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지속가능한 텍스타일디자인제품의 가치가 소비자 구매에 미치는 영향

        엄경희(Eom, Kyoung Hee),정보리(Jeong Bo RI)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8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4 No.2

        디자이너의 디자인 가치는 시대와 환경에 따라 달라지고 있다. 요즈음과 같이 대량생산 대량소비와 함께 대량의 쓰레기를 배출하여 지구환경이 오염되는 환경적 폐해가 많은 시대의 디자이너가 가져야할 가치관중에는 환경보호와 더불어 지속가능 디자인에 대한 것이 있어야 한다. 소비의 불평등 문제, 공정무역에 관한 문제, 기업의 윤리적 책임과 나눔은 물론 소비문화를 변화시킬 수도 있어야 한다. 현재의 풍요를 미래세대에게도 물려줄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하는 지속가능성 (sustainability)성에 대한 가치관이 필요한 시대이며, 이를 위해 디자이너는 창의성과 사회적 가치 그리고 신기술을 적절하게 융합하여 활용할 수 있는 능력이 중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문헌 연구를 통해 지속가능디자인의 개념을 정립하고, 이를 바탕으로 지속가능 텍스타일 디자인에 대한 현재 산업 현황을 알아보고 소비자들의 환경 관심도와 지속가능 텍스타일디자인 제품에 대한 소비 형태 및 이러한 지속가능에 대한 활동을 하는 기업에 대한 소비자의 인식, 또 한 그것들이 구매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았다. 지속가능한 디자인이 공정 개선이나 소재 개발뿐 아니라 소비자의 관점의 전환을 도우며 이를 토대로 향후소비자와 생산자가 균형을 이룸으로써 정신적 · 물질적 가치를 이해한 진보된 형식의 지속가능한 디자인을 제안할 수 있다는 점에서 그 의미가 있다. The design value of designers is changing with age and environment. In this day and age, designers should have sustainable design as well as environmental protection in order to release a large amount of waste along with mass production consumption. The issue of inequality in consumption, the issue of fair trade, the ethical responsibility of companies and sharing, as well as changing the culture of consumption, should be changed. It is an era in which the value of sustainability, which must strive to pass on the current prosperity to future generations, is necessary, and for this, designers must be creative. Based on the literature study, this study establishes the concept of sustainable design and learns the current status of the industry on sustainable design and the environmental interest and sustainability of consumers.

