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Von der Flughafenseelsorge zur Flüchtlingsseelsorge in Deutschland - Im Brennpunkt: Das Flughafenverfahren am Flughafen Frankfurt/Main (FRA)

        정태흥,진성 한국독일언어문학회 2018 독일언어문학 Vol.0 No.80

        In Deutschland enstanden in den 1970er Jahren zum ersten Mal sogenannte Flughafenkapellen als Ansprechpunkte für in Not geratene Reisende und deren Angehörigen. Tätig sind hier insbesondere Sozialarbeiter, Geistliche und speziell ausgebildetes Beratungspersonal. Diese Einrichtungen und deren Personal prägten auch den Begriff der ‘Flughafenseelsorge’. 1993 wurde an deutschen Flughäfen das sogenannte ‘Flughafenverfahren’ eingeführt. Daraufhin wurden die Flughafenkapellen auch unfreiwillig zu Beratungsstellen für angekommene Flüchtlinge im Flughafen. Die hier vorliegende Arbeit beschäftigt sich insbesondere mit der Problematik der Flüchtlingsseelsorge in Bezug auf die stattfindende Beratung von den dortigen Asylsuchenden. Im Fokus der Betrachtung sind durch das im Zusammenhang mit dem ‘Dublin III-Abkommen’ stehende Flughafenverfahren und Flüchtlinge, die im Flughafen festgesetzt wurden und dort ungewiss auf einen endgültigen Bescheid ihres Anliegens warten müssen. Die Flüchtlingsseelsorge kritisiert beim Flughafenverfahren über elementare Mängel an Länderkenntnissen, Verstöße gegen elementare Verfahrensgrundsätze und Verhörung statt Anhörungen. Sie fordert auch die Abschaffung des hochriskanten Asylschnellverfahrens, weil Flüchtlinge unter Zeitdruck weniger Chancen haben, einen möglichen Asylanspruch durchzusetzen. Nun steht ein aktueller Beschluss des Frankfurter Oberlandesgerichts (OLG) im Jahr 2016 auf der Seite der Flüchtlingsseelsorge und der Nichtregierungsorganisationen. Demnach sei das Festhalten in der Flüchtlingsunterkunft am Flughafen als Freiheitentzug anzusehen. Der abgelehnte Asylbewerber im Flughafen darf nicht mehr ohne richterliche Anordnung am Flughafen festgehalten werden. Das Flughafenverfahren am Flughafen Frankfurt/Main zeigt den kontinuierlichen Konflikt mit der individuellen Situation der einzelnen Flüchtlinge, der Flüchtlingsseelsorge, die hier eine Verletzung der Menschenrechte sieht und mit dem Interesse der Regierung, die ihre eigene Bevölkerung vor einer sogenannten ‘Flüchtlingsschwemme’ bewahren möchte. Deutschland entschied sich 2015 dazu, die Dublin-III-Verordnung angesichts der sogenannten ‘Flüchtlingskrise’ kurzfristig nicht anzuwenden. Seit 2016 wird die Dublin-III-Verordnung jedoch wieder befolgt.

      • KCI등재

        19세기 유럽의 쿠어 도시 형성과 사회적 특성

        정태흥,진성 한국해양대학교 국제해양문제연구소 2022 해항도시문화교섭학 Vol.- No.26

        물, 토양, 기후 등 자연자원을 활용한 유럽의 쿠어 도시는 산업화 이전 주로 온천과 연계된 휴양 및 교역 거점이었다. 광천, 염천, 해수의 치유효과에 대한 과학적 성과와 산업화에 힘입어 쿠어 도시는 19세기에 전성기를 맞이하였다. 본고는 19세기 쿠어 도시의 유럽 내 지리적 분포를 통해 쿠어 도시가 범유럽적인 현상이라는 것을 제시하였다. 필자들은 쿠어 도시의 사회적 특성을 공간의 규모와 사람의 이동과 관련하여 ‘촌과 도시의 잡종성’, 문화와 정치 경계와 관련하여 ‘탈경계성과 국제성’, 치유와 유흥의 무게중심과 관련하여 ‘탈일상성과 난장성’으로 규명하였다. 20세기 침체기를 거쳐 다시 부활하는 21세기 유럽의 쿠어 도시는 19세기 쿠어 도시의 사회적 특성을 주목하고 있다. 19세기 유럽 쿠어 도시의 특성은 산림, 농림, 해양자원을 치유자원으로 삼아 지자체의 발전과 연계하려는 우리에게도 유효하다.

