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애기장대 개화발달에서 Brother of FT and TFL1 의 기능 연구

        정승혜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7631

        BFT(BROTHER OF FT AND TFL)는 서로 비슷한 염기서열을 가진 유전자집단의 일원이다. 이 유전자 집단은 애기장대에서 FT와 TFL1이라는 서로 상반되는 개화시기 조절자를 포함하고 있으며 BFT를 제외하고 모두 개화시기조절에서 기능을 하는 것으로 보인다. BFT는 RNA 발현양이 적어서 지금까지 cDNA 분리가 되지 않았고 더불어 기능이 알려지지 않았다. 이 논문에서는 BFT의 전체 cDNA를 얻어서 그 기능과 특징을 밝히고자 하였다. BFT의 전장 cDNA를 RT-PCR의 cycle을 늘려서 얻었다. 개화시기조절에서 BFT의 기능을 알아내기 위하여 BFT 과다발현체와 T-DNA가 삽입된 형질 2개를 분리하여 표현형을 관찰하였다. BFT 과다발현체는 TFL1의 과다발현체와 비슷한 개화시기 표현형을 보였다. 또한 꽃잎이 잎과 같이 보이는 표현형과 개화시기가 늦어지는 표현형을 보인다. 개화가 늦어지는 표현형은 개화관련 유전자 중 개화를 유도하는 유전자인 FT와 SOC1의 발현이 줄어들어서 나오는 것으로 보였다. 이 실험의 결과들은 BFT가 개화의 억제자로서 작용하여 개화시기를 조절한다고 나타낸다. T-DNA 삽입 형질인 bft-1은 늦은 개화시기를 보이며 BFT의 RNA 발현양도 증가하는 결과를 보였다. 이와 반대로 bft-2는 야생형애기장대와 같은 개화시기 표현형을 보였다. 이 bft-1에서는 BFT 유전자의 발현이 현저히 감소되어 있지만 야생형과 같은 개화시기를 보이는 것으로 보아, BFT는 redundant한 개화시기 조절자 임을 알 수 있었다. BFT와 결합하는 단백질을 동정하기 위해 yeast two hybrid 선별을 통해 총 7개의 결합단백질을 분리하였다. 이들은 각각 at2g37190, At2g45640, At3g29575, At5g14930 and At5g47710 이다. BFT(BROTHER OF FT AND TFL)는 서로 비슷한 염기서열을 가진 유전자집단의 일원이다. 이 유전자 집단은 애기장대에서 FT와 TFL1이라는 서로 상반되는 개화시기 조절자를 포함하고 있으며 BFT를 제외하고 모두 개화시기조절에서 기능을 하는 것으로 보인다. BFT는 RNA 발현양이 적어서 지금까지 cDNA 분리가 되지 않았고 더불어 기능이 알려지지 않았다. 이 논문에서는 BFT의 전체 cDNA를 얻어서 그 기능과 특징을 밝히고자 하였다. BFT의 전장 cDNA를 RT-PCR의 cycle을 늘려서 얻었다. 개화시기조절에서 BFT의 기능을 알아내기 위하여 BFT 과다발현체와 T-DNA가 삽입된 형질 2개를 분리하여 표현형을 관찰하였다. BFT 과다발현체는 TFL1의 과다발현체와 비슷한 개화시기 표현형을 보였다. 또한 꽃잎이 잎과 같이 보이는 표현형과 개화시기가 늦어지는 표현형을 보인다. 개화가 늦어지는 표현형은 개화관련 유전자 중 개화를 유도하는 유전자인 FT와 SOC1의 발현이 줄어들어서 나오는 것으로 보였다. 이 실험의 결과들은 BFT가 개화의 억제자로서 작용하여 개화시기를 조절한다고 나타낸다. T-DNA 삽입 형질인 bft-1은 늦은 개화시기를 보이며 BFT의 RNA 발현양도 증가하는 결과를 보였다. 이와 반대로 bft-2는 야생형애기장대와 같은 개화시기 표현형을 보였다. 이 bft-1에서는 BFT 유전자의 발현이 현저히 감소되어 있지만 야생형과 같은 개화시기를 보이는 것으로 보아, BFT는 redundant한 개화시기 조절자 임을 알 수 있었다. BFT와 결합하는 단백질을 동정하기 위해 yeast two hybrid 선별을 통해 총 7개의 결합단백질을 분리하였다. 이들은 각각 at2g37190, At2g45640, At3g29575, At5g14930 and At5g47710 이다.

