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모체 혈액 내 융모성선자극호르몬의 증가가 있는 임신에서 양수 내 angiogenin과 interleukin-6의 농도 변화

        원혜성,유혜경,김소라,정지윤,정복경,이필량,이인식,김암 대한산부인과학회 2002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5 No.4

        임신 중기에 태아 염색체가 정상임에도 불구하고 모체 혈청 내 융모성선자극호르몬이 원인불명으로 증가한 경우 임신중독증, 태아발육지연 및 조산 등의 불량한 주산기 예후가 동반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불량한 주산기 예후가 어떠한 병태생리에 기인하는지는 아직 명확히 밝혀져 있지 않다. 융모성선 자극호르몬 분비의 증가는 태반 조직의 허혈성 괴사에 따른 저산소증에 의해 영양배엽세포의 비정상적 증식이 유발되며 이에 따라 융모성선자극호르몬 분비가 증가되거나, 양수내 감염에 의해 태반 영양배엽세포에서의 interleukin-6 (IL-6)의 분비 증가 및 IL-6-receptor-mediated hCG 분비의 암호 전달체계의 활성화로 융모성선자극 호르몬의 분비가 증가되는 기전이 작용할 것으로 생각된다. 이에 본 연구는 특정한 원인 없이 2.5 MoM 이상 증가된 free β-hCG를 보이는 임신부 20명과 2.0 MoM 미만의 free β-hCG를 보이는 임신부 20명을 대상으로 원인불명의 free β-hCG 증가가 태반의 허혈성 괴사에 의한 것인지 염증에 의한 것인지를 밝히기 위하여 양수 내에서 허혈성 괴사의 지표인 angiogenin과 염증성 반응의 지표인 IL-6를 측정하여 비교분석 하였다. 통계적 분석은 기술통계적 분석과 Mann-Whitney U test를 적절히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p값이 0.05 미만일 때를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판정하였다. 주산기 예후는 대상군에서 대조군에 비하여 태아발육지연의 빈도가 유의하게 높았다. 양수내 angiogenin의 농도는 중앙값이 대상군에서 38.3 pg/mL, 대조군에서 166.9 pg/mL로 대상군에서 유의하게 낮았다. IL-6의 양수내 농도는 중앙값이 대상군에서 118.2 pg/mL 대조군에서 69.5 pg/mL로 대상군에서 다소 높았으나 통계적 유의성은 관찰되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임신중기 원인불명 융모성선자극호르몬의 증가는 염증성 반응에 의한 것보다는 태반의 허혈성 괴사에 대한 보상기전으로 발생한 영양배엽세포의 비정상적인 증식에 따른 영양배엽세포에서의 융모성선 자극호르몬 분비기능의 변화에 의한 결과로 생각된다. 또한 angiogenin의 생성 감소는 태아발육지연의 발생과 연관됨을 시사하였다. Objective : This study is to measure the level of concentration of angiogenin, a cause of potent neovascularization and a marker of ischemia, and of interleukin-6 (IL-6), an indicator of acute inflammation, in the amniotic fluid of patients with elevated maternal serum free β-hCG level during the second-trimester. Materials and Methods : Twenty patients with elevated maternal serum free β-hCG level (>2.5 MoM) at double screening test of Down syndrome were compared with the controlled group (<2.0 MoM). This study includes singleton gestation, gestational age of 14-18 weeks, and has no evidence of fetal structural and chromosomal anomalies. The levels of amniotic angiogenin and IL-6 were measured by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ELISA) method. Data were analyzed by Mann-Whitney U test. p value <0.05 was considered significant. Results : Amniotic angiogenin levels in the studied group were much lower than those in the controlled group (p<0.05), whereas the difference of IL-6 levels between the two groups was not significant. Nine studied patients delivered small for gestational age infants, but only one controlled patient (p<0.05) had the same infant. Other variables of perinatal outcome were not different between the two groups. Conclusion : That amniotic fluid angiogenin levels are significantly lower in patients with elevated maternal serum free β-hCG suggests an inadequate angiogenesis. Elevated maternal serum free β-hCG levels correlate with fetal growth restriction. IL-6 values in both groups have no significant difference.

