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Korean Elementary School Learners L2 Motivational Self System and the Moderating Effects of Gender and Grade Differences

        Jung, Yoon-ju(정윤주) 언어과학회 2015 언어과학연구 Vol.0 No.74

        This article aims to explore the impact that the relationships among the eight motivational factors associated with Taguchi, Magid, and Papi`s(2009) adaptation of the L2 Motivational Self System (criterion measures, ideal L2 self, ought-to L2 self, attitudes to learning English, attitudes to L2 culture and community, instrumentality-promotion, instrumentality-prevention, and family influence) have on the second language learning motivation of Korean elementary school learners (KESL). Moreover, it sought to examine whether the students` gender and grade moderated the relationships among these factors. Methodologically, this paper employ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alysis of the data obtained from 845 Korean students in the fourth, fifth, and sixth grades. The study`s results revealed that: 1) ideal L2 self had the most bearing on the learners` motivation, 2) attitude to learning English was a significant predictor for L2 learning motivation, 3) gender did not have any substantial bearing on the L2 Motivational Self System for KESL, while grade had considerable moderating effects, and 4) ideal L2 self was significantly more strongly associated with criterion measures for fourth graders than it was for sixth graders.

      • 주택관리사의 역할스트레스와 심리적 소진 간의 관계에서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

        정윤주 ( Jung Yoon Ju ),김분자 ( Kim Bun Ja ) 한국사회복지경영학회 2019 사회복지경영연구 Vol.6 No.2

        본 연구는 공동주택 관리책임자인 주택관리사의 역할스트레스가 심리적 소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함으로써, 주택관리사의 심리·사회적 분야의 학문적, 실무적 시사점을 도출하는데 연구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하여 두 가지 문제를 연구주제로 설정하였다. 첫째, 주택관리사의 역할스트레스가 심리적 소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한다. 둘째, 주택관리사의 역할스트레스가 회복탄력성을 매개로 심리적 소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한다. 본 연구의 설문대상자는 「공동주택관리법」제2조 1항 2호의 의무관리대상 공동주택에 해당되어 법정단체인 대한주택관리사협회 전국 지회에 배치 신고하여 근무하고 있는 주택관리사 514명이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주택관리사의 역할스트레스는 심리적 소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주택관리사의 회복탄력성은 심리적 소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주택관리사의 회복탄력성은 역할스트레스와 심리적 소진에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는 주택관리사의 역할스트레스와 심리적 소진을 감소시키는데 회복탄력성이 중요한 변인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한연구의 한계 및 제언으로는 연구방법에 대한 한계점이다. 본 연구에서는 구조화된 설문지를 통하여 연구를 실시하였으며, 면담이나 심층 인터뷰를 통한 다양한 내용을 제시하지 못했다. 따라서 후속연구에서는 질적 연구와 병행하여 보다 심층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rive academic and practical implications of the psychological and social domains of housing management by analyzing the effects of the role stress of housing management manager on psychological burnout and verifying the mediating effect of resilience. For this purpose, second issues were set up as research subjects. The first issue is to confirm the effect of the role stress of the housing manager on psychological burnout. The second one is to verify the effect of the role stress of the housing manager on psychological burnout through the medium of resilience. The subjects of the study are 514 housing managers who are assigned and work at the National Branch of the Korea Housing Management Association, which is a legal organization and corresponds to the apartment houses subject to compulsory management in Article 2 of the Joint Housing Management Act.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role stress of the housing manager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psychological burnout. Second, the role stress of the housing manager had a important effect on resilience. Third, it was confirmed that the resilience of the housing manager had a mediating effect on role stress and psychological burnout.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 that resilience is important variables in reducing the role stress and psychological burnout of housing managers. The limitations and suggestion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The study has limits in research methods. The study was conducted through structured questionnaire and did not provide various contents through interviews including in-depth interviews. Therefore, the subsequent studies will require more in-depth research in parallel with qualitative research.

