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허만하(許萬夏)가 읽은 프랑시스 퐁주(I)

        정승옥 ( Jeong Seung-ok )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07 어문연구(語文硏究) Vol.35 No.3

        1969년, 첫 詩集 『海藻』를 출간한 許萬夏(1932~)는 1999년 두번째 시집 『비는 수직으로 서서 죽는다』를 발표한다. 의사이기도 한 그는 외국 시인들, 철학자들에 관한 글도 많이 쓰는데 퐁주(1899~1988)도 그 중 한 명이다. 특히 許萬夏는 퐁주의 첫 시집 『사물의 편』에 주목한다. 그는 Ponge의 詩論에 共感한다. 퐁주는 人間의 感情을 吐露하는 詩를 輕蔑하며 主觀性이 排除된 시를 追求한다. 人間의 視線에 捕捉된 事物이 아니라 사물의 存在를 描寫하거나 사물 자체가 말하게 한다. 許萬夏는 퐁주가 추구하는 작업, 사전류의 시시함과 시론의 부적절함을 함께 피할 수 있는 ‘描寫-定義 문예작업’을 잘 이해하고 있다. 퐁주는 物質主義者이다. 觀念的인 詩語, 形而上學的인 말을 지극히 혐오한다. 許萬夏는 퐁주의 영향을 받았다고 하면서도, 관념시를 포기하지 못한다. 어쩌면 허만하와 퐁주는 계보상으로 다른 것을 추구하는 시인인 듯하다. Since the publication of his first poetry book, Seaweed in 1969, Huh, Man-ha was silent for thirty years. When his second poetry book, Rain Dies Standing Vertically, was published in 1999, he was writing energetically poetry, prose and poetic theory. Among his writings about foreign philosophers and poets, his most favorite philosopher and poet are Martin Heidegger and Rainer Maria Rilke. Though Francis Ponge(1899~1988) is his second favorite poet, Huh pays tribute to his first poetry collection, Le Parti pris des Choses(The Voice of Things), translated some poems from the English version. Huh also introduces Ponge's poetics: Ponge is a materialist poet. He despises extremely the ideal poetic or metaphysical diction, criticizes poems that describes human feelings about things and does not pursue poems that show the poet's subjectivity. He lets the things tell themselves. Huh seems to understand very well Ponge's description-definition-literary art work which avoids both the drabness of a dictionary and the inadequacy of poetry. On the basis of his understanding, Huh also introduces Ponge's poems, such as “Rain,” “Mulberry,” and “Candle.” However, these two poets seem to belong to the different genealogies, since Huh does not give up the ideal or platonic poetry even though he tells he is under the influence of Ponge.

      • KCI등재

        OSP.ENIG 표면 처리된 기판과 Sn-3.0Ag-0.5Cu 솔더 접합부의 낙하충격 신뢰성 평가

        하상,하상수,이종범,윤정원,박재현,추용철,이준희,김성진,정승,Ha, Sang-Ok,Ha, Sang-Su,Lee, Jong-Bum,Yoon, Jeong-Won,Park, Jai-Hyun,Chu, Yong-Chul,Lee, Jun-Hee,Kim, Sung-Jin,Jung, Seung-Boo 한국마이크로전자및패키징학회 2009 마이크로전자 및 패키징학회지 Vol.16 No.1

