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학령기 전 보육경험과 아동의 사회 정서적 발달 간의 관계

        정연아(Jung, Youn Ah)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학회 2017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Vol.21 No.2

        본 연구는 미국 아동들을 대상으로 한 ECLS-K: 2011 데이터를 사용하여 중 성향점수맞춤 (PSM)분석 방법을 이용하여, 센터중심(center-based)의 프리스쿨 경험과 유치원 시기 아동의 다양한 사회 정서적 관계를 조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결과 들은 다음과 같다. 첫째, 아동의 학령기 전 다양한 형태의 센터중심(center-based)의 프리스쿨 경험과 사회 정서적 관계에서는, 전형적 센터 중심(center-based)의 프리스쿨을 경험한 아동들은 긍정적인 사회적 정서적 향상을 보였다. 둘째, 전형적 센터 중심(center-based)의 프리스쿨을 경험한 아동들은 프리스쿨 경험이 없는 아동에 비해 유치원 시기 문제행동을 보였다. 셋째, 센터중심(center-based)의 프리스쿨 경험이 있는 아동들 중에서 인구통계학적 특성 중 인종 간 사회 정서적 기술에 대한 차이는 보였으나, 저소득 계층 아동들 간 센터 중심(center-based)의 프리스쿨 경험에 대한 사회적 정서적 기술에 대한 차이는 거의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헤드스타트(Head Start) 프로그램에 참여했던 아동들의 경우, 인구통계학적 특성의 차이를 보였다. 이상의 결과들은 학령기 전 다양한 형태의 프리스쿨 경험과 사회 정서적 발달과 문제 행동 간의 관계에 대해 고찰해 봄으로써, 종단연구의 필요성과 질 높은 교육경험에 대한 정책적인 방향에 대한 중요성을 시사한다. Using a nationally representative data set, the study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attendance in center-based care before entering kindergarten and social-emotional school readiness competencies in kindergarten. Results based on propensity score matching (PSM) point to a small positive association between participation in center-based care and individual social-emotional school readiness competencies. In addition, a moderate association was found between attendance in center-based care and children’s behavioral problems by the end of kindergarten. There were few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participation in center-based care and children’s social-emotional outcomes across race/ethnicity among the middle-SES groups. However, the impacts of Head Start program varied among low-SES groups. Suggestion for long-term study in terms of early social-emotional development and policy implications are discussed.

      • KCI등재

        부모의 교육열 유형에 따른 아동의 자아 존중감, 행복감, 학업수행능력, 교사-아동관계의 차이에 관한 분석

        정연아(Jung Youn Ah),유준호(Ryu Jun Ho)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20

        The purpose of this study examines the differences of students’ self-esteem, school achievement and teacher-child relationships depending on the parents’ types of education fever. The study considers the education fevers of both father and mother using data of 584 nine-year-old students in second grade Panel Study on Korea Children(PKSC).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results of cluster analysis show that there were four types of education fever for parents: father and mother with high education fever, only mother with high education fever, father and mother with low education fever, and only father with higher education fever. Next, among parents’ education fever types, the Group 1(father and mother with high education fever) and the group 2(only mother with high education fever) are likely to include fathers and mothers with higher education levels. However, there were no statistically differences among types of education fever according to parent’s income levels. demonstrated the group parents’ education level. Thirdly, types of education fever for parents hav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depending on parents’ stress in life and satisfaction for life. Fourth, students’ self-esteem, happiness, school achievement demonstrated statistically among the types of education fever. Yet, there were no differences of student-teacher relationships among the types of parents’ education fever. 본 연구의 목적은 부모의 교육열 유형에 따른 부모의 특성을 알아보고, 부모의 교육열 유형에 따라 아동의 자아 존중감, 행복감, 학업수행능력 및 교사-아동 관계에 차이가 있는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한국아동패널 9차년도(2016년도) 584명의 자료 (초등학교 2학년)를 기초로 어머니와 아버지의 교육열을 동시에 고려한 군집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도출된 주요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네 가지 유형의 부모 교육열-아버지 어머니 교육열이 모두 높은 집단, 어머니 교육열이 높은 집 단, 아버지 어머니 모두 교육열이 낮은 집단, 그리고 아버지 교육열이 높은 유형-으로 구분되었다. 둘째, 학력이 높을수록 교육열이 높게 나타났으며, 소득에 따라서는 집단간의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셋째, 부모의 일상적 스트레스와 삶의 만 족도는 부모 교육열 유형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넷째, 아동의 자아존중감, 행복감, 학업수행능력은 부모의 교육열 유형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부모의 교육열 유형에 따라 아동-교사 관계에는 차 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취학 전 유아의 학교준비도 유형과 초등학교 시기의 학교적응과의 관계: 잠재계층분석을 중심으로