      • 유아교사의 일터영성이 사회적지지를 매개로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에 관련된 연구

        정윤주 ( Jung Yoon Ju ),채경아 ( Chea Kyoung Ah ) 한국사회복지경영학회 2019 사회복지경영연구 Vol.6 No.2

        본 연구는 유아 교육기관 교사의 일터영성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사회적지지를 매개로 검증함으로써, 유아교사의 일터영성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유아교사의 사회적지지를 통해 심리적인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실증적· 이론적· 정책적인 함의를 도출하는데 연구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하여 두 가지 문제를 연구주제로 설정하였다. 첫째, 유아교사의 일터영성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한다. 둘째, 유아교사의 일터영성이 사회적지지를 매개로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한다. 연구의 대상은 서울, 경기, 인천지역에 소재하고 있는 유아교육 기관에서 근무하는 교사 502명이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일터영성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가설검증에 대한 분석결과, 일터영성은 심리적 안녕감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일터영성이 사회적지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가설검증결과, 일터영성은 사회적지지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사회적지지가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력 검증결과, 사회적지지는 심리적 안녕감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일터영성과 심리적 안녕감과의 관계에서 사회적지지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일터영성은 사회적지지를 매개하여 심리적 안녕감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와 같이 유아교사의 일터영성에 사회적지지가 심리적 안녕감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변인임을 확인하였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한 연구의 의의는 유아교사의 일터영성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내재 적동기와 사회적지지를 통하여 규명해 보았다는 것이다. 또한 제언점으로는 연구방법에 있어서 표집 집단이 넓지 못하고 연구의 설문이 객관적이고 정확한지에 대한 한계가 있다. 그러므로 후속 연구에서는 더욱 심층적인 분석을 위해 유아교사의 직무에 맞는 척도를 개발하여 평가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derive empirical, theoretical and policy implications to recognize the importance of workplace spirituality of infant teachers and to recognize the impact of workplace spirituality on psychological well-being through social support of teachers by analyzing the effect of workplace spirituality of infant education institutions. For this purpose, two issues were set as research subjects. First, check the effect of infant teacher workplace spirituality on psychological well-being. Second, check the effect of workplace spirituality of infant teachers on psychological well-being by medium of social support. Subject to the study are 502 teachers working at child education institutes based in Seoul, Gyeonggi Province and Incheon,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analysis of hypothesis verification on the effect of workplace spirituality on psychological well-being has shown that workplace spirituality has a significant effect on psychological well-being. Second, the hypothesis test on the effect of workplace spirituality on social support showed that workplace spirituality had a significant effect on social support. Third, as a result of verification of the influence of social support on psychological well-being, social support has shown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psychological well-being. Fourth, verifying the mediated effect of social suppor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place spirituality and psychological well-being, it was found that workplace spirituality had a significant effect on psychological well-being by mediating social support. As the results of the above study show, social support for workplace spirituality of infant teachers is an important variable that affects psychological well-being. The significance of the study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was that the workplace nature of the infant teacher was identified through social support as a variable affecting the psychological euphoria. Also, as a suggestion, the collection group is not broad in the research method and there is a limit to the objective and correctness of the investigation. Thus, in further studies, it will be necessary to develop and evaluate measures suitable for the job of an infant teacher for further analysis.

      • 중년기 여성의 자원봉사활동과 심리적 안녕감 간의 관계: 자아실현, 우울감의 매개효과

        정윤주 ( Jung Yoon Ju ),김금자 ( Kim Gum Ja ) 한국사회복지경영학회 2021 사회복지경영연구 Vol.8 No.1

        본 연구는 중년기 여성의 자원봉사활동과 심리적 안녕감과의 사이에서 자아실현과 우울감의 매개효과를 밝히고 이를 통해 중년기 여성의 심리적 안녕감을 높일 수 있는 대안을 모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년기 여성의 자원봉사활동과 심리적 안녕감 간의 관계에서 자원봉사활동이 심리적 안녕감에 영향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중년기 여성의 자원봉사활동이 자아실현과 우울감에 미치는 영향관계에서 자원봉사 하위요인이 자아실현과 우울감 모두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중년기 여성의 자아실현과 우울감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효과 검증에서는 모두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사실이 확인되었다. 넷째, 중년기 여성의 자원봉사활동과 심리적 안녕감 간의 관계에서 자아실현, 우울감은 매개효과가 있다는 사실이 확인되었고, 자원봉사활동이 심리적 안녕감의 증진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중년기 여성이 자원봉사활동을 통해 심리적 안녕감을 지니며, 자원 봉사 하위요인과 자아실현이 심리적 안녕감을 촉진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eal the mediating effect of self-actualization and depression between volunteer activities and psychological well-being of middle-aged women, and to seek alternatives to increase the psychological well-being of middle-aged wome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volunteer activity and psychological well-being of middle-aged women, volunteer activity was found to have an effect on psychological well-being. Secon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iddle-aged women's volunteer activity on self-actualization and depress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sub-factor of volunteering had an effect on both self-actualization and depression. Third, it was confirmed that both self-actualization and depression in middle-aged women had an effect on psychological well-being. Fourth, it was confirmed that self-actualization and depression had mediating effect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volunteer activity and psychological well-being of middle-aged women, and it was found that volunteer activity also had an effect on the improvement of psychological well-being. In this study, it was confirmed that middle-aged women have a sense of psychological well-being through volunteer activities, and that sub-factors of volunteering and self-actualization promote psychological well-being.

