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유성기음반에 나타난 합주 <청성곡> 연구

        정소희(Jeong, So-Hee) 한국국악교육학회 2016 국악교육 Vol.41 No.41

        청성곡은 한국음악에서 가장 많이 연주되는 정악독주곡인데, 20세기 초의 유성기음반에 따르면 세악합주 · 양소병주 · 단소병주 · 장고반주의 단소독주 · 무반주 대금독주 등 다양한 형태의 음악으로 연주되었다. 본 논문은 합주편성의 청성곡 음원인 《아악정수》의 <요천순일지곡>과 ‘빅타’판 양소병주 <청성곡>의 음악요소를 분석하고 편성 악기의 선율관계를 조명하여, 청성곡이 현행의 독주곡이라는 인식을 벗어나 다양한 연주형태로의 가능성을 모색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세악합주 편성의 《아악정수》 <요천순일지곡>은 총 5각 2박으로 이루어 졌고, 장고가 편성되면서 가곡과 같이 일정한 한배로 합주하였다. 생황 · 단소 · 해금이 같은 옥타브에서 유니즌(Unison)으로 연주하였는데, 특히 단소는 다양한 꾸밈음을 첨가하여 선율을 연주하였다. 대금은 현행의 대금독주 <청성곡>과 다르게 한 옥타브 아래인 저취(低吹)에서 연주하는 베이스의 역할과 선율악기의 역할을 동시에 하였다. 양소병주 편성의 빅타판 <청성곡>은 총 4각 11박으로 구성되어 있고, 장고가 11박+5박의 가곡 장단을 연주하였다. 단소는 독주 <청성곡>과 동일하게 화려한 선율로 양금의 여백을 채우며 주도적으로 선율을 연주하고 있었다. 양금은 ‘♩.’ 의 단순한 리듬으로 골격음을 연주하며 보조적인 역할을 하였는데, 동일음을 반복할 때 같은 음을 연주하지 않고 옥타브를 상하행하며 연주하였다. 요컨대 두 개의 합주 <청성곡> 모두 가곡과 같은 장단과 짜임새로 구성되었는데, <청성곡>이 가곡에 원류(原流)가 있기 때문이라 할 수 있겠다. 합주 <청성곡>의 선율분석을 통해 대금이 저취 · 평취 · 역취의 다양한 음역대를 연주할 수 있는 악기이기 때문에 베이스의 역할과 선율악기로서의 역할을 동시에 하고 있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 단소는 세악합주의《아악정수》<요천순일지곡> 보다 양소병주의 빅타판 <청성곡>에서 더욱 화려하게 선율을 연주하였는데, 세악합주보다 양소병주 악기편성에서 단소의 역할이 확대되고 있는 양상으로 볼 수 있다. 20세기 초에는 동일한 <청성곡>에서 합주 편성에 따라 각 악기들의 선율을 다르게 운용하였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 ‘Chung-Sung-Gok’ was one of the most popular Korean traditional solo music, according to gramophone records in early 20th century, it was played in the various forms of musics such ‘Se-ag’ ensemble, ‘Yang-so’ duet, ‘Dan-so’ duet and ‘Dan-So’ solo accompaniment with ‘Jang-go’ as ‘Dae-gum’ solo. I’d like to suggest that the recognition of ‘Chung-Sung-Gok’ as a solo playing should be changeable to the various instruments playing through this thesis, by analyzing musical elements and lighting ‘Yocheonsunilgigok’ in ‘A-ag Jeong-su’ which was an origin of ‘Chung-Sung-Gok’, and analyzing ‘Yang-so’ duet ensemble of ‘Victor’ records. ‘Yocheonsunilgigok’ in ‘A-ag Jeong-su’ was composed 5 times with 2 beats In addition of ‘Jang-go’ it was played a tempo like Gesang. And ‘Saeng-whang’. ‘Dan-so’ and ‘Haegum’ was played at the same octave, especially ‘Dan-so’ was played with various ornaments. ‘Daegum’ had the role of base and melody which was played in a low sound with one down octave deferantly with current ‘Daegum’ solo ‘Chung-Sung-Gok’. ‘Yang-so’ duet ensemble of ‘Victor’ record was composed total 4 times and 11 beats, and ‘Jan-go’ was played on a ‘Gesang’ rythem with 11 times plus 5 beats. ‘Yanggum’ had subsidize role playing with a simple rhythem ‘ ’. When a music was playing with the same rhythem it’s octave was changed on one octave high or low. In short, two of the ensemble songs of ‘Chung-Sung-Gok’ consists of the same tune and texture, because this song’s headwaters was origined by ‘Gesang’. Analyzing the melody relatations of ‘Chung-Sung-Gok’ in each instruments, I found that ‘Daegum’ had not only the role of base and but melody, because it is a good instrument which is played in row, middle and high sound level. ‘Dan-so’ melody was played more splendidly on ‘Chung-Sung-Gok’ than ‘Yocheon-Soonil’ in ‘A-ag Jeong-su’ with ‘Se-ag’ ensemble. It is because the role of ‘Dan-so’ was so increased in ‘Yang-so’ duet than in ‘Se-ag’ ensemble. It seems that the melody of several instruments was played deferantly on the same ‘Chung-Sung-Gok’ play, in early 20th centry, depend upon composing of the instruments.

