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전 제왕절개 부위 두께의 경질초음파 평가

        조주연(Joo Yun Cho),이유미(You Me Lee),김인현(In Hyun Kim),정창조(Chang Jo Chung),장성운(Sung Woon Chang) 대한산부인과학회 1999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2 No.10

        목적: 전 제왕절개 산모에서 임신 36주 이후 경질초음파로 잰 자궁 앞쪽 하절부 두께와 제왕절개 시 직접 잰 두께 차이를 평가하려고 하였다. 연구 방법: 160예의 산모에서 임신 36주 이후 경질초음파로 자궁 앞쪽 하절부 근육층 두께를 재고(초음파 두께) 진통을 하지 않은 상태로 반복 제왕절개 시 제왕절개부위 자궁 근육층 두께를 두께 측정 기구로 재서(수술 두께) 비교하였다. 경질초음파로 잘 보이는 자궁하절부 부분이 자궁경부 위로부터 4cm 이상인 군(1군)과 4cm 미만인 군(2군)으로 구별하여 비교하였다. 결과: 초음파로 잰 자궁 앞쪽 하절부의 평균 두께는 1.7 0.8 mm, 반복제왕절개 시 잰 자궁의 평균 두께는 1.9 0.8 mm였다. 초음파 두께와 수술 두께의 차이(두께 차이)는 전체적으로 0.5 0.5 mm였는데 31.3%는 차이가 없었으며 0.1-0.5 mm가 39.4%, 0.6-1.0 mm가 21.9%, 1.1-1.9 mm가 4.4%, 2.0-2.5 mm가 3.1%였다. 평균 두께 차이를 보면 초음파 두께 2.0 mm 이상일 때가 0.4 0.5 mm로 초음파 두께 1.0 mm 이하일 때인 0.6 0.6 mm보다 적었고 1군은 0.4 0.4 mm로 2군 0.9 0.6 mm보다 적었다. 결론: 두께 차이는 0.5 0.5 mm였으며 초음파로 두께가 2mm 이상일 때는 1.0 mm 이하일 때보다, 자궁 하절부가 자궁 경부로부터 4cm 이상 잘 보이면 그렇지 않을 때보다 작았다. Objectives: Estimation of the anterior lower uterine segment (LUS) thickness difference who underwent prior cesarean delivery measured with transvaginal sonography at or after 36 gestational weeks (sonographic thickness) and a ruler during elective cesarean section (operation thickness) Methods: One hundred sixty women who underwent prior cesarean delivery had the thickness of their LUS measured with transvaginal sonography at or after 36 gestational weeks. The LUS thickness was measured with a ruler during elective cesarean section. We compared group I whose LUS was fairly well visualized 4 cm or more from the uterine cervix to group II which had less than 4 cm. Results: The mean sonographic thickness of LUS was 1.7 0.8 mm and that of operation thickness was 1.9 0.5 mm. The mean difference of the two (thickness difference) was 0.5 0.5 mm. In 31.3% the sonographic thickness was same as the operation thickness and in 70.7% of the total with 0.5 mm or less difference, the sonographic thickness could be regarded as accurate. The thickness difference with the sonographic thickness with 2 mm or more was smaller than those with 1 mm or less (0.4 0.5; 0.6 0.6) and that of group I was smaller than that of group II (0.4 0.4; 0.9 0.6) (P < .05). Conclusion: The thickness difference was 0.5 0.5 mm and it was smaller when the LUS thickness is 2 mm or over, clearly visible 4 cm or over from the cervix.

      • KCI등재

        질식 분만 중 발생한 치골 결합 분리 3예

        김수진 ( Su Jin Kim ),전혜선 ( Hye Sun Jun ),정창조 ( Chang Jo Chung ),박상원 ( Sang Won Park ),강진희 ( Jin Hee Kang ) 대한주산의학회 2007 Perinatology Vol.18 No.1