      • 2009 개정 교육과정에 의한 중학교 음악교과서 감상영역 분석에 따른 개념요소 지도방안

        정승혜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연구는 2009 개정 교육과정에 의한 17종 음악 교과서의 감상곡에서 음악적 개념요소를 제시한 악곡들을 중심으로 비교분석한 후, 제재곡에 가장 적합한 요소를 선정하여 개념요소별 지도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2009 개정 교육과정의 음악 요소 및 개념 체계표를 근거로 하여 17종 중학교 음악교과서의 감상곡에 제시된 음악 요소별 학습목표 및 활동내용에 대해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17종 음악 교과서 중 가장 많은 빈도수를 가진 음악 요소별 영역의 제재곡은 11종의 교과서에 제시된 브리튼의 청소년을 위한 관현악 입문이며, 그 다음으로 많은 빈도수인 7종의 교과서에 제시된 제재곡은 모차르트의 작은 별 변주곡과 세레나데 13번 K.525, 바흐의 작은 푸가 사단조 BWV.578 이다. 헨델의 메시아 중 할렐루야와 슈베르트의 마왕, 라벨의 볼레로, 하이든의 놀람 교향곡 2악장이 각각 5종 또는 4종의 교과서에 제시되고 있다. 개념요소별 지도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7개의 제재곡을 선정하고, 개념요소별 지도안을 마련하였다. 제재곡 선정은 악곡에 제시된 주요 개념요소의 빈도수를 토대로 곡을 선별한 후, 학생들이 시대, 작곡가, 장르별로 다양하게 악곡을 접해볼 수 있도록 중학교에서 가장 많이 학습되어지는 고전과 낭만시대는 2곡씩, 중세, 바로크, 근현대는 1곡씩으로 정하고 성악장르 3곡, 기악장르 4곡으로 분류하여 7가지 음악 요소에 적합한 악곡을 선정하였다. 리듬에 라벨의 ‘볼레로’, 형식에 모차르트의 ‘작은 별 변주곡’, 화성에 헨델의 ‘메시아 中 할렐루야‘, 셈여림에 하이든의‘놀람 교향곡 2악장’, 빠르기에 쇼팽의 ‘즉흥 환상곡 op.66’, 가락에 ‘그레고리오 성가’, 음색에 슈베르트 ‘마왕’을 제재곡으로 선정하였다. 위의 선정된 제재곡으로 7개의 개념요소별 감상지도방안을 구안하였다. 학생들은 음악적 개념을 습득함으로써 음악을 잘 이해하게 될 뿐만 아니라 음악에 대한 통찰력과 음악적 문제해결력을 갖게 되고, 나아가 음악적 성장을 이루게 되므로 다양한 방법으로 실제 교육의 장에 적용될 수 있도록 활발한 연구가 필요하다.

      • 그림동화책을 이용한 이야기나누기 활동이 지적장애아동의 어휘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

