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건강기능식품의 기능성을 중심으로 한 오메가-3 지방산 함유유지의혈행개선 효과에 대한 체계적 고찰

        정세원,김지연,백주은,김주희,곽진숙,권오란,Jeong, Sewon,Kim, Ji Yeon,Paek, Ju Eun,Kim, Joohee,Kwak, Jin Sook,Kwon, Oran 한국영양학회 2013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Vol.46 No.3

        Omega-3 polyunsaturated fatty acids are essential fatty acids because humans cannot synthesize them de novo and must obtain them in their diet. Fish and fish oil are rich sources of omega-3 fatty acids, including eicosapentaenoic acid (EPA) and docosahexaenoic acid (DHA). Significant evidence of the beneficial role of dietary intake of omega-3 fatty acids in blood flow has been reported and putative mechanisms for improvement of blood flow include anti-thrombotic effects, lowered blood pressure, improved endothelial function, and anti-atherogenic effects. Edible oils containing omega-3 fatty acids were registered as functional ingredients in the Korea Health Functional Food Code. Although omega-3 fatty acids have been evaluated by the Kore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KFDA) based on scientific evidence, periodic re-evaluation may be needed because emerging data related to omega-3 fatty acids have accumulated. Therefore, in this study, we re-evaluated scientific evidence for the effect of omega-3 fatty acids as a functional ingredient in health functional food on improvement of blood flow. A comprehensive literature search was conducted for collection of relevant human studies using the Medline and Cochrane, KISS, and IBIDS databases for the years 1955-2012. Search keywords were used by combination of terms related to omega-3 fatty acids and blood flow. The search was limited to human studies published in Korean, English, and Japanese. Using the KFDA's evidence based evaluation system for scientific evaluation of health claims, 112 human studies were identified and reviewed in order to evaluate the strength of the evidence supporting a relation between omega-3 fatty acids and blood flow. Among 112 studies, significant effects on improvement of blood flow were reported in 84 studies and the daily intake amount was ranged from 0.1 to 15 g. According to this methodology of systematic review, we concluded that there was possible evidence to support a relation between omega-3 fatty acid intake and blood flow. However, because inconsistent results have recently been reported, future studies should be monitored.

      • KCI등재
      • KCI등재

        건강기능식품의 기능성을 중심으로 한 코엔자임Q10의 항산화 기능성에 대한 체계적 고찰

        김지연,정세원,백주은,김주희,곽진숙,이윤정,강태석,권오란,Kim, Ji Yeon,Jeong, Sewon,Paek, Ju Eun,Kim, Joohee,Kwak, Jin Sook,Lee, Yoon Jung,Kang, Tae Seok,Kwon, Oran 한국영양학회 2013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Vol.46 No.3

        Although the functional ingredient has been evaluated by the Kore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KFDA) based on scientific evidence, the levels of scientific evidence and consistency of the results might vary according to emerging data. Therefore, periodic re-evaluation may be needed for some functional ingredients. In this study, we re-evaluated scientific evidence for the antioxidant activity of coenzyme Q10 as a functional ingredient in health functional food. Literature searches were conducted using the Medline and Cochrane, KISS, and IBIDS databases for the years 1955-2010 with the search term of coenzyme Q10 in combination with antioxidant. The search was limited to human studies published in Korean, English, and Japanese. Using the KFDA's evidence based evaluation system for scientific evaluation of health claims, 33 human studies were identified and reviewed in order to evaluate the strength of the evidence supporting a relation between coenzyme Q10 and antioxidant activity. Among 33 studies, significant effects for antioxidant activities were reported in 22 studies and their daily intake amount was 60 to 300 mg. Based on this systematic review, we concluded that there was possible evidence to support a relation between coenzyme Q10 intake and antioxidant activities. However, because inconsistent results have recently been reported, future studies should be monitored.