      • KCI등재

        중년기 여성의 위기감이 심리사회성숙성에 미치는 영향연구

        정윤주 ( Jung¸ Yoon Ju )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 2021 정서ㆍ행동장애연구 Vol.37 No.3

        본 연구는 개인과 사회에서 중요하게 작용되는 중년기 여성 위기감이 심리사회성숙성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검증하기 위해 인천과 경기도, 서울에 거주하고 있는 중년기 여성 40~60세를 대상으로 설문지를 배부하였으며, 최종적으로 507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AMOS 22.0와 SPSS 22.0을 활용하여 위계적 회귀분석, 상관분석, 기술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중년기 위기감 인식은 평균 값이 2.79(SD=0.51)으로 나타났으며, 심리사회성숙성 인식은 전체 평균이 3.32(SD=0.45)으로 나타났다. 둘째, 중년기 여성의 위기감과 심리사회성숙성과의 상관관계는 부(-)적인 관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중년기 위기감이 높을수록 심리사회성숙성에 대한 인식수준이 상대적으로 낮아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셋째, 중년기위기감 하위요인 중, 생의 불만족도, 자녀관계 불만족도, 활력상실감, 결혼 불만족도에 대해서는 유의미한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론은, 중년기 여성은 심리사회 성숙성을 통해서 자신의 삶의 과정에 나타날 수 있는 위기감에 대한 대처능력을 끌어올릴 수 있다. 또한, 개인의 인생 주기 발달과정에서도 중년기에 자기능력을 함양시킬 수 있다. 본 연구의 의의는, 중년기 여성의 삶의 질을 높이고, 성숙성을 높이는데 필요한 구체적인 적용과 성과로 이어지는 토대를 마련하는 데 있다.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influence of middle-aged women’s crisis that plays an important role in individuals and society on their psychosocial maturity. To verify this,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middle-aged women aged 40 to 60 living in Incheon, Gyeonggi, and Seoul, and finally 507 copies were used for the analysis. Hierarchical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on the collected data were conducted using SPSS 22.0 and AMOS 22.0.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average value of mid-life crisis was 2.79 (SD=0.51), and the average value of psychosocial maturity was 3.32 (SD=0.45). Second, the mid-life crisis ha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psychosocial maturity, which means that the higher mid-life crisis, the lower the level of recognition on psychosocial maturity relatively. Third, the middle-aged women’s crisis had a significantly negative(-) influence on dissatisfaction about life, dissatisfaction about relationship with their children, loss of vitality, and dissatisfaction about their marital life among the sub factors of mid-life crisis. This study concludes that middle-aged women could develop their ability to cope with a sense of crisis that may occur in their lives through psychosocial maturity, and that they could cultivate self-control capability in the middle years of their lives during the development of life cycle. It has a significance in that it laid the groundwork for specific applications and achievements needed for improvement in middle-aged women's quality of life and maturity.

