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상담자의 자기자비 불안과 소진의 관계: 자기자비와 공감능력을 매개로

        정주리 ( Ju-ri Joeng ) 서강대학교 학생생활상담연구소 2017 人間理解 Vol.38 No.1

        본 연구는 대학상담소를 포함한 상담기관에서 일하는 상담자들을 대상으로 자기자비 불안, 자기자비, 공감능력, 소진과의 관계를 살펴보고, 자기자비 불안이 상담자 소진에 미치는 영향에 자기자비와 공감능력이 매개효과를 갖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상담자 179명(남자 28명, 여자 151명)의 자료가 분석되었으며 상관분석 결과, 자기자비 불안은 자기자비와 공감능력과 부적인 관계, 소진과는 정적인 관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기자비는 공감능력과 정적인 관계를, 소진과는 부적인 관계를 나타냈으며, 공감능력 역시 소진과 부적인 관계를 나타냈다. 구조방정식을 이용해 분석한 결과, 상담자의 자기자비 불안이 심리적 소진으로 이어지는 경로에서 자기자비와 공감능력의 연속매개효과와 공감능력의 매개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즉, 자기자비 불안이 높을수록 상담자가 소진될 가능성이 높아지나, 이 영향은 상담자가 갖는 자기자비와 내담자에 대한 공감능력에 의해 매개되기에, 상담자의 소진예방을 위해서는 자기자비와 내담자에 대한 공감능력을 증진시키는 것이 중요함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 결과가 상담자 및 연구자들에게 갖는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s among fear of self-compassion, self-compassion, empathy, and burnout in a sample of counselors. In addition, the study investigated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compassion and empath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fear of self-compassion and burnout. A total of 179 surveys were analyzed. The results of correlational analysis indicated that fear of self-compassion was negatively related to self-compassion and empathy, but positively related to burnout. Self-compassion was positively associated with empathy. Burnout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both self-compassion and empathy. The results from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indicated that self-compassion and empathy mediated the path from fear of self-compassion to burnout. Implications for counselors and researchers were discussed.

      • KCI등재후보

        중학생의 자기주도 프로젝트 수행 경험 분석

        정주리(Ju-Ri Joeng),양영희(Young Hee Yang),박종원(Jongwon Park),정은영(Eunyoung Jeong) 전남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23 교육연구 Vol.45 No.2

        자기주도 프로젝트가 학생들의 자기주도성을 높이는 데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이를 수행하는 학생들의 경험을 생생하게 밝힌 선행연구는 아직 부족하다. 이에 이 연구는 자기주도 프로젝트를 수행한 중학생들을 대상으로 혼합연구 방법으로 자기주도 학습력의 변화와 함께, 학생들의 프로젝트 수행 경험 및 인식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자유학기제와 동아리 활동을 통해 자기주도 프로젝트를 수행한 B중학교 1~3학년 112명으로부터 두 번에 걸쳐 수집한 자료를 대응표본 t 검증방법으로 분석하였고, 이들 중 8명을 선발하여 초점집단면접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이전에 자기주도 프로젝트를 수행해 본 경험이 있는 2학년만이 자기주도 학습력에서 초인지, 인지 사고, 자기효능감에서 긍정적인 변화를 보고하였다. 또한, 학생들은 처음 이 프로젝트를 접하였을 때는 막막함과 내・외적 갈등을 경험하였으나 프로젝트 수행과정에서 부딪히는 여러 문제에 대해 스스로 해결해가는 방법을 모색하고 필요할 때 최소한의 수준에서 교사의 지원을 요청하는 등 적극적이고 능동적인 학습자의 모습을 나타내었다. 이 연구 결과는 시행착오를 겪더라도 학생들이 나름의 방법을 찾을 수 있는 자기주도 학습 기회가 학교에서 충분히 주어진다면 이들의 자기주도성을 높이는 데 도움이 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Although self-directed projects are known to be effective in increasing students’ self-directed learning, there is still a lack of previous studies that vividly reveal the experiences of students who perform them. The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changes in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through self-directed projects in middle school students and examine the experience of implementing these projects. To investigate the change in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the data was collected twice from 112 students in grades 1 to 3 of B middle school and analyzed using the paired-samples t -test. The students carried out self-directed projects through the free semester system and club activities. Eight of them were then selected, and focus group interviews were conducted to gain an in-depth understanding of their experiences with self-directed project implementation. As a result, only second-graders who had previously carried out self-directed projects reported positive changes in meta-cognition, cognitive thinking, and self-efficacy in self-directed learning. The students reported experiencing a sense of confusion first and internal and external conflicts during the project’s execution. However, they learned how to solve problems on their own and, when necessary, sought minimal support from teachers, demonstrating their active and proactive approach to learning. Based on these results, we suggest that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can change when students are given enough time to explore their own approaches through trial and error in schools.

