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 KCI등재

        대학의 안전교육 현황 및 대학생의 안전사고 대처방법 인식에 관한 연구

        정성일(Sung-Il Chung),오재연(Jae-Yeon Oh) 한국콘텐츠학회 2016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6 No.12

        본 연구는 예비사회인을 배출하는 대학의 안전교육 현황과 대학생들의 안전사고 대처방법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고자 연구되었다. 이를 위하여 광주와 대전 지역의 대학생 411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를 보면, “안전교육에 참여할 의향이 있다”고 응답한 대학생의 계열별 비중이 기타(공학, 예체능), 교육계열, 인문계열, 사회․자연계열, 의학계열 순으로 나타났으며, 안전교육의 내용으로서는 “응급처치 교육을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안전사고 대처방법에 대한 대학생들의 인식을 살펴본 결과, 모든 계열의 대학생들이 “안전교육을 받은 경험은 있으나, 실제 안전사고가 일어난다면 당황할 것 같다”고 응답하였으며, 대학생들이 주변에서 이미 경험한 적이 있는 안전사고 유형 중에서는 “피부에 상처가 나는 안전사고를 많이 경험”한 것으로 밝혀졌다. 이러한 결과는, 대학생의 안전의식과 안전역량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대학생 스스로가 위험요소를 사전에 예측하고 대응할 수 있는 습관을 기르도록 하는 안전교육을 대학의 교육과정 안에서 실시되어야 한다고 본다. This study researched methods for coping with safety accidents by university students, after considering the situation of safety education by universities in Korea. For this study, a survey of 411 students of universities in the cities of Gwangju and Daejeon was conducted. According to the results, the ratio was high for answers such as willingness to participate in safety education beginning with the departments of engineering, art and physical training, education, art and humanity, social sciences and natural sciences, and medical sciences. It was found that university students most preferred first aid among the contents of safety education. University students of all departments answered that they had experienced safety education, but were afraid to be embarrassed in the case of actual safety accidents, as was found through the results of investigations of their awareness of coping methods with safety accidents. It was verified that many times their suffered skin and other wound in an earlier safety accident that they had experienced. This study suggests that safety education needs to be accomplished in the university curriculum, predicting and practicing for causes and factors of danger in advance, in order to improve the level of safety awareness and safety competence among university students.

      • KCI등재

        통신사를 통해 본 물적 교류 ―신미 통신사(1811년)의 예물 교환을 중심으로―

        정성일 ( Chung Sung-il ) 부산광역시 시사편찬위원회 2018 항도부산 Vol.36 No.-

        이 글은 1811년 일본을 방문한 조선의 통신사를 통하여 양국 사이에 이루어진 비경제적 측면의 물적 교류에 관하여 분석한 것이다. 조선이 일본으로, 일본이 조선으로 보낸 예물을 한국과 일본 양측의 기록을 대조하면서 양국이 주고받은 예물의 종류와 수량을 검토하였다. 이를 통해 확인된 사실은 크게 세 가지이다. 첫째, 예물 교환의 주체가 이중 구조로 되어 있었는데, 조선 정부와 일본 막부 사이, 그리고 조선 정부와 대마도(대마번) 사이의 예물 교환이 그것이었다. 둘째, 예물 교환의 내용을 보면 그것을 주는 쪽과 받는 쪽의 정치·외교적 위상에 따라 여러 형태의 격차와 차등이 내재되어 있었다. 셋째, 양국의 예물은 각국의 특산품과 공예품 중에서 상대국이 가장 선호할 것으로 기대되는 물품으로 구성되었으며, 상호주의에 입각하여 되도록 서로 주고받는 예물의 전체적인 가치를 비슷하게 유지하려고 애썼다. 다만 이 글에서 해결하지 못한 과제도 여전히 남아 있다. 통신사가 일본에서 받아온 일본 쇼군의 국서가 아직까지 한 점도 국내외에서 발견되지 않고 있는 것을 상기해 본다면, 앞으로 새로운 자료 발굴을 통해서 일본 측 예물(일본의 回禮單)의 소재를 추적하는 작업도 학계의 공통된 과제 중 하나이다. 아울러 조선에서 일본으로 보낸 예물이 일본 내에서 어떻게 분배되었는지에 대해서도 추후 연구가 필요함은 물론이다. This article analyzes the exchanges of material resources by the Korean Embassy sent to Japan (K. Tongshinsa) in 1811. Through verifying the kinds and the quantities of diplomatic gifts exchanged between the two nations, we can certify the gifts distributed to people who participated in the diplomatic event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can be summarized into three sides. First, the subjects of diplomatic gifts composed a dual structure. For example, one aspect is the relation between the Joseon government and the Japanese Tokugawa bakufu. Another aspect is the exchange between the Joseon government and Tsushima domain in Japan. Second, various differences and discrimination were built into the contents of the diplomatic gifts through the differential treatment according to the status of the participants when the diplomatic gifts were exchanged between the two nations. Third, the diplomatic gifts of the two nations consisted of commodities anticipated to be most preferred by people of the other nation. In short, the exchanges of diplomatic gifts between Joseon Korea and Japan show characteristics of diplomatic structures, the economic activities related to the production of diplomatic gifts, and the preference for diplomatic gifts by people of the other nation in the early modern period.