      • KCI등재

        초기임신에서 자궁경부 분비물내 angiogenin 및 interleukin-6 농도와 임신 경과와의 연관성

        현민경 ( Min Kyung Hyun ),정복경 ( Bok Kyung Jung ),심재윤 ( Jae Yoon Shim ),원혜성 ( Hye Sung Won ),이필량 ( Pil Ryang Lee ),김암 ( Ahm Kim ) 대한산부인과학회 2011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54 No.6

        목적: 본 연구는 임신 10주 이내의 임신부를 대상으로 자궁경부 분비물내 angiogenin과 interleukin (IL)-6 농도를 측정하고, 해당 임신의 경과를 확인하여 이들 물질들의 농도와 초기임신의 예후가 관련성이 있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2001년 1월부터 2001년 12월까지 전향적으로 임신 10주 이전에 연속적으로 서울아산병원 산부인과를 처음 방문한 단태임신부를 대상으로 모체 혈청 β-hCG 및 progesterone 농도의 측정하였으며, 자궁경부 분비물을 채취하여 angiogenin과 IL-6의 농도를 ELISA kit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또한 질초음파를 시행하여, 정둔장, 융모막하출혈 유무, 태아 심박동수 등을 측정하였다. 결과: 총 121명의 임신부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이 중 임신 20주 이전에 자연유산된 임신부는 10명(8.3%)이었다. 모체 혈청 progesterone 농도,자궁경부 분비물내 angiogenin과 IL-6 농도는 임신주에 따른 유의한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임신 20주 이후까지 임신을 유지한 임신부에 대해 최종월경일과 초음파검사를 통한 임신주수가 서로 6일 미만으로 일치하는 군과 6일 이상 차이가 나는 군으로 나누고, 임신 20주 이내에 자연유산된 군은 따로 분류하였다. 모체 혈청 progesterone 농도는 각 군 간의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자궁경부 분비물내 angiogenin 농도는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P=0.041), 자궁경부 분비물내 IL-6 농도는 각 군 간에 차이를 보이는 경향을 보였다(P=0.059). 결론: Angiogenin이 초기임신 경과에 결정적 역할을 할 것이라 예상되며, 자궁경부 분비물내 angiogenin 농도는 예후 예측 표지자로서 중요한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다. Objective: To investigate the association between the cervical angiogenin and interleukin-6 levels and its outcome during early pregnancy. Methods: One hundred and seventy-fi ve pregnant women were included consecutively at the time of their fi rst prenatal visit after less than 10 weeks of gestation. The gestational age was calculated according to their menstrual history and/or ultrasonography. We measured the cervical angiogenin and interleukin-6 levels using ELISA kits. We also measured the maternal serum progesterone concentrations using radioimmunoassay. Spontaneous abortion was defi ned as when a pregnancy ended spontaneously within 20 weeks of gestation. If an index pregnancy lasted longer than 20 weeks of gestation, it was regarded as showing a normal pregnancy outcome. Results: Fifty-four pregnancies were excluded because of an incomplete study (n=36) or follow-up loss (n=18). Of the remaining 121 pregnancies, spontaneous abortion occurred in 10 pregnancies (8.3%) in which there were no significant gestational agedependent changes in the maternal serum progesterone, cervical angiogenin, and interleukin-6 levels. The maternal serum progesterone, cervical angiogenin, and interleukin-6 levels were not signifi cantly different between the spontaneous abortion group and the normal control group. However, the cervical angiogenin level was significantly decreased in the groups with discordant gestational age and spontaneous abortion compared to the group with concordant gestational age (median, 798.0 pg/mL vs. 723.4 pg/mL vs. 1039.8 pg/mL; inter-quartile range, 222.8-1054.7 pg/mL vs. 257.1-1213.3 pg/mL vs. 480.4-1534.4 pg/mL) (P<0.041). Conclusion: First trimester cervical angiogenin measurement may be valuable for predicting the early pregnancy outcome.

      • KCI등재

        자간전증 환자의 혈장 투여가 배양된 인간 제대정맥 혈관내피세포에서 Nitric Oxide 생성에 미치는 영향

        원혜성,남주현,김암,이인식,이필량,유혜경,정복경 대한산부인과학회 1999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2 No.5