        전자 기기 제품들이 소형화 및 휴대화 되면서 낙하충격 신뢰성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대표적인 무연솔더인 Sn-3.0Ag-0.5Cu 솔더를 이용하여 ENIG (Electroless Nickel Iimmersion Gold), OSP (Organic Solderability Preservative) 표면 처리와 등온 시효 시험 (High Temperature Storage test)에 따른 보드 레벨 패키지 (board level package)의 낙하충격 신뢰성 (drop reliability) 시험을 수행하였다. 또한 충격 조건을 변화시켜 시편에 가해지는 가속도 (G:acceleration)와 충격 지속 시간 (pulse duration)에 따른 신뢰성을 평가하였다. 기판의 strain측정 결과 중앙 부위가 가장 응력이 컸으며, 충격가속도에 비례하여 응력이 증가하였다. 시효 처리 전에는 OSP처리된 기판이 다소 우수한 신뢰성을 보였지만, 시효 처리후에는 ENIG기판에서 신뢰성이 우수하였고, 반대로 OSP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OSP의 경우 과도한 금속간화합물 (intermetallic compound)의 성장으로 인해 접합 계면에서 취성파괴 (brittle fracture)가 일어난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The use of portable devices has created the need for new reliability criterion of drop impact tests because of the tendency to accidentally drop in the use of these devices. The effects of different PCB surface finishes (organic solderability preservative (OSP) and electroless nickel immersion gold (ENIG)) and high temperature storage (HTS) test on the drop reliability were studied. Various drop test conditions were used to evaluate a drop reliability of assemblies to endure such impact and shock load. In the case of the as-reflowed samples (no HTS test), the SAC/OSP boards exhibited a better drop impact reliability than that of SAC/ENIG. However, the reverse was true if HTS test is performed. In addition, significant decrease of drop reliability was observed for both SAC/ENIG and SAC/OSP assemblies after HTS test. It was also observed that the thickness of intermetallic compound layer do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brittle fracture of drop test.

      • KCI등재

        성좌의 시학을 위하여

        정승옥(Jeong, Seung-Ok)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4 인문과학연구 Vol.0 No.43

        감각적 대상과 관념적 대상 사이에 일치가 일어나면 상징이 자리 잡고 감각적 대상과 관념적 대상 사이에 틈이 생기면 그 사이로 들어오는 것이 알레고리이다. 괴테는 알레고리가 상징보다 열등한 수사기법이라고 했지만 벤야민 이전까지, 실은 벤야민 이후에도, 문단에서는 상징과 알레고리란 용어를 엄격하게 구분하지 않고 사용했다. 벤야민이 활발하게 연구되면서 이제 상징이 아닌, 벤야민이 말하는 현대적 의미에서의 알레고리로 시작품들을 읽는 움직임이 본격적인 궤도에 올랐다. 로망주의자들은 느낄 수 있는 것은 모두 무엇인가를 상징한다고 믿었지만. 머지않아 시인들은 그 믿음이 항상 통하는 것은 아님을 깨닫는다. 벤야민에 따르면 알레고리의 세계에서는 현실이 파편화 된 역사의 잔해로 자리 잡을 터이다. 이 논문은 벤야민의 알레고리론에 기대 김성규의 시들을 읽는다. 한결같이 자연과 문명이 뒤죽박죽 섞여 묘사되어 있는 김성규의 시들은 한편 한편이 서사구조를 갖고 있으나 화자의 시선의 각도를 가늠하기가 쉽지 않다. 차라리 그의 시들은 총체적으로가 아니라 파편화로 존재하는,〈지금-여기의 현실〉자체가 숨어있는 진짜 화자가 아닐까 따져보게 하는 시들이다. 여기가 바로 앞서 말한, 김성규의 시를〈성좌의 시학〉으로 읽을 근거가 마련되는 지점이기도 하다. 이 논문은 성좌의 시학의 틀을 마련하기 위해 쓰이는 첫 논문인데, 간단하게 말하면 각 단락들 각각이 완전무결한 독자성을 가지며 동시에 다른 단락들과 공명 관계를 갖는다. 대립하는 단락들은 그럼에도 불구하고 서로 병존하며 어떤 ‘총체성’을 만들어 낸다. 그 총체성의 구체화가 바로〈성좌의 시학〉이다. A symbol comes into being when a sensual object corresponds to an abstract one; an allegory does when there is a crack between a sensual object and an abstract one. Johann Wolfgang von Goethe once said that an allegory is a rhetoric rather inferior to a symbol. Even after Walter Benjamin suggested their distinctive characteristics, most critics have not distinguished them very rigorously and applied them to anything. On the basis of recent studies on these literary terms, some critics have applied an allegory to some poetic works. A romantic believes that whatever he feels can be a symbol, however, some poets come to understand that such a belief does not make any sense. According to Benjamin, the world of allegory will be the ruins of a history that is made of a fragmented reality. This paper attempts to read Kim Sungkyu’s poetical works on the theoretical basis of an allegory. His poems that depict some fragments of nature and civilization have a distinctive narrative structure, but do not provide us with any clear perspective of their speakers. The speaker of his poems, not as a comprehensive being but as a fragmentary, is a hidden one behind a here and now reality. This moment can be a point when and where his works can be understood as a poetics of constellation. This paper is an attempt to provide a field for a poetics of constellation, in which each paragraph has its own complete uniqueness as well as corresponding relationships between paragraphs. It is also a field in which some paragraphs may be opposite to others, but the juxtaposed and superposed paragraphs result in a totality. The concreteness of this totality is a poetics of constellation.

