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Two Kinds of Metaphor: Rebutting Camp (2006)

        Jung, Jimoon(정지문) 서울대학교 철학사상연구소 2013 철학사상 Vol.49 No.-

        이 논문의 전반부에서 필자는 은유 일반은 아니지만 몇몇의 은유는(문장 발화의) ‘말해진 것’에 기여한다는 ‘약한’ 맥락주의 논제를 옹호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는 어떤 내용이 ‘말해진 것’에 속하는지 아닌지를 판단할 수 있는 소위 ‘내포 측정 테스트(embedding tests)’ 기준에 직접적으로 의존한다. 필자는 은유 일반이 ‘말해진 것’에 속한다는 ‘강한’ 맥락주의적 논제를 받아들이면서 동시에 ‘내포 측정 테스트’ 기준의 신뢰성(reliability)을 주장할 때 심각한 딜레마 상황에 빠진다는 것을 보인다. 그 후 필자는 (이 상황에서 벗어나려면) ‘강한’ 맥락주의 논제를 포기하고, ‘파생적(derivative)’ 은유와 ‘비파생적(non-derivative)’ 은유라는 두 가지 종류의 은유가 있다는 것을 받아들여야 한다고 주장한다. 논문 후반부에서는 이 두 가지 은유 논제의 관점에서, ‘강한’ 맥락주의자들이 은유 일반이 ‘말해진 것’에 속한다는 것을 주장하는데 사용한 네 가지 기준들이 사실 (전통적) 그라이스적 구분을 지지한다는 것을 주장한 캠프(2006)의 논변을 논박한다. 이런 과정에서 필자는 이 네 가지 기준들이 ‘비파생적’ 은유로부터 ‘파생적’ 은유를 구별하는데 사용될 수 있고, 사실 두 가지 종류의 은유가 있다는 것을 지지한다는 것을 보인다. In the first half of the paper, I aim to establish the ‘weak’ contextualist thesis that some, not all, metaphors contribute to ‘what is said.’ This directly depends on a criterion so-called ‘embedding tests’ by which one could judge whether some content belongs to ‘what is said.’ I will show how we cannot but arrive at a serious dilemma if we both accept a ‘strong’ thesis that metaphors in general belong to ‘what is said’ and maintains the reliability of the criterion; I argue, giving up on the ‘strong’ thesis, that there are two kinds of metaphors: ‘derivative’ and ‘non- derivative’ metaphor. In the second half of the paper, from the perspective of the two-kindsof-metaphor proposal, I argue against the arguments in Camp (2006), where she argues that the four criteria by which ‘strong’ contextualists argue that metaphors contribute to ‘what is said’ really support for the original Gricean classification. In the course, you can see that the four criteria can be used to distinguish ‘derivative’ from ‘non-derivative’ metaphor, and support the existence of the two kinds of metaphor.

      • KCI등재

        A Defense of Free Enrichment from Stanley’s Binding Argument

        Jung, Jimoon(정지문) 서울대학교 철학사상연구소 2012 철학사상 Vol.45 No.-

        이 논문에서 명시적으로 표현된 명제에 기여하는 ‘자유로운’ 화용론적 풍부화 과정이 있다는 맥락주의 논제를 옹호하고 정교화 한다. 우선, 이 논제에 대한 반론으로 제이슨 스탠리 (2000) 논문에서제시된 속박 논변 (Binding Argument)을 면밀히 검토한다. 그 후논점을 선취하고 있다는 근거로 이 논변을 거부한다. 설령 논점을 선취를 하지 않았다고 가정하더라도, 속박 논변의 핵심 가정인 일치 가정 (Coincidence Assumption) 자체가 경험적으로 문제가 있거나 최소한 더 많은 정당화가 필요하다고 주장한다. 마지막으로 속박 논변이 가정하고 있는 촘스키적 언어 능력에 대한 틀에서가 아니라 제켄도프 (1997)에 의해 지지되는 틀에서 어떻게 속박 논변에서 사용된 예의 속박 해석을 위한 변항이 화용론적으로 도입될 수 있는지를 정지문 (2010) 논문의 4.2장에서 간략하게 언급된 입장을 채택하고 더욱 설명한다. In this paper, I defend and refine the contextualist thesis that there are processes of ‘free’ pragmatic enrichment that contribute to the explicitly expressed proposition. First, I closely examine a major argument against the thesis, the so-called Binding Argument (BA), made by Jason Stanley (2000), and, finally, refute it on the grounds that it begs the question. Even if the charge of begging the question were not the case, one of its main assumptions, the Coincidence Assumption, in itself is empirically problematic or at least needs further justification. Finally, I adopt and expand the point briefly made in Section 4.2 of Jung (2010) on how a bindable variable for the bound interpretations of the examples used in the BA is pragmatically introduced in an alternative framework of our language faculty supported by Jackendoff (e.g., 1997), not in the one by Chomsky that the argument assumes.

