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LPS로 유도된 치주질환에 홍화씨 메탄올 추출물의 효과 : Effect of Methanol Extract from Safflower Seed on Periodontal Disease Induced by LPS

        정유란 원광대학교 2015 국내석사

        RANK : 1855

        치주염은 치조골과 치주결합조직을 파괴 시킬 수 있는 염증성 질환이다. 최근에는 치주염과 관련된 천연 물질의 효과는 항염증 환경으로 유도 될 수 있다고 제안되었다. 하지만 천연 물질인 홍화씨 추출물 (SAF-M) 과 치주질환의 관계는 아직 연구된 바가 없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치주질환에서 SAF-M의 항염증 효과를 평가하는 것이다. hGF와 hPDL 세포를 이용하여 MTS분석을 통하여 세포독성 평가를 하였다. 치주질환은 실험쥐의 양쪽 상악 대구치의 치은 조직에 LPS를 주입하여 유발 시켰다 (일주일에 3번 3주동안 15ug의 LPS). SAF-M은 체중에 따라 매일 구강을 통해 30, 100 mg/kg씩 투여 하였다. Micro-ct를 이용하여 LPS로 인해 발생된 치주질환으로 인한 치조골 흡수의 진행 및 SAF-M 투여로 인한 치조골 손실의 회복을 평가 하였다. SAF-M의 세포 독성은 hGF 세포에서는 5mg/ml에서 나타났다. 또한 hPDL세포에서는 1mg/ml 의 농도에서 세포독성이 나타났다. in vivo 실험에서 SAF-M의 투여는 LPS로 인한 치조골 손실을 상당히 감소시켰다. 더불어 치조골의 회복 효과를 관찰 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SAF-M은 치주질환과 같은 염증성 골 흡수의 병소의 진행 완화와 회복에 잠재적인 치료제가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 보육환경이 시설장의 직무만족과 소진에 미치는 영향