      • KCI등재

        노년기 부부 친밀감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 및 가족변인들: 성별에 따른 차이

        이미경 ( Lee Mi-kyoung ),정주리 ( Joeng Ju-ri ) 전북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7 지역과 세계 Vol.41 No.3

        본 연구는 노년층의 부부 친밀감에 영향을 주는 개인변인과 가족변인을 살펴보고자 J도와 인근 G광역시에 거주하는 55세 이상 혼인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남녀를 대상으로 부부 친밀감에 개인변인(성별, 연령, 건강, 학력, 종교)과 가족변인(생활수준, 결혼기간, 배우자와 종교 동일 여부, 배우자와 동일한 침실 사용 여부)이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았다. 또한 여성 노인과 남성 노인들의 고유한 특성을 파악하고자 연구변인에서 성별에 따른 차이를 살펴보고, 성별을 구분하여 부부친밀감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을 각각 살펴보았다. 설문조사 방법을 사용하였고 총 339명의 자료가 일원분산분석과 위계적 회귀분석을 이용하여 분석되었다. 일원분산 분석 결과, 부부친밀감, 연령, 건강, 학력, 생활수준, 결혼기간에서 성별에 따른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위계적 회귀분석 결과, 남성 노인과 여성 노인 모두 건강, 학력, 배우자와 동일한 침실 사용이 부부친밀감을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여성 노인의 경우에는 결혼기간, 배우자와 종교 동일 여부 역시 부부친밀감을 예측하는 변인으로 밝혀졌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노년층의 부부 친밀감을 증진시키기 위한 방안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e current study was to examine whether personal variables (gender, age, health, education levels, and religion) and family variables (socioeconomic status, the length of a marriage, having a spouse of the same religion, and sleeping with a spouse in the same room) that predict intimacy in a marriage at old age (over 55 years old). Moreover, to find specific variables predicting intimacy in a marriage for each gender, a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for each gender. A total of 339 surveys were analyzed. The results of one-way ANOVA showe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gender differences in marital intimacy, age, health, education levels, socioeconomic status, and the length of a marriage, the results of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es indicated that for both men and women, health, education levels, and sleeping with a spouse in the same room predicted intimacy in a marriage. In addition, the length of a marriage and having a spouse of the same religion predicted intimacy for women, as well. The suggestions for improving intimacy in a marriage at old age were proposed based on the results of the current study.

      • KCI등재

        대학생의 애착불안이 대인관계 및 이성관계에 미치는 영향: 정서조절양식을 매개로

        이유미 ( Lee You-mee ),정주리 ( Joeng Ju-ri ) 전북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7 지역과 세계 Vol.41 No.2

        본 연구는 대학생의 애착불안이 대인관계와 이성관계에 미치는 영향을 정서조절양식이 매개하는지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현재 이성교제를 하고 있는 만 19세 이상의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251명으로부터 수집된 자료가 분석에 사용되었다. 자료분석은 구조방정식 모형을 이용하였고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Bootstrapping 절차를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능동적 정서조절은 애착불안과 이성관계 불만족을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애착불안과 대인관계 문제를 매개하지는 않았다. 반면, 회피-분산적 정서조절은 애착불안과 대인관계 문제를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애착불안과 이성관계에서는 매개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애착불안을 보이는 대학생들이 대인관계 문제를 나타내거나 이성관계에 불만족할 때 관계 대상에 따른 정서조절 양식의 차별적 개입전략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s of emotional regulation styles on the paths from attachment anxiety to interpersonal problems and romantic relationship dissatisfaction. For this purpose, data were collected from 251 of university students who are dating over aged 19. The correlation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as utilized. The results indicated that attachment anxiety, interpersonal problems, romantic relationship dissatisfaction, active emotional regulation style, and avoidant-distractive emotional regulation style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each other. In addition, active emotional regulation style mediated partially the relationship between attachment anxiety and romantic relationship dissatisfaction. Furthermore, avoidant-distractive emotional regulation style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attachment anxiety and interpersonal problems.