      • SCOPUSKCI등재

        옻나무에 의한 알레르기성 접촉피부염과 경구복용에 의한 전신성 접촉피부염의 면역조직화학적 비교

        정소희,조상현,이상진,김시용 ( So Hee Jeong,Sang Hyun Cho,Sang Chin Lee,Si Yong Kim ) 대한피부과학회 1997 대한피부과학회지 Vol.35 No.6

        Background: The rhus has been known to be such a potent allergen that it causes severe contact dermatitis, and mary studies have tried to reveal the mechanism of allergic contact. dermatitis to urushiol. However, the mechanism of systemic contact dermatitis to urushiol is not, well-known, though the consumption of rhus as a health product and for desensitization is not unconmon in Korea.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niechanism of systernic contact dermatis, and we carried out irnmunohistochemical stainings un the two strands of dermatitis (systemic arid,llergic contact dermatitis). Methods : The patients of systemir, contact dermatiti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by duration and severity of the illness according to the desired criteria. We perfor med immunohistor,hernical staining of the tissues from the pat.ients with anti CD4, CD8, CDla, ICAM-1, II,-ZR monoclorial antibodies. Results : 1.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immunohistochemical staining showed that CD8 positive cell numbers in systemic contact dermatitis(18 -L 1 0)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ose of allergic contact der matitis(37 +- 13) ( p< 0.05). 2. The expressions of HLA-DR and ICAM-1 in the keratinocyte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systemic and allergic contact derrnatitis(p>0.05). Conclusion : The result suggest that lower numbers of CDH positive T cell in systemic contact dermatitis caused a reduation in the suppressor effect to the urushiol mediated immune rection and CD8 positive T cells play an important role in systemic contact dermatitis due to rhus. (Korean J Dermatol 1997;35(6): 1052-1058)

      • SCOPUSKCI등재

        건과 건막의 투명세포육종

        정소희,신현민,이동원,이상진,김시용,조백기 ( So Hee Jeong,Hyun Min Shin,Dong Won Lee,Sang Chin Lee,Si Yong Kim,Baik Kee Cho ) 대한피부과학회 1997 대한피부과학회지 Vol.35 No.2

        Clear cell sarcoma of the tendon and aponeurosis was first described by Enzinger in 1965, and has become a well-accepted clinicopathological entity as malignant melanoma of soft parts. Although it posesses the ability to produce melanin, it is quite different from conventional melanoma in that, it is more deeply located, usually associated with tendon and aponeurosis, displays pale-staining round to oval-shaped tumor cells and has a longer clinical course and better prognosis.Several cases have been reported in Korea, and we experiened an additional case of this rare tumor that showed ulceration. (Kor J Dermatol 1997;35(2): 392-395)

