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특수교육 통합교과의 해결과제와 방향성 고찰

        정주영 ( Jooyoung¸ Jeong ) 한국통합교육과정학회 2020 통합교육과정연구 Vol.14 No.4

        이 연구는 2015 개정 특수교육 기본 교육과정에서 처음 도입된 초등학교 1-2학년군의 통합교과가 직면한 과제를 고찰하여 통합교과가 해결하고 지향해야 할 바를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특수교육 통합교과의 특징을 검토하고, 제기될 수 있는 과제를 제시한 후, 이를 바탕으로 특수교육 통합교과의 방향성을 제언하였다. 연구 결과, 특수교육통합교과는 기본 교육과정의 성격 규정, 통합교과의 성격 규정, 생활 주제의 적절성, 통합교과에 관한 공감대 형성, 내용으로서 주제의 적절성, 교수·학습 및 평가 방안 등의 여섯가지의 과제가 제기되었다. 해결 방안으로는 첫째, 통합교과의 성격과 정체성에 관한 공감대 형성과 합의, 둘째, 타당한 통합교과 주제의 도출과 선정, 셋째, 기능적 교육과정을 넘어서는 생활 주제가 지향하는 가치와 탈학문적 통합교과에 관한 공감대 형성, 넷째, 학생의 인지적 특성과 학습 수준을 고려한 교수·학습 방법의 개발, 다섯째, 학생의 삶에서 실질적 성장과 변화를 확인할 수 있는 평가 등 다섯 가지의 해결 방안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hallenges faced by the integrated subject of the 1st and 2nd graders of elementary schools, which were first introduced in the 2015 revised basic curriculum of special education, to identify what the integrated subject should solve and pursue. To this e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integrated subject of special education were reviewed and the tasks that could be raised based on these were discussed. Based on the discussion, the direction of the integrated subject of special education was suggested. As a result of the study, six tasks were raised including the defining of nature of the basic curriculum and the integrated curriculum, and five solutions were presented including consensus formation and agreement on the nature and identity of the integrated subject.

      • KCI등재

        초등 특수교사의 특수교육 통합교과의 교수·학습 및 평가 양상에 관한 연구

        정주영(Jeong Jooyoung) 한국특수교육교과교육학회 2021 특수교육교과교육연구 Vol.14 No.2

        이 연구는 특수교육 통합교과의 교수·학습 및 평가의 구체적 방향과 방법을 모색하기 위해 통합교과 수업 경험이 있는 초등 특수교사를 대상으로 그들이 인식하는 통합교과 교육과정과 수업, 실제로 교사들이 사용하는 교수·학습 및 평가의 양상을 파악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특수교육 통합교과 수업 경험이 있는 8명의 초등 특수교사를 대상으로 통합교과 교육과정과 수업의 특징을 어떻게 이해하고 있고, 통합교과 수업에서 실제로 사용하고 있는 교수·학습 및 평가 양상은 어떠한가를 파악하기 위해 초점 집단 면담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삶을 기반으로 한 총체적이고 통합적인 교과, 주제 중심의 교수·학습, 학생 활동 중심의 교수·학습, 학생의 성공적 학습이 용이한 교과, 학생 수행 중심의 질적 평가, 교사 변인의 영향이 큰 교과 등 6개의 대주제와 18개의 상위 범주 주제가 제시되었다. 마지막으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생활 주제의 타당도를 확보하기 위한 방안 모색, 주제 활동 중심의 수업을 위한 교수·학습 방법 확립, 학생이 성공하는 수업과 평가 방안의 구안, 학생의 성장을 담은 질적 과정 중심 평가 방안의 탐색 방안 등에 관해 논의하고 결론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integrated subject and instruction perceived and the aspects of teaching, learning and evaluation used by elementary special teachers who have taught in integrated subject. For this purpose, the focus group interview was conducted to understand how the characteristics of integrated curriculum and class are understood by 8 elementary special teachers who have experience in integrated subject instruction of special education, and what are the aspects of teaching, learning and evaluation actually used in integrated subject. As a result of the study, six major themes and 18 upper category themes were presented, including a comprehensive and integrated subject based on life, Themes-based teaching and learning, student activity-based teaching and learning, subject that facilitates successful learning of students, qualitative process-centered evaluation of student growth. Finally,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the study discussed and concluded the ways to increase the validity of the life theme, the establishment of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for the theme activity-based instruction, the ways for the successful instruction and evaluations of students, and the ways for the qualitative process-oriented evaluation methods that include the growth of students.

