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기획논문> 도봉구 연혁 기록의 비교 검토와 보정(補正)

        정요근 ( Jeong Yokeun ) 덕성여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4 인문과학연구 Vol.19 No.-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다섯 가지 대표적인 도봉구 연혁 기록의 내용을 검토하였는데, 상당히 많은 여러 가지 오류들이 포함되어 있었다. 가장 정확하다고 평가할 수 있는『도봉구지』에서조차도 오류를 발견할 수 있었다. 그 중 가장 심각한 오류는 현 도봉구 지역의 신라~고려시대 연혁 내용이다. 『도봉구지』를 제외한 나머지 자료들은 신라~고려시대 연혁 내용을 완전히 잘못 기록하고 있으므로, 시급한 수정이 요청된다. 두 번째 심각한 오류는 도봉구의 연혁 내용 중에 도봉구로부터 분리된 강북구 지역과 노원구 지역의 연혁 내용이 상당히 많이 섞여 들어가 있다는 점이다. 이것 역시 빠른 시일 내에 바로잡아져야 할 것이다. 세 번째로는 기존의 도봉구 연혁 기록 중 조선 후기와 일제 강점기 부분에 있어서 보완해야 할 점들을 들 수 있다. 특히 현재 도봉구에 존재하고 있는 마을 지명들은 대부분 조선 후기와 일제 강점기로부터 그 실체가 확인되고 있는데, 도봉구의 연혁 기록 중 그 어떤 것도 시대에 따른 마을 지명의 계승과 변천을 상세하게 다루고 있지 않았다. 그러므로 향후 새로운 도봉구 연혁 기록의 편찬 시에는, 이상의 오류들을 포함하여 잘못된 내용들이 반드시 수정 되어야 할 것이다. This article reviewed existing five representative descriptions on Dobong-gu district’s history and compared it with each other, and found out a lot of inaccuracy was contained in these descriptions. Four of them have serious errors on historical facts, moreover even in『Dobong-gu Ji』(Survey of Dobong-gu District), which is evaluated as the most correct description of the five, serious errors were found. Among various errors on historical facts in the five descriptions, the most serious one was the history from Silla to Goryeo period on current Dobong gu district. All descriptions except for『Dobong-gu Ji』 completely misdescribed Silla and Goryeo history of Dobong gu district, so prompt modification of the misdescriptions is requested. Secondly, descriptions on history of Gangbuk-gu district and Nowon-gu district are included in the description on Dobong-gu district history, which should be modified as soon as possible. This confusion must be due to the fact that those two newly organized districts were separated from Dobong-gu district recently in 1980’s and 1990’s, but should be corrected as quickly as possible. Thirdly, description on history of late Joseon and Japanese colonial period should be supplemented in detail. In particular, traditional village names and place names located on current Dobong-gu district mostly appeared in historical records written in late Joseon and Japanese colonial period. However, any description on Dobong-gu district history did not deal with traditional village and place names’ periodic change and succession. Therefore, when newly updated Dobong-gu district history is compiled in near foture, revision of description errors on historical facts, which were pointed out above and etc., must be carried out.