      • KCI등재

        이충선과 김광식의 대금산조 선율에 나타난 지향점 고찰

        정소희(Jeong, So-hee) 국립국악원 2021 국악원논문집 Vol.44 No.-

        본 연구는 경기도 광주를 근거지로 음악활동을 펼쳤던 이충선과 김광식의 대금산조를 중심으로 내드름, 종지구, 유사선율, 관용적인 선율, 음조직을 분석하고, 두 대금산조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검토하여 각 산조에서 추구한 음악적 지향점을 고찰하였다. 첫째, 내드름은 두 산조 모두 첫 장단은 1-2음을 중심으로 간결하게 진행되는 반면 두 번째 장단에서는 이충선의 경우 구성음과 시김새로 음조직을 확실하게 표현하였고, 김광식은 첫 장단의 선율을 유사하게 반복하는 양상이 나타났다. 대체로 이충선의 내드름이 김광식 산조보다 선율 진행이 다채로웠다. 둘째, 종지구는 두 산조 모두 본청 종지유형을 가장 많이 사용하였다. 다만 이충선의 진양조 계면조에서 하청으로 종지하는 예외가 나타났다. 셋째, 이충선과 김광식 산조의 유사선율은 비교적 적게 나타났다. 두 산조의 유사선율은 유사한 선율로 진행하면서도 두 연주자가 각자의 개성 있는 시김새와 연주법으로 서로 다른 음악적 분위기를 형성하였다. 넷째, 관용적인 선율은 김광식이 이충선에 비해 월등히 자주 사용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이충선 산조는 관용적인 선율이 적게 나타나 다채롭게 선율이 구성된 반면, 김광식 산조는 관용적인 선율이 반복적으로 나타나 담백한 느낌을 주었다. 다섯째, 음조직 면에서 이충선 산조가 김광식 산조보다 변청과 변조가 다채롭게 사용되었다. 진양조는 이충선과 김 광식 산조가 공통적으로 b♭우조 → c계면조로 1회의 변조만이 나타났는데, 이러한 변조는 1세대인 박종기 산조와 동일한 양상이었다. 중모리는 이충선의 경우 여러 번의 변청과 변조를 통해 짜임새 있고 다채로운 구성으로 3세대 산조에서 나타나는 양상을 보인 반면, 김광식은 1개의 음조직으로만 선율이 구성되어 있어 1~3세대 대금산조 중에 가장 단순한 구조의 산조라 할 수 있었다. 자진모리는 이충선의 경우 두 번 음조직이 바뀌는 동안 김광식은 전체적으로 c계면조로 진행하다가 마지막 4장단에서 우조로 변조하며 음악을 마무리하였다. 요컨대 이충선은 다양한 변조와 변청 활용으로 3세대 산조의 특징을 보였다면, 김광식은 1세대인 박종기 산조보다 더 단조로운 짜임새로 이충선과 대조를 이루었다. 이와 같이 이충선과 김광식 대금산조를 비교한 결과, 두 연주자가 동시대에 경기음악을 중심으로 활동하였던 공통점이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산조에서 추구했던 음악적 지향점은 매우 달랐음을 확인하였다. This study analyzed naedeureums (head melodies), ending phrases, similar melodies, idiomatic melodies, and the tonal system of Daegeum Sanjo (Korean transverse flute–free-style solo) by Lee Chung-Seon and Kim Kwang-Sik who were active in Gwangju and Gyeonggi Provinces. This is to examine the correlation between the two Daegeum Sanjos by looking in the similarity and differences between them. First, in both sanjos, naedeureum in the first rhythm progressed simply centering around first and second notes. In the second rhythm, Lee Chung-Seon expressed the tonal pattern noticeably by playing consisting notes and sigimsae (ornamental tones), while Kim Kwang-Sik repeated the melodic pattern of the first rhythm in the similar fashion. In general, the naedeureum in Lee Chung-Seon’s performance was more diverse than the melodic progression of Kim Kwang-Sik. Secondly, for the ending phrase, both sanjos mostly used the typical ending type, employing boncheong (original tone). And yet, the ending tune of Jinyangjo Gyemyeonjo by Lee Chung-Seon displayed an exception that it has ended with hacheong (low tone). Thirdly, there were relatively few similar melodies in both sanjos. Where there appeared identical melody, both performers progressed with comparable phrases, while creating different musical atmosphere by applying unique sigimsae and performance technique. Fourth, idiomatic melodies were more frequently used by Kim Kwang-Sik, compared with Lee Chung-Seon’s rendition. Lee Chung-Seon’s sanjo showed scarce idiomatic melodies, so was composed with colorful melodies, while Kim Kwang-Sik’s sanjo repeatedly showed natural melodies, giving a feeling of unadorned. Fifth, in terms of tonal composition, byeoncheong (alteration of a tone) and byeonjo (modulation) were used more colorfully in Lee Chung-Seon’s sanjo, compared with that of Kim Kwang-Sik. For Jinyangjo, it was common that in the both sanjos, there appeared only one modulation from b♭ Ujo to c Gyemyeonjo. Such technique was applied bythe 1st generation of Daegeum sanjo performer, Park Jong-Gi. For jungmori part, Lee Chung-Seon showed similar musical aspects, usually used by the 3rd generation sanjo players with cohesive and radiant melodic structure, through applying several transpositions and modulations, while Kim Kwang-Sik employed only one melody, consisting single tone. Based on this, one can reach to a conclusion that Kim Kwang-Sik’s sanjo has the simplistic melodious structure among daegeum sanjos, throughout the 1st to 3rd generation. In regard to jajinmori, Lee Chung-Seon’s performance revealed the change twice in consisting tones, while Kim Kwang-Sik progressed with c Gyemyeonjo overall, finishing the part by modulating it to Ujo in the last 4th rhythm. In sum, Lee Chung-Seon show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3rd generation Sanjo performers’ by utilizing various modulations and transpositions, while Kim Kwang-Sik’s performance exhibited contrasts with that of Lee Chung-Seon. Kim Kwang-Sik played Sanjo employing more monotonous melodic structure than that of the 1st generation. As a result of the comparison of the two Daegeum Sanjos by Lee Chung-Seon and Kim Kwang-Sik, one can learn that, although the two performers were active in the same period, being exposed to the traditional Gyeonggi music, the points of their musical intention, that they pursued in sanjo music, were considerably different.