        정유란 백석대학교 2008 국내박사

        RANK : 1855

        Over the past few years, with the increase of child care institutions, the demand on the qualitative child care environment has also increased. This study is focused on how to effectively support the directors of the child care institutions, who are critical resources to upgrade their qualitative service, by reviewing the factors effecting their job satisfaction and burnout at work. The subjects of this research are 345 directors of child care institutions in Seoul metropolitan area and Chungchung province and they are questioned on the perception of the child care environment, job satisfaction and burn-out. SPSS Win 14.0 was used for data analysis and Cronbach's α was used for the consistency test. Frequency analysis was used for the characteristics of recipients and their institutions. Also, the child care environment at work and job satisfaction and the degree of the burn-out were analyzed using average and standard deviation. t test and f test were used to study how the groups are different in the child care environment, job satisfaction and the burnout. Scheffe test was used for post-hoc analysis. To study child care environment's influence on the job satisfaction and burn-out, dummy variables were created and then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Hierarchical multivariate regression analysis, used for the categorical variables. This research can be summarized as below; First, the study on how differently each group perceives job satisfaction in general shows that career, monthly salary, working hours, and the size of the institution are the influential factors to the job satisfaction of the directions. Burnout is more perceived from directors with more experienced, more salary, more working hours, and working at a larger institutions. And more from single directors than married directors. Second, the financial factor has the greatest influence on job satisfaction of directors, which is followed by home background, leadership, facility, and the specialty of teachers. Meanwhile, the sub factors are job itself, work environment, human relationship and compensation. Among environmental factors, finance is the most influential in the job itself, followed by home background and facility. And then, the work environment is affected most by directors' leadership, and then finance and the child care policy. Human relationship is also affected by owners' leadership, and then facility, home background, the specialty of teachers and health. Lastly, the biggest influence of child care environment on compensation is finance, followed by security. As a result, finance has great influence on the job satisfaction of the directors. Third, home background is the strongest factor causing directors' burn-out, followed by the specialty of teachers, finance, the specialty of directors and the qualification of teachers. Meanwhile, the sub factors of burn-out are emotional exhaustion, low job satisfaction and depersonalization. Among those factors, emotional exhaustion is affected by home background and finance; low job satisfaction is affected by finance, directors' leadership, family background, community and teachers' specialty; Lastly, depersonalization is affected by directors' specialty, teachers' specialty, finance, home background, director's leadership and their health. 최근 몇 년간 보육시설의 획기적인 증가로 질적 보육환경에 대한 욕구도 늘어나게 되었다. 이에 본 연구는 보육시설의 질적 서비스 수준을 높이는데 중요한 인적요인인 시설장의 직무만족과 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살펴봄으로써 시설장들의 직무수행을 효과적으로 지원할 수 있는 방안을 연구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서울과 수도권 및 충청도에 소재한 보육시설의 시설장 345명을 대상으로 시설장이 인식하는 보육환경과 직무만족 그리고 소진에 대한 내용으로 구성된 질문지를 연구 도구로 적용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 분석은 SPSS WIN 14.0 프로그램을 적용하였으며 질문지의 신뢰도를 검증하기 위해 Cronbach's α 계수를 통해 문항 간 내적 일관성의 정도를 측정하였다. 응답자의 개인적 특성과 기관 환경적 특성을 조사하기 위해 빈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보육현장에서의 보육환경과 직무만족도, 그리고 소진정도를 단순기술통계치인 평균과 표준편차로 분석하였다. 시설장이 인식하는 보육환경, 직무만족도·소진에 대한 집단 간 차이를 알아 보기위해 t검정·f검정을 실시하였고 사후검증을 알아보기 위해서 scheffe검증을 실시하였다. 시설장의 직무만족과 소진에 대한 보육환경의 영향력을 살펴보기 위해 범주형 변인들에 대해서는 더미(Dummy) 변수화한 후 위계동시투입방식의 중다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밝혀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직무만족 전반에 걸친 집단 간의 인식차이를 살펴본 결과 경력, 월수입, 근무시간, 규모에 따른 변인이 시설장들의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침을 알 수 있으며 소진에 대한 인식차이는 경력이 많을수록 월수입이 대체로 높을수록 근무시간이 적을수록 보육시설의 규모가 대체로 클수록 소진을 더 많이 받는 것으로 드러났다. 그리고 결혼여부에서는 기혼보다 미혼이 더 많은 소진을 인식하고 있었다. 둘째, 보육환경이 시설장들의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은 재정변인이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다음으로 가정, 리더십, 시설환경, 교사전문성 순으로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한편 직무만족의 하위변인으로는 직무자체, 근무환경, 인간관계, 보수를 들 수 있는데 보육환경이 직무자체에 미치는 영향은 재정, 가정환경, 시설환경 순으로 직무자체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근무환경에 미치는 영향은 시설장의 리더십, 재정, 보육정책 순으로 영향을 미쳤으며 인간관계에서는 시설장의 리더십, 시설환경, 가정환경, 교사전문성, 건강 순으로 영향을 미쳤다. 그리고 보육환경이 보수에 미치는 영향 변인으로는 재정, 안전 순으로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재정은 시설장의 직무만족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보육환경이 시설장의 소진에 미치는 영향은 가정환경, 교사전문성, 재정, 시설장의 전문성, 교사자질 순으로 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소진의 하위변인으로 정서적 고갈, 성취감저하, 비인격화 중에서 정서적 고갈에 미치는 영향으로는 가정환경, 재정이, 성취감저하에 미치는 변인은 재정, 시설장의 리더십, 가정환경, 지역사회환경, 교사전문성이었다. 마지막으로 비인격화에서는 시설장의 전문성, 교사전문성, 재정, 가정환경, 시설장의 리더십, 건강 순으로 보육환경이 시설장의 비인격화에 영향을 미침으로 밝혀졌다.