      • KCI등재

        스탠리의 과잉 생성 반론으로부터 자유로운 풍부화 옹호

        정지문(Jimoon Jung) 한국분석철학회 2010 철학적 분석 Vol.0 No.22

        이 논문에서 필자는 명시적으로 표현된 명제에 기여하는 언어적으로 강제되지 않았다는 의미에서 ’자유로운’ 화용론적 풍부화 과정(이하 “자유로운 풍부화”)이 있다는 맥락주의자 논제를 옹호한다. 먼저 2절에서 Jason Stanley(2002a)에 의해 제기된 중요한 한 반론인 소위 ‘과잉 생성 반론’을 살펴본다. 이 반론의 요지는 자유로운 풍부화가 있다고 할지라도 그것은 너무나 강하여 과잉 생성하기 때문에 언제 맥락이 진리조건에 영항을 미칠 수 없는지는 예측할 수 없다는 것이다. 3절에서 이 반론으로부터 맥락주의자 논제를 옹호하려는 한 시도인 Alison Hall(2008)의 논변을 살펴보고, 이는 자유로운 풍부화를 근본적으로 제약하기에는 불충분 하다는 것을 보인다. 4절에서 자유로운 풍부화의 대표적 유형들은 규약(convention)에 의해 근본적으로 단단히 제약되어 있다는 것을 논증한다. 마지막으로 5절에서 가능한 반론들에 답함으로써 필자의 규약 입장을 더욱 분명하게 할 것이다. In this paper, I defend the contextualist thesis that there are processes of 'free' (not linguistically mandated) pragmatic enrichment that contribute to the explicitly expressed proposition. In section 2, I discuss a main objection to the thesis, the so-called Overgeneration Objection, made by Stanley (2002a). It is that free enrichment, if it exists, seems to be so powerful that it overgenerates, so we cannot predict where context cannot affect truth conditions. In section 3, I discuss a defence by Hall (2008) from the objection, and show that her argument is not sufficient enough to fundamentally constrain free enrichment. In section 4, I argue that at least the most discussed paradigm types of free enrichment do not overgenerate at all since they are tightly constrained by convention. In section 5, I reply to possible objections.

      • KCI등재

        GNU Binutils를 기반으로 한 재겨냥성 이진 유틸리티의 개발

        김호균(Hogyun Kim),정지문(Jimoon Jung),이종원(Jongwon Lee),박상현(Sanghyun Park),윤종희(Jonghee Yoon),백윤흥(Yunheung Paek) 한국정보과학회 2009 정보과학회논문지 : 소프트웨어 및 응용 Vol.36 No.9

        오늘날 가전 제품 시장에서 임베디드 시스템은 time-to-market 이라는 개념이 점차 중요해지고 있다. 프로세서의 개발 주기가 점차 짧아짐에 따라 소프트웨어의 개발 또한 중요하게 생각되고 있다. 그러나 새로운 프로세서에 특화된 소프트웨어 개발 도구들을 개발하는 시간은 여전히 개선되지 않고 있다. 이러한 점에서 Architecture Description Language(ADL)은 새로운 프로세서에 대한 소프트웨어 개발 도구들을 자동으로 생성하게 함으로써 개발하는 수고를 덜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GNU Binutils를 이용하여 각각의 프로세서에 맞는 소프트웨어 개발 도구들을 자동으로 생성하였다. 이 연구를 통하여 우리는 어셈블러나 링커와 같은 소프트웨어 개발 도구들을 쉽고 빠르게 생성할 수 있었다. In this days, the concept of time-to-market is important in embedded systems in consumer electronics. According to the short time of development period, it is also important in development of Software Development toolkits (SDKs). However, it is not improved to the development time of SDKs specialized in new processors. In this point, the Architecture Description Language (ADL) is an alternative to relieve the pain of building the SDKs as the required SDKs can be automatically generated from ADL for the processor. In this paper, we automatically generate SDKs specialized in processors using GNU Binutils. Through this research, we can more easier and faster produce the SDKs such as assembler and linker than by using handcrafted code.

      • Binutils 를 이용한 Retargetable Assembler 와 Linker 의 개발

        윤종희 ( Jonghee Youn ),김호균 ( Hokyun Kim ),안민욱 ( Minwook Ahn ),최영규 ( Youngkyu Choi ),김대호 ( Daeho Kim ),정지문 ( Jimoon Jung ),백윤흥 ( Yunheung Paek ) 한국정보처리학회 2008 한국정보처리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15 No.2

        CE (Consumer Electronics) 시장에서 Embedded System 은 time-to-market 이라는 개념이 나날이 중요해지고 있다. 시스템의 중심인 core processor 에 대하여 지원하는 여러 가지 software toolkit 의 빠른 개발은 무엇보다 중요해지고 있다. 이 논문에서는 GNU Binutils 를 기반으로 ADL 을 이용하여 Embedded system 의 core processor 를 위 하여 신속한 Assembler 와 Linker 를 개발하는 플랫폼을 개발 하였다. 이 플랫폼은 서울대학교 소프트웨어 최적화 연구실에서 개발한 ADL (Architecture Description Language)[1] 을 이용하여 core processor 를 기술하면 자동으로 Assembler 와 Link 를 생성해주는 시스템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