      • KCI등재
      • KCI등재

        조선의 기근과 일본쌀 수입 시도(1814~15년)

        정성일(Chung Sung-Il)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2008 한국민족문화 Vol.31 No.-

        In the early nineteenth century Chosun experienced economic difficulties stemming from a severe famine. At the time, it was common for Korean rice to be sent to Tsushima, in Japan. However, worsening conditions for Korean rice due to earlier, unknown famines forced the Chosun government to reduce the amount of rice that it sent to Tsushima. Furthermore, Chosun considered importing rice from Japan to supplement insufficient stores. This was the first time since 1609, when trade relations between the two countries were restored following the Japanese invasion. Tsushima filled the role of intermediary between the Chosun government and the Tokugawa Bakufu in Japan. A letter (K. sogye) composed in the sixth month of 1815 was sent by the Board of Rites to Tsushima. In that letter, the Chosun government stated that it wished to purchase 50,000 sok of rice from Japan. In the eighth month, that letter was forwarded to the bakufu, in Edo. The bakufu discussed this request for three months, and in the eleventh month decided not to reply favorably to the Chosun government's request. The bakufu explained that there was no precedent, but it may be that concern about establishing a precedent was the more important reason. Chosun government, which could not ignore the historical experiences of the Japanese invasion of 1592-1598, set aside anti-Japan sentiments and sovereign-subject relations momentarily, and pursued utilitarian diplomacy in order to halt the economic crisis. But the Chosun government's attempt to acquire 50,000 sok of rice from Japan through its relations with Japan ended in failure. The Considering how the Chosun government viewed this outcome is helpful in understanding the history of Korean-Japanese relations after the nineteenth century.

      • SCOPUSKCI등재
      • KCI등재

        왜관의 일기로 본 조 · 일 간 무역(1721~23년)

        정성일(Chung, Sung-Il) 한일관계사학회 2017 한일관계사연구 Vol.58 No.-

        이 글은 왜관에서 이루어진 조선과 일본의 무역에 관한 것이다. 첫째 분석 시기는 1721~23년이다. 둘째 분석 범위는 공무역(公貿易) 중에서는 쌀[公作米]과 흑각[黑角, 水牛角]과 구리[銅]의 거래[看品]이며, 사무역(私貿易) 중에서는 개시일(開市日)과 개시율(開市率)이다. 셋째 분석 자료는 왜관의 일대관(一代官, 이치다이칸)이 남긴 일기와 관수(館守, 간슈)의 매일기 등이다. 왜관의 무역 책임자가 작성한 일기를 통해서 18세기 조 · 일간 무역의 실상을 파악할 수 있게 한 점이 이 논문의 특징이다. This paper verifies the trade activities between Korea and Japan in the Waegwan (Japan House). First, the period of analysis is from 1721 to 1723. Second, the range of analysis is the trade in rice, water buffalo horns, and copper in the official trade, and the days and the frequency of the gaeshi (open market) in the private trade. Third, the documents for analysis are the diaries written by the Ichi Daikan, or the chief executives of trade who were dispatched from Tsushima domain to the Waegwan, which was located in Joseon Korea. It may be suggested that the actual conditions of the trade between Korea and Japan in the eighteenth century were grasped through analyses of the diaries written at the Waegwan.

