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녹색기후기금(GCF)의 법인격 관련 문제

        정민정(Min Jung Chung) 서울국제법연구원 2012 서울국제법연구 Vol.19 No.2

        현재 외교통상부는 녹색기후기금(GCF)와 대한민국 정부 간의 본부협정 체결을 준비하고 있는데, 두 가지 법적 문제가 제기되고 있다. 하나는 국제기구의 국제법상 법인격과 본부협정 체결능력과의 관계이고, 다른 하나는 국내 법률의 제정이 필요한가 여부이다. 특히 후자와 관련하여서는 녹색기후기금은 물론 글로벌녹색성장연구소와 향후 유치할 국제기구까지 종합적으로 대응하기 위하여 가칭 “국제기구법”이라는 일반법을 제정해야 할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이 글에서는 대한민국 정부가 녹색기후기금과의 본부협정 체결을 준비하는 과정에서 제기된 네 가지 법적 논점 (①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 총회 결정의 법적 성격, ② 법적 구속력이 없는 문서에 의한 국제기구 설립이 가능한지 여부, ③ 국제법인격의 취득시기와 ④ 국제법상 법인격과 본부협정 체결능력과의 관계)에 관한 해답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① 해외사례, ② 국제법인격과 국내법인격의 관계, ③ 국제기구의 다양한 유형과 ④ 본부협정의 발효가 늦어지면서 나타나는 법적 공백의 문제, 그리고 ⑤ 국제기구의 비회원국 내에서의 국내법적 지위 문제와 같은 다각적인 측면에서 볼 때, 국제기구에 관한 일반법의 제정이 필요하다는 제언을 하였다. The Korean government was committed to hosting the Secretariat of the Green Climate Fund (GCF) to spread the vision of green growth as an international asset. In this article, I will analyze the legal issues related to concluding a headquarter agreement with the GCF and the necessity of making the International Organizations Law, or a domestic law that would determine the legal status of an international entity within the domestic legal sphere. In order to do so, I will examine the international law for the legal status of an international organization, and draw upon a precedent of establishing an international organization. The legal status of international organizations under international law provides such organizations with rights, privileges, obligations, and authority for the execution of its activities. The legal status of an international organization is a different concept from the legal status of its member States. The status of an international organization is essentially related to its functional characteristics. In other words, an international organization can exercise the rights, privileges, obligations, and authority given to it explicitly or implicitly by member States. Generally, an international organization has the international juridical or legal personality, the legal capacity and the privileges and immunities (P & I). The constitutive instrument on which the GCF`s establishment is based, is the decision of the 2011 Conference of Parties (COP17) of the United Nations Framework Convention of Climate Change (UNFCCC), which is a non-binding recommendation. In order to establish an international organization from the COP decision without an establishment agreement, it needs to be supplemented by the making of a national law and a headquarter agreement between the host state and GCF. Although the contracting parties have agreed to confer to the GCF legal personality, at this stage, the international legal personality of the GCF is only potential. It is only through the concrete exercise of its power independently from its members that the GCF may acquire international legal personality. However, nothing prevents an international organization generally considered as not possessing international legal personality from concluding international treaties, although the conclusion of treaties is an important indicator of the international legal personality of international organizations. Moreover, the importance of headquarter agreements is rather limited as normally a host state provides for the legal personality in the domestic legal system, regardless of its membership in the organization. There is no direct relationship between international legal personality and domestic legal personality. An international organization may possess international but not domestic personality, or the other way around. Nothing keeps a state from conferring domestic legal personality on an organization deprived of personality in international law. Further, there is fast-growing room where the constitutional rules on the relation between municipal and international law cannot answer the legal status of an international entity within the domestic legal sphere. Therefore, the crux of the matter remains the making of the International Organization Law. In other words, it is necessary that domestic legal personality of an international organization should derive directly from the enactment of domestic measures as much as possible, which would lessen a problem for the stability of its legal status.