      • KCI등재

        한(韓) 스타일을 활용한 홈인테리어용 텍스타일 제품 디자인 사례 연구

        엄경희(Eom, Kyoung Hee),정보리(Jeong, Bo Ri) 한국디지털디자인협의회 2013 디지털디자인학연구 Vol.13 No.4

        정부는 2005년 이래 문화체육관광부를 주축으로 전통문화 콘텐츠의 생활화, 산업화, 세계화를 통하여 고용 및 부가가치를 창출하고 국가이미지를 고양하려는 목적 아래 전통문화의 핵심이면서도 자생력이 부족하여 정부정책화가 필요한 분야로 한글, 한식, 한옥, 한복, 한지,한국음악의 6대 부문을 선정하였다. 또한 한스타일 이미지의 목적은 우리 문화를 대표하는 국가 브랜드이미지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한 것이다. 이는 문화를 국가정체성의 차별 요소로 활용하고자 함이며, 많은 국가 및 도시에서 진행하고 있는 다양한 브랜드마케팅 전략의 한 부분이라고 할 수 있다. 현재, 다양한 분야에서 한스타일 이미지 사례가 나타나고 있으며, 본 연구에서는 텍스타일 분야에서 나타난 홈인테리어 디자인 제품에 적용된 한스타일 활용 사례를 조사 연구하였다. 한스타일 이미지를 통해 세계무대에서 경쟁력 있는 홈인테리어용 텍스타일 디자인 제품으로 경제적 부가가치와 고용의 창출을 거두기를 기대하며, 우리문화의 원천인 전통문화에 대한 관심과 저변확대로 대중문화 위주인 한류의 지속적인 확산에 기여할 것으로 생각된다. Since 2005, the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under Korean government selected Hangul (Korean alphabet), Hansik(Korean cusine), Hanok(Korean traditional housing), Hanbok(Korean traditional clothing), Hanji (Korean traditional handmade paper), and Koran music as the fields that are on one hand the core of Korean traditional culture and on the other hand in need of government support, in order to create jobs and added value as well as to enhance Korea"s brand image through popularization, commercialization, and globalization of traditional culture contents. Moreover, the purpose of Hanstyle image was to give competitive advantage to the Korea"s brand in the global market, representing Korean culture. This was to utilize culture as the differentiation factor for the country"s identity, as such is being used as one of brand marketing strategies used by world"s many other countries and cities. Hanstyle image is reflected in various areas, and this research focuses on how Hanstyle is applied in textile. It is expected that Hanstyle is to contribute to the creation of added value and jobs through commercialization of the core Korean traditional culture that would appeal to the global market, as well as to attract interest and expand the base of traditional culture to help continuously spreading the Korean Wave, which currently is mainly about pop culture.

      • KCI등재

        4대 크루즈 선사를 위한 인테리어제품 패턴디자인 개발

        엄경희(Eom, Kyoung Hee),정보리(Jeong, Bo Ri)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6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2 No.2

        국제크루즈선사협회(Cruise Line International Association, CLIA)에 따르면 세계 크루즈 시장은 1990년 이후 연평균 9%의 성장률을 보이고 있으며 향후에도 지속적으로 성장할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크루즈 산업은 그 동안 북미지역과 유럽지역을 중심으로 발전하였으나 점차 아시아 지역으로 확대해 나가고 있다. 한국의 부산항과 인천항에도 크루즈 전용 터미널이 만들어지고, 기항지로 삼는 글로벌 크루즈 선사들이 늘어나면서 크루즈 여행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글로벌 크루즈 선사들이 한국을 새로운 시장으로 삼아 진출하고 있는 이 시점에서 한국은 조선분야에서 세계적인 경쟁력을 보이고 있는 것에 비해 크루즈선 건조 및 수리, 인테리어 분야에서 두각을 드러내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과거에는 조선소나 도급 가구회사 혹은 건축가, 인테리어 디자이너에 의해 선박별로 건조했던 것에 비해 요즘은 크루즈를 운항하는 크루즈 선사(Cruise Line)별로 선사 이미지와 실내 인테리어를 선박 시리즈별로 고유한 아이덴티티를 발전시키며 건축과 디자인 자체의 권리를 획득하는 전문적인 일이 되었다. 