      • KCI등재

        해수에 대한 과학적 발견과 19세기 독일 제바데오르트(Seebadeort)의 활성화

        정태흥,진성 한국해양대학교 국제해양문제연구소 2023 해항도시문화교섭학 Vol.- No.28

        The discovery of the sea bathing treatment effects on the sea led to a boom in sea bathing treatment and recreation (Seebad) on the beaches of the North-and the Baltic Sea in Germany in the 19th century. By the end of the 19th century, more than 140 ‘Seebad’ were built in the Baltic Sea of Germany and 40 in the North Sea. The German government and private organizations have raised the level of the ‘Seebad’ through the standards for quality certification. The authors found, above all, that Germany's ‘Seebad’ a late member, was activated in a short period of time and was even competitive enough to be considered a model case for other countries. The timing and characteristics of the construction of the ‘Seebadeort’ in the East- and the North Sea are as follows. First, the German ‘Seebad’ was established and activated by the scientific discovery of the sea, especially sea water. The certification standards of the central, local and private organizations for the qualification of the ‘Seebad’ reflect the results of scientific research on sea water. Second, the assessment criteria of the ‘Seebadeort’ were the composition of sea water, the climate, thermal springs and healing facilities for sea water, accessibility to transportation, hotels, restaurants, theatres, dance halls and various sports facilities. Academic achievements have spread after the development of the industrial revolution to activate ‘Seebad’ sites in areas such as sea water treatment, railway connection and steamboat activities. Finally, the ‘Seebad’ developed in connection with the ‘Sommerfrische’, which was essentially run by the emerging middle class. The German ‘Seebad’ was not limited to the natural therapy of water, soil and materials that provide the sea and nature. Rather, it had a dual function of mixing the pleasure of naturalization and socialization with physical activity and sensitivity. The authors found that the competition and differentiation strategy of the ‘Seebadeort’ not only uses the features of internationalization, kings, aristocracy and emerging bourgeoisie, but also puritan loyalty to religious bourgeoisie. 바다에 대한 해수목욕요법 효과의 발견은 19세기 독일의 북해와 발트해 해변에서의 해수욕 치료와 휴양(제바드)의 붐을 초래하였다. 19세기 말이 되면 독일의 발트해에는 140여개, 북해에는 40여개의 제바드가 조성되었다. 독일의 정부와 민간단체는 제바드의 품질인증의 기준을 통해 난립한 제바드의 수준을 제고하였다. 1890년대의 기준에 따르면 제바드는 다음의 세 가지 요소들이 평점과 홍보에 중시되었다. ① 해수성분, 기후, 온천탕과 해양치유를 위한 시설; ② 증기열차와 증기선 등 접근성; ③ 호텔, 식당, 극장, 댄스홀, 각종 스포츠 시설 등. 독일의 제바드는 품질인증과 평가를 통해 질적 제고가 되었을 뿐만 아니라 경쟁과 차별화 전략을 통해 특화되었다. 발트해와 북해의 제바데오르트는 왕족과 귀족, 신흥 상층 부르주아지, 중하층 부르주아지 등 다양한 관광객을 타켓으로 하는 홍보전략과 국제성․탈경계성, 일탈성․난장성뿐만 아니라 청교도적인 경건성을 활용하였다.