      • 대학생이 지각하는 부모 양육태도가 다차원적 완벽주의에 미치는 영향

        김더미(Deo Mi Kim),정주리(Ju-ri Joeng) 전남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20 교육연구 Vol.42 No.1

        본 연구는 대학생이 지각한 부모 양육태도가 다차원적 완벽주의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대학생 328명(여: 246명, 남: 82명)을 대상으로 조건부 관심 강화, 조건부 관심 철회, 자율성 지지를 포함한 부모 양육태도와 다차원적 완벽주의(자기지향 완벽주의, 타인지향 완벽주의, 사회부과 완벽주의)를 측정하였다. 자료분석을 위해 각 변인 간의 상관관계를 검토하고, 부모 양육태도가 다차원적 완벽주의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보기 위해 위계적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조건부 관심 철회, 자율성 지지와 자기지향 완벽주의를 제외한 모든 연구변인들은 유의미한 상관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위계적 회귀분석 결과 조건부 관심 강화만이 자기지향 완벽주의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나타냈다. 셋째, 조건부 관심 철회만이 타인지향 완벽주의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나타냈다. 넷째, 조건부 관심 강화, 조건부 관심 철회, 자율성지지 모두 사회부과 완벽주의에 미치는 설명력이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 및 후속연구에 대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d the effects of parental conditional regard, parental autonomy support on their multidimensional perfectionism. A total of 328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study. A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were performed to analyze the data.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ll variables except for the relationship between conditional negative regard, autonomy support and self-oriented perfectionism were significant. Second, as results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parental conditional positive regard positive effect on the self-oriented perfectionism. Third, parental conditional negative regard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the other-oriented perfectionism. Fourth, parental conditional negative regard and parental conditional positive regard had a positive effect, while parental autonomy support significantly explained the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Based on these findings, the implications,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the suggestions for further research were discussed.

      • KCI등재후보

        고등학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시험불안과의 관계

        이유미(Youmee Lee),정주리(Juri Joeng) 전남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15 교육연구 Vol.38 No.-

        이 연구는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시험불안 간의 관계, 성별과 계열에 따른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시험불안에서의 차이를 살펴보고, 성별, 계열, 학업적 자기효능감이 시험불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이를 위하여 G광역시 3개 고등학교 2학년 학생 551명을 대상으로 지필식 질문지를 실시하였다. 변인들 간의 관계를 검증하기 위하여 상관분석, 독립표본 t검증,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상관분석 결과 학업적 자기효능감은 시험불안과 부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업적 자기효능감 하위요인인 자신감은 시험불안 하위요인인 걱정과 정서 모두와 유의미한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고, 학업적 자기효능감 하위요인인 자기조절 효능감은 시험불안 하위요인인 걱정과 부적 상관관계를 가졌다. 둘째,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시험불안에서 성별과 계열에 따른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독립표본 t검증을 실시한 결과,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더 높은 과제난이도 선호와 자신감을 보였고, 시험불안 하위요인인 정서는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자연계열의 학생들이 인문계열의 학생들보다 전체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학업적 자기효능감 하위요인인 과제난이도를 더 높게 지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성별과 계열, 학업적 자기효능감이 시험불안에 미치는 영향력을 알기위해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학업적 자기효능감 하위요인인 자신감만이 시험불안 하위요인인 걱정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또한 시험불안 하위요인인 정서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학업적 자기효능감 하위요인인 과제난이도 선호와 자신감이었다. 이 연구의 의의는 첫째, 성별과 계열에 따른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시험불안에서 차이를 발견함으로써 각 집단에 따라 학업적 자기효능감을 증진시키고, 시험불안을 낮추기 위해 상이한 개입방법이 필요할 수 있음을 시사하였다. 둘째, 본 연구에서는 시험불안의 하위요인들과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하위요인들 간의 관련성을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는 점이다. 이를 통해 고등학생의 시험불안 인지적 요인과 정서적 요인에 대처하기 위해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어떤 하위요인에 개입해야 할지를 구체적으로 파악할 수 있었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고등학생의 시험불안을 낮추기 위해 자신감을 높이고, 자신의 실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난이도의 과제를 선택할 수 있도록 격려해줄 필요가 있을 것이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academic self-efficacy and test anxiety with a sample of high school students. Participants completed questionnaires to measure their’ academic self-efficacy and test anxiety level. A total of 515 surveys were analyzed (189 men, 362 women). A correlation analysis, t-test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es were used to analyze date to examine group differences by gender (men vs. women) and major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 vs. sciences and engineering). The results indicated that academic self-efficacy was negatively related to test anxiety.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group differences in academic self-efficacy and test anxiety by gender and major. Specifically, male students reported higher levels of the preference for difficult tasks and self-confidence subfactors of academic self-efficacy than female students did. In addition, students majoring in sciences and engineering reported higher levels of academic self-efficacy and the preference for difficult tasks subfactor than students majoring in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 did. Only the self-confidence subfactor of academic self-efficacy significantly predicted the worry subfactor of test anxiety. Furthermore, the self-confidence and preference for difficult tasks subfactors of academic self-efficacy significantly predicted the emotion subfactor of test anxiety. The implications for teachers, school counselors, and researchers were discussed.