        정승혜 대구대학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그림동화책을 이용한 이야기나누기 활동이 지적장애아동의 어휘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 정 승 혜 대구대학교 재활과학대학원 석사과정 언어치료학과 지도교수 권 도 하 (초 록) 본 연구의 목적은 그림동화책을 이용한 이야기나누기 활동이 지적장애아동의 어휘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의 대상은 생활연령이 6세 2개월에서 7세 2개월의 지적장애아동으로 언어연령이 생활연령에 비해 언어발달이 1년 이상 지체되는 아동, 동화의 활동에 흥미를 가지고 참여할 수 있는 아동 3명으로 연구기간은 사전 검사 후 그림동화책 이야기나누기 활동을 주 2회기씩 총 24회기로 진행한 후 사후 검사를 실시하였다. 연구도구로 사용된 동화는 2013년 어린이 도서연구회에서「4-7세 유아권장도서」로 선정한 50권의 책 중 12권을 선택하였다. 실험 방법은 사전-사후 검사 설계법을 활용하였으며 검사도구는 수용·표현 어휘력검사(REVT)를 실시하여 수용어휘력과 표현어휘력을 평가하였고, 그 결과처리는 표와 그래프로 나타내었다. 연구절차는 그림동화책을 보고, 치료사가 읽어주고, 이야기나누기로 유도 촉진시키고, 그 다음에는 그림동화책 내용을 회상하고, 줄거리를 이야기하고, 그림동화책 그림카드로 이야기를 나누는 활동으로 진행하였다. 중재의 결과는 대상 아동 3명의 어휘력이 모두 향상되었다. 수용어휘력의 향상을 살펴보면 대상아동들의 수용어휘력은 각각 7개월, 8개월, 7개월의 향상을 보였다. 대상 아동들의 표현어휘력은 아동별로 각각 7개월, 7개월, 8개월이 향상되었다. 이로 인해 그림동화책을 이용한 이야기나누기 활동이 지적장애아동의 어휘력 향상에 유용한 하나의 방법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e Effect on Vocabulary Improvement for The Children with Mental Retardation by Sharing Story Activities through Picture Storybooks. Jung, Seung-Hye Department of Speech and Language Pathology Graduate School of Rehabilitation Science, Deagu University Gyeongbuk, Korea Supervised by Prof. Kwon, Do-Ha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see the effects on vocabulary improvement for the children with mental retardation by sharing story activities through picture storybooks. The target of research is for those from 6-year-and-2-month to 7-year-and-2-month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that their language age is delaying more 1 year than chronological age, and 3 children who are interested in activity of children's story, join the research. The research was conducted after the pretest method sharing story activities through picture storybooks proceed twice a week in a session total 24 times and do the posttest method . Children's story used in this research is 12 books out of 50 books that are nominated as 4~7 age recommended booklists and chosen by 2013 young child in the study group. The experiment method is pretest-posttest design. Receptive & Expressive Vocabulary Test(REVT) is used as a test tool. The result is shown by charts and graphs. The research process is as follows; The therapist reads a storybook out loud with the children at the first time, boosts the interest by sharing story activities at the secend times, recalls the overall storybook and talks about the summary at the third times, and lastly talks with storybook cards. As a result, these three children's vocabulary abilities were improved. In terms of the improvement of receptive vocabulary, three children were improved up to 7 months, 8 months, and 7 months each child while this research is done during 3 month. In respect of expressive vocabulary, these children improved up to 7 months, 7 months and 8 months, respectively. Consequentially, it was found out that sharing story activity through picture storybooks is one of the efficient methods to improve vocabulary ability of children with mental retardation.

      • 기무(氣舞)요법이 경증 치매노인의 보행과 균형능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