      • KCI등재

        Deutsche Spuren im Dritten Sektor- Das bürgerliche Engagement des deutschen Priesters Anton Trauner in Busan nach dem Koreakrieg

        정태흥 한국독일어문학회 2020 독일어문학 Vol.89 No.-

        Auf der Suche nach deutschen Spuren in Südkoreas zweitgrößter StadtBusan stellt die vorliegende Arbeit den katholischen Priester AntonTrauner vor, der sich von 1958 an bis zu seinem Tod auf beispielloseWeise für den Wiederaufbau, das gesundheitliche Wohl, den Frieden unddie Wiedervereinigung in Korea einsetzte. Damit wird anhand desBeispiels von Pater Trauner ein ungewöhnlicher thematischer Schwerpunktgewählt, fanden doch bisher vor allem die Aktivitäten großer Non-Profit-Organisationen wie die des Deutschen Roten Kreuzes Beachtung. Dieseshatte sich nach dem Koreakrieg und dem Zustandekommen desWaffenstillstandsabkommens u. a. an dem Aufbau eines Krankenhausesin Busan sowie der Ausbildung von medizinischem Fachpersonal beteiligt. Doch die Wichtigkeit individuellen Engagements in diesem Kontext solltenicht unterschätzt werden. Dieses steht nicht nur exemplarisch dafür, dassdas Gelingen interstaatlicher Beziehungen auch vom Handeln Einzelnerabhängt. Vielmehr demonstriert es, wie privates Engagement im Bereichdes Dritten Sektors nicht nur essenzielle soziale Dienstleistungen garantieren,sondern mit ihrem Potential für gesellschaftliche Veränderungen sowieErneuerungen einen maßgeblichen Beitrag zur Entwicklung und Erhaltungeiner demokratischen Gesellschaft leisten können. Vor dem Hintergrund der Corona-Krise haben die Ausführungen besondere aktuelle Relevanz.

      • KCI등재

        냉전시기 동서독 발트해 해상경계선 연구 : 열린 바다와 닫힌 바다

        정태흥,진성 한국해양대학교 국제해양문제연구소 2020 해항도시문화교섭학 Vol.0 No.23

        190년 통독 이후 동독 독재정부의 과거청산 작업과 함께 베를린장벽과 동서독 육상경계선을 넘어 자유를 찾으려는 사람들 및 희생자들에 대한 연구는 독일 공적담론의 통합적인 주제가 되었다. 그러나 지금까지 동독인들의 발트해를 통한 월경시도와 함께 해안경계선을 지키려던 동독정부와 국경수비대의 활동에 대하여는 학계와언론의 관심이 상대적으로 부족하다. 동독의 발트해는 일반일들에게는 접근할 수 없는 닫힌 바다였으며, 정부와 국경수비대에게는 사회주의를 지켜야 하는 이념의 공간이었다. 수천여 명의 동독인들이 기발한 아이디어로 발트해를 넘어 탈동독을 시도를 하였으나 거의 대부분은 해안가에서 혹은 바다에서 국경수비대에 의하여 체포되었고 ‘공화국 배신자’들로 낙인이 찍혀서 정상적인 사회생활에서 소외되었으며 배척을 당했다. 본 연구는 발트해 연안의 동서독 경계선에 대한 양면적인 구동독정부의 정책에 의하여 해상의 보이지 않은 경계선이 어떻게 당시 동독주민들과 주변국 및 서독에 영향을 미쳤는지 살펴보았다. 냉전시기에 동독인들에게는 삶과 죽음이 집결되는 공간으로서의 발트해를 이해하기 위하여 첫째, 동-서독 분리에 대한 역사적 사건을 토대로 동독 정부의 육지와 해상경계선의 보안정책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둘째, 대외적으로는 주변 국가들에게 발트해를 ‘평화의 바다’, 그리고 ‘열린 바다’로 선전하는 동시에 내부적으로는 자국민들을 발트해로부터 철처히 격리시켰던 동독정부의 정책을 살펴보았다. 셋째, 동서독 발트해 접경지역의 상반된 경제개발 실태를 추적하였다. 마지막으로 동독의 사회주의 체제유지와 공화국탈출 Republikflucht을 방지하기위하여 투입된 국경수비대와 인민경찰, 슈타지, 그리고 주민 자원봉사자들의 활약을 분석하였다.