      • KCI등재

        대학생의 진로의사결정유형에 따른 진로장벽 인식, 진로탄력성, 진로준비행동의 차이

        최주영(Choi, Joo Young),정주리(Joeng, Ju Ri) 연세대학교 교육연구소 2020 미래교육학연구 Vol.33 No.1

        이 연구는 대학생들의 진로의사결정유형의 하위유형에 따라 진로장벽 인식, 진로탄력성, 진로준비행동에서 차이가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진행되었다. 자료 수집을 위해 전국의 대학교 3, 4학년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군집분석을 실시한 결과, 진로의사결정유형의 수준에 따라 합리적 집단, 의사결정 어려움 집단, 다중형 의사결정 집단, 의존적 집단으로 분류되었다. 둘째, 군집 집단에 따른 진로장벽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으며, 합리적 집단의 진로장벽이 가장 낮았으며, 다중형 의사결정 집단의 진로장벽이 가장 높았다. 셋째, 군집 집단에 따른 진로탄력성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으며, 다중형 의사결정 집단의 진로탄력성이 가장 높고, 의사결정 어려움 집단의 진로탄력성이 가장 낮았다. 셋째, 진로준비행동의 차이 역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다중형 집단의 진로준비행동 수준이 가장 높았고, 의사결정 어려움 집단의 진로준비행동 수준이 가장 낮았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대학생의 진로의사결정유형을 고려하여 진로탄력성과 진로준비행동을 촉진하고, 인식하고 있는 진로장벽을 극복해나갈 수 있도록 맞춤형 진로지도나 프로그램을 제공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differences in career barriers, career resilience,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by the career decision-making types. For the purpose, a survey was conducted with the juniors and seniors in college. The finding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result of the cluster analysis revealed four different clusters of career decision-making types: Rational type, Difficulty in Decision-making type, Multiple Decision-making type, and Dependent type. Second,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y career decision-making types in perceived career barriers. The levels of perceived career barriers were lowest in the Rational type, and highest in the Multiple Decision-making type. Third,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career resilience. The levels of career resilience were lowest in the Difficulty in Decision-making type, and highest in the Multiple Decision-making type. Forth,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y career decision-making types in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were lowest in the Difficulty in Decision-making type, and the highest in the Multiple Decision-making type. This study shows that it is necessary for university to provide career counseling and career programs in consideration of students’career decision-making types to help them promote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and career resilience and overcome perceived career barriers.

      • KCI등재

        대학생의 사회부과 완벽주의와 취업불안의 관계 : 자기개념 명확성과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의 매개효과

        김더미(Kim, Deo Mi),정주리(Joeng, Ju Ri) 연세대학교 교육연구소 2021 미래교육학연구 Vol.34 No.2

        본 연구는 사회부과 완벽주의, 취업불안, 자기개념 명확성,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 간의 구조적 관계를 살펴보고, 사회부과 완벽주의와 취업불안의 관계에서 자기개념 명확성과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4년제 대학교에 재학 중인 3, 4학년 학생 총 328명(여학생: 246명, 남학생: 82명)을 표집하여, IBM SPSS Statistics 23과 AMOS 23을 활용하여 연구모형을 검증하였다. 그 결과, 사회부과 완벽주의와 취업불안 관계는 자기개념 명확성과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에 의해 다중매개되었다. 사회부과 완벽주의와 취업불안의 관계를 자기개념 명확성,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이 각각 매개할 뿐만 아니라 자기개념 명확성과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의 연속매개효과도 유의하였다. 이는 취업을 준비하는 대학생 중 사회부과 완벽주의가 높은 학생일수록 자기개념 명확성을 낮게 지각하게 되고,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으로 이어져 취업불안을 더 많이 호소할 수 있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의의, 시사점, 제한점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ultiple mediating effects of self-concept clarity and intolerance of uncertainty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and job-seeking anxiety of university students. Questionnaires measuring self-concept clarity, intolerance of uncertainty,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and job-seeking anxiety were completed by 328 junior and senior university students in South Korea. Descriptive statistics and correlational analyses were conducted, followed by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alyses with bootstrapping procedures. The results of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indicated that the multiple mediating effects of self-concept clarity and intolerance of uncertainty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and job-seeking anxiety were significant. Implications for intervention strategies to reduce job-seeking anxiety of university students who have high levels of social socially perfectionism in counseling settings were discussed. The limitations in the current study and recommenda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presented.