      • KCI등재

        19세기 중엽 조선 역관의 무역 활동

        정성일(Chung, Sung-il) 한일관계사학회 2018 한일관계사연구 Vol.60 No.-

        조선시대 대일(對日) 외교와 무역의 실무를 맡은 사람들은 왜학역관(倭學譯官) 또는 왜어역관(倭語譯官)으로 불린 조선 정부의 일본어 통역관들이었다. 이들은 단순한 통역 역할을 넘어 외교와 통상의 전문가로서 활약하였다. 이 글에서는 왜관의 일본인이 작성한 『관수일기(館守日記)』와 그것의 목록집이라 할 수 있는 『분류사고(分類事考)』를 분석 대상으로 삼았다. 분석 기간은 1854년부터 1863년까지 10년 동안으로 한정하였다. 분석 결과는 두 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 첫째, 동래부(東萊府)에 파견되어 왜관의 일본인들과 교섭을 벌였던 조선 역관이 과연 어떤 사람들이었는지 그들의 신원을 밝혀냈다. 둘째, 조선 역관들이 언제 어떤 활동을 하였으며, 그것의 역사적 함의는 무엇인지를 규명하였다. 『관수일기(館守日記)』이외의 자료를 추가로 발굴하고, 분석 기간을 확대하는 것은 앞으로 풀어야 할 과제이다. The Korean Government"s interpreters of the Japanese language dealt with the practical affairs of diplomacy and trade between Korea and Japan in the Joseon Dynasty. They played active roles as specialists regarding diplomacy and trade in addition to serving as interpreters of the Japanese language. This paper analyzes the documents compiled by the Director of the Japan House (J. Kanshu), which were called the Daily Records of the Manager of the Waegwan (J. Kanshu Mainikki). The period of analysis is restricted to the ten years from 1854 to 1863. The results of the analysis can be summarized into two aspects. First, this paper clarified the identities of some Korean interpreters who were dispatched to Tongnae Province by the Korean government. Second, this paper revealed the trade activities that the Korean interpreters accomplished and the historical implications of their activities. The remaining tasks for future research should be solved by expanding the periods of analysis and collecting additional original documents in addition to the daily records of the Kanshu.

      • KCI등재

        조・일 간 무역 통계의 비교(1874년, 1880년)