      • KCI등재후보

        장애아동 이용 서비스에 대한 가족의 욕구 조사

        정민정 ( Min Jung Chung ),김유진 ( Yu Jin Kim ) 대한아동복지학회 2010 아동복지연구 Vol.8 No.2

        본 연구는 현재 우리나라 장애아동의 이용 서비스에 대한 가족의 욕구를 살펴봄으로써 앞으로 장애아동을 위한 상담 및 치료서비스의 방향을 모색하고 양질의 장애아동 지원서비스 프로그램 실행을 위한 자료를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대상은 경기도 지역의 아동상담센터나 복지기관에서 실시하는 장애아동 상담 및 치료 프로그램들을 이용하고 있는 장애아동 가족 159명을 대상으로 연구하였다. 연구 결과 가장 시급하다고 생각되는 상담 및 치료서비스로는 상담 및 치료비 지원이 45.9%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상담 및 치료서비스를 제공받는 기관으로는 사설상담센터 이용률이 52.8%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상담 및 치료서비스에 대한 만족도 역시 사설상담센터가 28.3%가 만족한다고 하였으며, 장애인복지관은 20.1%가 만족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이용 중인 장애아동 상담 및 치료서비스 프로그램으로는 수중치료가 가장 많았으며, 아직까지 우리나라의 장애아동에 대한 상담 및 치료서비스를 제공받는 기관이 절대적으로 부족하다는 의견이 32.7%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is to seek the direction of counseling and treatment service for disabled children and to provide data for disabled children supporting programs by looking into the needs of families on the service for disabled children. The target of the research was 159 families of disabled children who are make use of counseling or treatment programs through child counseling centers or welfare organizations in Gyeonggi province. As a result, the most urgent service was the support of the cost for counseling and treatment to form 45.9%. The most frequent organization receiving the service was private counseling center to be 52.8%. 28.3% answered to be satisfied with the treatment service of private counseling center and 20.1% were satisfied with rehabilitation center. The data showed that 32.7% agreed with the opinion that up to now the number of organizations that provide counseling and treatment service to disabled children is absolutely insufficient.

      • KCI등재
      • KCI등재

        파리협정과 비국가 행위자

        정민정(CHUNG Min-jung) 서울국제법연구원 2017 서울국제법연구 Vol.24 No.2

        2015년 12월 12일 프랑스 파리에서 개최된 제21차 유엔 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는 2주간에 걸친 협상 끝에 신기후체제 합의문인 “파리협정(Paris Agreement)”을 채택하였다. 파리협정은 국내에서 국회의 동의를 얻어 대통령이 동 협정을 비준하였기 때문에(「헌법」 제60조와 제73조), 국내법과 동일한 효력을 가지고 있다(「헌법」 제6조제1항). 파리협정 하에서 이행점검의 대상이 되는 국가가 양적으로나 질적으로 확대되었기 때문에 이전 교토 의정서 체제보다 비국가 행위자(Non-state Actors: NSAs)의 역할이 중요할 수밖에 없다. 그리고 파리협정이 향후 각국의 감축목표를 적극적으로 상향 조정해야 한다는 근본적인 과제를 안고 있다는 사실은 크게 달라지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글로벌 감축 목표와 국가결정기여(Nationally Determined Contributions: NDCs)의 총량적 효과 사이의 간극을 메꾸기 위해서는 비국가 행위자가 추가적으로 감축행동을 할 필요가 있다(추가성). 유엔 기후변화협약 체제에서 활동하는 다양한 행위자들이 존재하고 있는 오늘날의 국제사회의 현실을 고려하여 교토 의정서에서 오랫동안 유지되어 왔던 국가 중심의 패러다임은 파리협정의 후속 협상 과정에서 재고될 가능성이 있다. 파리협정 하에서 비국가 행위자는 기능적인 근거에 따라 ‘투명성ㆍ정보유용성ㆍ이행준수의 제고 주체’(제13조, 제14조와 제15조)와 ‘이행 주체’로서 그 법인격 또는 법적 정체성이 결정될 수 있다. Non-state actors (hereinafter referred to as “NSAs”) implies the all actors that are not States. There are two types of NSAs: firstly, private NSA like corporations and non-governmental organizations; and secondly, public NSAs like cities and sub-national regions. NSAs are beginning to assert themselves as internationally relevant actors. This is particularly noticeable in the Paris Agreement. Whereas NSAs may not yet recognized subjects of international law, NSAs play two crucial role in the implementation of the Paris Agreement. Firstly, NSAs can hold the State Parties to their nationally determined contributions (hereinafter referred to as “NDCs”) under the Paris Agreement. The Paris Agreement is a hybrid policy architecture that combines voluntary climate pledges by states with an international transparency framework for periodic review and ratcheting-up of ambition. Non-state actors are included in this hybrid arrangement, not just as observers of multiple diplomacy, but also as actors overseeing the monitoring and implementation of states’ NDCs. Specifically, while the formal avenues for non-state actor participation in review processes such as transparency framework (Art. 13), global stocktaking (Art. 14) and compliance mechanism (Art. 15), remain limited, there are several ways in which NSAs can be influential. NSAs can identify real progress in mitigation efforts of State Parties. Secondly, NSAs have leverages to bridge the mitigation gap created by insufficient ambition levels of State Parties to the Paris Agreement. This kind of additionality is key to bridge the ambition gap to put us on a path to limiting warming to 2 degrees. Even if NSAs’ actions are already accounted for by countries in their NDCs, NSAs’ initiatives can provide guidance for NSAs and policy makers in other countries where more actions need to be taken. In conclusion, the role of NSA in the hybrid architecture of the Paris Agreement is blurred. Not only are NSAs asked to cooperate with states to ensure best practice on monitoring emission reductions, but also NSAs are themselves asked to reduce their emissions through voluntary commitments framed as complementary to state action and supportive of NDCs.