        목적 : 배양된 인간 제대정맥 혈관내피세포에 대해 자간전증 환자로부터 분리한 혈장으로 자극을 주었을 때 산화질소[nitric oxide]의 생산에 변화가 있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 및 방법 : 중증 자간전증 환자 10명과[대상군] 임신 주수를 일치시킨 정상 혈압을 보인 임신부 10명[대조군]으로부터 각각 혈장을 채취하였다. 만삭에 선택적 제왕절개술을 받았던 임신부로부터 제대를 채취하여 제대정맥 혈관내피세포를 분리하여 배양하였다. 배양된 혈관내피세포에 대해 2% 또는 20%의 혈장을 각각 첨가하여 24시간 배양한 후에, 배양액을 채취하여 Greiss 반응법을 이용하여 산화질소의 대사산물인 nitrite 농도를 측정하여, 대상군과 대조군 사이에 서로 비교하였다. 통계는 Wilcoxon signed rank test와 Mann-Whitney U test를 이용하였다. 연구 결과 : 자간전증 환자의 혈장을 첨가하는 경우에는 농도를 증가시킴에 따라 nitrite 생산이 유의하게 증가하였다[배양액; 중앙값 0.012μg/ml 범위 0.001-0.022μg/ml, 2% 혈장; 중앙값 0.027μg/ml 범위 0.006-0.095μg/ml, 20% 혈장; 중앙값 0.067μg/ml 범위 0.016-0.252μg/ml][p$lt;0.005]. 한편, 대조군의 경우에는 2% 혈장의 첨가로는 nitrite 생산이 증가하지 않았다. 그러나 20% 혈장을 첨가한 경우에는 2% 혈장을 첨가한 경우에 비해 nitrite 생산이 유의하게 증가하였다[2% 혈장; 중앙값 0.017μg/ml 범위 0.008-0.021μg/ml, 20% 혈장; 중앙값 0.027μg/ml 범위 0.006-0.068μg/ml][p$lt;0.05]. 동일한 농도의 혈장을 첨가한 비교에서 대상군에서 대조군에 비해 nitrite 생산양[mean±standard error of mean]이 유의하게 증가하였다[2% 혈장; 0.036±0.009μg/ml 대 0.016±0.001μg/ml, p$lt;0.05][20% 혈장; 0.099±0.024μg/ml 대 0.028±0.007μg/ml, p$lt;0.005]. 결론 : 자간전증 환자의 혈장에는 혈관내피세포에서 산화질소 생산을 자극하는 물질[들]이 있는 것으로 추측되며, 산화질소 생산이 촉진되는 것은 자간전증의 병태생리의 하나인 혈관수축에 대한 보상작용인 것으로 판단된다. Objective : To evaluate whether preeclamptic plasma changes nitric oxide[NO] production in cultured human umbilical vein endothelial cells. Materials and Methods : Plasma were collected from 10 severe preeclamptic women and 10 gestational age-matched normal pregnancies. Endothelial cells were isolated from umbilical cord veins of patients receiving elective cesarean section at term. Various concentrations of plasma[2% and 20%] were added to the cultured endothelial cells. After 24 hours` incubation, nitrite concentrations in the cell media were determined with the Greiss assay. Nitrite concentrations after exposure to the preeclamptic plasma were compared with those to the normal pregnancies. Wilcoxon signed rank test and Mann-Whitney U test were used for statistical analysis. Results : Nitrite production exposed to the plasma from preeclamptic patients was increased significantly as the concentration of plasma was increased[plasma free media; median 0.012μg/ml range 0.001-0.022μg/ml, 2%; median 0.027μg/ml range 0.006-0.095μg/ml, 20%; median 0.067% range 0.016-0.252μg/ml][p$lt;0.005]. In contrast, 2% plasma of normal pregnancies did not increase nitrite production. However, nitrite production exposed to the 20% plasma from normal pregnancies was significantly increased comparing with that of 2% plasma[2%; median 0.017μg/ml range 0.008-0.021μg/ml, 20%; median 0.027% range 0.006-0.068μg/ml][p$lt;0.05]. Within the same concentrations, preeclamptic plasma showed significantly higher nitrite productions[mean±standard error of mean] than normal pregnant plasma[2%; 0.036±0.009μg/ml vs 0.016±0.001μg/ml, p$lt;0.05][20%; 0.099±0.024μg/ml vs 0.028±0.007μg/ml, p$lt;0.005]. Conclusion : These data suggest that preeclamptic plasma may contain [a] certain factor[s] which stimulate[s] NO production in vascular endothelial cells. This implies that vascular endothelial NO production mat be a compensatory mechanism for the vasoconstriction in preeclampsia.

      • KCI등재

        자간전증에서 산화질소(nitric oxide) 생성의 변화에 대한 연구

        이인식(In Sik Lee),유혜경(Hye Kyung Yoo),정복경(Bok Kyung Jung),원혜성(Hye Sung Won),이필량(Pil Ryang Lee),김암(Ahm Kim),남주현(Joo Hyun Nam) 대한산부인과학회 1999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2 No.8