        질식 분만 중 발생하는 치골 결합 분리는 보고자마다 다르기는 하지만, 1/521에서 1/3,000의 빈도를 가지는 매우 드문 합병증이다. 증상은 치골 결합부의 갑작스런 통증, 부종, 압통 및 보행 장애를 호소한다. 진단은 임상 증상에 근거하여 추정하고, Pelvis AP 등의 방사선 사진 촬영으로 확진한다. 치골결합 분리는 보존적 치료 후 완전히 회복되며 예후는 매우 양호하다. 이에 본 저자들은 초산모의 질식 분만 중 발생한 치골 결합 분리의 3예를 경험하였기에 이를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Spontaneous separation of symphysis pubis during vaginal delivery is reported to be a rare complication with the incidence ranging from 1:521 to 1:30,000 deliveries. This injury is associated with sharp pain, swelling, tenderness over the symphysis pubis, and difficult in walking. Diagnosis of spontaneous separation of the symphysis is mostly based on clinical findings and confirmed radiographically. Complete recovery might be achieved after conservative treatment and the prognosis is excellent. We have experienced three cases of separation of the symphysisis during vaginal delivery, so we present these cases with a brief review of the literature.

      • KCI등재

        증례 : 양수검사에서 AFP, AchE가 양성이였으나 정밀 초음파 추적검사 후 정상아를 분만한 1예

        박혜리 ( Hye Ri Park ),전혜선 ( Hye Sun Jun ),차동현 ( Dong Hyun Cha ),박상원 ( Sang Won Park ),정창조 ( Chang Jo Chung ) 대한주산의학회 2006 大韓周産醫學會雜誌 Vol.17 No.4

        신경관 결손증은 전세계적으로 약 1,000명당 1.4~2명의 발생빈도를 보이는 중요한 선천성 기형 중 하나로 알려져 있다. 선별검사(screening test)로서 모체혈청 AFP이 일반적으로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는 다태 임신, 태아 사망, 잘못 계산 된 임신주수, 낭성 임파관종, 기형종, 신장 이상, 식도 폐쇄증, 태반 이상 등 여러가지 경우에서 나타날 수 있으므로 일단 모체 혈청의 AFP이 증가되었다면 일단 임신주수, 태아의 생존여부, 태아의 수 등을 확신하기 위해서 우선 정밀 초음파 검사를 해야 하고, 이러한 경우를 제외한 후에 신경관 결손증이 의심되거나 확실하지 않은 경우 양수 내 AFP와 AchE를 측정한다. 그러나 양수 내 AFP은 위양성율이 높고, 이를 보완하기 위한 양수 내 AchE도 0.3%정도로 위양성율이 존재하므로 이때 정밀초음파에서 이상 소견 보이지 않을 때 과거력이나 유전력 등의 세밀한 상담 후 정기적인 정밀초음파 검사로 추적검사를 시행하면서 임신을 유지할 수 있다. 이에 본 저자는 임신 17주에 시행한 모체 혈청 AFP이 양성이 나와 시행한 양수 AFP, AchE이 양성이 나왔으나 시행한 정밀 초음파상 신경관, 복벽, 기타장기 내 기형 소견 보이지 않아, 가족력이나 과거력, 세밀한 유전력 상담 후 정기적인 정밀 초음파로 추적 검사하여 정상아를 분만한 한 1예를 보고 하는 바이다. Neural tube defects are reported one of the important congenital malformation in the world, with an incidence of 1.4 to 2 per 1000 pregnancies. Maternal serum AFP at the second trimester is used as screening test. But this is associated with numerous causes, including twins, fetal death, misdated pregnancies, cystic hygromas, teratomas, renal abnormalities, esophageal atresia and aberrations in the placenta. If the AFP level was elevated, targeted ultrasonography should be evaluated for confirming the gestational age and fetal viability, fetal number. Then if the ultrasonographic examination is nondiagnostic, or if an NTD is suspected, amniotic fluid AFP should be measured with acetylcholinesterase. But the false positive rate of the AF-AFP is high, and there is 0.3% of the false positive rate in amniotic acetylcholinesterase. This time the women with normal ultrasonographic examination continue the pregnancy after counseling of family history, past history with follow up of ultrasonography. We report a case with elevated second trimester MS-AFP, AF-AFP and positive amniotic acetylcholinesterase, but in which repeated sonographic findings were normal and result in delivery of a healthy baby without anomalies.