새롭게 떠오르고 있는 크루즈 시장을 선점하는 것이 필요하지만 거대한 규모와 자금력을 무기로 둔 글로벌 크루즈 선사에 대항하는 것은 쉽지 않다. 따라서 한국 크루즈 선사들은 글로벌 크루즈 선사들에 비교해 차별성을 둘 수 있는 전략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4대 크루즈 선사를 선정하여 각 선사별 특징과 스타일을 분석하고 해외 크루즈 선사 인테리어 직물 디자인에 견줄 수 있도록 글로벌 인테리어 트렌드 박람회 중 하나인 Heimtextil 2016 Trend 자료를 바탕으로 이를 분석하고 연구하여 재해석 된 디자인 콘셉트와 컬러를 도출 하였다. 연구범위로는 현재 시장 점유율이 가장 높은 4대 크루즈 선사를 선정하여 2016년 Heimtextil에서 발표한 인테리어 트렌드 4가지 테마(SENSUOUS, MULTIPLE, COSMIC, NOSTALGIC)를 각 선사의 특징에 맞추어 적합한 콘셉트를 매칭 시켜 선사별 인테리어용 패턴 디자인을 개발 하여 제안 하고자 한다. 또한, 앞서 연구된 지난 5년간 개발된 패턴들을 데이터화 및 정리하여 DB구축을 하는데 목적이 있다. 크루즈선박은 유럽 조선소들이 독점해 왔던 영역으로 본 연구를 통하여 국내조선 산업에서도 인테리어 디자인 기반 기술을 적용하여 새롭게 창출된 고부가가치 산업분야로 인식되어지며 아직까지 부족한 국내 크루즈 산업에 도움을 줄 수 있는 기초자료나 레퍼런스로 활용되어 발전해 나가는데 그 목적이 있다. According to Cruise Line International Association (CLIA), the average annual growth rate of the global cruise market has been 9% since 1990 and this is expected to grow constantly in future. Development of cruise tourism has centered around North America and Europe so far, but it is expanding to Asia gradually. Besides, cruise terminals were built in Busan Port and Incheon Port of Korea and there is an increase of global cruise lines, which use these as ports of call. For such reason, there is a growing interest in cruise tourism. Though global cruise lines have entered Korea as a new market, Korea is not cutting a brilliant figure in cruise shipbuilding and repair and interior, while it has a global competitiveness in shipbuilding. In the past, each ship was built mainly by a shipbuilding yard, a contracted furniture, a architect or an interior designer. However, these days, each cruise line is acquiring rights of construction and design by developing an unique identity of ship image and interior design for each ship series. There is a need to dominate the emerging cruise markets, but it is not easy to compete with global cruise lines that possess huge scales and financial firepower. This means Korean cruise lines need to develop strategies to differentiate themselves from global cruise lines. Therefore, this study extracted design concepts and colors that are comparable with interior textile designs of overseas cruise lines by analyzing and reinterpreting characteristics and styles of four major cruise lines, based on the data from Heimtextil 2016 Trend, which is one of global interior trend expositions. For this study, four themes; SENSUOUS (Five Senses Motif), MULTIPLE (Oriental Motif), COSMIC (Geometric Motif), and NOSTALGIC (Natural Motif) were applied to development of interior pattern design for each cruise line. Although cruise shipbuilding has been monopolized by European shipbuilding companies, it is anticipated that this study could be used as a basic data or reference helpful in the domestic cruise industry by applying an interior design-based technology to the domestic shipbuilding industry and making cruise shipbuilding recognized as a new high-value industry.