      • 보육교사의 인성과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교사 효능감의 매개효과

        정윤주 ( Jung Yoon Ju ),염은하 ( Yeom Eun Ha ) 한국사회복지경영학회 2021 사회복지경영연구 Vol.8 No.1

        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인성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교사 효능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함으로써, 보육교사의 심리적 안녕감에 관하여 학계에 유용한 정보 제공을 할 수 있다. 또한 보육교사의 심리적 안녕감을 높일 수 있는 방법으로 현장에 적용하고 실천적인 가능성을 높이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네가지 연구문제를 선정하였다. 첫째, 보육교사의 인성은, 심리적 안녕감에 대해서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한다. 둘째, 보육교사의 교사 효능감은 심리적 안녕에 대해서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한다. 셋째, 보육교사의 인성과 심리적 안녕감 사이에서 교사효능감이 어떠한 매개효과를 나타내는지 확인한다. 넷째, 인구사회학적 특성, 변인에 따라 보육교사의 인성인식, 교사 효능감, 심리적 안녕감은 어떤 차이가 있는지 확인한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보육교사의 인성은 심리적안녕감에 정적인 영향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하위영역 중 도덕성, 사회성, 소명의식에 대해서 유익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보육교사의 교사 효능감은 심리적 안녕감에 영향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하위영역 중 학생참여 의식이 상대적으로 높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보육교사의 인성이 교사 효능감을 매개하여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간접효과는 유의미하게 나타났으며, 보육교사의 인성 수준이 심리적안녕감에 미치는 직접효과 또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넷째, 인구학적 특성에 따라 인성과 교사 효능감, 그리고 심리적안녕감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이상의 연구결과는 보육교사인성이 심리적 안녕감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변인인 것이 검증되었으며, 영·유아교사의 인성은 교사 효능감에 직접 영향을 주기도 하고 교사 효능감을 매개로 보육교사의 심리적 안녕감에 영향을 주는 구조를 가지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useful information to the academic world with the psychological well-being of child care teachers by analyzing the effect of the personality of child care teachers on psychological well-being and verifying the mediating effect of teacher efficacy. It is also aimed at applying it to the site and enhancing practical possibilities in a way that can enhance the psychological well-being of child care teachers. Four research questions were selected for this purpose. Research Question 1. How does the character of a child care teacher affect psychological well-being? Research question 2. How does the teacher's efficacy of child care teachers have an effect on the psychological well-being? Research question 3. What mediating effect does the teacher's efficacy represent between the personality and psychological well-being of the child care teachers? Research question 4. What are the differences in the personality cognizance, teacher efficacy and psychological well-being of child care teachers depending on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variables? The survey subjects of this study are child care teachers who working in field of the day care centers. Including preliminary surveys, 600 copies of survey were distributed to the study participants and were collected 588 by subjects and recovery rate is 98%. The final 573 copies of the survey were used as statistical analysis data for the study, excluding 15 questionnaires that were deemed insincerity or inappropriate for research purpose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in a way of structural equation using the SPSS 26.0 Statistical Program and AMOS 24.0, and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personality of a child care teacher was found to have a static influence on psychological well-being, and to have a beneficial effect on morality, sociality, and sense of calling in the sub-areas. Second, the teacher's sense of efficacy of child care teachers has been shown to have an effect on psychological well-being, and one of the lower areas, the consciousness of students' participation has a relatively high impact. Third, the indirect effect of the character of a child care teacher on the recognition of psychological well-being by mediating efficacy in teaching was meaningful, and the direct effect of the level of child care teachers' personalities on psychological well-being was also significant in the statistics. Fourth, personality, teacher efficacy, and psychological well-being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depending on demographic characteristics. The above findings confirm that child care teacher's personality is an important variable that directly affects psychological well-being, and it can be seen that infant care teacher's personality influences the teacher’s sense of efficacy at firsthand and has a structure by mediating teacher's efficacy that affects to the child care teacher's psychological well-being. In addition, the influence of each sub-factors was verified by analyzing the path between the personality, teacher efficacy, and psychological well-being of child care teachers, and it is meaningful to provide basic data on psychological well-being to prospective or incumbent child care teachers in the future.

      • KCI등재

        허브추출물의 항균 작용

        유미영(Mi-Young Yoo),정윤주(Yoon-Ju Jung),양지영(Ji-Young Yang)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05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34 No.8

        아로마테라피에도 널리 이용되는 라벤더, 패츌리, 로즈마리, 유칼립투스 등의 허브를 이용하여 식품의 천연보존제로서의 항균활성의 특성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프랑스산 로즈마리추출물의 경우 C. albicans ATCC 10231에 대한 MIC는 29.1 ㎎/mL로 나타났으며 B. subtilis ATCC 6613과 E. coli ATCC 25922에 대한 MIC는 14.5 ㎎/mL로 나타났다. 프랑스산 로즈마리와 미국산 라벤더의 추출물은 40에서 121℃ 범위에서 열 안정성을 나타냈으며 pH 안정성 실험에서는 중성에 좋은 안정성을 나타내었다. 액체 배양시 프랑스산 로즈마리와 미국산 라벤더의 추출액을 첨가하여 피검균의 생육억제 실험을 행한 결과 액체배지 20 mL에 대해 2.9 ㎎의 허브추출물를 첨가한 경우에 생육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antimicrobial activity of four herb extracts from lavender, patchouli, rosemary and eucalyptus possibly used as food preservatives. 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 of France rosemary extracts was 29.1 ㎎/mL against C. albicans ATCC 10231 and 14.5 ㎎/mL against B. subtilis ATCC 6613 and E. coli ATCC 25922. Both of France rosemary and American lavender herbal extracts were thermally stable between 40℃ and 121℃ and were stable at only neutral pH. Microbial growth was repressed by adding 2.9 ㎎ of a commercial herbal extracts in 20 mL liquid medium with France rosemary extracts and American lavender extracts.