        정성일(Chung, Sung-Il) 한일관계사학회 2021 한일관계사연구 Vol.72 No.-

        이 글은 19세기 후반 조선과 일본 사이의 무역 통계에 관한 것이다. 수출입 품목의 종류와 수량, 가격 등에 관한 정보를 담고 있는 무역 통계는 해당 시기 무역의 특징을 잘 보여준다. 1874년과 1880년의 무역 통계를 비교한 이 논문에서 다음과 같은 특징이 확인되었다. 첫째, 1874년과 1880년 무역 통계에서는 그 이전 시기 무역의 특징이었던 公貿易이라든가 私貿易 등의 구분을 발견할 수가 없었다. 둘째, 조선은 무역 통계의 작성 체계가 아직 확립되지 못했지만, 일본은 1868년부터 外務省이 그리고 1877년부터는 大藏省이 조선-일본 간 무역 통계를 작성・공표하고 있었다. 셋째, 1874년과 1880년의 무역품 비교에서 새로운 변화가 보였다. 예를 들면 일본이 해외에서 수입한 외국산 직물류를 조선에 다시 수출을 하는 품목이 늘었다. 넷째, 1874년과 1880년의 무역액 비교에서도 새로운 변화가 나타났다. 예를 들면 조선 우피의 수출액 비중(1874년 38%, 1880년 15%)과 인삼의 비중(1874년 8%, 1880년 1% 미만)이 점차 낮아지고, 조선 쌀의 수출 비중은 급격히 높아졌다(1874년 6%, 1880년 58%). 일본의 주력 수출품이었던 구리비중이 갈수록 낮아지고(1874년 11%, 1880년 4%), 조선의 「외국산」 직물류수입 비중이 여전히 높아졌다(1874년 唐木綿, 海黃, 天竺木綿 등의 비중 73%, 1880년 生金巾, 寒冷紗, 天竺布 등의 비중 74%). This paper is concerned with the trade statistics between Joseon and Japan in the late nineteenth century. The characteristics of trade in that period can be revealed from the trade statistics which contain the kinds, quantities and prices of exports and imports. Several characteristics were identified through the comparison of the trade statistics of 1874 and 1880 in this article. First, there were no classifications of official or private trade in the trade statistics of 1874 and 1880, unlike the earlier period. Second, the system of trade statistics was not established in Joseon until 1880, but trade statistics between Joseon and Japan were recorded and proclaimed by the Ministry of Foreign Affairs (J. Gaimusho) from 1868, and by the Finance Ministry (J. Okurasho) from 1877 in Japan. Third, new changes appeared through comparing the trade commodities of 1874 and 1880. For example, Japan reexported more and more to Joseon foreign textile goods that Japan imported from overseas countries formerly. Fourth, new changes appeared also through comparing the trade amounts of 1874 and 1880. For example, the export weight of Korean oxhide (38% in 1874, 15% in 1880) and ginseng (8% in 1874, under 1% in 1880) dropped lower and lower, but the export weight of Korean rice rapidly grew higher (6% in 1874, 58% in 1880). Further, the import weight of Japanese copper fell (11% in 1874, 4% in 1880), but the import weight of foreign textile goods remained high (73% in 1874, 74% in 1880).

      • KCI등재

        [특집: 동아시아 상인 열전-상인(商人)의 창을 통해 역사를 보다-] : 동래상인 정자범(鄭子範)의 대일무역 활동-1833년과 1846년의 사례-

        정성일 ( Sung Il Chung )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15 民族文化硏究 Vol.69 No.-

        왜관(倭館)의 매일기(每日記) 등을 통해서 19세기 초반 대일무역에 참가한 정자범(鄭子範)의 무역 활동이 밝혀졌다. 그의 아버지 정윤중(鄭允中) 역시 왜관을 드나들면서 무역에 참가하였던 동래상고(東萊商賈) 출신이었다. 정자범은 전주와 서울, 부산을 오가면서 우피(牛皮) 등 무역품을 조달하여 왜관에 판매하였다. 뿐만 아니라 전임 왜학역관(倭學譯官)이 풀지 못했던 공무역(公貿易) 미지급(미수) 문제의 해결에도 그가 기여하는 등 활약을 보였다. From the seventeenth century to the nineteenth century, among the Koreans who participated in trade with Japan were merchants and merchant groups called dojung. Upon receiving permission from Dongnae County, these traders conducted trade inside and outside the Japan House (K. Waegwan), which was located in today`s Yongdusan Park in Busan. This article focuses on the trading activities of one such Dongnae merchant, Jeong Jabeom, who flourished in the 1830s and 1840s. His father Jeong Yunjung, too, participated in trade as a Dongnae merchant into the 1810s. This case, as an example of the status of dojung merchant being hereditary over several generations, has received attention. Father and son together developed an active trade. Traveling from Dongnae (Busan) to Jeonju, then to Seoul, and then from Seoul to Dongnae (Busan), Jeong Jabeom concentrated on supplying cowhides and other goods. And this article shows that he also participated in solving the problem of non-payment (uncollected payment) for official trade that a previous interpreter (hundo) had not been able to resolv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