      • KCI등재

        힐링 트렌드가 반영된 기능성 섬유 제품 사례 분석

        엄경희(Kyoung Hee Eom),정보리(Bo Ri Jeong)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4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0 No.3

        현대 사회는 갈등과 경쟁이 치열한 스트레스 사회이다. 그 속에서 살아가는 현대인들은 내·외부적으로 환경에서 쉽게 스트레스를 받는다. 이로 인해 육체적,정신적 질병에 시달리는 사람들이 매년 증가 하고 있다. 그래서 병원에서는 일반적인 질병 치료만이 아닌심신 회복을 위한 복합적인 치유가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다, 현대인들은 현재 삶에서 질병의 예방을 넘어치료뿐만 아니라 치유를 원한다. 이러한 현상 속에 힐링에 대한 관심이 높이지고 있고 이에 관한 다양한 상품들이 주목 받으며 성장하고 있다. 현대 디자인은 과거 기계적인 생산시스템으로 인하여 소홀히 해왔던 인간중심의 디자인으로 변화 하고 있다. 더 이상 생산적인 면과 유행의 흐름을 따르는 미적인 측면에서의 디자인이 아닌 좀 더 복합적인 접근 방법으로서 자연과 사회, 인간 내면과의 소통 등으로 디자인 발전 방향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으며 그로 인하여 디자이너들이 제품을 디자인함에 있어 소비자들의 감성적인 요소에 보다 깊이 접근해 가고 있다. 이것은 국가와 사회 구성원등과 공존할 수 있는 사회적 문제의 개선을 추구해가며 디자인이 현대사회의 중요한 영역으로 자리 잡아가고 있음을 의미 한다. 신체적, 사회·심리적 특성에 따른 힐링 환경의 개발요구가 점차 높아지고 있다. 본 연구는 국내의 힐링 트렌드에 대한 정의 및 개념과 발생배경을 바탕으로 이를 분석, 연구하여 힐링 트렌드가 적용된 디자인 제품 중 기능성 섬유제품의 사례를 중심으로 현황을 고찰 하였다. 현재 힐링를 위한 기능성 섬유 제품 개발에 도움이 되는 기초 자료로서 도움이 되고자 한다. The modern design has been changing into onedominating a human-centered life, which was neglectedfor a long time because of the past mechanicalproduction system. Beyond the productive aspect andaesthetic aspect pursuing fashion trends, the moderndesign puts on more emphasis on the communicationbetween nature, society and human nature as morecomplex approaches, thus making designers moredeeply approach consumers’ emotional factors whendesigning new products. Such a change in designimplies that the modern design is being positioned asone of the most important domains for the modernsociety, while pursuing the settlement of socialproblems, resulting in the coexistence of a state andcitizens. Besides, as the term, ‘Service Design’, hasbeen popular as a buzzword for the past years, thehospital design is attracting a lot of attention as atypical domain of the service design. In fact, the servicedesign, attracting lots of attention in Korea a present,is rather similar to the commercial design dominatedby a business perspective based on the creation ofprofits. Due to the rapidly-increasing number of nuclearfamilies, families’ function to support elderly people isbeing weakened, and as the number of healthy elderlyone-person households is sharply increasing, there aremore demands for concrete policy implementationdirections for the relevant welfare and healingenvironments according to the physical andsocio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elderlypeople.Thus,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presentstates of the space design of oversea and domesticmedical centers for healing, and it is expected that theresults of this study will be used as basic materialshelpful for the space design of medical centers forhealing which can carefully consider patients’psychological states and the range of their activities inthe coexistence with nature.

