 신뢰도 및 타당도 연구

        김형섭,김용구,윤충한,정한용,정영기,Kim, Hyeong-Seob,Kim, Yong-Ku,Yoon, Choong-Han,Jeong, Han-Yong,Cheong, Young-Ki 한국정신신체의학회 2000 정신신체의학 Vol.8 No.2

        연구목적 : 우울증 환자의 사회적 인지내용은 우울증을 치료하는 과정에서 치료목표가 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치료방법을 결정하는 초석이 된다. 또한 환자의 증상이 악화될 것인지 또는 재발할 것인지를 예측할 수 있는 좋은 지표이기도 하다. 그러나 우울증의 증상들을 평가하기 위한 척도와는 달리 아직 우리나라에서 사회적응성을 평가하기 위한 척도는 아직 소개된 바 없다. 이에 Bosc 등이 개발하였고, 유용성에 대해 이미 인정되어 있는 Social Adaptation Self-rating Scale(SASS)를 한국어로 번안한 척도에 대하여 신뢰도 및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방법 : SASS를 한국어로 번안하여 총 21문항으로 구성된 한국어판 사회적응 자기평가척도를 작성한 후 신체적, 정신적으로 건강한 정상인 291명과 우울증 환자 40명을 대상으로 시행하였다. 1) 한국어판 SASS의 신뢰도 검증결과 대상자 전원에 대한 Cronbach $\alpha$계수는 0.790. Spearman-Brown 반분신뢰도는 0.782(Guttman split-half=0.78) 이었다. 정상인 집단의 경우 Cronbach $\alpha$계수는 0.734. Spearman-Brown 반분 신뢰도는 0.619(Guttman split-ha1f=0.7318)였으며, 우울증 집단의 Cronbach $\alpha$계수는 0.8852. Spearman-Brown 반분신뢰도는 0.8852(Guttman split-half=0.8548) 이었다. 정상인 집단에서 45명을 대상으로 2주 간격으로 시행한 검사 재검사 신뢰도 검증결과는 r=0.653(p<0.01)으로서 비교적 시간적 안정성을 보였다. 2) 집단간 SASS 및 Purpsoe in Life(PIL) 검사 점수 차이의 검증에서 정상인집단의 SASS 총점 평균은 $40.12{\pm}5.27$, PIL 총점 평균은 $98.41{\pm}14.02$였고, 우울증 집단은 각각 $30.12{\pm}10.04$, $75.70{\pm}23.53$이였다. 두 점수 모두 우울증 집단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낮은 점수를 보였다(p<0.0l). SASS의 각 문항별 접수는 문항5, 문항 15, 문항 16, 문항 19를 제외하고 모든 항목에서 정상인 집단이 통계적으로 의미 있게 높은 점수를 나타냈다(p<0.0l). 3) 정상인 집단에서 SASS와 PIL간의 상관관계는 r=0.510으로서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상관관계를 나타냈다(p<0.0l). 우울증 집단의 경우 유병기간의 평균은 $52.17{\pm}83.86$개월로서 SASS, PIL, Beck's Depression Inventry(BDI) 및 우울증 이병기간과의 상관관계에서 SASS와 PIL는 정상인 집단과 마찬가지로 정적인(positive) 상관관계를 나타냈으나(r=.671), SASS와 BDI(r= -.609), PIL과 BDI(r= - .621) 척도간의 상관은 모두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부적인(negative) 상관을 나타내었다(p<0.01). 그러나 우울증의 이병기간과 SASS, PIL, BDI 척도간의 상관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상관을 나타내지 않았다(p>0.05). 4) SASS의 요인분석결과 정상인 집단의 경우 요인 1은 '사회활동'을 나타냈고, 요인 2는 '대인관계에 대한 적극성', 요인 3은 '자신감'을 나타냈다. 요인 4는 '외모의 중요성', 요인 5는 사회적응의 방법으로서 지적인 탐구'를 나타냈으며, 요인 6은 '사회활동에 대한 참여욕구'를 나타냈다. 우울증 집단에서는 요인 1에 SASS의 거의 모든 문항들이 해당되어 요인 1에 의한 단일 구조를 시사하였다. 요인 2는 '취미나 레저활동 욕구'가 관계되었다. 요인 3은 '가족 지향성', 요인 4, 5, 6은 '직업에 대한 흥미', '대인관계 추구', '의사소통 욕구'를 포함하고 있어 우울증 환자들이 사회적응상 가장 핵심적 문제들과 관계를 나타내었다. 결론 : 이상의 결과들로 보아 한국어판 SASS는 우울증의 사회적응성을 평가하기 위해 신뢰할 수 있고 타당한 척도라고 사료된다. This study was designed to testify the reliability and validation on the Korean version of the Social Adaptation Self-rating Scale(SASS) which was developed from Bose et al. for the evaluation of social motivation and behavior of depressed patients in 1997. Interests for the social world, those of social functioning, of patients were involved in the addition of new measure of disturbance. And those were distinct from abnormalities of thought, mood and symptoms of patients with major depression. As the previous reports there were several evidences that treatments may be less likely to be effective if the system they act on is dysfunctional. Thus, a better social situation favoured better outcome. As a matter of fact, however, those reports were developed in the course of the evaluation of interpersonal therapy(IPT) and cognitive therapy. Accordingly the conversed question -whether pharmacological therapy with antidepressants can impact on social functioning in addition to addressing the core features of illness- has been addressed. To date, anyhow, it is accepted that enhancement of social functioning may be a therapeutic principle in its own right and illness rarely divorced from social context. In terms of those concepts the introduction of an assessment of social functioning into pharmacotherapeutic studies of depression has been welcomed and might be a potent instrument for evaluating the relative pharmacoeconomic benefits of different treatments. Despite of many scales which were applied for the evaluation of symptoms in the patients with depression, however, the scale for the evaluation of social functiong has not been introduced in Korea yet. Thus,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troduce the concepts of social functioning in the patients with depression and to testify the reliability and validation on Korean version of SASS. This Korean version of SASS was submitted to a reliability and validation procedure based on the data from healthy general population survey in 291 individuals and 40 patients with major depression. Cronbach a was 0.790 in total subjects group and the correlation of test-retest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y=0.653, p<0.0l). Thus, the Korean version of SASS might be shown to be valid and reliable. The results of multivariate analyses allowed the identification of 3 principle factors(factor 1 = intersts in social activities, factor 2 = active interpersonal relationship, factor 3 = selfesteem) in normal group, however, it could be counted as only one factor in the depression group because nearly total items of SASS were involved in factor 1. In the view of these results, the Korean version of SASS may be useful additional tool for the evaluation of social functioning in depression.