      • 노인의 여가활동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자아통합, 우울의 매개효과-

        김인숙 ( Kim In Sook ),정윤주 ( Jung Yoon Ju ) 한국사회복지경영학회 2023 사회복지경영연구 Vol.10 No.1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노인의 여가활동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에서 여가활동은 삶의 질에 유의한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노인의 여가활동이 자아통합과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서 여가활동은 자아통합에 유의한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우울에서는 유의한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노인의 자아통합과 우울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아통합은 삶의 질에 유의한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우울은 삶의 질에 유의한 정적·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노인의 여가활동과 삶의 질의 관계에서 자아통합과 우울은 매개 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해 검증된 결과는 노인의 삶의 질을 높이는 데 노력하고 있는 실천 현장에서 노인의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법으로 노인의 여가활동과 자아통합을 증진 시키고 우울을 낮추기 위한 방법을 모색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n the effect of leisure activities on the quality of life of the elderly, it was found that leisure activities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the quality of life. Second, in the effect of leisure activities on self-integration and depression of the elderly, leisure activities were found to have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self-integration and a significant negative effect on depression. Third, in the effect of self-integration and depression on the quality of life in the elderly, self-integration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the quality of life, and depression had a significant positive and negative effect on the quality of life. appear. Fourth, it was confirmed that self-integration and depression had a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leisure activities and quality of life of the elderly. The results verified through the above research results are ways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of the elderly in the practice field where efforts are being made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of the elderly, and to promote leisure activities and self-integration of the elderly and reduce depression It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searching for

      • KCI등재
      • KCI등재

        고전압 펄스 전기장 기술을 이용한 차가버섯 추출물의 피부 효능 증대 방법

        성미경 ( Mi Kyung Sung ),강정욱 ( Jung Wook Kang ),정윤주 ( Yoon Ju Jeong ),김봉준 ( Bong Jun Kim ),조항의 ( Hang Eui Cho ),조현대 ( Hyun Dae Cho ) 대한화장품학회 2020 대한화장품학회지 Vol.46 No.3

        본 연구에서는 고전압 펄스 전기장 기술을 사용하여 식물 내 유효성분과 피부 효능을 증대시키고자 하였다. 고전압 펄스 전기장을 전처리한 차가 버섯(Inonotus obliquus) 추출물을 제조한 후, 성분 측정과 피부 효능 평가를 수행하였다. 총 당과 폴리페놀 함량은 0.5 kV/cm에서 50 Hz, 25 Hz 전처리 추출물 순으로, 총 단백질 함량은 0.5 kV/cm, 25 Hz 전처리 추출물에서 상온 물 추출물과 에탄올 추출물보다 높게 측정되었다. DPPH 소거능 효과는 폴리페놀 함량 결과와 유사하게 0.5 kV/cm에서 25 Hz, 50 Hz의 전처리 추출물에서 가장 우수하였다. 피부 효능에서는 단백질 함량이 가장 높은 0.5 kV/cm, 25 Hz 전처리 추출물에서 sodium dodecyl sulfate (SDS)와 UVB에 대한 세포 보호효과가 가장 우수하였으며, 0.5k V/cm에서 50 Hz, 100 Hz 전처리 추출물에서 히알루론산 생성 촉진이 가장 우수하였다. 따라서 고전압 펄스 전기장 전처리 차가 추출물의 유효성분, 피부 효능이 증대하는 것을 확인하여 세포 보호 및 보습 효과가 있는 기능성 소재로의 개발이 가능하며, 이러한 green technology가 화장품 분야와 소재개발에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In this study in order to develop new approaches we investigated using high voltage pulsed electric fields (PEF) technology to reduce the risks, protect the phyto-constituents and improve skin biological activities. After preparing a Chaga mushroom (Inonotus obliquus) extracts pretreated with PEF, components measurement and skin efficacy evaluation were performed. As a result of the content measurement, the content of polysaccharide and polyphenol were higher in the order of extracts treated with 50 Hz and 25 Hz at 0.5 kV/cm, and the content of protein was the highest in extracts treated with 25 Hz at 0.5k V/cm. Similar to the results of the polyphenol measurements, extracts treated with 25 Hz and 50 Hz at 0.5 kV/cm showed leading DPPH scavenging ability. The cell protection effect against sodium dodecyl sulfate (SDS) and UVB was finest in extracts treated with 25 Hz at 0.5 kV/cm, which had the highest protein content. And the hyaluronic acid synthesis was leading in extracts treated with 50 Hz and 100 Hz at 0.5 kV/cm. Therefore, the active ingredient of the high-voltage PEF pre-treatment Chaga mushroom extract can be developed as a functional material with cell protection and moisturizing effect, and such green technology is expected to be used in various fields of cosmetics and material develop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