      • KCI등재

        Baltic Memories of East Germans: Between 1952 and 1989, during the Cold War

        정태흥,진성 한국해양대학교 국제해양문제연구소 2019 해항도시문화교섭학 Vol.0 No.20

        This article deals with the paradox function of the Baltic Sea in East Germany (DDR in the German acronym) between 1949 and 1989. The Baltic Sea, divided by the Iron Curtain with military forces stationed on either side has been a sea of conflicts and dividing lines. At the same time, it has been required to play the ‘Sea of Peace’ and ‘Sea of the public’ roles. In 1953, when the regime promoted tourism on the Baltic Sea for recovering its social - and economic situation, many of the hotels were seized by the government, taken from their private owners under the codename ‘Aktion Rose’. For being the ‘Sea of the public’, all the confiscated hotels were converted into either FDGB (Free German Trade Union Federation) or DDR regime's vacation premises. The ‘Ostseewoche Baltic Week’ between 1958 and 1975, demonstrates how the DDR regime invested considerable resources for gaining external political allowance while the population was suffering from economic and resource shortages. More than 4.6 million people moved from East Germany to West Germany (BRD in the West German acronym) after WWII in 1945 to German reunification in 1990. The DDR regime tried to halt the mass flight of its people with the barriers in Berlin, the 1400 km inner-German border and 640km sea border with barbed wire, land-mines and standing orders to shoot. Villages near the inner-German border, and sea border system, were heavily-guarded and separated from the outside world. From year to year, the border became more impassable. With tremendous effort, the DDR tried to prevent ‘Republikflucht (fleeing the republic)’. Although much attention has focused on dramatic and ingenious methods of escaping the Berlin Wall and inner-German borders, only a smallish number of attempted escapes were reported through the Baltic Sea. The Baltic Border coastline was guarded by the ‘Grenzkommando ‘Küste’’ headquartered in Rostock, as well as through civil surveillance, with the help of Stasi, local authorities and border volunteers. For nearly 40 years residents and visitors had to endure a special control system that intended to prevent escape attempts. Strict laws regulated everyday life and tourism activities at the Baltic Border. The last part of this article deals with the Baltic Sea as an invisible sea border and with people's emotional feelings about their daily lives in the Baltic Sea border villages. It remains necessary to remind ourselves of the contradictory role of the Baltic Sea on the one hand as a part of the DDR external propaganda, while on the other hand, as a place which specifically commemorates the division of Germany and its victims.

      • KCI등재

        Das Wiener Kaffeehaus: Ursprung, Geschichte, Kultur und die „glokale“ Bedeutung

        정태흥 한국독일어교육학회 2012 외국어로서의 독일어 Vol.31 No.-

        비엔나의 커피하우스 문화는 삼백여 년 전에 터키군대의 두 번째 점령 이후부터 시작되어서 “비엔나” 하면 Kaffeehaus를 떠올릴 정도로 도시 비엔나를 나타내는 사회문화적, 역사적, 지역적인 특색이 되었다. 커피하우스는 비엔나를 찾는 관광객들의 필수코스이고, 동시에 비엔나주민의 일상생활의 필수구성요소이기도 하다. 한 때 낡고 오래된 이미지 때문에 외면받기도 했던 커피하우스는 현재 그 특성을 시대에 맞게 잘 변화 시켜서 비엔나를 상징하는 역사적, 문화적인 아이콘이 되어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됨과 동시에 글로컬리제이션 (Glokalisierung)의 일환으로 외국에 까지 그 문화를 확장시키고 있다. 본 논문은 비엔나의 커피하우스의 기원부터 역사적으로 고찰하면서 그 사회문화적인 기능과 역할을 상세히 알아보았다. 이어서 커피하우스에 관한 경험연구를 위하여 질적인 연구방법에 의거해서 커피하우스를 직접 방문하고 커피하우스의 소유주를 인터뷰하여 연구자료를 수집하였고 이에 대한 일부를 분석하였다. 이 장은 지역정보 전달의 의미가 있는 장으로서, 커피하우스에는 어떤 커피를 누구에 의해서 어떻게 서빙이 되는지, 어떤 서비스 등이 있는지 등을 상세히 분석, 서술하였다. 마지막으로 비엔나 커피하우스에 대한 글로컬리제이션의 사례로서 함부르크와 평양의 비엔나 커피하우스의 공간과, 분위기, 사회적 기능, 문화적인 요소를 분석 및 소개하였다. 본 논문은 독일어 교육을 위한 오스트리아 지역정보에 관한 논문이자, 동시에 유럽의 글로컬리제이션의 사례를 소개함으로써 우리나라의 문화를 외국으로 수출할 때의 사례로 삼을 수 있는 자료로 기여한다.