      • KCI등재

        미 바이든 행정부의 영업비밀보호 관련 입법·정책 동향과 시사점

        정민정(Min-Jung CHUNG) 한국국제경제법학회 2021 국제경제법연구 Vol.19 No.3

        현대 사회에서 영업비밀은 기밀유지가 핵심이고, 일단 유출되면 어떤 식으로든 원상회복이 불가능하며, 경우에 따라서는 유출에 따른 사회·경제적 비용이 천문학적 단위에 이를 수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영업비밀 유출 후 민사상 유지청구와 손해배상, 형사상 처벌을 강조하는 기존 미국의 영업비밀보호 법제에는 한계가 있다. 사법적 구제수단은 일단 영업비밀이 해외로 유출되면 이미 빠져나간 국부 가치를 회복하는 데에 별다른 실익이 없기 때문이다. 이에 미 바이든 행정부에서는 영업비밀에 대한 시각을 달리하여 이를 단순히 기업의 사유재산이 아니라 국가적 차원에서 보호·관리해야 하는 공공재로 보고 사전예방적 차원에서 접근하고 있다. 바이든 행정부의 영업비밀보호 관련 국내 입법·정책의 기조는 중국으로부터의 영업비밀 탈취에 대한 예방 및 대응이다. 이를 위해 미국은 중국의 사이버보안법 체계를 일정 부분 벤치마킹하고 있다. 중국이 2021년 6월 10일 제정하고, 2021년 9월 1일 발효한 「데이터 보안법」에 따르면, 사이버보안체계가 허술하여 데이터를 제대로 관리하지 못한 세계 굴지의 중국 IT 기업에게 영업정지처분, 영업허가 취소처분, 한화 약 18억원 상당의 벌금을 부과하고 있다. 바이든 행정부도 영업비밀을 보유하고 있는 국내 기업·대학·연구소에 사이버보안에 관한 적극적인 의무를 부과하고, 정부는 그 이행상황을 모니터링하는 쪽으로 나아가고 있다. 다만 영업의 자유·학문의 자유와 같은 자유시장경제질서의 본질적인 내용을 침해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정부가 기업·대학·연구소의 활동을 규율한다는 점에서 중국의 영업비밀보호 입법·정책과는 분명히 정도의 차이가 있다. 대외적으로 바이든 행정부는 다국적 기업의 초국가적 공급망 가운데 사이버보안에 취약한 지점이 생기지 않도록 국제규범을 정립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이에 우리나라도 최근 미국의 영업비밀보호에 관한 입법 논의를 참고하여, 영업비밀을 보유한 기업·대학·연구소가 합리적인 부문별 IT 보안 조치 및 절차를 채택하고 이행하게 하며, 노하우를 포함하고 있는 라이선스 계약 체결 시 구체적인 사이버보안 조항을 포함하도록 법적으로 강제할 필요가 있다. 대외적으로는 우리 기업의 초국가적 공급망 가운데 사이버보안에 취약한 지점이 생기지 않도록 국제규범을 정립해 나가야 한다. 해외로부터의 해킹 문제를 국가주권평등원칙, 국내문제불간섭원칙과 같은 일반국제법상의 원칙으로만 처리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 우리 정부는 지역무역협정의 지식재산권에 관한 장을 개정하여 영업비밀보호에 관한 규정을 추가로 신설하는 방안을 고려해 볼 수 있다. In modern society, confidentiality of trade secrets is critical, and once broken, it is irrevocable and cannot be restored. In some cases, the socio-economic cost of breaches in confidentiality of trade secrets can be extremely significant. In this respect, there is a limit to the existing US Trade Secrets Protection Act, which emphasizes remedies such as injunction claims, civil compensation for damages, and criminal penalties after the leakage of trade secrets. This is because judicial remedies have little to no practical benefit in restoring the national wealth that had already lost its value when national trade secrets were passed to foreign countries. Hence, the US Biden administration regards trade secrets as public goods that must be protected and managed at a national level, not as some private properties of companies, and protects them proactively. The administration’s domestic legislation and policy related to the protection of trade secrets is rooted in data secrecy, and it is a response to China’s stealing of trade secrets. To this end, the United States is partially benchmarking China’s cybersecurity law system. According to the Data Security Act, enacted by China on June 10, 2021, and enforced on September 1, 2021, the world’s leading Chinese IT companies that failed to properly manage data due to poor cybersecurity systems have been suspended, revoked, and fined about KRW 1.8 billion. The Biden administration also imposes active obligations on cybersecurity on domestic companies, universities, and research institutes with trade secrets, and the government is moving toward monitoring their implementation. However, it is distinctively different from China’s trade secret protection legislation and policy in that the government regulates the activities of companies, universities, and research institutes to the extent that it does not infringe on the essential contents of the free market economy order, such as freedom of business and academic freedom. Externally, the Biden administration is striving to establish international criteria to prevent multinational corporations, due to their operational vulnerabilities in cybersecurity among the transnational supply chains, from being taken advantage of. It is only plausible that South Korea carefully refers to the recent legislative discussions on the protection of trade secrets in the United States, so that Korean companies, universities, and research institutes with national trade secrets are legally bound to adopt and implement reasonable IT security measures and procedures for each sector.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legally enforce the inclusion of specific cybersecurity provisions when signing a license contract that includes professional knowledge and expert skills. Externally, international norms should be established to prevent vulnerable points in cybersecurity among transnational supply chains in Korean companies. There is a limit to dealing with hackers from abroad only with principles under general international law, such as the principle of equality of national sovereignty and the principle of non-interference in domestic issues. The Korean government needs to consider revising the chapter on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in regional trade agreements to establish additional regulations on trade secret protection.