      • 조현병 환자의 내재화된 낙인과 관련된 요인

        정유란 전남대학교 일반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1855

        연구목적: 조현병에 대한 사회 문화적 편견으로 인한 낙인 현상은 질병의 조기 발견과 치료를 지연시켜 회복에 지장을 초래한다. 본 연구는 조현병 환자의 내재화된 낙인과 관련 요인을 분석하여 낙인 극복에 도움을 주고자 시행하였다. 연구 대상 및 방법: 조현병으로 치료받고 있는 국립나주병원(57명), 전남대학교 병원(48명), 광주북구정신건강증진센터(18명)에서 치료중인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총 대상군은 123명이었다. 자료의 수집은 의무기록지 검토 및 설문을 통한 정보 수집으로 연구자가 직접 피검자에게 조사를 시행하였다. 양성 및 음성증상 증후군 척도(Positive and Negative Syndrome Scale, PANSS), 한국판 정신질환의 내재화된 낙인 척도(Korean Version of Internalized Stigma of Mental Illness Scale, K-ISMI), Beck 우울 척도(Beck Depression Inventory, BDI), Beck 무망감 척도-7(Beck Hopelessness Scale-7, BHS-7), Rosenberg 자아존중감 척도(Rosenberg Self Esteem Scale, SES), EuroQoL-5D 시각아날로그 척도(EuroQoL-5-dimensions visual analog scale, EQ-VAS)를 평가하였다. 결과: K-ISMI의 총점 및 세부척도 점수는 연령 및 유병기간을 통제하고 SES 점수 및 EQ-VAS 점수와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를, BDI 및 BHS-7 점수와는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과거 자살 시도 유무에 따른 K-ISMI 총점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K-ISMI 세부 항목 중, 소외 및 고정관념 인정 영역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결론: 조현병 환자의 내재화된 낙인은 낮은 자아존중감 및 삶의 질, 높은 우울 및 무망감, 높은 정신병리의 심각도와 관련이 있었고, 과거 자살 시도 군에서 내재화된 낙인의 수준이 유의하게 높았다.