      • KCI등재

        K-Design을 활용한 서피스 제품디자인 개발 연구

        엄경희(Eom, Kyoung Hee),정보리(Jeong, Bo Ri) 한국디지털디자인협의회 2015 디지털디자인학연구 Vol.15 No.1

        세계적인 무대에서 한국 디자인이 발전해 나가기 위해서 한국의 문화와 정체성에 대한 올바른 이해와 디자인이 중요시 되고 있다. 전 세계를 무대로 활약하는 K-Pop처럼 한국의 디자인도 이제 K-Design이라는 고유 브랜드로서의 정체성을 구현하기 위해서 한국만이 가진 내면적 정서를 넣어 한국의 긍정적 이미지를 끌어와 전통적인 것과 현대적인 감각을 혼합하여 한국적인 디자인 정체성을 정립하여 디자인의 접근을 시도 하여야 한다. 대중문화의 현상으로부터 시작된 한류의 성과를 디자인 분야의 성과 및 이익창출로 이어지도록 하여, 한국 디자인의 이미지 제고에 기여할 수 있어야 한다. 나아가 한국의 대표적인 전통문화와 이미지의 상품화로 경제적 부가가치와 고용의 창출을 거두며, 우리문화의 원천인 전통문화에 대한 관심과 저변확대로 대중문화 위주인 한류의 지속적 발전에 기여할 것으로 생각된다. 점차 여러 디자인 분야에서 K-design을 활용한 사례들이 늘어나고 있고 있다. 이를 패션디자인, 제품디자인, 인테리어디자인으로 분류하여 연구 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한국디자인DNA 발굴 사업’에서 선정된 대표디자인중 인문정신(훈민정음)과 건축(경복궁, 창덕궁)에서 모티프를 추출하여 패션악세서리와, 뮤럴벽지등 서피스 제품디자인을 개발 하였다. 앞으로 K-design을 활용하여 현대적 디자인 감각과 우리만의 독창적인 전통미를 융합한 서피스 제품디자인 개발은 국가 디자인 경쟁력에 많은 도움이 될 것이라고 사료 된다. 앞으로 세계시장에서 K-design을 널리 알리고 이를 활용한 서피스 디자인 제품의 세계시장 진출에 무한한 가능성이 기대되어진다. In order for Korean’s design to develop on a global stage, the right understanding about Korea’s culture and identity and the design are regarded as important. Like K-Pop playing active roles in the global arena, Korea’ design now, in order to implement an identity as a unique brand called K-Design, must also add Korea’ own internal emotions; draw a positive image; mix something tradition and modern sense; establish Korean-style design identity; and then try to approach the design. The performance of the Korean wave starting from popular culture should be extended to the performance and profit creation in the design field and thus be able to contribute to the enhancement of image of Korea’s design. Furthermore, it is thought that the commercialization of Korea’s representative traditional culture and image will achieve the economic value added and the creation of employment, and the enlargement of attention and base on the traditional culture, a source of our culture, will contribute to the sustainable development of the Korean wave focused on the popular culture. While the examples utilizing K-design in various design fields occur increasingly, we examined and analyzed the status of the surface product design of which examples were not plenty, among them. Based on this, we extracted motifs from humanistic spirit (Hunminjeongeum) and architecture (Guepmgbokgung Palace, Changdeokung Palace) among the representative designs set out in the ‘Korea Design DNA Project’ and thereby developed the surface product design such as fashion accessories and mural wallpapers, etc. . In the future, it is thought the development of the surface product design blending the modern design sense and our own creative traditional beauty using K-design would be helpful much to the national design competition. It is expected highly that a service design product, which will introduce K-design widely in the world market and utilize it, can advance to the world market in the future.

      • 한스타일을 기반으로 한 인테리어용 서피스 디자인 제품 사례 분석

        엄경희(Eom, Kyoung Hee),정보리(Jeong, Bo Ri) 한국디지털디자인협의회 2013 (사)한국디지털디자인협의회 conference Vol.2013 No.4

        Since 2005, the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under Korean government selected Hangul (Korean alphabet), Hansik(Korean cusine), Hanok(Korean traditional housing), Hanbok(Korean traditional clothing), Hanji (Korean traditional handmade paper), and Koran music as the fields that are on one hand the core of Korean traditional culture and on the other hand in need of government support, in order to create jobs and added value as well as to enhance Korea’s brand image through popularization, commercialization, and globalization of traditional culture contents. Moreover, the purpose of Hanstyle image was to give competitive advantage to the Korea’s brand in the global market, representing Korean culture. This was to utilize culture as the differentiation factor for the country’s identity, as such is being used as one of brand marketing strategies used by world’s many other countries and cities. Hanstyle image is reflected in various areas, and this research focuses on how Hanstyle is applied in textile. It is expected that Hanstyle is to contribute to the creation of added value and jobs through commercialization of the core Korean traditional culture that would appeal to the global market, as well as to attract interest and expand the base of traditional culture to help continuously spreading the Korean Wave, which currently is mainly about pop culture.

      • KCI등재

        홈 인테리어 제품디자인에 나타난 콜라보레이션 사례연구

        엄경희(Kyoung Hee Eom),정보리(Bo Ri Jeong)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1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17 No.4