      • 大衆文學試論

        정승옥(Jeong Seung-ok)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05 江原人文論叢 Vol.13 No.-

        좋든 싫든 대중문학에 대한 본격적인 논의를 더 이상은 미룰 수 없는 때에 와 있다. 그러나 대중문학이라는 용어에 대한 개념 정리는 언뜻 보기와는 달리 잘 안 돼있고 극단적으로 갈려있기까지 하다. 대중문학이 무엇인지 제대로 파악하려면 그 독자로 지목되는 ‘대중’ 대중문학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는 작품을 쓴 ‘작가’ 그리고 문화계 전반에 스며든 ‘문화산업’을 검토해 보아야 한다. 우리의 생각과 달리 대중문학을 ‘생산’해 내는 것은 독자의 요구나 잘 팔리는 책을 쓰고 싶은 작가의 욕구라기보다는 차라리 문화산업의 메카니즘일지 모른다. 이 글은 어떤 방향, 방식으로 대중문학을 다루는 것이 바람직한 것인지를 따져보기 위해 쓰였다. This paper examines the definition of popular literature and suggests an appropriate way to study it. We have not had its definite definition and we find that it is too various and diversified, however, I think it is high time that we should have serious discussions on popular literature. I propose that in order to understand what popular literature is, we have to investigate its three key elements: its readers who are usually called the masses, its writers, and the culture industry. This paper suggests that it might neither be readers' needs for popular literature nor popular writers' desire to write best sellers but the mechanism of the culture industry that produces popular literature.

      • KCI등재

        루소의 『고백』 또는 주변인의 삶의 세계

        정승옥(Jeong Seung-ok)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문학연구소 2007 외국문학연구 Vol.- No.25