        정연아(Jung Youn Ah),김수정(Kim Soo J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18

        본 연구는 취학 전 유아의 학교준비도 유형을 탐색하고, 각 유형에 따라 초등학교 저학년 시기 학교적응의 차이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또한, 잠재계층 유형에영향을 미치는 인구사회학적 요인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아동패널 7〜10차년도(2014 〜2017년) 자료를 사용하였으며, 1,203명을 대상으로 잠재계층분석과 일원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취학 전 유아의 학교준비도는 3개의 잠재계층으로 구분되었으며, 이는 “학교준비도 수준이 높은 유형(41.6%)”, “학교준비도 수준이 보통인 유형(37.6%)”, “학교준비도 수준이 낮은 유형(20.9%)”으로 명명하였다. 둘째, 취학전 유아의 학교준비도 유형에 따른 초등학교 1학년, 2학년, 3학년 시기의 학교적응(학교생활적응, 학업성취, 또래적응, 교사적응)은 모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불어 유아의 성별이 학교준비도 유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취학 전 유아의 학교준비도 유형에 따른 학령기 학교적응에 관한 종단적 영향력을 살펴봄으로써 학교준비도의 중요성에 관한 기초자료를 마련하는데 정책적 의의를 도출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explore latent profiles of school readiness for young children and to examine the differences in their school adjustment in elementary school among profile groups. To achieve this, this study used 1,203 children from the Panel Study on Korean Children and we utilized LPA(Latent Profile Analysis and ANOVA(Analysis of Variance).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ree distinct profiles of school readiness were identified: 41.6 % of students were students with high-level of school readiness, 37.6% were student with middle-level of school readiness, and 20.9% were students with low-level school readiness. Next, the main findings indicated that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profile groups on students school adjustment from the first grade to third grade in elementary school. In addition, child’s gender was a factor associated with the profile groups. Based on the findings, implications upon th importance of school readiness affecting later school life were discussed for educators and teachers.

      • KCI등재

        만 4-5세 버들피리반 유아들의 참여권 존중에 관한 실행과 그 의미

        이유정(Lee, Yu-Jeong),정연아(Jung, Youn-Ah)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학회 2020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Vol.24 No.3

        본 연구는 유아의 참여권을 존중하기 위한 교사와 유아 간의 협력적 실행과정을 소개하고 그 의미를 도출하여, 향후 유아의 참여권이 존중되는 교육을 실현할 수 있는 토대를 제공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2019년 4월부터 2020년 2월까지 만 4-5세 버들피리반 유아 18명과 3명의 교사를 대상으로 계획-실행-관찰-성찰-재계획의 나선형 순환 과정을 3차례 반복하는 실행연구를 수행하였다. 버들피리반 참여권 존중의 실행과정은 다음과 같다. 1차 실행에서는 유아들의 참여권을 존중하는 우리들의 시간 구성, 정리 안 하기를 통한 놀이시간 확대, 자율배식등을 통해 일과 속에서 참여권을 존중해보았고, 2차 실행에서는 투표를 통한 유아의 놀이 공간 결정 및 소수의 견해 존중을 실행해보았으며, 3차 실행에서는 유아들의 의사결정에 따라 그간 허용되지 않았던 전쟁놀이를 실시하되 안전한 무기 놀잇감을 고안하고 스스로 놀이 규칙을 정해보았다. 버들피리반 참여권 존중 실행과정의 의미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들은 자신의 의사가 존중되는 새로운 경험을 긍정적으로 받아들였으며, 이후 자신의 의견을 보다 자유롭게 표현하게 되었고, 타인의 의사와 기호를 존중하게 되며 권리의 주체자로서 존재를 확립하였다. 둘째, 참여권 존중 실행과정에서 유아의 참여권과 의사존중에 대한 교사와 기관장의 인식이 긍정적으로 변화하였다. 셋째, 다만 이를 실천하는 과정에서는 교사의 딜레마가 나타나기도 하였다. 본 연구가 시사하는 바는 다음과 같다. 첫째, 참여권 존중은 유아에게 주체적이며 민주적인 경험을 제공하는 것으로 교육현장에서 유아의 참여권이 존중되어야 한다. 둘째, 유아의 참여권이 존중되는 교육을 위해서는 교사의 역할과 지원이 중요하므로 이에 대한 교사의 인식이 선행되어야 한다. 셋째, 교육 현장에서 교사가 교육과정을 자율적으로 운영할 수 있는 제도적 뒷받침이 필요하다. 넷째, 참여권에 대한 부모들의 이해 또한 함께 이루어져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rive the process and meaning of the collaborative action research on children’s participation rights and to provide the foundation of education for respecting children s participation rights. This study was conducted by using action research approach and was experimented on 18 children at the age of four to five-years-old with three teachers and a researcher. The action research was consisted of spiral cycle structure of planning-implementation-observation-reflection thinking-re planning and was done from April in 2019 to February in 2020. As for the result, it showed the three process of respecting the children’s participation rights and the meaning of respecting the children’s participation rights. The meaning of respecting the children’s participation rights is to establish the existence value of children as a subject of rights. we will be able to know the optimistic meaning of respecting children’s view and children can express their opinions freely and ask questions and respecting others right to participate to establish the existence value of children as a subject of rights. the other meaning is the change of teacher’s perception on respecting the children’s participation rights. And finally we will be able to know the meaning of teacher’s dilemma in respecting children’s participation rights in the classroom.