        현대인들이 점차 많은 시간을 가정에서 소비하게 되면서 신체적 편안함과 정서적 안정감, 심리적 만족감을 줄 수 있는 홈 인테리어 제품디자인에 대한 관심이 점점 증가되고 있는 실정이다. 기존의 단순한 물리적인 기능의 개념에서 탈피하여 미적인 측면과 함께 사용하는 사람의 감성과 심리적인 측면까지 고려하는 추세로 변화하고 있다. 주거공간의 인테리어 제품디자인은 벽지, 침구류, 커튼(Drapery), 소파(Upholstery)와 쿠션(Cushion)을 비롯하여 카펫(Carpet), 테이블웨어(Tableware)등 소품에 이르기까지 실내 곳곳에서 그 활용 범위와 가치가 높을 뿐 아니라 소비자들 욕구도 점차 다양하며 고급화되고 있다. 이에 따라 제품디자인에 관한 보다 폭넓고 전문적인 홈 인테리어 제품디자인 분석 연구가 절실히 요구 되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홈 인테리어에 적용된 콜라보레이션 현황을 조사하고, 제품에 적용된 콜라보레이션 사례를 제시하여 연구, 분석함으로써 높아진 소비자 욕구에 맞출 수 있는 다양한 홈 인테리어 제품디자인 전개와 기업 브랜드이미지를 차별화 시켜 새로운 시장을 개척 하는데 도움을 주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한 연구 방법은 국내외 문헌 및 인터넷 자료를 중심으로 콜라보레이션의 정의와 유형 및 특성을 고찰 분석하였다. 연구 범위로는 홈 인테리어에 적용된 콜라보레이션 제품디자인을 중심으로 벽지와 침구, 거실제품과 주방용품(Kitchen Appliance)등 제품 디자인 사례를 조사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벽지제품은 패션 디자이너와의 콜라보레이션 사례가 증가하고 있는 경향이 나타났다. 다양한 연령층을 타겟으로 한 심플하면서도 고급스러운 디자인과 예술성과 실용성을 지닌 디자인들이 상품화 되어 출시되었다. 이는 중국 등 해외 시장을 공략하는 발판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사료된다. 둘째, 국내 콜라보레이션이 적용된 침구류 사례는 적은편이지만. 해외에서는 눈에 띄게 늘어나고 있는 추세라고 할 수 있다. 국내외 제품디자인 사례는 미흡하였으나, 기존 콜라보레이션이 적용된 제품들 반응은 매우 인기가 높았으므로 향후 콜라보레이션이 적용된 침구 제품디자인이 점차적으로 증가될 것으로 예측된다. 셋째, 거실제품은 침구류와 마찬가지로 국내의 사례는 그다지 많지 않았으나, 다양한 각도의 창의적인 아이디어 도출로 콜라보레이션 하여 실용성을 가미한 독특한 소파가 선보였으며, 디자인 측면에서의 새로운 문양과 색상이 연출되어져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넷째, 주방용품에서는 국내외 디자이너와 기업 간의 콜라보레이션 된 제품사례들이 많은 것이 특징이다. 이는 디자이너의 이미지를 살려 기업과 콜라보레이션 함으로서 소비자들이 지니고 있는 기존 이미지를 탈피시키는 즉 브랜드 및 기업이미지 마케팅 전략의 수단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콜라보레이션을 통한 홈 인테리어 제품디자인 개발 시도는 새로운 시장 창출과 소비자 타겟 확장을 위한 노력으로 해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미흡한 국내시장은 물론, 해외시장에서의 경쟁력 강화와 새로운 시장창출, 매출 증대 향상에 도움이 될것이라 생각되며, 홈 인테리어 관련분야와 기업 및 관련 학계에 새로운 제품디자인 개발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As modern people are spending more time at home, there has been increasing interest in home interior product design that can bring physical comfort, emotional stability, and psychological satisfaction. The meaning of function is changing toward broader concept including not only the basic physical features, but also the aesthetic aspects and the emotional and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of users. The home interior product design is widely used throughout living space for products such as wallpaper, bedclothes, drapery, upholstery, cushions, carpets, tableware, and interior accessories, and is important to satisfy the consumers` needs which are getting personalized and classy. Consequently, additional study is urgently required to analyze the home interior product design more specifically and professionally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give insight for the design development to meet consumer demand and to contribute exploitation of a new market by investigating current state of collaboration applied to the home interior, presenting cases of collaboration of products, and discussing them. By reviewing published literatures and web-based sources, the authors investigated and analyzed the concept, the types, and the characteristics of collaboration. The subjects of our study were collaboration product design applied to home interior products such as wallpaper, bedclothes, living room products, and kitchen appliance.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drawn after researching and analyzing these subjects. First, in the field of wallpaper product it appeared the trend of increasing cases collaborated with fashion designers. The simple and luxury designs for all age groups and the artistic and practical designs were commercialized. These could be footholds to improve the domestic companies` competitiveness in overseas markets such as China. Second, in the field of bedclothes the domestic companies` interest in collaboration was insufficient, but the concern of foreign companies was remarkably increasing. Although were not so many, these collaborated products were very popular, so the number of these collaborated bedclothes design products would be gradually increased from now on. Third, in the field of living room products although there also were not many cases, a unique and practical sofa was created by collaboration with various and creative ideas and the utilization of new patterns and colors were produced. Fourth, in the field of kitchen appliance there were so many products were commercialized. Especially, they were characterized by collaboration between domestic or foreign designers and manufacturing firms. These could be used as marketing strategies to break away from companies` typical images with fresh images of designers-that is the brand marketing strategy to ameliorate corporate image. The attempt to develop home interior product design by these collaborations could be considered as the effort for new market creation and expansion of business target. Therefore, we suggest that this study would help to enhance the competitive power in worldwide market, to pioneer a new market, and to increase sales. And it would be utilized as preliminary data for development of product design by companies and academia related to home interior.

