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포스트휴먼 법담론: 탈근대적 인간의 법적 수용을 위한 시론적 연구

        정채연 ( Jung Cheayun ) 안암법학회 2017 안암 법학 Vol.0 No.54

        인공지능을 비롯해 4차 산업혁명을 이끄는 과학기술의 발전으로 인한 법제도적 차원의 변화는 근대법체계의 토대에서부터 이루어지게 될 것으로 전망된다. 이러한 근본적인 변화는 특히 기존의 인간 중심적인 법체계를 넘어서는 새로운 가능성에 대한 검토를 요청한다. 다시 말해, 인공지능 법담론은 지능정보사회에서 인간중심주의를 넘어서는 가치 및 현상을 어떻게 법적으로 수용할 것인지를 주된 쟁점으로 다루고 있다는 점에서, 보다 근본적인 차원에서는 포스트휴먼 법담론과 접점을 이루고 있다고 할 수 있겠다. 포스트휴먼 담론에서는 인간의 범위 혹은 범주, 인간 본성에 대한 새로운 이해, 그리고 인간과 비인간의 경계 희석 등, 종래 인간 개념에 대한 해체적 재구성이 시도되고 있다. 포스트휴먼의 출현은 인간의 개념적스펙트럼이 인간의 속성을 가진 모든 존재로 확장되도록 이끌면서, 근대적 의미의 인간학 및 휴머니즘에 대한 대안적 분석을 요청한다. 본 논문은 먼저 포스트휴먼 시대에서 탈근대적 의미의 법적 주체 및 주체성을 다음과 같은 세 가지 지층으로 나누어 검토한다: i) 인간향상과 트랜스휴먼; ii) 인간의 다-모드적 주체성; iii) 지능로봇과 같은 독립적인 새로운 주체의 출현(II). 다음으로 포스트휴먼 법담론이 가져오는 유의미한 성찰점에 대해, i) 인간 실체에 대한 근대적 이해의 해체; ii) 인간과 비인간의 경계 희석; iii) 인간과 비인간과의 상호성과 포스트모던 권리론의 가능성을 중심으로 고찰해본다(III). 마지막으로 포스트휴먼이 다분히 역사적 개념임을 인식하고, 휴머니티 개념이 확장되는 긍정의 계기로서 포스트휴먼 담론을 평가할 수 있음을 제안하면서 논의를 마친다(IV). The changes in modern legal system, led by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re expected to be fundamental and foundational. These fundamental changes call for a review of new possibilities to go beyond the existing human-centered legal system. The posthuman discourse attempts to reconstruct and deconstruct the traditional concept and modern understanding of `human-being,` including the scope of human beings, the essence of human nature, and the boundaries between human and non-human. The advent of posthuman requests an alternative analysis of humanity in modern sense, expanding the conceptual spectrum of human-being to include all beings which have human attributes. This paper first examines the legal subjects and subjectivities in the posthuman era in three categories: i) human enhancement and transhuman; ii) the multi-modal subjectivities of human-being; and iii) new independent subjects and entities such as intelligent robots. Furthermore, the paper deals with some significant implications of posthuman legal discourse, focused on several issues, including i) the deconstruction of modern understanding of human nature; ii) the dilution of human-nonhuman boundaries; and iii) the notion of reciprocity in postmodern rights discourse. Lastly, as a closing remark, I suggest that the concept of posthuman is fairly historical and that the posthuman discourse is possibly a positive driving force to expand the notion of humanity.

      • 커뮤니케이션학에 기초한 바람직한 법정 소통 방안에 관한 연구

        정채연 ( Jung Cheayun ),양시훈,최은 사법정책연구원 2015 연구보고서 Vol.2015 No.0

        Based on interdisciplinary research with communication studies, this research analyses courtroom communication, establishes a desirable model of courtroom communication, and devises concrete policies to vitalize communication in the courtroom. First, as a theoretical foundation, this research examines major theories, techniques and strategies of communication, and analyses several types of the communication situation. Furthermore, this research provides plural elements and characteristics of courtroom communication, and suggests the intersubjective courtroom communication model, which considers both persuasive communication and empathic communication simultaneously. Moreover, this research grasps major problems in the existing courtroom communication, develops the goals and techniques of courtroom communication, and summarizes several issues and considerations in each type of trial, including a civil trial, mediation, criminal trial, and citizen participation in criminal trials. In conclusion, this research suggests the proper ways to utilize the established courtroom communication model.