      • KCI등재

        원간섭기 驛 이용수요의 급증과 그 대책

        정요근(Jeong Yo-keun) 고려사학회 2008 한국사학보 Vol.- No.32

        원간섭기 원과의 관계가 밀접해지면서 고려의 역 이용수요는 급증하고 있었다. 이는 고려조정의 역로망 통제력을 약화시키고 驛役 담당층의 역역 이탈을 야기하는 등 역로망의 안정적인 운영에 심각한 장애를 초래하였다. 그러므로 중앙정부에서는 역 이용자들에 대한 효율적 통제와 역역 담당층의 안정적 역역 수행을 위한 여러 조치들을 강구하였다. 역 이용수요를 억제하는 법규를 강화하거나, 按廉使 등 외관의 역 이용자에 대한 감시기능을 확대하기도 하였다. 또한 22역도제로 대표되는 기존의 역로망 운영에도 변화를 수반하여, 館驛使를 대체하는 程驛別監이 각 역도에 파견되었다. 그리고 정역별감의 편성단위나 관할구역은 안렴사의 관할인 5도의 하부로 편제되는 추세에 있었다. 한편 원간섭기 이후 역역 담당인원의 확보방식은 驛丁戶와 驛白丁을 중심으로 한 기존의 역역 담당층 확보방식 대신, 역 외부로부터 새로운 인원을 역역에 투입하는 방식이 적극적으로 추진되었다. 기한부 입역의 인원에서부터 역 인근 거주자, 征東行省 및 賊臣 소속의 인호, 유이민 등까지 다양한 부류에서 역역 담당층이 충원되었다. 또한 국가에서는 그들 중 경제적 기반이 취약한 인원들에 대해 3丁 1戶의 편제를 통하여 경제력을 유지시켜 주었다. 이러한 움직임은 忠烈王~忠宣王 연간부터 나타나기 시작하였고, 恭愍王代에 더욱 확대되었다. The postal station network was seriously destroyed during the Mongol invasions. The central government, instead of restoring the previous regional community of postal station, has decided to appoint exterior people at each postal station in order to re-systemize the nationwide network in late Kory? era. Although the self-sufficient efforts of postal station workers repeatedly continued. the input of exterior workers was still carried out. Especially common peasants and slaves who dwelled surrounding areas of postal stations were predominantly committed to the station work. The central government enforced 'the system of Household Organized with Three Male Adults (samj?ng-ilho, 3丁 1戶)' for the purpose of relieving the incoming poor workers of the stations. On the other hand, the Postal Station Circuit(驛道) came to be placed under the upper unit's direct influence.

      • KCI등재

        고려~조선전기 漕倉의 분포와 입지

        정요근(Jeong, Yokeun) 고려사학회 2014 한국사학보 Vol.- No.57

        본 논문에서는 고려~조선시대 조창의 입지가 가지는 역사적 의미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고려시대에는 한반도 남해안에도 조창을 설치하여 조운의 범위에 포함시켰으나, 조선왕조는 15세기 초반 남해안의 조창을 모두 폐쇄하였다가, 17세기경부터 경상도 남해안에 조창을 재건하였다. 반면 한반도 북쪽의 경우, 고려시대에는 개경 이북에 1곳의 조창만을 두었으나, 조선전기에는 한양 이북에 3곳의 조창을 두었다. 한양으로의 천도는 예성강 수계 지역과 북한강 수계 지역이 조운의 범위에 포함되는 중요한 계기가 되었다. 고려 13조창의 지역별 분포는 고려시대 主縣 중심의 행정단위와 밀접한 관련을 가졌다. 주요 대읍의 관할 범위 내에는 별도의 조창이 설치되는 것이 원칙이었다. 특히 전라도의 주요 대읍은 대부분 해안을 끼고 있어 각 대읍마다 조창이 설치되었다. 개별 조창의 입지에 관해서는, 고려 13조창의 경우, 바닷가 조창은 모두 만의 안쪽 깊숙한 포구에, 지천을 옆에 끼고 야트막한 구릉을 배경으로 하고 있었다. 반면 조선전기의 바닷가 조창은 상대적으로 外海에 가까운 곳에 위치하였다. 조선전기에는 조창의 전체 수효가 감소하여, 조창별 수세 구역이 넓어졌다. 대체로 바닷가 조창의 비중이 줄어들고 강변 조창의 비중이 증가하였다. While Goryeo dynasty managed Granaries for Marine Transportation (GMT) in regions of southern coast of the Korean Peninsula, the government of early Joseon dynasty abolished GMTs located on the southern coast due to concern on Japanese pirates’ marauding until the GMTs were reconstructed on the south coast of Gyeongsang province in the mid-18thcentury. In case of the northern Korean area, the Goryeo government managed only one GMT in northern region of Gaegyeong Capital, but three GMTs were operated in northern region of Hanyang Capital in the early Joseon period. Regional distribution of thirteen GMTs of Goryeo dynasty were deeply related to the dynasty’s local administrative system centered on Control County called juhyeon. In Goryeo era main Control County managed its own GMT if the county had advantageous conditions for operating GMT in its jurisdiction. Goryeo dynasty’s Nine GMTs of seaside were installed on the ports located in the deep inside of bay, and geographically one or more small rivers flew aside the GMT and small hill was located on the background of the GMT. On top of hills behind some GMTs, military fortresses for defending foreign invaders were built. On the whole, Joseon GMTs on seaside were located on places relatively closer to outside of bay than Goryeo GMTs on seaside. While the portion of GMTs on seaside decreased, the number of GMTs on riverside increased in Joseon period. Capital transfer to Hanyang and active use of river transportation were main reasons why the number of GMTs on riverside increased.