      • 한국 노인복지 정책의 현황과 발전 방안

        정유란 명지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1855

        우리나라는 급속한 고령화로 접어들면서 노인이 직면하고 있는 사회적인 문제가 매우 다양하게 나타나고 있다. 또한 고도의 경제성장과 생활수준의 향상, 의료기술의 발달로 평균수명이 해마다 연장되어 2000년대에는 남녀 평균수명이 75.9세에 이르고 있으며 전체 인구에서 노인인구가 차지하는 비율은 7,9%에 이르고 있다. 노인들의 기본욕구는 소득, 보건, 주택, 여가 등에 관한 것으로 노후에 경제적 안정을 누리며 일하면서 소득을 유지하며, 의료보장으로 건강한 노후를 보낼 수 있으며 가족관계가 인정되고 자기발전을 기하면서 삶의 보람을 찾는 것이다. 그러나 현재 노인복지 행정체제로는 이렇게 분출하는 다양한 복지욕구를 감당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특히 우리나라 노인들의 가장 큰 문제는 소득상실로 인한 경제적 빈곤 문제로써 대다수의 노인들이 생활상의 곤란을 겪고 있다. 1961년 사회부조제도 중 대표적인 생활보호법이 제정됨으로써 제도적인 기틀은 이루었으나 전 국민에 대한 최저생활보장과 자립여건의 조성이라는 생활보호제도 자체의 목적을 이루는 데는 미흡하였다. 한국사회의 노인복지정책은 공적부양보다는 사적부양에만 지나치게 의존하는 정책을 견지함으로써 사회복지분야에서도 낙후되어 있다. 노인문제는 개인의 능력이나 가족만의 문제가 아닌 사회구조적 변화에서 발생된 복합적인 문제이므로 국가의 적극적인 개입에 의한 정책결정이 중요하다. 현행 노인복지정책의 현황과 앞으로 발전방향에 대하여 모색해 보았다. 첫째, 소득보장제도로서 공적부조의 급여의 현실화, 재원의 확충, 저소득층 노인을 위한 소득보장, 연금제, 고령자취업 등에 인간다운 문화생활을 유지할 수 있도록 최저한의 소득을 보장해 주어야 한다. 둘째, 의료보장제도로서 건강보험, 의료보험, 노인건강진단, 노인전문병원 확대, 치매관련시설의 인력 및 재정지원 등으로 노인질환에 대한 사전 예방과 적절한 치료의 체계를 보건, 의료, 복지가 상호 연계된 종합적이 체계망을 구축하여야한다. 셋째, 시설보호와 재가 보호의 병행이 요구된다. 현재까지는 노인복지가 저소득층중심의 시설보호 위주의 사업이었다. 그러나 대다수의 노인들이 시설보다는 가정에서의 보호를 선호하는 경향이 있다. 오늘날 부부중심의 가정화변화로 노인부양이 어렵게 되었으나 노인복지시설의 수를 늘리고 그에 따른 서비스를 중심으로 시설보호정책을 추진함과 동시에 재가서비스에 역점을 두는 정책을 병행해 나아가야 할 것이다. 노인복지 발전계획이 개발 연구되어 보다나은 복지계획이 이루어짐으로써 생활안정기반의 조성, 건강한 노후 생활의 보장, 복지서비스기반의 확충과 더불어 아름다운 노년문화의 형성이 이루어지면 노인복지서비스는 저소득 노인위주의 제한적 보호서비스에서 벗어나 전체노인의 다양한 욕구에 대응하는 보편적 서비스체제로 전환되며 수요자중심의 통합적 보건, 복지서비스가 제공됨으로써 노인들에게 만족스러운 양질의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을 것이다. 더불어 재가복지서비스와 시설보호서비스와의 균형발전이 유도되어 지역사회에서의 보호를 받으면서 생활 할 수 있고 나아가서 양질의 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노인복지 정보망이 구축될 것이다. 이런 노인복지 정책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국가의 정책적인 배려가 우선적으로 이루어져야 하며 나아가서 지역사회, 가족, 개인 등 다양한 차원에서 적정한 역할분담을 모색하는 공동체적인 노력이 절실히 요구된다. 노인생활의 일부만을 충족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생활전체의 욕구를 충족할 수 있는 종합화된 방향으로 물질적 측면과 정신적 측면이 균형 있게 조화를 이룰 수 있는 미래지향적 안목에서 해결됨으로 우리가 지향해야할 노인복지정책이 이루어질 것이다. As our country sets in a rapid aging society, so social problems faced by the aged have arisen in many ways. Also expectancy for the men and women in the 2000s has reached 75.9 age due to high growth of economy, improvement of life standard, development of medical technology, a s a result the aged population accounts for 7.9% of the entire one. The basic needs of the aged concern about income, health, housing and leisure whatever, in other words, they want to keep steady income through work enjoying economic stability, spend the old age in healthy state by health guarantee, maintain stable family relation, pursue self-development and find out life rewards. However, it is difficult to deal with these various welfare desires with current welfare administrative system for the aged. In particular, the biggest problem in our country's aged people is economic poverty due to income loss, therefore, most of the aged suffer from life hardship. As the social mutual aid formulated its institutional framework by with the enactment of representative life protection law in 1961, but it was unsatisfactory to meet the purpose of life protection system, that is, guarantee of minimum life and creation of self-support condition for the entire people. The welfare policy for the aged in Korean society holds on to private mutual aid rather than public mutual aid, so it is backward even in social welfare field. The problem for the aged is complicated one occurring from socio-structural changes, not limited to personal capability or their families, so policy-making by state active intervention. Hereby this study looked into the status of current welfare policy and its future development direction. First, minimum income should be ensured for the aged to maintain human cultural life through actualization of mutual aid benefits, expansion of financial resources, income guarantee of income for the low income aged, pension system, employment of the aged whatever. Second, a composite network interlinked with health, medical care and welfare like prior prevention and proper treatment to the diseases for the aged and should be structured through health insurance, medical insurance, health diagnosis for the aged, enlargement of geriatrics hospitals, manpower and financial assistance to dementia related facilities. Third, care at facilities and home is required altogether. So far welfare for the aged has been focused on the care at the facilities mainly targeted for the low income class. But most aged people tend to prefer care at home to that at facilities. Today couple centered home is prevailing, so supporting the aged gets difficult, but we will have to increase the number of facilities of welfare for the aged and push ahead facilities care policy, and stress care service at home at the same time. If establishment of better welfare plan by the development and research of progress plan of welfare for the aged, formulation of stable life base, guarantee of healthy aging life, expansion of welfare service basis, and beautiful aging culture are realized, then welfare service for the aged will be able to get out of limited care service to low income aged people, change to universal one to provide integrated health, welfare service for actual consumers, and supply quality service for the aged. In addition, it will help balanced development of care at home and facilities, build up the welfare information network, in which they receive care and good quality service in the community. To perform this kind of policy, state policy considerations should be precedented, furthermore, communal efforts for exploring proper role pay are urgent on a various level between community, family and individual. Our future welfare policy for the aged will be realized only by the welfare policy harmonized with material and mental aspects being solved toward satisfying the needs of whole life, not a part of the aged life.