      • 커뮤니케이션학에 기초한 바람직한 법정 소통 방안에 관한 연구

        정채연(JUNG, CheaYun) 사법정책연구원 2015 사법정책연구원 연구총서 Vol.2015 No.-

        본 연구는 커뮤니케이션학과의 학제 간 연구를 수행하여, 커뮤니케이션학의 이론적 토대를 바탕으로 법정 커뮤니케이션에 대한 체계적인 분석을 시도하고, 이러한 분석의 실천적 활용을 위해 바람직한 법정 커뮤니케이션 모델을 정립하며, 법관의 올바른 법정 언행 확립과 법정 소통의 활성화를 위한 구체적인 정책 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삼는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먼저 커뮤니케이션학의 주요 이론과 대표적인 커뮤니케이션 기법 및 전략을 검토하고, 이들이 구체적으로 활용된 다양한 커뮤니케이션 상황을 유형별로 비교분석하여, 법정 커뮤니케이션 모델 정립을 위한 이론적 기초를 마련하도록 한다. 또한, 법정 커뮤니케이션의 다원적 요소와 특성을 고려하여, 특히 법정의 설득 및 공감 커뮤니케이션을 활성화하기 위한, 상호주관적인 법정 커뮤니케이션 모델로의 방향성을 제시하도록 한다. 다음으로 법정 커뮤니케이션의 문제점을 검토·분석하고, 기존에 사법부에서 제시된 바 있었던 AFIR 모델을 토대로 법정 커뮤니케이션 모델의 발전적 정립을 시도하도록 한다. 나아가 법정 커뮤니케이션의 기본 모델을 바탕으로 민사재판, 민사조정, 형사재판, 국민참 여재판과 같은 구체적인 재판 유형별 쟁점 및 고려사항을 정리하도록 한다. 결론에 갈음하여, 본 연구에서 정립된 법정 커뮤니케이션 모델의 활용과 바람직한 법정 커뮤니케이션 문화의 확립을 위한 구체적인 정책 방안을 제안함으로써 논의를 마무리하고자 한다. Based on interdisciplinary research with communication studies, this research analyses courtroom communication, establishes a desirable model of courtroom communication, and devises concrete policies to vitalize communication in the courtroom. First, as a theoretical foundation, this research examines major theories, techniques and strategies of communication, and analyses several types of the communication situation. Furthermore, this research provides plural elements and characteristics of courtroom com-munication, and suggests the intersubjective courtroom communication model, which con-siders both persuasive communication and empathic communication simultaneously. Moreover, this research grasps major problems in the existing courtroom communication, develops the goals and techniques of courtroom communication, and summarizes several is-sues and considerations in each type of trial, including a civil trial, mediation, criminal tri-al, and citizen participation in criminal trials. In conclusion, this research suggests the proper ways to utilize the established courtroom communication model.