      • KCI등재

        특수교육 통합교과 교과용 도서의 활용과 해결과제에 관한 초등 특수교사의 인식

        정주영(Jeong, Jooyoung) 한국통합교육학회 2021 통합교육연구 Vol.16 No.2

        이 연구는 2015 특수교육 통합교과 교과용 도서의 활용 양상과 이에 수반된 특징, 해결과제에 관한 초등 특수교사의 의견을 파악하여 향후 특수교육 통합교과 교과용 도서의 발전 방향을 논의하고 모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8명의 초등 특수교사를 대상으로 초점 집단 면담을 실시하여 4개의 상위 주제와 13개의 하위 주제를 제시하였다.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결론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주제 중첩 방식의 단원 구성의 대안을 모색하는 과정에서 생활 주제 간의 관계나 위계의 타당성을 검증하고, 생활 주제와 관련된 학생의 관심사와 일상생활 사건을 정선하며, 학생의 성숙 과정에 따른 관심사와 일상생활 사건의 변화를 구조화하는 방안을 강구해야 한다. 둘째, 교과용 도서의 집필 과정에서 집필자의 교육과정 문해력을 높이고, 이를 바탕으로 개발된 교과용 도서의 심의와 검토 과정을 강화하며, 교과용 도서를 창의적으로 해석하고 활용할 수 있는 학교 교사의 교육과정 문해력을 높일 필요가 있다. 셋째, 학생의 특성과 수준을 고려한 교과용 도서의 개발을 위해 학생의 요구와 수준에 타당한 교과서의 분량과 학습활동을 조정하고, 학습자의 특성을 고려하여 부록 자료와 삽화 및 사진 등을 조정할 필요가 있다. 넷째, 수업에서 전자 저작물의 활용을 높이기 위해서 수록 내용을 다양화하고 풍부화할 필요가 있으며, 보다 쉽게 자료에 접근할 수 있도록 자료의 탑재 방식을 변경하고 자료의 구동 체제를 전환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problems, utilization patterns, characteristics, and improvement directions of the 2015 integrated subject textbooks to derive and discuss the tasks to be solved by the integrated subject textbooks in the future. To this end, focus group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8 elementary special teachers. The conclusion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 the process of seeking alternatives to the composition of units in the overlapping manner, it is necessary to verify the validity of the relationship or hierarchy between life topics, select students interests and daily life events, and structure changes in student maturity. Second, it is necessary to increase the author s curriculum literacy in the process of writing the integrated subject textbooks, strengthen the deliberation and review process of the integrated subject textbooks developed based on this, and increase the curriculum literacy of school teachers who can creatively interpret and use the integrated subject textbooks. Third, it is necessary to adjust the volume and learning activities of textbooks appropriate to the student s needs and levels, and to adjust appendix materials, illustrations, and photos considering the learner s characteristics. Fourth, in order to increase the use of electronic works in class, it is necessary to diversify and enrich the contents, and it is necessary to change the method of mounting data and change the driving system of data so that data can be accessed more easily.