        주변인(marginal man)은 신분과 환경에 따라 인간의 가치가 규정되는 사회에서 정체성이 분명하지 않은 사람, 어느 한 곳에 뿌리내리지 못한 사람을 말한다. 루소는 자신을 상류계층과 하류계층의 사이에 자리 잡고 있는 전형적인 주변인으로 규정한다. 그는 부자와 가난한 사람 모두와 교제하며 근본적으로 상이한 두 세계를 깊이 있게 체험하지만 양쪽 세계 어디에도 속하지 않는다. 루소는 몇 번의 길지 않은 시기를 제외하면 한 평생을 주변인으로 살았으며 그의 사회 경험은 대부분 국외자나 사회의 변두리에 자리 잡고 있는 사람이 겪는 것이었다. 루소는 『고백』을 쓰면서 자기의 이러한 처지를 뚜렷하게 인식하고 있다. 프랑스 문학사에서 현대적 의미의 자서전의 맨 앞에 자리 잡고 있는 『고백』은 당연히 루소 개인의 삶을 다루고 있지만 동시에 18세기 사회의 주변성을 깊이 있게 보여준다. 작품도 주변성을 중심으로 구성돼 있다. 주인공 루소는 개인적 체험을 나타내는데 머물지 않는다. 저자 루소도 개인적 체험의 화자에 머물지 않는다. 루소를 중심으로 짜여진 『고백』의 세계는 사회현상을, 인간과 현실세계와의 관계를, 하나의 생존양식을 재현하고 있다. 주변인의 삶에 천착하고 주변인의 시선으로 현실세계를 관찰하면서 루소는 흔히 중심부의 삶으로 여기는 지배계층의 삶만이 인간다운 삶이라는 통념을 한갓 속임수에 지나지 않는다는 것을 보여줄 것이다. 사실 루소는 기회 있을 때마다 자신이 ‘공화국의 시민’임을 강조했다. 그러나 루소의 끈질긴 노력에도 불구하고 우리는 유년시절부터 그의 삶이 주변계층의 삶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물론 루소도 안다. 실재의 루소와 그가 바라는 루소 사이의 이러한 간극은 주변성이 ‘강요된’ 것임을 암시한다. 그러나 주변인의 삶과 자신의 삶이 일치를 보이게 되면서 주변성은 이제 거부되지만은 않는다. 주변인의 삶이 현실의 변두리 세계에 국한되어 있고 주변부 인생의 삶에 그칠 뿐이라는 다시 말해 역사의 바깥에 머무는 한갓 쓰레기 인생에 지나지 않는다는 기왕의 인식을 루소는 받아들이지 않는다. 루소는 주변계층의 삶을 하나의 떳떳한 삶의 양식으로 받아들이지만 그 삶이 자리 잡고 있는 사회적 역사적 공간이 사회와 역사의 변두리에 그쳐야 한다는 그동안 통용되던 선입관은 거부한다. 한마디로 하면 루소는 주변인의 삶을 ‘선택하며’ 동시에 그 삶의 사회적 역사적 공간은 ‘거부한다’. 『고백』의 주인공 루소는 자신에게 강요된 고통스런 주변성을 긍정하고 육화한 다음 그 존재를 사회의 중심부로 옮기려 함으로써 주변성을 거부하고 떳떳한 역사적 존재가 되는 과정을 우리에게 보여주고 있다. In Les Confessions Rousseau depicted himself as a typical marginal man; his conception of himself was ambiguous and his social status was precarious since he did not belong to any specific communities. Placed between the rich and the poor, he experienced two radically different worlds; however, he did not feel himself to belong to either world. He lived as a marginal man most of his life, and thus his social experience was that of an outsider who drifted at the margin of the society. When he wrote Les Confessions, he was very clearly conscious of his own marginal state. Les Confessions as the first modern autobiography in French literary history focuses on Rousseau's personal life experiences as well as depicts the marginal life of 18th century French society. The work itself revolves around portraying the marginal life, depicting social phenomena and represen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people and the real world as well as their life style. Observing the life of minority with the eyes of a marginal man, Rousseau revealed that the assumption was only a deception that the lives of the dominant class only had value. Rousseau emphasized many times that he was a citizen of the republic, however, one easily finds that his life belongs to the minority class since he was young. Rousseau himself knew it, too. The difference between what he was and what he wanted to be suggests that the marginality was a forced identity; however, he did not simply reject the marginality. He did not accept the common idea that the life of a marginal man was that of an outcast at the margins of the society outside of the mainstream of history. He considered the life of minority class one of the fair modes of life, while he refused to think a marginal man's social and historical position must be confined to the margins of the society. In conclusion, Rousseau wanted a life of a marginal man but rejected to belong to the marginal social and historical space. Rousseau, protagonist of Les Confessions, affirming and incarnating a painful marginality assigned to him, revealed a process in which the marginal man rejected the marginality and took up an honorable place in his society.

      • KCI등재
      • KCI등재

        루소의 『고백』 의 <뇌샤텔 판본>문제(I)

        정승옥(Jeong, Seung-Ok)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3 인문과학연구 Vol.0 No.39