      • 해제 정비구역에서 구역특성이 지가 변동에 미치는 영향 분석

        정유란 서경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1855

        정비사업은 과거 주민들에게 수익성 좋은 사업수단으로 인식되면서 무분별하게 진행되었다. 그러나 최근 부동산 경기 침체로 인해 사업성이 하락하면서 사업이 중단되는 사례까지 발생하고 있다. 이에 정비사업과 관련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서울특별시에서는 「뉴타운·재개발 수습방안」을 통해 실태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지금까지 683개의 구역 중 245개의 뉴타운‧재개발구역이 주민 뜻에 따라 정비(예정)구역이 해제되었다. 정비사업의 추진 및 해제 결정 과정 속에서 기대 혹은 실망으로 지가의 상승 또는 하락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지가 변동은 그 크기가 작더라도 사회‧경제 부문까지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정비사업의 추진 여부 결정 과정 속에서 발생하는 지가 변동은 주목하여야 한다. 그러나 지금까지는 정비구역 지정과 지가 변동에 관한 연구가 주로 진행되어 왔으며 정비구역 해제와 지가 변동에 관한 연구는 사실상 없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지가 변동 요인 중 ‘정비구역 해제’로 인한 지가 변동을 살펴보고, 정비구역 특성이 ‘정비구역 해제’로 인한 지가 변동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특별시 내 정비구역이 해제된 29개 주택재개발정비구역 및 주택재건축정비구역과 각 구역들마다 비교 구역을 선정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또한 본 연구를 위하여 먼저 ‘정비구역 해제’와 같이 어떠한 사건에 따른 지가 변동을 분석한 선행연구를 검토하였다. 다음으로 해제 구역과 비교 구역에 포함된 개별 필지의 단위면적당 공시지가 변동률을 수집하였다. 그리고 이 값들의 평균을 각 구역의 공시지가 변동률이라 하고 ‘정비구역 해제’로 인한 공시지가 변동률을 산정하였다. 이때 ‘정비구역 해제’로 인한 공시지가 변동률은 해제 구역의 공시지가 변동률과 비교 구역의 공시지가 변동률 간의 차이를 말한다. 그 후에 정비구역 특성에 대한 자료를 수집하고 이를 정비구역 특성에 대한 변수로 구성하였다. 마지막으로 상관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종속변수는 ‘정비구역 해제’로 인한 공시지가 변동률로 하고 독립변수는 정비구역 특성으로 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 ‘정비구역 해제’로 인한 공시지가 변동률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필지당평균면적, 국공유지비율, 정비구역지정∼해제기간, 도로비율, 계획건폐율, 사업방식으로 분석되었다. 그리고 미래의 기대 가치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 판단되는 특성들로 인해 정비구역 해제 시 ‘정비구역 해제’로 인한 공시지가 변동률이 하락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반대로 미래에 대한 실망 혹은 우려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 판단되는 특성들로 인해 정비구역 해제 시 ‘정비구역 해제’로 인한 공시지가 변동률이 상승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해제된 정비구역과 향후 해제될 정비구역에 있어 매년 공시되고 있는 공시지가 결정 과정에서 이러한 점을 고려되어야 한다.

