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W교육 연구 주제 동향 분석

        정주훈 ( Juhun Jeong ),이승민 ( Seungmin Lee ),강두봉 ( Doobong Kang ) 한국컴퓨터교육학회 2016 한국컴퓨터교육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20 No.2

        본 연구는 2015개정 교육과정에 명시된 SW교육 관련 연구들이 학계에서는 어떻게 진행되고 있는가를 알아보기 위해 2012년 이후 학술지 및 학술발표대회 논문집에 발표된 총 88편 연구물들의 연구주제를 대상으로 동향 분석을 실시하였다. 특히, 네트워크 텍스트 분석을 통해 연구주제들이 어떤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는가를 중점적으로 살펴보았으며, 앞으로의 SW교육의 방향 정립 및 발전 방향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 한국컴퓨터교육학회 연구 주제 동향 분석 (2014-2018)

        정주훈 ( Juhun Jeong ),김경민 ( Kyungmin Kim ),이윤아 ( Yoona Lee ),하재민 ( Jaemin Ha ) 한국컴퓨터교육학회 2018 한국컴퓨터교육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23 No.1

        본 연구는 지난 5년간(2014~2018) 한국컴퓨터교육학회의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와 『한국컴퓨터교육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에 발표된 664편의 논문들의 제목을 분석하고 제목에 나타난 키워드를 도출하여 학회의 연구주제 동향이 어떠한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네트워크 텍스트 분석을 통해 연구 키워드들이 어떠한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는가를 시각화하여 살펴보았다. 2015개정교육과정에서 SW교육을 필수화 하면서, 관련한 많은 연구들이 진행되었었기 때문에 지난 5년간의 연구가 어떻게 진행되었는가를 살펴보는 것은 앞으로 컴퓨터교육학계에서 진행되어야할 연구들의 밑거름이 되어 연구의 방향 정립과 발전 방향의 모색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예비교사들의 교육실습경험에 근거한 교원양성 교육과정 개선 방안 탐색

        남윤경(Nam Younkyeong),이효진(Yi Hyojin),김혜영(Kim Hyeyoung),정주훈(Jeong JuHun) 부산대학교 교육발전연구소 2019 교육혁신연구 Vol.29 No.1

        연구목적: 본 연구는 예비교사들의 교육실습 경험을 바탕으로 교원양성 교육과정 개선에 대해 제안한 것이다. 연구방법: 2018년에 지방 거점 국립대학(P대학)에서 교직과정을 이수하고 교육실습에 참여한 537명을 대상으로 교육실습경험에 대해 설문 내용 중 자유기술형 문항 응답 내용을 주요 자료로 활용하였다. 내용분석(content analysis)과 네트워크 텍스트분석(Network Text Analysis)을 이용하여 본 연구에서 설정한 연구문제에 따라 예비교사들이 실습 과정에서 느끼는 어려움, 교육실습의 개선점, 교원양성기관 교직과정의 개선점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예비교사들은 교육실습 중 수업기술 미흡으로 인한 학생 통제 및 수업 준비에서 가장 크게 어려움을 느끼고 있었다. 둘째, 예비교사들은 실습학교 차원에서는 교생에 대한 존중의 분위기 형성을, 교육부 및 교육청 차원에서는 실습기간 확대를 요구하였다. 셋째, 예비교사들은 교원양성 교육과정에서 수업시연 및 수업설계 기회 확대와 현장에 적용 가능한 강의 내용 강화를 적극 요구하였다. 결론 및 제언: 이상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교직과목에서 수업시연 기회 확대 및 학생 동기유발 중심의 수업 역량 개발 강화, 교육실습 전․후로 교원양성기관과 실습학교 및 학교 현장과의 연계 필요, 교육실습 기간 확대 등 교육실습 프로그램의 개선 방안을 제안하였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ways to improve the teaching practicum based on the experiences of preservice teachers. Method: In 2018, 537 students who completed the required teaching courses for teacher certificate at the national university (P university) participated in the study. The questionnaire survey and open-ended questions the students conducted on the experience of teaching practicum were used as the main data. The content analysis and the network text analysis were applied to find out the difficulties of the preservice teachers in the course of the study, how to improve the teaching practicum, and how to improve the teacher training course respectively. Results: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preservice teachers felt the greatest difficulty in student control and class preparation due to insufficient teaching skills during teaching practicum. Second, the preservice teachers asked the formation of an atmosphere of respect for the students(preservice teachers) at the training school level and the extension of the training period at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the Education Office level. Third, preservice teachers actively demanded classroom demonstration, instructional design opportunity expansion, and reinforcement of lecture contents that can be applied to the field. Conclusion: Based on the results, we suggest ways to improve teaching practicum; 1) increase the opportunity of class demonstration in teaching courses, 2) strengthen the development of teaching ability centered on student motivation, and 3) make a more concrete link between teacher training institute and practical training school and school site before and after training.