      • KCI등재

        고려시대 鄕․部曲의 성격 재검토

        정요근(Jeong, Yokeun) 한국사학회 2016 史學硏究 Vol.0 No.124

        본 논문에서는 고려시대 향․부곡의 분포 밀도가 높았던 충청도 서북부, 경상도 북부, 전라도 서남부 지역을 대상으로 하여, 향․부곡의 지리적 분포나 입지 조건, 규모 등을 분석하고, 그에 기초하여 향․부곡의 성격을 살펴보았다. 향․부곡은 군현 단위의 규모가 되지 못하는 지역에 설치된 것이며, 독자적인 군현이 될 만큼 토지나 인구가 풍부하지도 않았다. 대체로 향․부곡은 산간의 분지 지대나 하천의 하구, 해안의 개척지 등 경작지의 개간과 주민 이주를 통하여 새로이 개발된 지역에 위치하였다. 또한 향․부곡은 타 지역 주민의 이주, 지형적인 분리, 국가의 특별한 필요에 의한 인위적 조치 등으로 인하여, 주변의 군현 소속 일반 촌락과 구별되는 독자성과 자립성을 가졌다. 그런 까닭에 향․부곡이 특수 행정구역으로 편성되었던 것이다. 향․부곡 주민들에 대한 법제적 신분 차별은 개별 향․부곡의 독자성과 자립성 유지, 그리고 주민들의 타 지역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향․부곡의 주민들은 자기 지역에 긴박되어 세습적으로 거주하였고, 향․부곡은 이른바 계서적인 본관제적 사회질서의 하부에 자리 잡게 되었다. This article investigates the geographical distribution, locational condition and areal range of special residential districts called ‘hyang’ and ‘bugok.’ We examine characteristics of these districts in Chungcheong, Gyeongsang and Jeolla provinces of South Korea, specific regions where hyang and bugok districts were densely located. The hyang and bugok districts were located in areas that lacked large cultivated land area and population, and featured smaller special local administrative units. Mostly, the hyang and bugok districts were located in mountainous basin, river mouth and coastal land that were reclaimed cultivated lands or vacated through migration. On the basis of geographical isolation, the hyang and bugok districts had independence and autonomy distinguished from neighboring villages managed by local administrative units. Thus, the Goryeo government organized the hyang and bugok districts as special local administrative units. Legislative social discrimination on the hyang and bugok residents was aimed for maintaining independence and self-support, as well as the prevention of resident migration to other regions. Therefore, the hyang and bugok residents had to be bound and live in their districts for generations, and the hyang and bugok districts were socially positioned lower on the Bongwan system, Goryeo dynasty’s unique hierarchic social order.

      • KCI우수등재
      • KCI등재

        후삼국시기 고려의 ‘주(州)’ · ‘부(府)’ 분포와 그 설치 의미

        정요근(Jeong Yo-keun) 한국역사연구회 2009 역사와 현실 Vol.- No.73

        Traditional big counties still kept functioning as provincial center called ‘ Chu’ or ‘ Pu’ even after Unified Silla’s local administrative system collapsed in the Later Three Kingdoms Period. But Goryeo founded ‘ Chu’ or ‘ Pu’ as local center on some strategic places where it newly occupied. Goryeo’s installation of ‘ Chu’ and ‘ Pu’ was obviously carried out by central government’s strengthened political initiative for attaining territorial expansion and unification of three kingdoms rather than by recognition of local powers’ regional independence. In addition the density of ‘ Chu’ and ‘ Pu’ distribution in some regions was outstandingly higher compared with it in others. Regional difference of ‘ Chu’ and ‘ Pu’ distribution also shows that difference of strategic importance appeared among several regions in the process of Goryeo government forming new local ruling system centering on Gaegyeong, its capital in the Later Three Kingdoms Period. Particularly, Counties called ‘ Pu’, newly established by Goryeo during the period, also functioned as military bases located in the forefront line for performing the unification war and territorial expansion.