      • 사법절차 및 사법서비스에서 인공지능 기술의 도입 및 수용을 위한 정책 연구

        정채연 ( Jung Cheayun ) 사법정책연구원 2021 연구보고서 Vol.2021 No.10

        지능정보사회에서 인공지능 기술이 다방면으로 상용화됨에 따라, 사법절차 및 사법서비스 분야에서 인공지능의 활용 가능성 역시 본격적인 논의의 대상이 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사법절차에서 인공지능의 도입 필요성 및 수용 가능성이 높은 분야를 확인하고, 이를 위한 사전적 전제조건 및 고려사항을 탐구하였다. 먼저 해외 각국의 사법부에서 진행되고 있는 인공지능을 비롯한 지능정보기술의 활용 현황을 검토하여, 우리 사법부에서 향후 추진할 수 있는 정책 방향성을 설정하기 위한 성찰점을 얻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사법의 지능정보화 및 디지털화를 선도적으로 추진하고 있는 중국, 싱가포르, 미국, 호주, 영국, 프랑스, 오스트리아, 네덜란드, 에스토니아, 라트비아의 정책 현황을 정리하였다. 다음으로 사법부에서 인공지능 기술을 활용하기 위해 사전적 단계에서 고려되어야 할 기본 전제들을 살펴보았다. 구체적으로 인공지능의 자동화된 판단에 기초한 예측적 사법과 인간 법관의 의사결정 간의 역할 및 관계 설정에 대해 검토하고, 사법 분야에서 인공지능 기술을 활용하는 데 있어서 핵심적인 윤리적 쟁점들을 제시하면서 향후 참고할 수 있는 대표적인 윤리헌장 및 지침들을 정리하였다. 나아가 사법의 지능정보화를 위한 인공지능 기술의 활용 영역 및 분야를 점검하기 위해, 사법의 디지털화 및 지능형 사법체계의 구축 필요성과 더불어 민사절차 및 형사절차에서 인공지능의 활용 가능성과 이론적·실천적 고려사항에 대해 고찰하였다. 구체적으로 민사절차에서 인공지능 기술의 도입을 위한 정당성 기반으로서 사법접근권을 논의한 후, 나홀로 소송 및 온라인 분쟁해결절차의 맥락에서 그 활용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그리고 형사절차에서는 양형판단 등 인공지능 기술의 활용 가능 범위를 모색하면서, 이와 동시에 필수적으로 전제되어야 할 법치국가 원칙을 조명하는 데 집중하였다. As artificial intelligence (AI) technology is commercialized in various fields in the intelligent information society, the possibility of using AI in judicial procedures and services is also being discussed in earnest. Accordingly, this study explored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considerations for the introduction and acceptance of AI in judicial procedures. First, this report discussed the current status of the use of AI technology in judicial procedures of several countries, including China, Singapore, the United States, Australia, the United Kingdom, France, Austria, the Netherlands, Estonia, and Latvia, which are leading the intelligent informatization and digitalization of the judicial branch. Next, the report examined the basic premises that should be considered in order to utilize AI technology in the judiciary and to devise the appropriate judicial policy. Specifically, it reviewed the relationship between predictive justice based on AI’s automated judgement and the judicial decision-making of human judges, suggested the key ethical issues in the use of AI in the judicial field, and summarized the ethical charters and guidelines for future reference. Furthermore, the report suggested the probable areas and fields where AI technology is applicable in the judicial system. In civil proceedings, the access to justice is the major consideration, and self-representative lawsuits and ODR procedures are the areas with high potential for the use of AI. In criminal proceedings, the application of AI in the fields of sentencing and bail is being considered, and the principle of rule of law should be rigorously upheld.

      • KCI등재

        유럽사회의 정치적 통합에서 유럽헌법의 의미

        정채연(Jung, Cheayun) 성균관대학교 법학연구소 2014 성균관법학 Vol.26 No.2

        In our contemporary society, globalization and multiculturalism lead to create new forms of political community beyond the nation-states with homogenous identity. The European Union(EU) is the best known example of this transnational political community. Habermas understands the political integration of European society as a significant milestone for the shift "from classical international law to cosmopolitan order." This paper examines Habermas's understandings of European integration and the European Constitution from his cosmopolitan perspectives. Habermas begins his discussion about Europen political integration with his careful analysis of challenges that European nation-states are facing internally and externally in the globalized and transnational era. To overcome those challenges, Habermas requests that European integration should move forward from economic(monetary) union to political union. He points out that the European constitution is essential for this normative goal. The notion of 'constitutional patriotism,' which means a commitment or loyalty to common European political culture, provides a theoretical foundation in this constitutional framework. He further argues that European identity is rooted in the particular historical experience and its 'reflexive' nature, and that European civic solidarity and European public sphere evolve through the 'learning process.' Furthermore, he suggests that the 'Core Europe' such as Germany and France should take a leading role in the process of European integration. Then this paper provides several problems and future tasks in Habermas's discussion on European political integration and the European constitution, and suggests the possibilities of Northeast Asian political integration as 'another' version of postnational political commun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