      • 폐기물을 활용한 패션잡화 산업의 업사이클 리디자인 연구 : 산업 폐기물 재사용을 중심으로

        정유란 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1855

        현대사회는 무분별한 도시화와 산업화로 인한 각종 산업 폐기물과 일상생활에서 쉽게 버려지는 쓰레기들로 인한 환경오염문제를 야기했고, 이러한 환경문제는 이 사회가 해결해야 할 심각한 과제가 되었다. 환경에 대한 경각심이 커지면서 대부분의 선진 국가에서는 폐기물을 단순한 폐기 의 대상이 아닌 순환과정에 있는 귀중한 자원으로 파악하고 다양한 분야에서 재활 용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패션잡화 산업은 유행이라는 특성상 산업 단계별로 매우 다양한 환경폐해물질들 을 생산해내고 있음은 물론이고 사용하기도 전에 버려지는 폐기물들도 상당히 많은 량을 차지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패션 자원의 합리적인 재사용을 위한 노력과 산업 폐기물의 적극적인 활용의 노력은 매우 미비하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지구환경을 보호하고 패션잡화 산업의 지속가능성 (sustainability)을 실현하기 위하여 활용할 수 있는 자원보호를 위한 여러 가지 방법 중 최근 전 세계적으로 각광 받고 있는 업사이클 리디자인(Upcycle redesign)에 대하여 연구함으로써 자원의 활용도를 효율적으로 높이고 고부가가치 산업으로 발전 가능성 있는 패션잡화 디자인 개발에 참고할 수 있도록 방법적인 사례를 분석하는데 중점을 두었다. 먼저 업사이클 리디자인이 무엇인지 그 정확한 내용을 파악하기 위해 업사이클 리디자인이 탄생하게 된 배경으로 지속가능디자인과 그린디자인의 개념, 역사, 내용 그리고 특성을 파악하고 이로 인한 트렌드와 라이프스타일의 변화를 살펴봄으로써 업사이클 리디자인의 필요성을 인식시키고자 했다. 업사이클 리디자인의 방법으로 본고에서 중점적으로 다뤄질 재사용(Reuse)과 회수 및 재활용을 위한 디자인(DFR, Design for Recovery and Reuse)을 포함해 제품의 라이프사이클에 따른 분류와 실천 방법에 따른 분류로 살펴보았다. 업사이클 리디자인이란 기존의 재활용(recycling)이 자원의 가치를 상실해가며 종국에 쓰레기를 만드는 ‘다운사이클링(downcycling: 가치하향형 재활용)’ 이었다면 미래에는 자원의 가치를 높이는 ‘업사이클링(upcycling: 가치상향형 재활용)’을 통해 물질적 풍요를 누리면서도 환경을 지킬 수 있는 방안이다. 여기에 자원으로써 활용되는 폐기물의 정의와 분류, 소재로써의 특성을 살펴보고 폐기물 소재 사용을 어떻게 극대화시켰는지 그 방법적인 유형과 특성을 해외 패션잡화 브랜드의 성공적인 사례를 바탕으로 업사이클 리디자인 제품의 조형적 요소와 기능적 요소로 나누어 그 중요성을 강조했다. 분석 결과에서 나타난 성공요인과 디자이너를 위한 지속가능성 체크리스트를 바탕으로 지속가능성 체크박스와 키워드를 도출해냄으로써 성공적인 소재와 기술의 활용에 있어 보다 현실적인 개발가능성을 제시하였다. 산업폐기물을 활용한 패션잡화 업사이클 리디자인을 위한 키워드로 첫째는 자원순환과 재활용 재료를 통한 진정성을 갖춘 오리지널리티(Originality), 둘째로 디자이너의 감각과 재료의 특성을 살린 현명한 재조합으로 표현되는 스타일리쉬 (Stylish), 셋째는 전문적인 기술력(Technical), 마지막으로 만드는 과정을 공유하고 생산자의 친환경 메시지의 공유를 통해 신뢰를 쌓아가는 상호소통 (Communication)의 4가지를 제시하였다. 업사이클 리디자인 제품들은 재활용 소재로 만들지만 패션잡화로서의 완벽한 기능을 담은 실용성, 패션으로서의 아름다움, 나눔으로서의 상호소통, 또한 체계적인 생산과 유통 시스템으로 완성되는 전문적이고 계획적인 비즈니스의 균형을 이뤄야 비로소 업사이클 브랜드로 인정받는다. 환경 주제를 필두로 등장하고 소멸하는 국내 패션잡화 브랜드들의 따라 하기식 재활용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패션잡화 산업에 필요한 지속가능성에 대하여 새로운 실천방향을 제시하고자 했다. 앞으로 패션잡화 산업의 미래를 위한 지속적인 관심으로 다각도의 후속 연구가 이루어지길 바란다. Modern society is environmentally polluted from every kind of industrial waste and the detritus of everyday life due to indiscrete urbanization and industrialization, which became a critical task to solve. As the attention on the environment is aroused bigger, most advanced countries do not consider the waste as simple objects to discard but valuable resources in the circulating cycle, and are studying actively on recycling in various fields. Fashion goods industry, owing to the nature of fashion, has a lot of waste even before use not to mention that it produces various environmental waste in every industrial stage. However, efforts for reasonable reuse of these fashion resources and for positive use of industrial waste are insignificant. Therefore, this study is focused to analyze methodological examples to consult in