      • 농업용 양수장 시설능력 반영에 따른 물수급 분석 비교 및 고찰

        오지환 ( Jihwan Oh ),정세원 ( Sewon Jeong ),임동진 ( Dongjin Lim ),김상우 ( Sangwoo Kim ),박진현 ( Jinhyeon Park ) 한국농공학회 2023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23 No.0

        각 분야별 물관리계획을 아우르는 국가 최상위 전략 계획인“제1차 국가물관리기본계획(2021-2030)”을 2021년 6월에 수립·공표하였으며, 최근에는 전국단위 하천-유역의 물순환 체계(이수, 치수, 하천환경)를 고려한 통합 물관리 사업을 마련하기 위해 전국 주요 권역별“하천유역수자원관리계획”을 수립 중이다. 이수(물이용) 분야의 관리 대책을 마련하기 위해서는 목표연도의 물수요량과 하천, 수자원시설, 지하수 등 해당 유역별 가용 가능한 물공급량의 균형 분석을 통해 물부족 지역을 전망한다. 현실감 있는 장래 물부족량 전망을 위하여 기존 국내에서 적용했던 분석방법의 한계와 가정사항 등을 개선하여 최근에는 분석 기초단위를 표준유역단위로 세분화하고, 물이용시설 위치, 물이용 체계(수원-취수장-급수지역-하수처리장)를 고려한 물공급 네트워크를 구축하는 등 물수급 분석 모델(MODSIM)의 지속적인 운용과 고도화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 그간 농업용수 분야에서는 농업용댐, 저수지의 계측량 기반의 장래 물수요량 산정 현실화, 용수공급체계 정밀화를 통해 관련 국가계획에서 제시한 농어촌용수구역 단위의 물수요처를 구성하고, 연계 하천, 저수지, 지하수 등 가용 가능한 수자원 안에서 최적 공급하도록 구축하고 장래 물부족량을 산정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구축되어 있는 물수급 분석 모델 중 금강, 영·섬 유역을 대상으로 물부족량 산정에 지역적인 여건을 반영할 수 있도록 농어촌공사에서 2022년 기준의 관리 중인 농업용수 양수장의 시설제원(최대 물이동가능량)을 추가 반영하여 기존의 최적 공급 방식과 장래 물부족량 전망 결과를 비교하고자 하였다. 비교 분석 결과, 최대 가뭄 조건시 기존 물부족량 대비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농어촌용수구역 내 주요 하천에서 제한 없이 공급하던 물량을 연계된 농업용 저수지와 지하수에서 추가 충당하는 조건으로 공급비율이 변화하기 때문에 공급 부담이 늘어 저수 용량, 지하수 공급량 이상의 수요가 발생하는 시기에 물부족 발생 빈도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물수급 분석 모델 안에 지역별 통계자료를 추가 반영하여 분석했다는데 의미가 있으며, 향후 물수급 분석시 이를 반영하여 현실감 있는 물부족량 산정을 위해 고도화하고자 한다.

      • 코로나 19로 인한 발달장애 아동의 온라인 교육 문제 탐색 연구

        한진희 ( Han Jinhee ),심재환 ( Shim Jaehwan ),정세원 ( Jeong Sewon ),최진우 ( Choi Jinwoo ) 초록우산 어린이재단(구 한국복지재단) 2020 어린이재단 연구논문 모음집 Vol.2020 No.-

        본 연구는 코로나 19로 인하여 발달장애 아동이 온라인 수업 환경 속에서 어떤 어려움을 겪고 있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코로나 19로 인한 온라인 교육은 전례가 없는 사례이며, 발달장애는 연령에 관계없이 발달의 정도가 다르기 때문에 코로나 19 상황에 대한 주관적 의미는 무엇이고, 교육이 그들의 삶에 어떻게 연결되어 있으며 어떤 의미를 가지고 있는지 파악하기 위해 인터뷰를 통한 질적 연구방법을 사용하였다. 4명의 발달장애 아동의 학부모, 2명의 특수학교 교사가 연구에 참여 하였다. 연구결과, 온라인 교육으로 인해 파생되는 문제와 한계가 있었다. 온라인 교육으로 전환됨에 따라 발달장애 아동이 사회성을 형성할 수 있는 기회가 부족하게 되었고, 발달장애 아동이 가정에 머무르게 됨에 따라 학부모의 가사, 교육 부담이 증가하였다. 또한 개인의 수준에 적합한 교육이 적절히 이루어지지 못하거나, 콘텐츠를 제작하는 데 있어서 어려움이 많았다. 게시된 온라인 수업 콘텐츠의 난이도가 높아 수업을 따라가기 힘들거나, 난이도가 낮아 도움이 되지 않는 경우가 있었다. 또한 발달장애 아동 각각의 수준에 맞는 콘덴츠를 제작하기에는 시간과 물리적인 한계가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발달장애 아동의 수준에 맞는 온라인 학습법에 관한 연구의 필요성, 코로나 19와 같은 상황에서 발달장애 아동을 위한 교육 가이드 라인 구축 및 교육 콘텐츠 제공을 위한 체계적인 시스템 개발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attempted to find the difficulty of children with a developmental disability in the circumstances of online learning amid the COVID-19 pandemic. We used qualitative research method to examine their subjective meaning of COVID-pandemic situation, how education is connected and how it influences their life through an interview. 4 parents of them and 2 special-education school teacher were participated into the research. Results showed that online learning system derives several problems. As the education system has been converted to virtual, it reduced the chance of socialization of children with a developmental disability and left them in-home, which increased the household workload and education pressure on their parents. Appropriate education that is suitable for their own developmental spectrum was not provided. The level of online learning contents was too high that children had trouble understanding the materials and the same applied when the level was easy. In addition, teachers had a lot of hardship and limitation to make proper online learning contents for them. These results show that having a research of proper online learning method for children with a developmental disability, having education guideline for them in a disastrous situation like COVID-19 pandemic and developing an organized system for providing online learning contents become paramount.