      • KCI등재

        2015 개정 특수교육 기본 교육과정 통합교과 교과용 도서의 개발과 의의

        정주영 ( Jooyoung Jeong ),정유진 ( Youjin Jung ) 한국통합교육과정학회 2017 통합교육과정연구 Vol.11 No.4

        특수교육 기본 교육과정 통합교과는 2015 특수교육 교육과정이 개정되면서 처음으로 도입되었다. 바른 생활, 슬기로운 생활, 즐거운 생활의 3개 교과로 구성된 통합교과는 특수교육 현장의 요구와 장애 학생의 특성, 교육적 요구를 반영하여 생활 주제별 교과용 도서로 개발되었다. 교과용 도서는 국정공모제를 통해 건양대학교 국정도서편찬위원회가 편찬하고 ㈜미래엔이 생산 및 공급을 담당하였다. 교과용 도서의 개발 과정은 계획·위탁, 연구·집필, 심의·수정, 생산·공급의 4단계로 구성되며 국립특수교육원과의 협조 하에 모든 과정이 진행되었다. 기본 교육과정 통합교과 교과용 도서는 대상 학생의 특성을 고려하여 다양한 개인차에 부응하기 위해 탈학문적 교과 통합과 보편적 학습 설계에 바탕으로 두고 개발되었다. 마지막으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교과용 도서 개발을 위한 네 가지 제언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view the development process of integrated subject textbooks on basic curriculum of special education and discussed its implications. The integrated subject textbooks were developed based the ecological context, the developmental and academic achievement of the students with special needs including intellectual disability and developmental disability, and the opinions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The development process were consisted of the plan and referral stage, the research and work stage, the review and revision stage, and publication stage. The compilation committee led all of stage of and the KISE(Korean National Institute of Special Education) assisted various matters about development process of integrated subject textbooks. These integrated textbooks were characterized as follows. First, the integrated subject was the most suitable and natural approach for the SNS. Second, the universal design was the most important feature of these integrated textbooks for differentiated and individualized learning of the SNS. Third, These textbooks were undertaked transdisciplinary approach based the Life-centered thema and topics of the SNS. Forth, the development process was insufficient with time for textbooks development, previous researches for integrated subject textbooks, and so on. This study was recommended four suggestions for researchers wishing to develop of the subsequent integrated subject textbooks.

      • KCI등재

        2015 특수교육 초등학교 통합교과 교육과정 주제의 타당성에 관한 델파이 조사 연구

        정주영 ( Jooyoung Jeong ),허정원 ( Jeongwon Heo ) 한국통합교육과정학회 2022 통합교육과정연구 Vol.16 No.2

        이 연구는 기본 교육과정에 참여하는 초등학교 1-2학년군 학생의 삶을 담은 주제 중심의 교과로서 특수교육 통합교과의 대주제, 소주제, 활동 주제의 타당성을 규명하여 생활 주제중심 통합교과를 표방하는 현행 통합교과 교육과정 주제의 적절성을 확인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22 개정 특수교육 통합교과 교육과정 개발에 참여하고자 하는 15명의 초등 특수교사를 상대로 델파이 기법을 사용하여 조사하였다. 연구 결과, 다섯 가지 측면의 논의가 이루어졌는데, 첫째, 활동 주제 간 상호보완성의 결여, 둘째, 교과 간 활동 주제의 낮은 수평적 연계성과 통합성, 셋째, 난이도가 높은 활동 주제, 넷째, 활동 주제의 교과 간 포섭 정도나 교육내용 규모의 불균형, 다섯째, ‘나라’ 주제의 타당성 재고 등이다. 이러한 논의를 토대로 연구의 결론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appropriateness of the current theme of integrated curriculum, which represents the life-centered integrated thematic curriculum by identifying the validity of the major themes, sub-themes, and activity themes of the integrated curriculum of special education as the integrated thematic subjects that contain the lives of students in the first and second graders of elementary schools participating in the basic curriculum. For this purpose, the Delphi technique was used to investigate 15 elementary special teachers who want to participate in the development of the 2022 revised integrated curriculum for special education.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discussed in five aspects: first, lack of the complementarity of activity themes, second, low horizontal linkage and degree of integration between activity themes, third, high difficulty of activity themes, fourth, the degree of subsumption and integration of activity themes among the subjects, and fifth, reconsideration of the validity of the theme of ‘country’. Based on these discussions, the conclusion of the study was presented.