      • 문제해결의 과정으로써 컴퓨팅 사고

        남윤경 ( Younkyeong Nam ),한금주 ( Keumju Han ),윤진아 ( Jina Yoon ),정주훈 ( Juhun Jeong ) 한국컴퓨터교육학회 2018 한국컴퓨터교육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23 No.1

        STEM 융합교육의 중요한 목적은 서로 다른 학문이 가지는 내용과 탐구의 방법을 이해하고 이를 적절하게 주어진 문제상황에 적용하는 융합적 문제해결력을 기르는 것이다. 특히, 컴퓨팅 사고력(CT)은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중요한 문제해결에 대한 사고의 과정으로 정의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기존 과학, 수학, 공학에서의 문제해결의 과정과 CT에서의 문제해결과정이 어떻게 결합될 수 있는가를 살펴보고 CT practice가 어떻게 문제해결과정에서 작용할 수 있는가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과학, 수학, 공학의 문제해결 과정에 CT요소를 적절히 사용할 수 있는 CT기반의 SEM 융합교육을 위한 기초 원리를 규명하고 방향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 KCI등재

        컴퓨팅 사고력 향상을 위한 STEAM기반 초등 SW교육 프로그램 모듈 개발 및 적용

        강두봉(Kang Doo Bong),이승민(Lee Seung Min),정주훈(Jeong JuHu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12

        본 연구의 목적은 컴퓨팅 사고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목표기반시나리오를 적용한 STEAM 기반의 SW교육 프로그램 모듈의 개발 및 적용에 있다. 프로그램 개발은 2017년 7월부터 12월까지 1차 개발 49명, 2차 개발 88명, 최종 154명을 대상으로 진행 하였다. 래피드 프로토타입 방법에 따라 모듈 수정이 용이하도록 비선형적, 동시적으로 진행하였고, 프로그램의 일반화를 위해 최종 프로토타입을 일반-심화과정으로 개선하여 2018년 6월에서 7월까지 학생 103명에게 적용하여 만족도를 조사하였다. 개발된 프로그램 모듈은 목표중심시나리오(DBS)를 바탕으로 시나리오의 커버스토리를 초등학생이 발견할 수 있는 학교생활 속 문제 상황을 제시하였고, 최종적으로 세 가지 시나리오(수학형, 과학형, 예술형)에 6가지 미션을 개발하였다. 프로그램의 타당도 확보를 위해 3차에 걸쳐 학생, 교사, 전문가 측면의 사용성 평가를 실시하였으며, 효과성을 알아보기 위해 초등학생용 컴퓨팅 사고력 측정도구를 동일집단을 대상으로 사전·사후 검사로 진행하여 유의미한 결과를 얻었다. 최종 프로토타입에는 교수자에게 편의성을 제공하기 위해 기초, 심화, 메이킹의 코스를 추가로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STEAM - based SW education program module applying Goal-Based Scenario to improve Computational Thinking. Program development was conducted from July to December 2017 with 49 students in the first development, 88 students in the second development, and 154 students in the final. Rapid prototyping method was applied to non-linear and simultaneous modules for easy modification. Final prototypes were improved to basic and advanced processes for generalization of programs and applied to 103 students ,from June to July 2018, Satisfaction survey. The development process is non-linear and simultaneous to facilitate the module modification according to Rapid Prototyping Method. The cover story of the scenario presented the problems in the school life that elementary school students could find, and eventually developed six missions in three scenarios (mathematical, scientific, and artistic). In order to ensure the validity of the program, we conducted a third-level usability evaluation of students, teachers, and experts. The validity test was conducted by the same group pre- and post-test using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Computational Thinking instrument. The final prototype suggested a course of Basic, Advanced, and Making in order to provide convenience to teach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