      • KCI등재후보

        청소년의 부모-자녀 갈등경험과 공격성의 관계에서 용서의 매개효과 : 부와 모의 차이를 중심으로

        장미주(Miju Jang),정주리(Juri Joeng) 전남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15 교육연구 Vol.38 No.-

        이 연구는 고등학교 남학생들의 부모-자녀 갈등경험과 공격성 간의 관계에서 용서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것이다. 특히 부갈등과 모갈등을 구분하여 부모 성별에 따른 갈등경험과 공격성, 용서와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연구 대상자는 G시 남자고등학교 1학년 9개 학급 271명이었다. 연구결과, 부모-자녀 간 갈등경험과 공격성 간의 관계는 서로 정적인 상관이 있었고, 갈등경험과 용서, 용서와 공격성 간에는 부적인 상관관계가 성립하였다. 용서는 부갈등과 공격성 간의 관계를 완전매개하였고, 모갈등과 공격성 간의 관계는 매개하지 않았다. 이는 아버지와의 갈등수준이 있는 남학생들의 용서수준이 높을수록 공격성이 낮아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비록 모갈등과 공격성 간의 관계에서 용서의 매개효과는 나타나지 않았지만, 부갈등과 모갈등은 높은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나 모갈등이 부갈등을 통해 용서, 공격성과 관련이 있을 수 있음을 시사하였다. 마지막으로 이 연구의 시사점과 제한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mediating effect of forgiveness on the relation between parent-child conflict and aggression with a sample of male high school students. Specifically, parent-child conflict was distinguished on the basis of parent’ gender (father-son conflict and mother-son conflict). Participants were male first-year high school students and asked to complete a survey packet in class. A total of 271 completed surveys were analyzed. Correlation analysis revealed that both father-son conflict and mother-son conflict was positively related to aggression, but negatively related to forgiveness. In addition, forgiveness was negatively associated with aggression.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results indicated that forgiveness fully mediated the relation between father-son conflict and aggression, but did not mediate the relation between mother-son conflict and aggression despite a strong correlation between mother-son conflict and father-son conflict. These results implied that forgiving their parents would assist male high students who experience conflict with father in reducing their aggression. Furthermor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 KCI등재

        미취업 신체 장애인의 장애 정도, 직무기술 효능감, 진로행동의 관계: 사회인지진로이론의 적용

        김도희(Kim, Dohee),정주리(Joeng, Juri) 한국재활심리학회 2021 재활심리연구 Vol.28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인지진로이론을 바탕으로 신체적 장애를 가진 미취업자의 진로 준비 과정을 탐구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장애의 정도가 직무기술에 대한 효능감을 거쳐 진로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이를 위하여 장애인고용 패널조사(Panel Survey of Employment for the Disabled: PSED) 참여자 중에서 지체장애나 뇌병변장애를 가진 만 19세부터 49세 이하의 미취업자 중에서 취업을 희망한다고 응답한 320명의 자료를 분석하였으며, 변인 간 관계를 분석하기 위해 구조방정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장애의 정도가 심할수록 직무기술 효능감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장애의 정도가 진로행동에 미치는 직접효과는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장애의 정도가 직무기술 효능감을 매개로 하여 진로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신체적 장애를 가진 사람들의 진로행동을 촉진하고자 할 때, 이들의 직업적 효능감의 영향을 고려하여 개입하는 것이 보다 효과적일 수 있음을 시사한다고 여겨진다. This study examined the application of social-cognitive career theory(SCCT) to investigate the career preparation process for people with physical disabilities, Specifically, the mediating effect of job self-efficacy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degree of disability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were investigated. This study analyzed the Panel Survey of Employment for the Disabled(PSED) data set gathered from 320 unemployed individuals with physical disabilities, aged 19 to 49 years, who were currently looking for a job.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SEM), the results indicated that degree of disability was significantly and negatively associated with levels of job self-efficacy, but had no direct impact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In addition, the relationships between degree of disability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were fully mediated by job self-efficacy. These results suggest that it is important to consider levels of job self-efficacy in facilitating the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for people with physical disabilit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