      • KCI등재

        프랙탈(Fractal) 기하학을 응용한 텍스타일디자인제품 사례 연구

        엄경희(Kyoung Hee Eom),정보리(Bo Ri Jeong)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2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18 No.2

        오늘날 빠르게 급변하는 사회 속에서 과학의 발전과 이에 따른 변화는 수많은 분야에 전반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러한 현대사회에 직선적이고 기계적이며 자연에 근거한 디자인들은 그 한계점에 다다르게 되었다. 이제는 새로운 패러다임을 모색하고 이에 근거한 새로운 디자인의 제시가 필요하다. 프랙탈 이론에 기초한 예술은 자연과학 패러다임의 진화에 따른 것으로 과거와는 다른 새로운 조형패턴의 세계를 열어가고 있다. 이러한 패턴들은 다양하고역동적인 공간의 창출과 유기적인 형태적 비전을 제시해주고 있다. 프랙탈의 이론을 적용한 많은 미술작품들을 보면 디자인에 있어서도 무한한 창작의 가능성을 기대 할 수 있다.이에 본 연구는 프랙탈 기하학과 자연의 유기적인 형태를 비교 분석하였고, 그 잠재성과 디자인 제품에 응용 가능성을 연구하여 새로운 시장 개척과 기존 디자인 제품의 이미지 변화에 영향을 주고, 소비자의 다양한 소비욕구에 보다 긍정적인 영향에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이를 위한 연구 방법으로는 국내외 문헌 및 인터넷 자료를 중심으로 프랙탈 기하학의 정의와 디자인 원리 및 형태적 특징을 고찰 분석하였다. 연구 범위로는 프랙탈 기하학이 적용된 디자인 제품을 중심으로 인테리어, 의복, 패션 액세서리 등 디자인 제품 사례를 조사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인테리어 디자인 분야는 프랙탈 기하학을 응용한 사례가 증가하고 있는 경향이 나타났다. 반복적인 자기유사성과 동일한 연속적인 패턴을 통해 복잡한 구조를 만들어 나가는 무작위적인 반복성은 다양한 공간 연출에 적극 응용되어 심플하면서도 고급스러운 인테리어 디자인으로 시공되고 있으며, 이러한특성이 활용되어 예술성과 실용성을 동시에 지닌 가구, 조명 등 여러 가지 인테리어 제품들이 상품화되어출시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국내의 프랙탈이 응용된 의류제품 사례는 미흡하지만, 해외의 사례에는 눈에 띄게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자기유사성과 반복성을 지닌 패턴이 특징인프랙탈 기하학의 해외 디자인 제품 응용사례는 중소규모 업체의 제품에만 국한되지 않고, 최근에는 대규모 업체와, 유명 패션 브랜드 제품에도 확장되고 있다.셋째, 패션 액세서리 제품 분야는 의류 분야와 마찬가지로 국내의 응용 사례는 그다지 많지 않았다. 하지만 해외에서는 프랙탈 기하학이 응용된 새로운 문양과 독창적인 스타일의 액세서리들이 많이 출시되고 있다. 이들은 자연 속의 신비로운 질서를 형태화하여 추상적이면서도 창의적인 디자인으로 표현되었다. 이러한 각 분야의 프랙탈 기하학이 응용된 제품 디자인 사례를 분석한 결과, 프랙탈 이미지 응용에 대한연구와 시도가 디자인 제품에서는 건축, 인테리어 분야에 비해 패션, 액세서리 제품 디자인의 사례가 적었다. 또한, 프랙탈 기하학의 가장 중요한 특징인 반복과 자기유사성, 그리고 순환성을 활용한 디자인 제품사례가 많음을 알 수 있었다. 아직은 그 활용성이 미흡한 국내시장에 프랙탈 기하학을 응용한 디자인을 적용한다면, 경쟁력 강화와 새로운 시장창출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디자인 관련분야와 기업 및 관련 학계에 있어 새로운 디자인 제품을 개발하고 연구하는데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In today`s rapidly changing society, scientific advances and subsequent changes are affecting a various part of design. In these times, the existing designs represented by linear, solid and based on natural objects have reached the critical point, and a new paradigm for design and a new approach for design methodology are needed. In some countries, the fractal geometry which owed advance of computer science to illustrate complexity of nature is used as one example of new approaches for designing paradigm. However, in this country there are not many design cases applied of fractal geometry. The aims of