the development of designing fashion goods having potential to develop into high-value industry through upcycle redesign that is in spotlight worldwide among many methods to preserve resources usable to realize sustainability of fashion goods industry and to protect global environment. First of all, to have an accurate understanding of the upcycle redesign, contents and characteristics of sustainable design and green design as the background of the birth of upcycle redesign were discussed, from which the change of the trend and life style were analyzed to emphasize the needs of upcycle redesign. Products were discussed by classification of the life cycle and by the design (DFR, Design for Recovery and Reuse) for reuse, recovery, and recycling which are methods of upcycle redesign to be dealt in priority in this study. Upcycle redesign is the way to enjoy material affluence as well as to conserve the environment through future 'upcycling(value adding recycling)’ that enhance the value of resources, while conventional recycling is the 'downcycling(value reducing recycling)’ that downgrades the value of the resources to waste in the end. Furthermore, waste used as resources was defined, classified; the characteristics of waste as material were mentioned; methodology and properties of the waste material were discussed to see how the use of the waste materials was maximized through the examples of the successes of fashion goods brands abroad. The importance of the upcycle redesign goods was emphasized by the formative elements and functional elements. More practical feasibility in the development was suggested in the successful use of materials and technologies through the deduction of sustainability check boxes and key words based on the sustainability checklists for designers and the success factors generated from the analysis. The four keywords for upcycle redesign of fashion goods using industrial wastes are: firstly 'Originality' that has authenticity through resource recirculation and recycling materials; secondly 'Stylish' expressed as wise recombination featured with designer's sense and material's characteristic; third professionally 'Technical' ; and lastly 'Communication' establishing reliability by sha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and the manufacturer's eco-friendly message. Though upcycle redesign goods are made of recycling materials, they are only recognized as upcycle brand if the professional and deliberate business balance is completed with practicality with perfect function as fashion goods, beauty as fashion, communication as sharing, and systematic production and distribution system. A new direction of practice was suggested on sustainability that is necessary in the fashion goods industry to overcome the limitation of the imitative recycling of domestic fashion goods brands that are coming and going under the topic of environment. Ongoing studies in many aspects are expected with continuous interests for the future of fashion goods industry.