      • KCI등재

        발트해를 통한 동독의 대외정책 : 1954/55-1972년을 중심으로

        정태흥(Chung, Tae-Hung) 한국해양대학교 국제해양문제연구소 2021 해항도시문화교섭학 Vol.- No.24

        1949년 동서독 분단국가의 설립 이후 1955년 주권을 인정받은 서독에 반해 동독은 1972년까지 서방국가들의 비승인정책으로 인하여 소수의 사회주의 동맹 국가를 제외한 나머지 다른 국가들과는 공식적인 외교 관계를 맺을 수 없었다. 동독은 1955년부터 발트해 주변 국가를 향하여 발트해를 군사력으로 위협하는 서독을 알리는 동시에 ‘발트해 평화공존’이란 대외정책을 선포하였는데, 여기서 주목할 만한 점은 발트해 정체성에 대한 어필이었다. 본 논문은 동독이 분단정책을 추구하면서 독립적인 사회주의 주권국가로 인정받기 위하여 발트해 주변 국가들을 향하여 펼친 (주권) 승인정책을 분석하였다. 동독의 발트해를 통한 대외정책을 통하여 다음과 같은 문제에 대한 해답을 찾아보았다. 첫째, 1949년 분단된 서독과 동독은 어떠한 합법성을 바탕으로 단독대표권을 주장하였나? 둘째, 냉전시기 동서독의 갈등을 극대화 시켰던 발트해의 상황은 어떠하였나? 셋째, 동독의 발트해 지역 해양산업과 경제개발 실태는 어떠하였나? 끝으로 동독이 1958년부터 1975년까지 주관한 발트해 주간은 동독이 1972년 주권을 인정받는데 과연 효과적이었나? 1958년부터 1975년까지 로스토크에서 개최된 발트해 주간이 실제로 동독의 주권승인을 위한 결정적 역할을 하였다고 단정적으로 규명할 수는 없다. ‘발트해는 평화의 바다가 되어야 한다’라는 슬로건을 앞세운 발트해 주간은 ‘주권승인’이란 목표가 달성되는 순간 언제든지 중단될 수 있는 정치적 수단, 즉 또 하나의 발트해 실험 Ostsee-Experiment으로 밖에 보이지 않기 때문이다. 그러나 확실한 것은 동독이 1955년부터 실행한 발트해 평화적 공존 정책은 발트해 주간을 통하여 사회주의 이념을 위한 투쟁에서 정치, 경제, 기술, 문화 분야로 발전한 것이다. 발트해 주변 국가를 향한 동독의 대외정책은 시간이 흐를수록 서독의 특별한 관심을 얻었으며 서독정부가 이것을 정치적-문화적 도전으로 받아드리는 충분한 계기가 되었다. After World War II, the conflict between the Soviet Union and the Western Alliances resulted in the division of Germany in 1949 into West and East Germany. While West Germany was granted sovereignty through the Paris Agreement on 5 May 1955, East Germany was unable to establish any diplomatic relations with other countries except of it’s socialistic alliance until 1972. Between 1954 and 1972, East Germany tried to perform a variety of foreign policies with the Baltic states, in order to gain recognition from the international society. Through East Germany"s foreign policy toward the Baltic Region, the author is going to find answers to the following questions. - First, under which legitimacy did West and East Germany claim the sole exclusive authority? - Second, what was the situation at the Baltic Sea that maximized the conflict between East and West Germany during the Cold War? - Third, how was the maritime industry and economic development in the Baltic Sea region of East Germany and finally, was the Baltic Week from 1958 to 1975 organized effectively by East Germany in recognition of its sovereignty in 1972? To find answers to these questions, this paper focused on the conflictual and peaceful coexistence strategy at the Baltic Sea strongly pursued by the East German government from 1954 until 1972.