      • KCI등재

        부모의 양육 역할 책임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황옥경(Ock-Kyeung Hwang),정연아(Youn-Ah Jung),송미령(Mi-Ryoung Song),명준희(Jun-Hee Myung) 한국산학기술학회 2021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2 No.2

        본 연구는 영유아기 자녀를 양육하고 있는 부모의 부모 역할 책임을 확인할 수 있는 평가 척도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 조사 대상자는 어린이집에 재원 중인 자녀를 둔 301명의 부모이다. 부모의 양육 책임 척도는 문항 양호도, 타당도, 신뢰도 기준에 따라 11개 하위요인, 총 60문항으로 선정되었다 (i.e., factor load ≥ 0.5; AVE ≥ 0.5;CR ≥ 0.7; Cronbach"s alpha ≥ 0.7). 부모의 양육 책임 척도는 ‘위생관리’(4문항), ‘신체활동’(6문항), ‘생존 및 건강관리’(6문항), ‘인지발달’(5문항), ‘정서적 안정감’(5문항), ‘사회적 기술’ (6문항), 사회규범 및 가치관‘ (7문항), ’물리적 환경‘(5문항), ’보호‘(5문항), ’가족공동체 의식과 가풍‘(4문항), ’기관이용 부모의 역할과 책임‘(7문항)이 최종 확정되었다. 영유아기 자녀를 둔 부모의 양육 역할 책임에 대한 지표를 한국의 실정에 맞도록 검증하여 개발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이 척도를 통하여 부모 역할 책임의 특성을 파악할 수 있으며, 부모와 육아 지원 기관과의 원활한 의사소통의 기초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d validate the parental roles and responsibilities for young children. A survey was conducted on 301 parents with children attending preschools. The parental roles and responsibilities scale were determined from a total of 60 items and 11 sub-factors based on the criteria for goodness, validity, and reliability of items (i.e., factor load ≥ 0.5; AVE ≥ 0.5; CR ≥ 0.7; Cronbach"s alpha ≥ 0.7). The parental roles and responsibilities scale include "hygiene management" (4 items), "physical activities" (6 items), "survival and health care" (6 items), "cognitive development" (5 items), "emotional stability" (5 items), "social skills" (6 items), "social norms and values" (7 items), "physical environment" (5 items), "protection" (5 items), "family community consciousness and family tradition" (4 items), and "the role and responsibility of parents for childcare institutions" (7 items). It is significant that the indicators on the parental roles and responsibilities for young children were developed and verified to fit the situation in Korea. Findings will help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parental role responsibilities and serve as a basis for efficient communication between parents and preschoolers.parental role responsibilities and serve as a basis for efficient communication between parents and preschool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