      • 드론 영상 식생지수와 질소 비료 처리 수준별 밀 종실 단백질, 수량과의 관계

        이경도 ( Kyung-do Lee ),정한용 ( Han-yong Jeong ),나상일 ( Sang-il Na ),안호용 ( Ho-yong Ahn ),류재현 ( Jae-hyun Ryu ),이병모 ( Byung-mo Lee ),손지영 ( Ji-young Shon ) 한국농공학회 2022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22 No.-

        2020년 기준 국민 1인당 밀 소비량은 약 31kg으로 58kg인 쌀 소비량 다음으로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그러나 소비량에 비해 자급률은 0.8% 수준으로 매우 낮고, 최근 우크라이나 전쟁 등 국제 밀 가격의 변동이 심화되고 있어 자급률 향상을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국내 밀 재배 확대를 위해서는 생산적인 측면에서 재배면적 확대와 함께 국산밀 품질 향상을 위한 재배 관리기술의 개발이 요구된다. 밀은 용도에 따라 제빵용인 경질밀, 제과용인 연질밀로 나눌 수 있는데 경질밀의 경우 밀 품질이 종실 내 함유된 단백질 함량에 큰 영향을 받는다. 본 연구는 제빵용 밀 품종을 대상으로 질소비료 처리구별 수량 및 단백질 함량과 드론영상 식생지수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드론 영상정보 기반의 밀 수량 및 단백질 추정 가능성을 평가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2021년 10월 27일 해남군 해남읍 복평리에 휴폭과 파폭을 각각 180cm, 150cm로 포장을 조성하고, 제빵용 품종인 조경, 백강, 황금알 등 3개 품종을 파종량 16kg/10a로 파종하였다. 질소비료는 1) 기비로 9.1kg/10a, 2) 기비 3.6, 생육재생기 5.5kg/10a, 3) 기비 3.6, 생육재생기 2.75, 출수 후 1주 2.75kg/10a, 4) 기비 3.6, 생육재생기 5.5, 출수 후 1주 3kg/10a, 5) 기비 3.6, 생육재생기 5.5, 출수 후 1주 6kg/10a, 6) 기비 3.6, 생육재생기 5.5, 출수 후 1주 9kg/10a 시용 등 6처리로 처리하였다. 인산과 칼리는 각각 7.4kg/10a, 3.9kg/10a로 전량 기비로 시용하였다. 드론 항공영상은 회전익 드론(M200, DJI, China)에 R-G-B-RE-NIR밴드(REDEDGE-MX, MICASENSE, USA) 카메라를 부착하여 출수후 1주 경과된 2022년 4월 20일과 등숙기인 5월 17일 촬영하고 NDVI, GNDVI, NDRE 식생지수를 산정하고 상관계수가 가장 높은 시기와 식생지수를 선정하였다. 조졍밀의 경우 밀 수량은 4월 20일 NDRE 식생지수와 0.62, 단백질 함량의 경우 5월 17일 NDRE 식생지수와 0.86의 상관계수 값을 보였다. 백강밀의 경우 밀 수량은 4월 20일 NDRE 식생지수와 0.74, 단백질 함량의 경우 5월 17일 NDRE 식생지수와 0.71의 상관계수 값을 보였다. 황금알의 경우 수량은 5월 17일 NDRE 식생지수와 0.83, 단백질 함량의 경우 5월 17일 NDRE 식생지수와 0.79의 상관계수 값을 보였다. 대체로 밀 종실 단백질 함량은 등숙기인 5월 17일의 NDRE 식생지수와 0.71~0.86의 높은 상관계수 값을 보여 비슷한 경향이었다. 그러나 수량의 경우 NDRE 식생지수가 가장 높은 상관성을 보인 것은 동일한 경향이었으나 품종별로 최고의 상관계수를 보이는 시기는 차이를 보였다. 밀 출수기 및 등숙기 드론 영상 식생지수와 수량, 단백질은 0.71~0.86의 높은 상관성을 보여 드론 영상 식생지수 기반의 밀 수량 및 단백질 추정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으나, 향후 연차간 반복 시험을 통해 밀 수량 및 단백질 추정을 위한 최적 시기 및 식생지수를 선정하고 추정 모형을 구축할 계획이다.