      • KCI등재

        Baltic Memories of East Germans

        Chung, Tae-Hung(정태흥),Chung, Chin-Sung(진성) 한국해양대학교 국제해양문제연구소 2019 해항도시문화교섭학 Vol.0 No.20

        냉전 시 서독인들로부터 까마득히 잊혀져간 발트해는 왜 아직도 동독인들에게는 청산되지 않은 동독 정부의 만행거리, 주민들의 슬픈 추억거리로 종종 화두로 떠오르나? 동독 정부의 격리체제는 발트해와 그 접경지역의 주민들에게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가? 동독인들은 냉전시대의 분리된 발트해를 어떻게 회상하고 있는가? 이러한 질문에 답하기 위해 본 연구는 주로 네 가지 주제에 천착했다. 첫째, 1952년부터 1989년까지 동독 정부가 내부적으로는 사회주의 이념강화, 그리고 외부적으로는 독립적인 신생국가로 인정받기 위해 “발트해”란 단어를 어떻게 포장하여 사용했는지 살펴보았다. 둘째, 1952년 동독 발트해에서 일어난 ‘장미활동Aktion Rose’을 통해 동독정부가 수 세기 동안 독일인들과 북유럽인들의 고급 휴향지인 발트해 주변을 어떻게 강제적으로 공영화 했는지 추적했다. 셋째, 1958년부터 1972년까지 로스토크에서 해마다 개최된 ‘발트해 주간 Ostseewoche’은 동독이 외교적으로 입지를 굳히는데 큰 역할을 했는데, ‘발트해 주간’ 행사를 위해 투입된 로스토크Rostock와 퀴흘룽스보른Kühlungsborn의 상황을 바탕으로 동독의 외교적 취지와 상반된 내부적인 갈등을 분석했다. 마지막으로 1961년 설치된 베를린 장벽을 전환점으로 육지경계선과 겹겹이 봉쇄된 발트해 접경지역을 지켰던 ‘국경수비대 해안’의 역할과 영역을 분석했다. 아울러 봉쇄되고 겹겹이 외부로부터 차단된 발트해 접경지역의 주민들은 과연 어떠한 삶을 살았는지, 그들에게는 발트해가 어떠한 기억으로 남아있는지를 인터뷰, 기록영화 그리고 언론자료들을 통해 살펴보았다. This article deals with the paradox function of the Baltic Sea in East Germany (DDR in the German acronym) between 1949 and 1989. The Baltic Sea, divided by the Iron Curtain with military forces stationed on either side has been a sea of conflicts and dividing lines. At the same time, it has been required to play the ‘Sea of Peace’ and ‘Sea of the public’ roles. In 1953, when the regime promoted tourism on the Baltic Sea for recovering its social - and economic situation, many of the hotels were seized by the government, taken from their private owners under the codename ‘Aktion Rose’. For being the ‘Sea of the public’, all the confiscated hotels were converted into either FDGB (Free German Trade Union Federation) or DDR regime"s vacation premises. The ‘Ostseewoche Baltic Week’ between 1958 and 1975, demonstrates how the DDR regime invested considerable resources for gaining external political allowance while the population was suffering from economic and resource shortages. More than 4.6 million people moved from East Germany to West Germany (BRD in the West German acronym) after WWII in 1945 to German reunification in 1990. The DDR regime tried to halt the mass flight of its people with the barriers in Berlin, the 1400 km inner-German border and 640km sea border with barbed wire, land-mines and standing orders to shoot. Villages near the inner-German border, and sea border system, were heavily-guarded and separated from the outside world. From year to year, the border became more impassable. With tremendous effort, the DDR tried to prevent ‘Republikflucht (fleeing the republic)’. Although much attention has focused on dramatic and ingenious methods of escaping the Berlin Wall and inner-German borders, only a smallish number of attempted escapes were reported through the Baltic Sea. The Baltic Border coastline was guarded by the ‘Grenzkommando ‘Küste’’ headquartered in Rostock, as well as through civil surveillance, with the help of Stasi, local authorities and border volunteers. For nearly 40 years residents and visitors had to endure a special control system that intended to prevent escape attempts. Strict laws regulated everyday life and tourism activities at the Baltic Border. The last part of this article deals with the Baltic Sea as an invisible sea border and with people"s emotional feelings about their daily lives in the Baltic Sea border villages. It remains necessary to remind ourselves of the contradictory role of the Baltic Sea on the one hand as a part of the DDR external propaganda, while on the other hand, as a place which specifically commemorates the division of Germany and its victim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