      • KCI등재
      • KCI등재

        산전 진단된 Klippel-Trenaunay-Weber 증후군

        권소영 ( So Young Kwon ),김윤아 ( Yun Ah Kim ),이종원 ( Jong Won Lee ),김수진 ( Su Jin Kim ),이경진 ( Kyoung Jin Lee ),박지현 ( Ji Hyeun Park ),정창조 ( Chang Jo Chung ) 대한주산의학회 2003 Perinatology Vol.14 No.4

        Klippel-Trenaunay-Weber 증후군은 혈관종 편측 사지의 비후 및 동정맥 기형을 특징으로 하는 매우 드문 질환이다. 현재까지 알려진 정확한 유전 양식과 병인은 없다. 임상 양상 및 예후는 혈관종의 위치, 크기, 발현 시기에 따라 다르다. 산전 진단된 증례들은 빠른 진행을 보이거나 혈관종 내의 소모성 응고장애, 고박출성 심부전 등의 불량한 예후를 보인다. 산전 진단된 중증의 경우에는 임신 종결을 권장할수 있다. 신생아 치료는 비수술적 요법이 원칙이나 일부에서는 수술적 치료의 도움을 받을 수 있다. 최근 들어 초음파의 발달과 함께 산전에 조기 진단이 가능하게 되었다. 본원에서는 임신 제 2기에 산전 초음파 검사로 진단된 Klippel-Trenaunay-Weber 증후군을 진단하여 임신 종결하였기에 산전 초음파 소견에 대한 간단한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Klippel-Trenaunay-Weber syndrome is a rare sporadically occurring congenital soft tissue anomaly characterized by cutaneous hemangiomata, hemihypertrophy and occasionally arteriovenous malformations(AVMs). No definite genetic defect has been identified. The appearance is a soft tissue mass of an extremity, usually affecting the adjacent trunk, hydrops fetalis, ascites, abdominal hemangiomatous masses, and hepatomegaly. When diagnosed prenatally, the disorder may be severe. Thrombocytopenia due to platelet consumption within the hemangioma and high output cardiac failure may complicate the outcome. Termination of pregnancy can be offered in severe forms, otherwise no alteration of management in expected. The management of newborns is primarily nonoperative, but some may benefit from surgical intervention. We report a case of Klippel-Trenaunay-Weber syndrome diagnosed prenatally by ultrasonogram in the second trimester and subsequently was terminated, with a brief review of literature.