      • KCI등재

        국내환경에서 밀 유전자원의 연차간 농업특성 분석

        손재한,양진우,강천식,김경훈,김경민,정한용,박진희,손지영,박태일,최창현,Son, Jae-Han,Yang, Jinwoo,Kang, Chon-Sik,Kim, Kyeong-Hoon,Kim, Kyeong-Min,Jeong, Han-Yong,Park, Jinhee,Son, Ji-Young,Park, Tae-il,Choi, Changhyun 한국작물학회 2021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Vol.66 No.2

        다양하고 우수한 밀의 유전자원을 확보하는 것은 앞으로 한국의 밀 육종에서 매우 중요한 임무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한국뿐만 아니라 세계 60여개국으로부터 수집된 1967점의 유전자원을 확보하였고, 2018년부터 2019년까지 2년 동안 이들 자원에 대하여 특성 조사를 실시하였다. 최근 기후변화에 따라 고온과 이상기온 현상이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기 때문에, 한국의 환경에 적합하고, 특히 밀의 간장, 출수기, 성숙기 등 주요 농업 특성에 주목하였다. 2018년은 유수분얼기 및 출수기에 이상고온 현상이 나타났고, 2019년은 성숙기에 잦은 비로 인한 일조량 감소 현상이 있었다. 이와 같은 이유로 밀의 출수기와 성숙기의 변화가 확인이 되었다. 그러나 모든 자원이 같은 양상으로 변화하지는 않았다. 출수기와 성숙기가 빨라지거나 늦어졌고, 또한 기후에 상관없이 변화가 없는 밀도 있었다. 밀의 간장은 2019년이 2018년에 비해 평균 20 cm 증가하였다. 이 같은 이유는 2018년 월동기 기온의 상승이 원인일 것으로 생각되나 더욱 세밀한 연구가 필요하다. 또한 밀의 간장은 출수기와 성숙기와 상관관계를 보였고, 2018년과 2019년에 각각 35%와 20% 상관관계지수를 나타냈다. 이들 결과를 바탕으로 출수가 빠르고 성숙기간이 짧으며, 기후의 영향을 덜 받는 자원은 앞으로 한국의 밀 육종에 매우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Securing a range of wheat resources is of particular importance with respect to wheat breeding, as it provides a broad genetic foundation. Although wheat breeders have used different wheat germplasms as material resources in current breeding systems, the traits of most germplasms collected from foreign countries differ from the unique traits that have evolved in the Korean environment. In this study, conducted over a 2-year period (2018 and 2019), we therefore evaluated the agricultural traits 1,967 wheat germplasms collected not only in Korea but also worldwide. During the period from sowing to February, the average temperature in 2019 was greater than 1℃, whereas from March to June, the average temperature was approximately 0.9℃ higher in 2018. Compared with the growth recorded in 2018, the stem length in 2019 increased by approximately 20 cm in 2019, and there were notable differences heading date and maturation between 2018 and 2019. In 2019, the heading dates of 973 and 713 wheat resources were earlier and later than those in 2018, respectively. Moreover, stem length was found to be highly correlated with the heading date and maturation. In Korea, where the rainy season and tine of rice transplantation overlap with the time of wheat harvest, early flowering time with high grain yield has been the most important selection target with respect to wheat breeding. We anticipate that the findings of this study will provide would use a foundation for the selection of elite materials and the development of resource core-sets for Korean wheat breeding programs.