        장-자크 루소의 『고백』The confessions의 원고manuscript는 세 가지가 있다. ‘뇌샤텔 원고’the manuscript of Neucha?tel, ‘제네바 원고’the manuscript of Geneve, ‘파리 원고’the manuscript of Paris. 이 가운데 가장 먼저 쓰인 ‘뇌샤텔 원고’는 <제3권>을 마치고 <제4권> 중간에서 멈춘, 이른바 미완성본이고 ‘제네바 원고’와 ‘파리 원고’는 <제12권>까지 있는 이른바 완성본으로 약간의 차이가 있다. 현재 갈리마르Gallimard 출판사의 플레이야드Pleiade판 루소 전집에서 결정판으로 쓰이는 『고백』판본 원고는 ‘제네바 원고’이며 대부분의 출판사에서 출판하는 『고백』판본들도 마찬가지이다. 필자가 미완성본인 뇌샤텔 원고에 주목하는 까닭은 『고백』의 <제1권> 앞에 있는 서문 격에 해당하는 ‘프레앙뷜’ preambule 때문이다. 우리말 번역 기준으로 ‘뇌샤텔 원고’의 ‘프레앙뷜’은 9,100여 자에 이르는데 ‘제네바 원고’ 등의 ‘프레앙뷜’은 1,000여 자를 약간 넘는다. 정량적으로는 1/9로 대폭 줄어들었고 ‘이지적, 설명적, 논리적인, 거의 웅변적이라 해도 좋을 어조’였던 ‘뇌샤텔 원고’의 ‘프레앙뷜’은 ‘난삽하고 상징적인’ 제네바 원고의 ‘프레앙뷜’로바뀐다. 루소의 고백』은 한국에서도 여러 번 번역되었고 괜찮은 번역판도 몇 있다. 그럼에도 ‘뇌샤텔 원고’의 ‘프레앙뷜’을 소개한 번역본은 없고 그에 대한 연구도 전무하다. 이 ‘프레앙뷜’은 ‘자서전으로서의 루소의 고백』연구’ 뿐아니라 ‘문학으로서의 자서전 연구’에서도 반드시 짚고 넘어가야 할 자료라는 게 필자의 판단이다. 우선 이번 기회에 ‘뇌샤텔 원고’의 ‘프레앙뷜’을 전문 번역해 소개하고 그에 대한 세밀한 연구는 다음으로 미룬다. The Confessions written by Jean-Jacques Rousseau has three manuscripts: the manuscript of Neucha?tel, the manuscript of Geneve and the manuscript of Paris. Its earliest manuscript is that of Neucha?tel. It is incomplete since he did not finish writing its fourth volume. The other two manuscripts of Geneve and Paris are complete, but there are some discrepancies between them. The Pleiade edition of The Confessions published by Gallimard Press and most of the other editions are based on the manuscript of Geneve. However this final edition has a tenacious problem: The “preambule,” the preface to The Confessions. When it is translated in Korean, the “preambule” of the final edition is no more than 1000 words, compared to that of the manuscript of Neucha?tel, which is 9,100 words; its obscure, inscrutable and symbolic tone was reasonable, explanatory, logical and eloquent in the manuscript of Neucha?tel. The Confessions has been translated many times, and some of Korean translations are good. However, no one has ever attempted to translate the “preambule” in the manuscript of Neucha?tel and there is not any research on it in Korea. It is time to reevaluate its literary and cultural significance and meanings. It would provide us with some relevant signs to understand Rousseau’s Confessions as an autobiography as well as a literary work. For further comprehensive study on the “preambule” in the manuscript of Neucha?tel, I would like to introduce its full Korean translation.

      • KCI등재

        포르노그래피, 에로티시즘 그리고 문학

        정승옥(Jeong, Seung-Ok)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2 인문과학연구 Vol.0 No.35

        이 논문은 문학/예술 작품의 예술성과 외설성의 경계가 무엇인지, 그 사이에서 에로티시즘은 어떻게 설명해야 하는지, 그리고 그 둘 사이의 경계를 설정할 수 있는 것인지를 알아보기 위해 시론적으로 쓰였다. 귀스타브 꾸르베Gustave Courbrt의『세상의 기원』(The origin of the world, 1866)은 원작이 프랑스 파리의 오르세 미술관 Musee d"Orsay 에 전시되어 있는데, 이는 이 작품이 예술작품임을 뜻하는 것이다. 또한 이 작품은 포르노 화집『에로티카 위니베르살리스』(Erotica Universalis)(타쉔Taschen)에도 실려 있다. 『세상의 기원』은 예술작품이며 동시에 포르노인 셈이다. 2001년 프랑스에서 베스트셀러 목록에 오르기도 한 미쉘 우엘벡Michel Houellebecq의 『플랫폼』(Plateforme)과 카트린 밀레 Catherine Millet의 『카트린 M의 성생활』(La vie sexuelle de Catherine M), 두 작품은 성적 자유에 대하여 정반대의 입장을 취하고 있지만 성묘사가 노골적이라는 점에서는 공통점을 갖고 있다. 이 두 경우, 서로 어긋나는 이런 현상이 일어나는 까닭이 무엇인지, 그것이 예술의 어떤 속성 때문인지를 논문은 찾아본다. 이 지점에서 거론하게 되는 것이 〈에로티시즘〉이다. 우리는 ‘에로티시즘’의 의미와 영역을 알아보면서 그것이 예술성과 외설성에 걸쳐 있다는 사실을 확인하게 된다. 예술작품인지 포르노인지를 구분하는 명확한 기준은 세우기 어렵다. 감상자의 미적 감식안에 따라 다를 수 있고, 이용 방식에 따라 다를 수도 있다. 아마도 가장 무난한 기준은 ‘〈맥락〉에 따라 판단한다.’일 수밖에 없을 것이다. This paper aims at defining the ways in which we distinguish art from obscenity in the literary and artistic works. While it probes into the possibility of setting up the boundaries between these qualities, it also tries to illuminate them in context of eroticism. It is true that Gustave Coubert’s The Origin of the World (1866), which is exhibited at Musee d"Orsay in Paris is a work of art. It is also true that this work, which is included in Erotica Universalis, is a pornograph. In this sense, The Origin of the World is not only a work of art but also a pornograph. Michel Houellebecq’s Plateforme and Catherine Millet’s La vie sexuelle de Catherine M have the opposite positions on the sexual liberty, but they share a common point that they are very lascivious. This paper attempts to illuminate the ways in which an artistic and literary work can be artistic as well as obscene, and also explain this phenomenon can be related to the attribute of art: eroticism. Thus it elucidates the significance and realm of eroticism in order to understand of artistic qualities and obscenity in the works of art and literature. It would not be easy to differentiate a work of art from pornography. It is often up to the various aesthetic tastes or the usages of the art works. Thus, the paper contends that the most acceptable criterion to tell art from obscenity is the context in which the work of art and literature lies.