      • KCI등재
      • KCI등재

        35세 이상 고령 산모의 산과적 예후

        박희진 ( Hee Jin Park ),이숙환 ( Sook Hwan Lee ),차동현 ( Dong Hyun Cha ),김인현 ( In Hyun Kim ),전혜선 ( Hye Sun Jun ),이경진 ( Kyoung Jin Lee ),송송아 ( Song Ah Song ),박혜리 ( Hey Ri Park ),정창조 ( Chang Jo Chung ),이정노 ( Ch 대한산부인과학회 2006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9 No.10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35세 이상이 고령 임신에서의 산과적 예후를 평가하기 위한 것이다. 연구 방법: 차병원에서 2004년 1월부터 2004년 12월까지 산전 진찰을 받고 분만한 산모를 대상으로 의무기록을 분석하는 후향적 연구를 시행하였다. 환자들은 산모의 나이에 따라 1) 35세 미만 2) 35-39세 3) 40세 이상으로 나누었고, 산모의 임신으로 인한 합병증 발생에 나이가 미치는 영향을 분석할 때는 35세 미만의 산모군을 대조군으로 하였으며 과거 임신력, 체지방 지수 (body mass index), 과거 내과적 병력, 임신 방법 등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다양한 요인에 대하여 나이군 별로 분산 분석을 이용하여 비교하였다. 산과적 합병증의 발생 위험 비교는 카이제곱 검정법 (chi-square test)을 이용하였고 합병증의 비차비 (odds ratio)를 구하였다. 결과: 총 2646명의 산모 데이터를 분석하였고 35세 미만이 2,245명 (84.9%), 35세 이상-39세 이하가 350명 (13.2%), 40세 이상의 산모는 51명 (1.9%) 이었다. 태아의 염색체 이상은 35세 이상의 산모에서 의미 있게 증가하였다 (OR 3.9; 35-39세, 8.8; 40세 이상). 자간전증 (preeclampsia)과 임신성 당뇨의 발생은 산모군간 차이가 없었다 (OR 1.2; 35-39세, 1.3; 40세 이상). 전치 태반 (OR 1.8)과 선천성 기형 (OR 2.8)은 35-39세 산모군에서만 다소 증가되었다. 태반 조기 박리 (placenta abruption)의 발생은 차이가 없었다. 조기 양막 파수 (preterm premature rupture of membranes: PPROM)는 나이가 증가할수록 위험도가 증가하였고 (OR 1.3; 35-39세, 3.2; 40세 이상: p=0.041), 조기 분만 (preterm delivery)도 증가하였으나 (OR 1.3;35-39세, 1.9; 40세 이상) 통계적으로 유의성은 없었다 (p=0.121). 저체중아 (low birth weight)와 거대아 (macrosomia)의 출산은 산모군 별로 통계적 의의가 없었으며 (p=0.899), 제왕 절개의 빈도는 산모의 나이가 증가함에 따라 현저하게 증가하였다 (OR 2.0; 35-39세, 5.5; 40세 이상). 신생아 중환자실 입원력은 산모군간 차이가 없었으며 (OR 0.9; 35-39세, 1.1; 40세 이상), 주산기 태아 사망은 35세 이상 산모군에서만 다소 증가하였으나 (OR 1.4) 통계적 의의는 없었다 (p=0.807). 결론: 결론적으로 산과적 합병증 중 태아의 염색체 이상과 제왕 절개 빈도, 조기 양막 파수의 위험도는 나이에 따라 증가하지만, 다른 산과적 합병증에 고령 임신이 미치는 영향은 크지 않다고 볼 수 있다. Objective: To estimate the effect of maternal age on obstetric outcomes, a retrospective analysis was done. Methods: Twenty six hundred and forty six women who delivered a singleton baby at our hospital from January 1, to December 31, 2004 were enrolled in this study. Subjects were divided into 3 age groups; 1) less than 35 years, 2) 35-39 years, and 3) 40 years and older. Chi-square test was used to assess the effect of age on obstetrics outcome. Then the odds ratio was calculated to represent clinically meaningful risk. Results: A total of 2646 women with complete data were available; 2245 (84.9%) less than 35 years of age; 350 (13.2%) 35-39 years; and 51 (1.9%) 40 years and older. Increasing age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chromosomal abnormalities (OR 3.9and 8.8 for ages 35-39 years and age 40 years and older, respectively), Preterm premature rupture of membranes (OR 1.3 and 3.2) and cesarean delivery (OR 2.0 and 5.5). Patients aged 35-39 years were at increased risk for placenta previa (OR 1.8) and congenital anomaly (OR 2.8) but these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rate of the preterm delivery was increased by age (OR 1.3 and 1.9 for ages 35-39 years and age 40 years and older, respectively) but it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p=0.121). We did not find advanced maternal age to be associated with a statistically increased risk for preeclampsia, congenital anomaly, gestational diabetes, placenta abruption, low birth weight, macrosomia, neonatal morbidity (NICU admission), and perinatal loss. Conclusion: In conclusion, although the likelihood of adverse outcomes increases with maternal age, patients and obstetric care providers can be reassured that overall maternal and fetal outcomes are favorable in this patient population.

      • Inclined Pinpoint Quadart Method에 依한 濟州牧野地 植生 調査

        鄭昌朝 제주대학교 1969 논문집 Vol.1 No.-

        Botanical composition of Che-ju pasture was surveyed on the 10th of Aug., 1968- 30th Aug., 1968, in 13 major parts of the range. A number of inclined point analysis were made by taking 500 point samples at random over 100ha of each pasture, using the point quadart method. Botanical composition of natural pasture was much simpler than on the main land. Herbage species in natural grass land was 68 (Grasses 10, Legum 11. other 47), but the predominant species were 37 species: Gresses 6, Legum 5, other 26 species. Pasture showed limited seasonal variation in the species of grass during the grazing period. Cover degree of pasture in August was 92.3% A, V, that was decreased gradually to the end of the grazing period. Cover degree of pasture was influenced by factors of burning and overgrazing. Cover degree of the burned and over grazed area was less than unburning pasture. Percentage composition of natural grassland was in the following order : Imperata, Zoysia, pteridum aguilium, Cymbopogen and Centella asiatica. Legum percent was much smaller than grasses and others.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percentage composition of Che-ju pasture was 60% of grasses, 4% of legum and 56% of oth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