      • KCI등재

        고려시대와 조선전기 전남지역의 역로망 구성과 그 특징

        정요근(Jeong Yo-Keun) 역사문화학회 2010 지방사와 지방문화 Vol.13 No.2

        전근대시기 교통로에 대한 연구는 해당 시기 국가의 지방통치나 대외관계의 실상을 이해하는 데 유용한 매개가 된다. 이른바 ‘驛路網’은 역을 통해 각 군현 간을 연결하는 교통망이라고 정의할 수 있는데, 본 연구에서는 현재의 전남지역(광주 포함)에 해당하는 영역에서 고려시대 역들의 위치를 추적하여 당시의 역로망을 복원하였다. 고려와 조선전기 모두 전남지역의 역 숫자는 34곳으로 동일하였지만, 그 중 29곳이 계승관계에 있는 역들이었으며, 고려시대에 운영되다가 폐지된 역 및 조선시대에 들어와 신설된 역은 각각 5곳에 지나지 않았다. 즉 통폐합 등의 변동이 심했던 군현의 경우와는 달리, 전남지역 역로망의 기본 골격은 고려와 조선 사이에 별다른 차이가 없었던 것이다. 다만 고려시대에 운영되다가 조선전기에 폐지된 역의 위치를 살펴보면, 고려시대에는 영산강 서쪽의 서해안 방면에서 조선시대보다 역의 분포밀도가 높았으며, 군소규모의 속현으로 존재하다가 여말선초에 폐지된 군현에 위치하거나, 폐지된 군현 및 군현이 존재하지 않았던 곳으로 연결되는 지점에 위치한 역 등이 조선시대에 들어와 혁파되었다. 반면 조선시대에 신설된 역의 분포를 분석하면, 여말 이래 강조되어온 해안방비의 중요성과 관련하여 남쪽 해안지대에 몇몇 역이 신설되었고, 그 외에도 기존 교통로를 대체하는 역로의 개발, 역의 설치가 미비했던 내륙지역의 원활한 역로망 구축 등의 이유로 역이 신설되었다. 대체로 고려시대의 역로망은 조선시대보다 영산강 서쪽의 서해안 방면을 중시했으며, 조선시대에는 해안의 방비라는 측면에서 남해안 방면을 보다 중시하였다. Study on traffic routes of pre-modem age can be a useful means for understanding important aspects of the central government's local administration and foreign relations in each age. So called 'postal station network' is defined as the traffic routes' network connected among prefectures or counties through postal stations. This research aims to restore the postal station network during pre-modem era on the area of current Jeolla Southern Province. Postal stations located on current Jeolla Southern Province in Goryeo and in Joseon dynasty were both 34 places. The 29 stations of them were successive from Goryeo to Joseon, stations functioned in Goryeo but closed in Joseon were 5 places, and stations newly opened in Joseon were also 5 places. It means that framework of postal station network in Jeolla Southern Province was very similar without any particular change between Goryeo and Joseon dynasty. Investigating locations of postal stations functioned in Goryeo era but closed in Joseon era, Goryeo's station density distribution was higher than Joseon's in west coastal region of Yeongsan River. On the contrary, some stations located on small-sized counties annexed in Joseon era or with places where counties did not exist were finally abolished. On the other hand, looking into the distribution of newly installed stations in Joseon era, we can see that the station installation of the south coastal region was deeply related to the importance of coastal defense emphasized since the late Goryeo era. Stations of other regions were installed for the purpose of opening new postal routes as substitute of previous routes and establishing new postal network connecting with isolated regions where postal facilities were insufficient. On the whole, postal routes connecting toward west coastal area of Yeongsan River was regarded more important in Goryeo era, compared with Joseon era, While Joseon's postal network, in terms of coastal defense, considered south coastal area as more important.