      • KCI등재

        강박에 의하여 체결된 을사보호조약의 국제법적 효력

        정민정(Min Jung Chung) 서울국제법연구원 2014 서울국제법연구 Vol.21 No.1

        이 글에서는 을사보호조약의 효력과 관련하여 ‘국가대표에 대한 강박은 무효’라는 관습국제법이 적용될 수 있는지 여부를 살펴보았다. 현대 국제법 하에서는 당연히 무효가 되는 조약이 시제법의 원칙에 따라 조약체결당시의 근대 국제법에 비추어 보아 국가의 의사와 강박을 당한 대표 개인의 의사가 다르다고 볼 수 없기 때문에 유효라고 보는 견해가 있다. 그러나 1900년대 초의 국제법의 영역은 매우 넓었고, 그 속에는 강자의 법과 정의의 법이 모두 포함되어 있었다. 지금 이 시점에서 필요한 작업은 당시의 국제법에도 확실히 존재하고 있었을 정의의 법이념을 찾아내어 구현하는 것이다. 생각건대, 근대 국제법은 일반적으로 국가 자체의 의사에 대하여 강제력이 행사되어 조약이 강제적으로 체결되는 경우와 국가대표에 대한 강박의 경우를 구분하여 후자의 경우만이 무효가 될 수 있다는 입장을 취하여 왔다. 국가 대표에 대한 강박은 국가 기관이 아닌 개인의 자격에서 그에 대하여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모든 형태의 강제와 위협을 말하며, 국가 자체에 대한 강박 안에는 국가 기관으로서의 국가 대표에 대한 강제 또는 위협이 포함된다. 이를 전제로 하여 근대 국제법 시대부터 현대 국제법 시대에 이르기까지 국제법 학자들 사이에는 국가 대표에 대한 강박에 의하여 체결한 을사보호조약이 무효라는 것이 통설로 인식되고 있다. Whereas Article 51 of the Vienna Convention of the Law of Treaties (hereinafter, “VCLT”) applies to acts of threats or coercion directed against the State`s individual representative in his or her personal capacity, Art 52 of the VCLT covers exclusively the force addressed to a State organ (for example, the government) or the State`s representative in his or her official capacity (for example, the head of State, foreign minister). While there was general agreement amongst writers that coercion of the representative rendered the represented State`s consent to be bound by the treaty voidable or void, it became generally recognized that military force employed against the State itself invalidated consent to be bound by a treaty after the entry into force of the UN Charter. The two forms of coercion provided for in the VCLT coincided in the 1905 Japan-Korea Protectorate Treaty, which was signed in the presence of armed Japanese soldiers by the Korean government. In other words, coercive acts or threat against Korea were tailored in such a manner as to specifically induce the representative`s fear for his personal life or well-being. The 1905 Japan-Korea Protectorate Treaty procured by coercion against Korea prior to the emergence of the rule codified in Article 52 would not, under the inter-temporal law be deprived of its validity by the operation of the provision`s customary equivalent. However, the rationale of personal coercion of the representatives as a ground for vitiating consent would still hold.