      • KCI등재
      • KCI등재

        갈등적인 부부관계와 한부모가족, 어느 것이 아동의 정신건강에 더 해로운가?

        정소희 ( So Hee Jeong ) 한국사회복지연구회 2011 사회복지연구 Vol.42 No.4

        본 연구는 아동의 정신건강에 위험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는 부부갈등과 한부모가족 중 어느 것이 더 아동의 정신건강(아동의 우울/불안, 스트레스, 정서조절, 자아존중감, 삶에 대한 만족도)에 영향을 많이 미치는지, 그리고 부부갈등과 한부모가족 등이 양육행동을 통해 아동에게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진행되었다. 한국청소년패널조사(KYPS) 중 초등학교 패널 1차년도 데이터를 사용하였고 전체 대상자 2,844명 중 2,816명이 최종 분석대상으로 사용되었다. 분석결과는 부부갈등이 높다고 응답한 청소년들이 부부갈등이 낮은 양부모가정이나 모자가정, 부자가정 청소년에 비해 우울/불안 및 스트레스가 높은 반면 정서조절, 삶에 대한 만족도, 자아존중감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부모의 양육행동도 부부갈등이 높은 집단이 가장 좋지 않은 것으로 나타나 갈등적인 부부관계가 가족구조보다도 아동의 정신건강에 있어 위험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부부갈등이 청소년에게 미치는 부정적 영향은 부모의 양육행동을 통제한 후에는 더 이상 유의하지 않아 부부갈등보다는 부모양육행동이 아동의 정신건강에 훨씬 중요한 요인임을 확인하였다. 이와 같은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몇 가지 실천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Relative effects of single-parent family(single-mother vs. single-father) and interparental conflict(high vs. low) on children`s mental health(depression, anxiety, emotional regulation, self-seteem, level of distress and satisfaction with life) was examined for the sampl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of the Korea Youth Panel Survey. The major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1) parental conflict has had more damaging effects on children`s mental health than those of single-parent families. (2) Parents in high conflict families had most negative parenting behaviors. (3) Controlled for other variables including parenting behaviors, parental conflict had no longer negative effects on children`s mental health Implications of results for theory, research, and policy are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