      • KCI등재후보

        쿤데라와 엘뤼아르의 한 에피소드 초록

        정승옥(Jeong Seung-Ok)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09 인문과학연구 Vol.0 No.23

        이 글은 쿤데라가 그의 작품 안에서 묘사한 시인 엘뤼아르에 관한 대목들을 살펴보면서 문학이 역사적 현실에서 무엇을 할 수 있는지 그 논의의 시발점을 찾아보기 위해 쓰였다. 또한 작가들이 현실의 인물을 작품 안에 빌려다 쓸 경우는 물론 상상력의 도움을 받아 등장인물을 형상화 하면서 경계해야 할 유혹이 무엇인지를 확인하기 위해 쓰였다. 쿤데라는 그의 작품 『생은 다른 곳에』와 『웃음과 망각의 책』을 통해 스탈린을 찬양하는 엘뤼아르, “처형자와 시인이 함께 나란히 앉아 통치하던 시대”를 거론한다. 물론 이때의 시인은 엘뤼아르이다. 일시적이나마 엘뤼아르가 스탈린의 만행에 눈 감은 것은 비난받을 일이다. 그러나 그 일을 전면에 내세워 사랑과 평화와 희망의 시인 엘뤼아르를 처형자와 나란히 앉아 시대를 통치한 시인으로 규정하는 일 또한 정당하다고 보기 어렵다. 부분에 기대어 전체를 매도하는 일, 빛과 그림자가 병존하는 현실 세계에서 그림자의 세계에서 눈을 떼는 일, 세상사를 양단간의 논리로 규정하는 일을 문학은 그리고 작가는 당연히 거부해야 한다는 것을 누구보다 잘 아는 엘뤼아르와 쿤데라 사이에서 벌어진 이 에피소드는 다시 한 번 문학은 무엇을 할 수 있는지 생각할 기회를 제공한다. This paper makes deliberate efforts to find out some vital clues to the role of literature in the specific historical period through reviewing Milan Kundera's works on a French poet, Paul Eluard. It also tries to illuminate what temptation a writer is exposed to, when he creates an imaginary character as well as when he portrays a real person in his works. In Life is Elsewhere and The Book of Laughter and Forgetting Kundera describes a poet who praises Stalin and delineates an era in which the hangman and the poet ruled hand in hand. The poet in his book is Eluard himself. Eluard deserves disapproval and criticism of overlooking Stalin's atrocity temporarily. However it does not seem to be justifiable to criticize Eluard for ruling an era with a dictator, since he is also a poet of love, peace and hope. This episode between Elurard and Kundera who know well the fact that a writer must not revile someone on the partial basis, ignore a shadow in reality where light and shadow coexist, or judge the world in a logic of this or that gives readers an opportunity to think about the function of litera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