      • KCI등재

        특수교육 교사용 지도서 단원 구성 체제 및 요소 분석

        정주영(Jeong, Jooyoung) 한국통합교육학회 2018 통합교육연구 Vol.13 No.2

        이 연구는 특수교사들이 보다 쉽고 편리하며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교사용 지도서를 개발하기 위해 현재 사용하고 있는 특수교육 교사용 지도서의 단원 구성 체제와 요소를 분석하여 현재 실태를 확인하고 이를 토대로 향후 특수교육 교사용 지도서의 개발에 대해 제언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11 개정 특수교육 교육과정」의 교사용 지도서 중 기본 교육과정 15개 교과 48종, 공통 교육과정 2개 교과 2종의 단원 구성 체제와 요소를 분석하였고, 2017년 초에 개발된 「2015 개정 특수교육 교육과정」의 기본 교육과정 초등학교 1∼2학년군 통합교과, 국어, 수학 교사용 지도서 등 총 20개 교과 53종의 단원 구성 체제와 요소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53종의 교사용 지도서는 국립특수교육원에서 제시한 교과용 도서의 기본 구성 요소를 비교적 충실하게 반영하고 있었으나 단원 구성 체제는 각 교과별로 상이하였다. 상이한 단원 구성 체제는 각 교과의 특성과 교과용 도서 개발자의 의도가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연구는 이러한 연구 결과에 따라 다음과 같이 제언하였다. 첫째, 단원의 구성 체제의 유연성을 높일 수 있는 방향으로 단원의 구조를 단순화하여 교사들이 만들어가는 수업을 촉진할 수 있는 교사용 지도서를 개발할 필요가 있다. 둘째, 교사의 수업 설계와 실행을 보다 용이하게 하는 단원 구성 체제와 요소를 갖출 필요가 있다. 셋째, 교과용 도서 개발에 앞서 국가 수준에서 교과용 도서의 개발과 관련된 다양한 연구가 활성화되어야 한다. 넷째, 특수교육의 특수성과 교육의 보편성이 조화된 단원 구성 체제와 요소를 갖춘 교사용 지도서의 개발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unit structures and components of the guidebooks for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put forward suggestions to develop and compile the better things for them. I analyzed the 48 kinds of guidebooks of 15 subjects on 2011 revised basic curriculum and 2 kinds of guidebooks of 2 subjects in 2011 revised common curriculum of special education and the 3 kinds of guidebooks of 3 subjects on the 2015 revised basic curriculum of special education to identify their unit structures and components. The results showed that 53 kinds of guidebooks were developed and compiled based on the compilation guideline of KISE(Korean National Institute of Special Education). Many guidebooks were reflected on and complied with the components based on the compilation guideline of KISE faithfully. But, the unit structures were different each other. The different unit structures were come from the nature of each subjects and the intent of compilers of the guidebook for special education teachers. The sugges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unit structures of the guidebooks for special education teachers should be as simple as possible. Second, the guidebooks should have both unit structures and components to facilitate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instruction by teachers. Third, the national research and development of the guidebooks for special education teachers was invigorated. Fourth, the guidebooks should be in harmony between the universality of education and the specialness of special education.

      • 상업가를 중심으로 한 프랜차이즈 커피전문점의 실내 색채 및 조명환경 실태조사 결과

        서은지(Eunji Seo),정주영(Jooyoung Jeong),윤태섭(Taesub Yoon),양득용(Deukyong Yang),박지영(Jiyoung Park) 한국색채학회 2020 한국색채학회 학술대회 Vol.2020 No.11

        현재 우리나라의 커피 산업은 해마다 빠르게 성장하며 변화하고 있다. 현대경제연구원의 조사결과에 따르면 2016년 기준 5조 9천억 원이었던 반면 2023년 8초 6천억 원에 달할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커피시장의 규모 확산은 프랜차이즈 커피전문점 간의 치열한 경쟁을 의미하고, 이는 소비자가 브랜드 선택의 폭이 넓어지고 있음을 의미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유동인구가 많고 회전이 빠른 중심 상업가에 위치한 프랜차이즈 커피전문점을 대상으로 실내조명 및 색채환경에 대한 실태조사를 목적으로 한다. 또, 이용자의 방문선정 요인 및 선호하는 것으로 조사된 분위기를 마케팅에 적용 시 감성 만족도를 충족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통합교실의 정신지체 학생 평가적합화 도구로서 교육과정중심평가의 가능성 탐색

        정주영,신현기 단국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2001 교과교육연구 Vol.- No.5

        본 연구는 교육고정중심평가의 출현 배경과 기본 특성에 대한 개관을 통해 통합교실의 정신지체 학생평가 도구로서 교육과정중심평가의 가능성을 모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교육과정중심평가의 출현 배경에 대해 알아보고,교육과정중심평가의 기본 가정과 특성,전반적 구성과 방법 및 절차에 대해 개관하였다. 그리고 이를 토대로 통합교실의 평가적합화 도구로서 교육과정중심평가의 가능성을 논의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