      • KCI등재

        북한의 황강댐 방류에 대한 국제법적 해결방법

        정민정(CHUNG Minjung) 대한국제법학회 2014 國際法學會論叢 Vol.59 No.2

        2009년 6월 북한이 남한에 대한 사전 통고 없이 일방적으로 황강댐의 물을 방류하였고, 이로 인하여 한국은 인명상ㆍ재산상 피해를 입었다. 한국 정부는 내부적으로 군남홍수조절지를 완공하고 홍수예?경보시스템을 재정비해야겠지만, 대외적으로는 북한을 상대로 하여 황강댐을 비롯한 임진강 상류 댐에 대한 남북공동조사를 추진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궁극적으로는 북한과 임진강의 공동 이용에 관한 합의문을 체결하여 수자원의 공동이용체계를 달성할 필요가 있다. 이에 이 글에서는 남북한 관류하천이 두 ‘정치적 실체’의 관할권 하에 있다는 것을 전제로 하여 북한 황강댐 방류 사건에 대하여 국제하천에 관한 국제법 논의를 적용시켜 보았다. 기존의 국제관습법에 따르면 북한의 일방적인 댐 방류 행위는 국제법상 위법하고, 이러한 행위로 인하여 남한 측에 심각한 피해가 야기되었음도 인정될 것이다. 따라서 남한측은 북한에게 손해배상을 청구할 수 있다. 사전 통고 없는 북한 측의 황강댐 방류 행위에 대하여 불가항력(forcemajeure), 조난(distress), 국가적 필요상황(necessity)과 같은 위법성 조각사유가 인정되는 경우에도 북한의 행위에 의하여 발생한 피해에 대한 보상책임은 면제되지 않을 것이다. 그리고 북한은 임진강 수자원의 공동 이용을 위하여 남한과 신의칙에 따라 성실하게 교섭할 의무를 지게 된다. 이 때 ?국제하천의 비항행적 이용에 관한 UN 협약?은 남북한간 교섭 내용의 지침이 될 수 있고, 교섭 이후에 체결되는 양자협정의 모델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지금으로서는 실현 여부가 불확실하지만 남북한이 합의하여 ICJ에 제소하는 경우 ICJ는 북한의 일방적인 방류 행위의 위법성 여부를 확인하는 선언적 판결(declaratoryjudgment), 남한의 손해배상청구의 인용여부를 결정하는 판결과 남북한간 협상을 명하는 구체적 이행 명령(specificperformanceorder)을 할 것이라고 예상할 수 있다. 협상이행명령을 할 때에는 남북한의 협상 시 고려해야 할 지침도 같이 제시해 줄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사법적 분쟁해결방안은 남북한간 임진강에 대한 공동 이용 체제를 달성하는 데에 있어서 정치적 분쟁해결방안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중간 촉매제 역할을 하는 데에 그칠 것이라고 예상된다. 남한은 교섭, 주선, 중개, 국제기구가 개입하는 사실 심사와 조정 등의 분쟁해결수단 가운데 북한의 정치적 의지를 담보할 수 있는 수단을 취사선택할 필요가 있다. 남북한간 임진강의 공동이용에 관한 법적 체제가 필요한 이유는 첫째, 제한적 주권 이론을 바탕으로 하는 국제관습법에서 한 걸음 더 나아가 임진강의 비항행적 이용에 관한 남북한간 이익 공동체를 창설할 수 있고, 둘째, 임진강의 공동이용에 관한 이익 공동체 설립에 관한 합의문의 해석 시 향후 발전된 국제환경규범이 지속적으로 해석의 근거로 원용될 수 있으며, 끝으로 향후에 북한이 일방적으로 임진강을 이용하는 경우에 남한은 사과와 손해배상 이외에도 원상회복을 적절하고 실효적인 국가책임해제방법으로 활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North Korea’s discharge of water from a Hwanggang Dam into the Imjin River that flows through the inter-Korean border swept away a riverside camping site in 2009, killing six people. To be regrettable, an automatic flood warning system did not work even when the water level surged to a maximum 4.6 meters from 2.3 meters. This tragic incident might have been prevented if the North had given prior notification of the release from its Hwanggang Dam to the South according to the customary rule of international watercourses law, or if the warning system had operated properly. Judging from the customary international watercourses law and Gab?ikovo-Nagymaros Project Case(Hungary/Slovakia), the International Court of Justice (ICJ) can conclude that North Korea committed internationally wrongful acts, and it can note that North Korea gave rise to the serious damage sustained by South Korea. Consequently, North Korea will be under an obligation to pay compensation and South Korea will be entitled to obtain compensation. However, North Korea can claim force majeure, distress and necessity as circumstances precluding wrongfulness. Also, North Korea may ask for a limitation on recovery for South Korea who failed to set up a tighter monitoring system to avoid damages, but the Court seems unlikely to permit comparative negligence or contributory negligence defenses to wholly offset North Korea’s responsibility. In addition, the ICJ can bind North Korea to negotiate with South Korea, in good faith, for an institutionalized joint management system regarding shared watercourses and waterways, and with due regard to the development of new norms of international watercourses law. Actually, it is more important for South Korea to conclude an agreement governing inter-Korean watercourses than to obtain compensation in order to guarantee no recurrence.