        정승혜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Qi dance therapy program geared toward improving the gait and balance of elderly people with mild dementia by incorporating breathing and mild-will into Korean dance movement, and to examine its effect on their gait and balance.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14 senior citizens who suffered from mild dementia. After they were divided into an experimental group and a control group, 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ed in a Qi dance program during an eight-week period of time, three times a week, 45 minutes each, and the control group didn't take part in any exercise program. There were four different stages in the Qi dance therapy program: introduction, development, wrapping-up and awakening. The first three stages respectively consisted of warm-up, sedentary/standing Qi dance, cooling-down, and in the fourth stage, they talked to each other about how they felt about the program.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enior citizens and their gait and balance were checked by an assistant researcher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To evaluate the effect of the program, their gait length and gait speed were measured to find out their walking ability, and their balance was assessed by conducting an open eyes foot balance test, closed eyes foot balance test, get up and go test and tandem gait test.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a SPSS 12.0 program. Statistical data on real number and percentage were obtained to grasp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participants, and t-test and Chi-square test were utilized to see if the two groups were equivalent before the program was applied. Paired t-test and independent t-test were carried out to look for any possible intragroup and intergroup changes to verify the hypotheses of the study. After the eight-week program was completed, the following findings were given: First, there was a decrease in the gait length and gait speed of the experimental group, and no significant intergroup gaps were found when the two groups were compared. Second, there was an increase in the time for open eyes foot balance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no significant intergroup gaps were found when the two groups were compared. Third, there was an increase in the time for closed eyes left foot balance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a significant intergroup gap was found when the two groups were compared(p<.01). Fourth, there was an increase in the time for closed eyes right foot balance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a significant intergroup gap was found when the two groups were compared(p<.05). Fifth, there was a reduction in the get up and go time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a significant intergroup gap was found when the two groups were compared(p<.01). Sixth, there was a reduction in the tandem gait time of the experimental group, and a significant gap was found when the two groups were compared(p<.05). The above-mentioned findings suggested that the Qi dance therapy that incorporated breathing and mind-will into Korean dance movement turned out to improve the balance of the elderly people with mild dementia but had no impact on their gait. Therefore the Qi dance therapy had a better effect on the balance of the elderly people with mild dementia than their gait. 본 연구는 경증 치매노인의 보행과 균형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한국무용 동작에 호흡과 의념(意念)을 배합한 기무요법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보행과 균형능력에 미치는 영향으로 규명하였다. 연구설계는 만65세 이상의 경증 치매노인 14명을 실험군과 대조군으로 나눠 실험군에는 기무요법 프로그램을 8주간 주 3회 1회 45분 동안 실시하고, 대조군에는 어떠한 운동 프로그램도 실시하지 않았다. 기무요법 프로그램은 준비운동으로 구성된 도입단계와 앉아서 하는 기무와 서서하는 기무로 구성된 전개단계로 구성되며, 정리운동으로 구성된 정리단계와 대화로 프로그램 후의 느낌을 나누는 각성단계로 구성된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및 결과 변수는 프로그램 실시 전과 후에 연구 보조자에 의해 측정되었다. 기무요법 프로그램의 효과는 보장, 보행속도로 보행능력을 측정하였으며, 눈뜨고 외발서기, 눈감고 외발서기, Get up and go test, Tandem gait test로 균형능력을 측정하였다. 이와 같이 수집된 자료는 SPSS 12.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은 실수와 백분율을, 실험군과 대조군의 사전 동질성은 t-test와 Chi square test로, 연구의 가설 검증은 대응 표본 t - 검정(paired t-test)와 독립 표본 t - 검정(Independent t- test)로 집단내 집단간 변화를 비교하였다. 8주간의 기무요법 프로그램 후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실험군의 보장과 보행속도는 감소하였으며, 그룹간의 비교에서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실험군의 눈뜨고 외발서기 시간은 증가하였으며, 그룹간의 비교에서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실험군의 눈감고 왼발로 외발서기 시간은 증가하였으며, 그룹간의 비교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1). 넷째, 실험군의 눈감고 오른발로 외발서기 시간은 증가하였으며, 그룹간의 비교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5). 다섯째, 실험군의 Get up and go test 시간은 감소하였으며, 그룹간의 비교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1). 여섯째, 실험군의 Tandem gait test 시간은 감소하였으며, 그룹간의 비교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5). 이상의 연구결과를 종합해 보면 한국무용의 동작에 호흡과 의념(意念)을 배합한 기무(氣舞)요법 프로그램이 경증 치매노인의 균형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음이 입증되었으나 보행능력 향상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기무(氣舞)요법 프로그램은 경증 치매노인의 보행능력 보다 균형능력에 더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 신(新) 노년층을 위한 한국무용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정승혜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박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d to apply Korean traditional dance lesson program for future new silver generation. For the first step of developing Korean traditional dance lesson program, related literature research was carried out with consideration of demand of Korean traditional dance and characteristics of learning nature of elder generation. For the second step, total 18 videos were analyzed and basic movement systems of Korean traditional dance were developed to establish detailed education program. Then, program was restructured based on the learning capabilities of new silver generation and ultimately Korean traditional dance education program was finalized in conjunction with the purpose and goal of education, education content, education method and supplementary material. Developed Korean traditional dance education program was applied to new silver generation from April 2012 to March 2013 for one year duration. Detailed research results are following; First, based on the purpose and the goal of Korean traditional dance education for new silver generation, target for this study was set as “Self-realization and improvement of quality of life, maintaining health and promoting friendship by voluntary participation for Korea traditional dance program and ultimately preparing opportunity for participating social activity by developing self-confidence through participating of performance.” In order to achieve this target, short-term goal and long-term goal were actualized and detailed cognitive, affective, physical target was set. Second, in order to select Korean traditional dance education content, basic forms of Korean traditional dance movements were developed. Total 36 motions for the upper body and 21 motions for the lower body were selected. Upper body motions were classified into three categories; stop motion, movement motion, and connection motion. Lower body motions were classified into four categories; standstill motion, movement motion, spinning motion and jumping motion. Education contents were selected and structured based on the principle of validity, principle of primary of educational transfer, principle of consistency, principle of sequence and principle of integrity. For the pre-requisite of composition of content, contents were classified based on the difficulty. Upper and lower body motions were classified into five difficulty levels. Especially, additional movement to familiarize basic feet movement was added to lower body motion. Third, for effective education of Korean dance lesson program for new silver generation, five education methods are proposed for this research and supplementary materials are developed. First method is reducing pressure from lesson by developing close relationship with learners. Second method is improvement of self-confidence and sense of accomplishment by proposing short-term learning assignment. Third method is providing sufficient practicing time through exercising each single movement. Fourth method is active and positive attitude for accepting any feedback and re-assigning role accordingly. Last method is attending unofficial dance activities and participating dance related event. Supplementary materials were posted and shared through internet by means of video. Fourth, Korean dance lesson program developed from this research was structured as 12 weeks program of individual movement assignment and basic folk song movement. Especially, difficulty level of basic folk song movements were between 4 and 5 with “Jindo Arirang”, “Boat Song”, “Nodel Riverside”, “Tae-Pyung Ga”. For each song, 3 months were allowed for learning period. In addition to these folk song movements, Chun An Samgury dance was developed for official event. Fifth, noticeable psychological satisfaction was indicated through questionnaire by applying Korean dance lesson program for new silver generation. Especially, dance with folk song refreshed mood, encouraged harmonization with other members, maintained and enhanced health condition, improved desire for new knowledge, felt sense of accomplishment and experienced artistic and esthetic experience. Sixth, by applying Korean dance lesson program for new silver generation to actual lesson, positive feedback was given from overall questionnaire which contains question regarding level of satisfaction for performance through the program, level of satisfaction, level of exercise, usage of music, overall duration of folk song dance program, duration of training time, rhythm and tempo of folk song used for the program, intention of continuous participation. Seventh, survey was carried out to verify level of satisfaction by participation of official dance related event during the Korean dance lesson program for new silver generation. High level of satisfaction was shown in aspect of watching diverse programs from other participants, stimulating sense of object, providing opportunity for self-reflection and increasing motivation for continuous exercise. However, low level of satisfaction was shown is aspect of stage make-up and pressure from making mistake. Based on the outcome of this research,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level of difficulty and education duration was set properly for this Korean dance lesson program for new silver generation. In addition, stimulating continuous interest and encouraging strong will for consistent participation for the program confirms appropriateness of Korean dance lesson program for new silver generation.