present study are to research the potentials and the possibility of application for design products by comparative analysis of fractal geometry and nature`s organic shapes, and to present examples of design products for matching consumer`s various needs. By reviewing published literatures and web-based sources, the authors investigated and analyzed the definition, the design principle and the morphologic characteristics of fractal geometry. The subjects of our study were design products using fractal geometry such as interior products, clothes and fashion accessories.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drawn after researching and analyzing these subjects. First, in the field of interior design products it appeared the trend of increasing cases. A variety of interior products made by using simple and luxury design of repetitive self-similar patterns and subsequent complexity due to random repeatability are commercialized and released for space styling. Second, in the field of clothing products the domestic applications of fractal geometry haven`t been common. However, cases of the foreign applications have remarkably increased. Recently, these applications of self-repeating fractal geometry have expanded from medium and small-sized enterprises to big enterprises and famous fashion brands. And their consumer response appears to be very good. Third, in the field of fashion accessory products the domestic applications haven`t been familiar like clothing products, however in many foreign countries varied types of design products based on fractal geometry which embody unpredictability and mystical order of nature and practical products using creative shape of fractal geometry have been released. In terms of design, new patterns and styles of fractal geometry have been introduced. The attempt to develop design product by using fractal geometry can be interpreted as effort to create a new market and to expand consumer target. Our review of design application cases using fractal geometry reveals that there are many products to take advantage of repeatability, self-similarity and circularity, those are the most important features of fractal geometry. Application of design based on fractal geometry to product would help to enhance the competitive power and to pioneer a new market because of its great potential power for creative design, especially in this country where the examples are not so familiar. The present study would be utilized as preliminary data for development of product design by companies and academia related to design produc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