      • KCI등재

        남북경협 재개를 위한 유엔 안보리·한국·미국의 대북제재 검토

        정민정(Chung, Min Jung) 충북대학교 법학연구소 2018 法學硏究 Vol.29 No.2

        Ⅰ. 서론 Ⅱ. 남북경협 재개를 위한 유엔 안보리 대북제재 결의 검토 Ⅲ. 한국의 대북제재에 관한 국내법 Ⅳ. 미국의 대북제재에 관한 국내법 Ⅴ. 결론

      • 다도교육 프로그램이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정민정 ( Chung Min Jung ),김유진 ( Kim Yu Jin ) 대한아동복지학회 2016 아동복지연구 Vol.14 No.2

        This study looked into the effects of a tea ceremony education program on children`s pro-social behavior. The subjects were 6 five-year-old children from Daycare Center A and 6 five-year-old children from Daycare Center B, both located in Y-si. As a tool for measuring the children`s pro-social behavior, we used Mcginnis and Golestein`s(1990) Skill Situation Measure as modified for Korea(Lee Won-young et al., 1993; Lee Jong-hyang, 2007). We conducted an independent sample t-test of the average of the group`s pre-test and post-test scores using SPSS Statistics 20.0. As a result of the children`s pro-social behavior test, it was found that the experimental group, for which this study implemented the tea ceremony education program,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 in pro-social behavior. Looking into the pro-social behavior according to its sub-factors, the children`s ability to control their personal emotions, form relationships with others, and adapt themselves to their daycare center were all found to have improved.