      • 감사교육이 초등학교 저학년 학생의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효과

        정승혜 대구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감사교육이 초등학교 저학년 학생의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것으로, 이에 따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감사교육이 초등학교 저학년 학생의 학교생활적응을 향상시키는 데 효과가 있는가? 둘째, 감사교육이 초등학교 저학년 학생의 학교생활적응 각 하위 영역을 향상시키는 데 효과가 있는가? 위와 같은 연구문제를 검증하기 위하여 경상북도에 소재한 G초등학교 1학년 4개 학급을 대상으로 학교생활적응 검사지로 사전검사를 실시하였으며 연구자가 담임을 맡고 있는 학급을 실험집단(21명), 실험집단과 동질성이 검증된 1개 학급을 통제집단(21명)으로 정하였다. 실험집단에는 감사교육 프로그램을 5주간 주 2회, 매 회기당 40분씩 총 10회기 실시하였고, 같은 기간 동안 통제집단에는 아무런 처치를 하지 않았으며 감사교육 프로그램이 끝난 후 사후 검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감사교육은 초등학교 저학년 학생의 학교생활적응 전체의 향상에 유의미한 효과가 있었다. 둘째, 감사교육은 초등학교 저학년 학생의 학교생활적응 각 하위영역을 향상시키는데 유의미한 효과가 있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통해서 감사교육이 초등학교 저학년 학생의 학교생활적응 향상에 효과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감사교육은 학생들이 자신과 주변 사람, 주어진 환경에 감사하고 긍정적인 태도를 갖게 하여 학교생활적응의 향상을 가져왔다는 것을 의미한다. 주요어 : 감사, 감사교육, 학교생활적응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