      • 시각문화 미술교육을 적용한 패러디 수업 연구 : 중학교 교과과정을 중심으로

        정유란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1855

        In modern society, obtaining accurate insight in the visual image overflow and helping learner's life by embracing the visual culture are the ultimate goal of VCAE. The advantage of VCAE is to arouse an interest of learner by discussing the visual image which is easily seen in life at art class, and to prevent learner from indiscriminate acceptance of the visual culture phenomen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duce a work of the visual culture by utilizing a parody, which offers the visual literacy and the critical interpretation. Since VCAE puts emphasis on 'coexistence of critique and production', it matches well with the aim of art work class which utilizes a parody. As an interpretation of an original work certainly precedes a parody, learner can be critical of original artwork. In this regard, learner creates a new work by reinterpreting original one with their own point of view. This study suggest VCAE with utilizing a parody ,which makes the learner perceive and critically accept the visual culture, so that they can reinvent it. And the object of VCAE is to improve the learner's quality of life, in addition to capability of the critical acceptance and the visual literacy. A syllabus and the direction of lecture should be determined on the basis of this object. Follow up study needs to investigate in various aspects in an attempt to develop VCAE.

      • 디지털 구강스캐너로 채득한 영상의 정확성 및 재현성 비교 : 협측 브라켓과 교정용 호선의 영향

        정유란 이화여자대학교 임상치의학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1855

        본 연구의 목적은 각 제조사의 디지털 구강스캐너로 획득한 영상을 분석하여 스캐너의 정확성 및 재현성을 3차원적으로 비교하고 협측 브라켓과 교정용 호선의 존재가 3차원 데이터의 정확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평가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 이용한 디지털 구강스캐너는 Zfx Intrascan ®(Zfx-dental, München, Germany), E4D dentist®(E4D Dentist System, D4D Technologies, Richardson, Texas), iTero 1® (Align Technology Inc, Santa Clara, California), Trios® (3shape dental systems, Copenhagen, Denmark) 였으며, Control 모형, BKT 모형(협측 브라켓이 부착된 모형), WBKT모형(협측 브라켓에 교정용 호선이 삽입된 모형)을 각각 5회씩 스캔하였다. 획득한 3차원 영상을 수평적, 수직적으로 평가한 결과, 수평적 계측항목에서 기준값에 대한 최대 오차가 작은 스캐너는 iTero(0.15mm)>Zfx Intrascan(0.21mm)>Trios(0.22mm)>E4D dentist(0.27mm)의 순이었으며 최대 편차가 작은 스캐너는 Trios(0.54mm)> iTero(0.61mm)>Zfx Intrascan(1.86mm)>E4D dentist(3.95mm)의 순이었다. 또한 수직적 계측항목에서 최대 오차가 가장 작은 스캐너는 iTero 1 였으며(0.34mm), 최대편차가 작은 스캐너는 Trios(0.14mm)> iTero 1(0.22mm)> E4D dentist(0.45mm)> Zfx Intrascan(0.67mm)의 순으로 나타났다. 즉, 네 종류의 스캐너 중에서 정확성이 가장 우수한 구강스캐너는 iTero 1 이었으며 재현성이 가장 우수한 구강스캐너는 Trios였다. 또한 협측 브라켓과 교정용 호선의 영향 평가에서 Trios는 9개, iTero 1은 7개, E4D dentist는 5개의 계측항목에서 통계적 유의차를 보였으며 Zfx Intrascan는 통계적 유의차를 보인 계측항목이 없었다. 본 연구의 결과 네 종류의 구강스캐너의 정확성과 재현성은 분명한 차이를 나타내었으며 교정의들은 이를 충분히 고려하여 구강스캐너를 임상에 활용해야 할 것이다. Intraoral scanners will play a pivotal role in digital workflow, and there is high potential for utilization in orthodontic field. The objective of the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accuracy and precision of digital intraoral scanners, and the effects of buccal bracket and orthodontic wire. For this study, three sets of models(Control:without any variable, BKT:with buccal bracket on, WBKT: with orthodontic wire inserted) were scanned with four types of intraoral scanners: Zfx Intrascan ®(Zfx-dental, München, Germany), E4D dentist®(E4D Dentist System, D4D Technologies, Richardson, Texas), iTero 1® (Align Technology Inc, Santa Clara, California), and Trios® (3shape dental systems, Copenhagen, Denmark). The absolute value of the difference from real model measurement were tested with Kruscal-Wallis test to compare the accuracy of 3D image acquired from each models.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3D images with real model measurement, iTero 1 showed the highest accuracy in both horizontal and vertical evaluation criteria.(Maximum error: 0.15mm, 0.34mm, respectively). Trios showed the highst precision(Maximum deviation: 0.54mm, 0.14mm, respectively)in both evaluation criteria. Trios, followed by iTero 1, was the most to be affected by the presence of brackets and wires.(p<0.05) But there was les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BKT and WBKT. Orthodontists should consider that there are differences in accuracy and precision according to scanner typ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