      • KCI등재

        남중국해 중재판정과 미 항행의 자유 작전(FONOPs)의 관계

        정민정 ( Chung Min-jung ) 경상대학교 법학연구소 2022 法學硏究 Vol.30 No.1

        2016년 7월 상설중재재판소(유엔 해양법협약 제7부속서에 따라 설치된 중재재판소)는 필리핀과 중국 간 남중국해 해양분쟁에 대해 필리핀 승소라는 판정을 내렸다. 해당 판정에서는 남중국해의 85% 이상을 차지하고 있는 중국의 '남해 9단선' 주장을 무효화하였다. 이 글에서는 판정 이후 오바마 대통령 재임기간 7개월과 트럼프 대통령 재임기간 4년 동안 해상 군사작전 수행의 내용을 분석하여 남중국해 중재판정이 이들 작전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 살펴보고, 바이든 행정부의 남중국해 정책을 전망해 보았다. 남중국해 중재판정 이후 가장 중요한 사실은 미 해군이 더 자주 남중국해에서 항행의 자유 작전(FONOPs)을 실시하였다는 점이다. 미국의 항행의 자유 작전은 오바마 행정부의 임기 마지막 해인 2016년에 3회, 트럼프 행정부가 출범한 2017년 4회, 2018년 6회, 2019년 8회, 그리고 마지막 해인 2020년 10회가 실시되었다. 그리고 트럼프 행정부 시기의 항행의 자유 작전에는 남중국해 중재판정의 중요한 판시 사항이 구체적으로 반영되어 있다. 오바마 행정부 시기 미 해군은 중국이 남중국해에 구축한 해양지형의 12해리 이내로 들어가(즉, 중국이 영해라고 주장하는 수역에 들어가) 항행의 자유 작전을 전개하는 것을 자제하였던 반면, 트럼프 행정부 시기에는 중재재판소에서 영해를 가질 수 없다고 판단한 중국의 암초에 대해서는 12해리 이내로 들어가 항행의 자유 작전을 실시하였다. 이처럼 두 행정부의 항행의 자유 작전 수행 내용에 차이가 나타나는 이유는 중재재판소가 오바마 대통령의 재임기간을 불과 7개월 남겨놓고, 오바마 대통령에서 트럼프 대통령으로 권력이 이양되는 시기에 판정을 내렸기 때문이다. 트럼프 행정부는 오바마 행정부보다는 판정의 내용을 주의 깊게 검토할 시간이 충분히 있었다. 2021년 7월까지 바이든 행정부에서 미 해군은 벌써 남중국해에서 네 차례 항행의 자유 작전을 수행하였다. 해양 강대국이며 미국의 핵심 동맹국인 영국은 2021년 최신예 항공모함인 HMS 퀸 엘리자베스(Queen Elizabeth)를 남중국해에 투입하여 미국, 일본, 네덜란드와 해상연합훈련을 하였다. 미·중 간 남중국해에서의 패권경쟁의 기저에는 남중국해 중재판정이 있다. 오바마·트럼프·바이든 행정부 모두 남중국해 중재판정의 효력을 유지하고, 중국이 남중국해를 자국의 영향권 하에 두려는 시도를 차단하기 위해 노력해왔다. 오바마 행정부는 필리핀과 함께 중국을 상대로 하는 법률전쟁(lawfare)을 수행하여 승소하였고, “항행의 자유 작전”이라고도 부르는 해상군사작전에 착수하였다(⇒ 아시아·태평양 재균형 전략). 트럼프 행정부는 해상군사작전을 본격화하였는데, 중재재판소가 중국의 영해가 아니라고 판단하였으면 해당 수역에도 침투하여 작전을 수행하였다(⇒ 인도-태평양 전략 1.0). 바이든 행정부에서는 2021년 7월 11일 미 국무장관이 남중국해 중재판정 5주년을 기념하는 발언을 한 바 있다. 바이든 행정부에서도 앞으로 해상군사작전의 양적 증가는 물론 동맹국과의 연대 강화 및 최첨단 해양무기 기술 개발을 통한 질적 심화가 예상된다(⇒ 인도-태평양 전략 2.0). In July 2016, the Permanent Court of Arbitration (an arbitral tribunal constituted in accordance with Annex VII of the United Nations Convention on the Law of the Sea) ruled in favor of the Philippines in maritime disputes in the South China Sea between the Philippines and China. The ruling invalidated China's maritime claim to waters falling within the "nine-dash line," which accounts for more than 85% of the South China Sea. This study examines the U.S. naval operations executed during the last seven months of President Barack Obama’s term and the four years of President Donald Trump’s term following the ruling to analyze the effect of the South China Sea Arbitration on the U.S. naval operations and predict the Biden administration's future South China Sea policy. The most notable outcome of the South China Sea Arbitration was that the U.S. Navy conducted more frequent Freedom of Navigation