      • KCI등재

        인체에서 식품의 기능성 확인을 위한 최신의 분석 방법

        김지연(Ji Yeon Kim),김민서(Min Seo Kim),정세원(Sewon Jeong),권오란(Oran Kwon) 한국식품과학회 2018 식품과학과 산업 Vol.51 No.1

        Functional food research has been struggling to demonstrate their beneficial effects in human, however, the physiological changes in humans who are in the target for functional food are very subtle and long term. In addition, it is difficult to obtain significant beneficial effect because of the necessity of using relatively healthy subjects. Relatively healthy subjects are homeostatic, and most of the biomarkers maintain a certain level under the “normal” or “resting” state. Moreover, due to wide inter-individual variation, it is difficult to detect significant changes. To address this problem, research has been actively conducted to identify the efficacy of natural products using ‘omics’ and ‘bioinformatics’ technology. In this review, we would like to introduce the human intervention studies applied homeostatic challenge model.

      • KCI등재

        건강기능식품의 기능성을 중심으로 한 글루코사민의 관절건강 기능성에 대한 체계적 고찰

        김주희(Joohee Kim),김지연(Ji Yeon Kim),곽진숙(Jin Sook Kwak),백주은(Ju Eun Paek),정세원(Sewon Jeong),권오란(Oran Kwon)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4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43 No.2

        글루코사민의 관절건강 기능성을 건강기능식품 재평가 기준에 맞추어 체계적 고찰을 실시하였다. 2012년 5월 기준DB 검색을 통해 703건의 자료를 수집하여, 선정/제외 기준에 따라 선별한 결과 총 34건의 연구가 평가되었다. 34건중 28건(4,225명)의 연구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개선 효과가 나타났으며(P<0.05), 일일 섭취량은 1.5~2 g으로 공전에서 제시되어 있는 섭취량 범위에 해당하였다. 글루코사민의 기능성 재평가 이후의 연구 결과는 16건이었고, 이 중 1,158명 대상 14건의 연구에서 유의한 관절건강 개선효과를 보였다(P<0.05). 연구대상자에 따른 분석 결과, 방사선검사 기준에 따라 관절 연골의 손상 정도가 심한 대상자를 제외한 연구는 11건이었으며, 이 중 2,934명 대상 10건의 연구에서 글루코사민이 관절건강에 유의한 개선 효과를 보였다(P<0.05). 따라서 현시점에서 건강기능식품인 글루코사민의 관절건강 기능성은 인정될 것으로 판단되나 향후 연구 결과 추이를 지속적으로 지켜볼 필요가 있다. Although the functional ingredient has been evaluated based on scientific evidence by the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MFDS), the levels of scientific evidence and consistency of the results might vary according to the emerging data. Therefore, a periodic re-evaluation may be needed in some functional ingredients. In this study, we re-evaluated the scientific evidence for the joint health of glucosamine as a functional ingredient in health functional food. Literature searches were conducted using Pubmed, Cochrane, KISS, and IBIDS databases with the search term of glucosamine in combination with osteoarthritis. The search was limited to human studies published in English, Korean and Japanese. Using the MFDS"s evidence based evaluation system for scientific evaluation of health claims, 34 human studies were identified and reviewed in order to evaluate the strength of the evidence supporting the relation between glucosamine and joint health. Among the 34 studies, significant effects for joint health were reported in 28 studies, and their daily intake amount was 1.5 to 2 g. Eleven out of 34 studies were identified, excluding severe radiographic osteoarthritis, and ten from those eleven studies reported significant effects for joint health. Based on this systematic review, we concluded that there was possible evidence to support a relation between glucosamine intake and joint health.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