      • KCI등재

        백립계 대립 붉은곰팡이병 중도저항성 제빵용 밀(Triticum aestivum L.) ‘백강’

        김경민(Kyeong-Min Kim),김경훈(Kyeong-Hoon Kim),최창현(Chang-Hyun Choi),정한용(Han Young Jeong),박진희(Jinhee Park),양선목(Sun-Mok Yang),손지영(Jiyoung Shon),박태일(Tae-Il Park),강천식(Chon-Sik Kang) 한국육종학회 2021 한국육종학회지 Vol.53 No.2

        A new winter wheat (Triticum aestivum L.) cultivar ‘Baekkang’ was developed by the National Institute of Crop Science (NICS)and Rular Development Administration (RDA) in 2015. Its heading date was April 23, and its maturity date was June 3, similar to that of‘Keumkang’. ‘Baekkang’ had a shorter culm length (75 cm), longer spike length (8.0 cm), more spikes per m2(703), and more 1,000-grainweight (47.5 g) than those of ‘Keumkang’, which were 76 cm, 7.6 cm, 631, 46.4 g, respectively. ‘Baekkang’ was not a winter hardy cropand is susceptible to powdery mildew. However, it has moderate resistance to fusarium head blight. The average grain yield in the advancedyield trial was 5.5 MT/ha, 20% more than ‘Keumkang’. In the regional yield trial, this average yield was 5.1 MT/ha upland and 5.2 MT/hain the paddy field, which were 10% and 18% more than that of ‘Keumkang’, respectively. Baekkang’s flour yield (71.2%) and flour lightness(92.40) showed similarities to those of ‘Jokyung’. ‘Baekkang’ also showed a higher protein content (12.4%), gluten content (10.1%), andSDS-sedimentation volume (60.0 ml). These results showed that the ‘Baekkang’ flour’s dough strength was greater than that of ‘Jokyung’. Baekkang’shigh molecular weight gluten subunits composition was Glu-D1 (5+10), granule-bound starch synthase composition was Wx-A1 (a), Wx-B1(a), and Wx-D1 (a), and puroindoline composition was Pina-D1(a) and Pinb-D1(b) (Registration No. 6966).

      • KCI등재

        맥류 연구의 과거, 현재, 그리고 미래

        김경민(Kyeong-Min Kim),강천식(Chon-Sik Kang),김양길(Yang-Kil Kim),김경훈(Kyeong-Hoon Kim),박종호(Jong-Ho Park),윤영미(Young-Mi Yoon),박형호(Hyoung-Ho Park),정한용(Han-Yong Jeong),최창현(Chang-Hyun Choi),박진희(Jinhee Park),김영진(You 한국육종학회 2020 한국육종학회지 Vol.52 No.S

        Barley and wheat are a major food crop of humans, along with rice, soybean and corn. A systematic breeding program for Korean barley began in 1906 with selection and introduction breeding. In 1908, landrace barley was collected, and breeding focused on selection and introduction for high yielding varieties until the 1970s. In the 1980s and 1990s, breeding was carried out for diversity; thereafter, we aimed to improve quality, productivity and lodging tolerance that can be applied to the paddy field in Korea. Since 2010, the major result of breeding was shortening cultivation to approximately 6–12 days, making a double cropping system possible in the paddy field in Korea. Yield has increased by 1.2 times from 438 kg/10 a in the 1960s to 536 kg/10 a in the 2010s, and farm yield has increased by 1.7 times. In addition, as cultivation safety has been enhanced, the varieties have also improved, such as the covered barley used in making tea and other processing products. In case of wheat, up to now forty cultivars have been developed in Korea. In the early stage, we developed a domestic wheat variety that was early maturing and high yielding. As a result, the maturation time of wheat planted in the 1970s to 2010 was shortened (from 13 to 30 days), while productivity increased by 30% from 408 kg/10 a in the 1970s to 532 kg/10 a in 2010. In recent years, there have been remarkable efforts for a more stable production by focusing on increasing disaster and pest resistance due to climate change. In addition, a wheat variety discrimination marker was developed using a variety-specific marker, and selection was made using a trait-specific marker at the early stage of breeding to enhance breeding efficiency. In the 2000s, winter cereals for forage have been promoted to expand forage production and to replace imported feed grains. Therefore, winter cereal that is useful for feed, such as rye, oat, and triticale, have had various varieties and safe production techniques developed. Currently, our research goal for winter cereals for feed is to develop a double-cropping adaptation and abiotic stress tolerance cultivar, and safe production in paddy field. Hence, aggressive action is needed to support the strategic survival of the Korean wheat and barley industry. Barley is a health food that requires a multifaceted effort to improve breeding efficiency, develop varieties that contain large amounts of functional components and are more resistant to stronger biotic and abiotic stresses in response to climate change. It is necessary to recognize the role of wheat and barley as the second main crop after rice, and to improve the self-sufficiency rate of these crops for the health and food industry crisis of Kore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