Operations (FONOPs) in the waters. The U.S. Navy conducted FONOPs three times in 2016 during the last year of the Obama administration, four times in 2017 during the start of the Trump administration, six times in 2018, eight times in 2019, and ten times in 2020. The FONOPs during the Trump administration specifically reflect an important ruling in the South China Sea Arbitration. During the Obama administration, the U.S. Navy refrained from sailing within 12 nautical miles from artificial islands built by China in the South China Sea (i.e., the territorial waters claimed by China). However, during the Trump administration, the U.S. conducted FONOPs in waters within 12 nautical miles from China’s artificial islands that the arbitral tribunal ruled were not Chinese territorial waters. The reason behind the different FONOPs strategies between the two presidencies is that the arbitral tribunal issued its judgment when President Barack Obama had only seven months left to the end of his term before his successor, Donald Trump, assumed presidency. The Trump administration had more time to carefully review the contents of the arbitration award than the Obama administration. By July 2021, the U.S. Navy under the Biden administration had already conducted four FONOPs in the South China Sea. Britain, a maritime power and key U.S. ally, deployed its newest aircraft carrier, the HMS Queen Elizabeth, to the sea in 2021 for joint naval exercises with the United States, Japan, and the Netherlands. At the core of the power struggle between the U.S. and China in the South China Sea is the South China Sea Arbitration. The Obama, Trump, and Biden administrations all sought to keep the arbitral award in force and block China’s attempts to bring the South China Sea under its sphere of influence. The Obama administration, along with the Philippines, won a lawfare against China and launched naval operations called FONOPs (⇒ Asia-Pacific Rebalancing Strategy). The number of naval operations in the South China Sea swelled during the Trump administration, and they were even conducted within the disputed territorial waters claimed by China (⇒ Indo-Pacific Strategy 1.0). On July 11, 2021, the Biden administration’s Secretary of State made remarks commemorating the fifth anniversary of the South China Sea arbitration award. In the future, the Biden administration is expected to not only increase the frequency of naval operations, but also strengthen solidarity with its allies and develop cutting-edge naval weapons technology (⇒ Indo-Pacific Strategy 2.0).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