        목적: 자간전증에서의 산화질소 생성의 변화를 관찰하기 위하여 정상 임부로부터 채취한 제대 및 자간전증 임부로부터 채취한 제대를 이용하여 정상혈청과 자간전증혈청을 관류액으로 사용하여 관류실험을 하였다. 연구방법: 정상제대 15개 및 자간전증 제대 15개를 제왕절개수술시 채취하였다. 각각의 제대를 같은 길이로 잘라 한쪽에는 15% 정상혈청을 다른 한쪽에는 15% 자간전증 혈청을 관류액으로 사용하여 관류실험을 하였다. 37℃ 항온부스내에서 펌프를 이용하여 각각의 제대에 20분 간격으로 15% 혈청, 15% 15% 혈청 +histamine(10-5mol/L), 15% 혈청 + calcium ionophore A23187(5μmol/L)의 순으로 관류하여 관류액을 얻은 후 측정시까지 -70℃에 냉동보관 하였다. 관류시 지속적으로 관류액에 95% O2 및 5% CO2를 공급하였다. 상용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one way ANOVA 및 paired t-test로 검정하였으며 통계적 유의성은 p< 0.05로 정의하였다. 결과: 정상제대에서는 관류액에 따른 산화질소 생성의 차이는 관찰되지 않았다(15% 정상혈청 vs. 15% 자간전증 혈청; 0.056±0.008 ㎍/㎖/min vs. 0.055±0.015 ㎍/㎖/min, p>0.05). Histamine, calcium ionophore A23187을 첨가한 경우에도 양군 사이의 산화질소 생성량의 차이는 관찰되지 않았다. 자간전증 제대에서의 산화질소 생성량은 15% 자간전증 혈청을 관류한 경우가 15% 정상 혈청을 관류한 경우 보다 유의하게 증가하였다(15% 정상 혈청 VS. 15% 자간전증 혈청; 0.060±0.016 ㎍/㎖/min vs. 0.075±0.014 ㎍/㎖/min, p < 0.05). 결론: 정상제대 혈관내피세포의 산화질소 생성능력은 자간전증 혈청에 의해 영향을 받지않는다. 자간전증 제대 혈관내피세포의 산화질소 생성능력은 정상 혈관내피세포에 비해 감소되어 있지 않으며 오히려 증가되는 양상을 보였다. 자간전증 제대 혈관내피세포의 산화질소 생성능력의 증가의 생물학적 의의는 명확하지는 않으나 자간전증시 관찰되는 혈관수축에 대한 보상기전에 의한 것으로 생각된다. Objective: To determine the changes of nitric oxide production in preeclampsia, the concentration of nitric oxide metabolite, nitrite, was measured in umbilical vein after perfusing plasma from normal pregnant women and preeclamptic pregnant women. Material and Method: 15 normal and 15 preeclamptic umbilical cords were obtained at the time of cesarean section. Two pieces of umbilical cord in equal length(20 cm in length) were prepared from each umbilical cord. Two pieces of umbilical cord were connected in parallel in a perfusion chamber. One piece of umbilical cord was perfused sequentially for 20-minutes' interval with the perfusates in the order of cord buffer, cord buffer including 15% normal pregnant serum, 15% normal pregnant serum with histamine(10-5mol/L), 15% normal pregnant serum with calcium ionophore A23187(5 mol/L) and the other one was perfused exactly same way using 15% preeclamptic serum instead of 15% normal pregnant serum. All the perfusates used were gassed with 95% O2 and 5% CO2 and warmed to 37℃. Perfusates were collected in eppendorf tube and freezed at -70℃ until assayed. NO was measured by means of Greiss reaction. one way ANOVA and paired t-test were used where appropriate and p-value < 0.05 was considered significant. Results: NO production in normal umbilical cords was not different regardless of perfusate. Although adding histamine and calcium ionophore, the NO production was slightly increased but statistically not significant in both groups. NO production in preeclamtic umbilical cords was significantly increased with 15% preclamptic serum(15% normal serum vs. 15% preeclamptic serum; 0.060±0.016㎍/㎖/min vs 0.075±0.014㎍/㎖/min, p<0.05). Conclusion: The preeclamptic sera may not affect the production of NO in the human umbilical vein endothelial cells. The biologic significance of increased NO production in preeclamptic umbilical cord with perfusing preeclamptic serum is unknown, but it might be compensation for the vasoconstriction of preeclampsia.

      • KCI등재

        중증 자간전증에서 태아 발육 지연 유무에 따른 모체 혈장 내 TNF - α 농도의 변화

        김소라(So Ra Kim),이필량(Pil Ryang Lee),박진우(Jin Woo Park),정복경(Bok Kyung Jung),정지윤(Ji Youn Chung),원혜성(Hye Sung Won),이인식(In Sik Lee),김암(Ahm Kim) 대한산부인과학회 2001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4 No.12

        N/A Objectives :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evaluate the possible role of Tumor necrotic factor-α(TNF-α) in development of preeclampsia, and to define the alteration of plasma TNF-α concentration in association with fetal growth restriction in preeclamptic women. Methods : Maternal blood samples were retrieved from 10 normal pregnancies, 10 pregnancies complicated with small for gestational age neonate of unknown cause, 10 preeclampsia with fetal growth restriction, and 10 preeclampsia without fetal growth restriction. The concentrations of TNF-α were measured by ELISA. Results : The plasma concentrations of TNF-α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in preeclamptic women (p<0.05). However, there were no major differences in relation to fetal growth restriction. In idiopathic SGA group, the cytokine levels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compared to normal pregnancy (p<0.05). Conclusions : The increased concentrations of maternal plasma TNF-α in preeclamptic women suggest that preeclampsia may be an immunologic disorder. Though TNF-α influences on the fetal growth, it may not play a major role in the pathophysiology of fetal growth restriction in preeclampsi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