      • KCI등재

        여말선초 군현 간 합병ㆍ통합과 신읍치(新邑治)의 입지 경향

        정요근(Jeong Yo-keun) 한국역사연구회 2011 역사와 현실 Vol.- No.80

        Nationwide county consolidations took place during the transitional period between the Goryeo and Joseon dynasties, and the locations of the old and new county administration centers changed accordingly. In most of the ‘Large counties’ the location of county centers remained unchanged, yet in total of 18% of all cases, the county centers moved to a new location. In some cases, new county centers were installed in areas located at the center of some previous counties that were then recently demolished, while in some other cases, county centers would be built upon locations which previously had nothing to do with a county center of any kind. Still, in most cases, new county centers would be placed upon central areas of the recently enlarged county regions, or key traffic points that were designed to connect neighboring large counties. Therefore, environmental theories such as Geomantics was not a factor primarily considered in selecting the location of new county centers. In the meantime, some coastal counties (and its fortresses) were constructed upon locations that had nothing at all to do with either political importance or its vitality in the traffic flow. They were located there in order to provide defense for the counties and its inhabitants in case of incursions of the Japanese marauders. On the other hand, in some other cases political factors were considered above all else in choosing the location for a new county center. Nevertheless, the consolidation of the counties, and the installation of new county centers during this period, constituted an important historical phenomenon which shaped the Joseon dynasty’s local administration system.

      • KCI등재
      • KCI등재

        통일신라시기의 간선교통로

        정요근(Jeong, Yo-Keun) 한국고대사학회 2011 韓國古代史硏究 Vol.0 No.63

        통일 후 신라는 전국을 9주로 나누고 5소경과 여러 군현을 편제하면서, 왕경과 각 지역의 주치 및 소경 간을 잇는 노선을 간선교통로로 중시하였다. 각 간선로의 노선은 ‘군’의 치소 간을 잇는 교통로들의 결합을 통해 복원할 수 있다. 왕경에서 주변지역으로 뻗어나가는 교통로는 6가지의 루트(왕경6로)로 구분할 수 있는데, 그 중 왕경서로가 가 장 중시되었다. 왕경으로부터 전국의 주요 대읍으로 향하는 간선교통로는 왕경서로를 지나 상주 방면으로 연결되는 교통로가 가장 중시되었으며, 한강 유역 확보와 백제 방면 진출이라는 신라의 국가 발전 단계와 밀접하게 연관되었다. 왕경과 각 지방의 대읍을 연결하는 통일신라의 간선교통로는 삼국통일 후 전면적인 재편을 통해서 이루어진 것이 아니라, 통일 이전부터 진행된 영토 확장의 과정에서 구축된 것이었다. 그러므로 시대적 흐름에 따라 각 방면의 거점들이 신설, 폐지, 이전되는 과정은 간선교통로의 시 대별 중요성 변화와도 밀접한 연관을 갖고 있었다. Silla divided whole country into nine provinces called ju(州), designated some local key points as five secondary capitals called sogyeong(小京) after the three kingdoms unification. Silla regarded routes between the royal capital and local hub cities(nine provincial capitals and five secondary capitals) as national artery roads. Line of each artery road can be restored through joining short-distance routes linking between counties. There were six routes extending from the capital for outer area in Unified Silla period, and the westward capital route, one of those six routes, was the most important line. The Artery route extending from capital which reached Sangju province through westward capital route was regarded as the most important of nationwide artery route between the capital and local major cities. Also, it was a main route Silla used during its national development such as occupying Han River basin and advancing to former Baekje area. Unified Silla’s Artery Routes linking between the capital and local major cities was not set up by reorganization after the unification but was actually organized through the process of territorial expansion which took place before the three kingdoms unification. Therefore, the rise and fall of local major cities performing regional hub function was deeply related with geopolitical importance’s fluctuation each artery route had with the change of er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