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정의적 특성이 학업성적에 미치는 영향

        정민아 홍익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박사

        RANK : 247647

        본 연구는 중 · 고등학교 학습자들의 학업성적에 영향을 미치는 정의적 특성변인 중 비학업자아개념, 학교태도, 학습동기 및 학업효능감을 연구 변인으로 선정하여, 연구대상 학습자들의 독립변인 상 · 하 수준에 따른 학업성적과 차이를 분석하고, 대상전체, 학교급별 및 성별 독립변인들과 학업성적간의 상관을 분석하였으며, 이 독립변인들이 종속변인인 학업성적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하였다. 이러한 분석을 통하여 본 연구는 중·고등학교 학습자들의 학업성적 향상을 위한 방향제시와 교수-학습 프로그램의 개발과 운영에 도움을 주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전국 시도별 중 · 고등학교 2학년 학습자 1,098명을 임의 표집 하였으며, 자료 수집을 위해 사용한 도구는,「비학업자아개념척도」(김용래, 1995),「학교태도척도」(김용래 · 이혜원, 1996),「학교학습동기척도」(김용래, 2000), 「학업효능감척도」(정민아, 2007) 및「학기말고사」(각 학교별, 2007년도 2학기말고사)등을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12.0 Version으로 전산처리하여 평균차이분석, 상관분석, 다중회귀분석을 하였다. 연구의 모든 가설과 통계치는 의미수준 p<.05에서 t검정과 F검정을 하였다. 본 연구의 가설은 다음과 같다. [가설 1] 학습자들의 비학업자아개념, 학교태도, 학습동기 및 학업효능감 상·하 수준별 학업성적은 의미 있는 차이가 있다. [가설 2] 학습자들의 대상전체, 학교급별 및 성별 비학업자아개념, 학교태도, 학습동기, 학업효능감 및 학업성적 간에는 의미 있는 정적 상관이 있다. [가설 3] 학습자들의 대상전체, 학교급별 및 성별 비학업자아개념, 학교태도, 학습동기 및 학업효능감은 학업성적에 의미 있는 영향력이 있다. 위의 가설들을 검정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학습자들의 비학업자아개념, 학교태도, 학습동기 및 학업효능감과 그 하위요인들 수준별 학업성적은 의미 있는 차이가 있다. 둘째, 대상전체, 학교급별 및 성별 학습자들의 비학업자아개념, 학교태도, 학습동기, 학업효능감 및 학업성적 간에는 모두 의미 있는 상관이다. 그리고 독립변인들 간에는 다중공선성이 없기 때문에 다중회귀분석으로 학업성적에 대한 독립변인들의 영향력을 검정하였다. 셋째, 대상전체, 학교급별 및 성별로 선정된 학습자들의 정의적 특성요인들의 학업성적에 미치는 영향력의 상대적 중요성은 학습동기(24.1%), 학업효능감(21.8%), 학교태도(14.9%), 비학업자아개념(6.7%)의 순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이들 정의적 특성 요인들이 종합적으로 학업성적을 설명하는 변량은 25.5% 였다. 따라서 학습자들의 대상전체, 학교급별 및 성별 비학업자아개념, 학교태도, 학습동기 및 학업효능감은 학업성적에 의미 있는 영향력이 있다. In this study, I selected a non-academic self-concept, school-related attitudes, learning motivation and learning self-efficacy from the affective characteristics for the study variables in order to analyze the academic achievement and difference between high and low levels of independent variables of the learners targeted for this study; the correlation between the academic achievement and independent variables per whole target, school grade and gender; the influence of such independent variables on their dependent variable, academic achievement. Based on such analysis, this study is aimed to propose a direction for the middle/high school students to improve their academic achievement and help developing and operating a teaching-learning program. For the study target, I randomly collected 1,098 of the 2nd grade students from middle/high schools nationwide by using the tools: 「Scale of Non-Academic Self-Concept」(Kim, Yong-Rae, 1995), 「Scale of School-Related Attitudes」(Kim, Yong-Rae·Lee, Hye-Won, 1996), 「Scale of School Learning Motivation」(Kim, Yong-Rae, 2000), 「Scale of Learning Self-Efficacy」(Jeong, Min-Ah, 2007) and 「Final Exam」(the 2007 second semester final exam by each school) and etc. The collected data was processed with the SPSS/WIN 12.0 Version, and then were under difference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ll hypotheses and statistical values went through t-test and F-test at the significance level of p<.05. The hypotheses of this study are as follow: [Hypothesis 1]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academic achievement of learners of the high / low level per non-academic self-concept, school-related attitudes, learning motivation and learning self-efficacy. [Hypothesis 2] There is a static correlation between academic achievement of learners and their non-academic self-concept, school-related attitudes, learning motivation and learning self-efficacy depending on the whole target, school grade and gender. [Hypothesis 3] Academic achievement of learners is significantly affected by non-academic self-concept, school-related attitudes, learning motivation and learning self-efficacy depending on the whole target, school grade and gender. The results of the tests of hypotheses above can be summarized as follow: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academic achievement of learners depending on the level of non-academic self-concept, school-related attitudes, learning motivation and learning self-efficacy and their subordinate factors. Second,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academic achievement of learners and non-academic self-concept, school-related attitudes, learning motivation and learning self-efficacy depending on the whole subject, school grade and gender. In addition, since there was no multicollinearity, the influence of independent variables on academic achievement was tested with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ird, the affective characteristics of the learners selected per the whole target, school grade and gender was biggest at learning motivation (24.1%), which was followed by learning self-efficacy (21.8%), school-related attitudes (14.9%) and non-academic self-concept (6.7%) in their relative importance of influence on academic achievement. In addition, the variate with which such affective characteristics comprehensively described the academic achievement was 25.5%. Therefore, it is believed that academic achievement of learners is significantly influenced by non-academic self-concept, school-related attitudes, learning motivation and learning self-efficacy depending on the whole target, school grade and gender.

      • 마틴 셀리그만의 웰빙 이론을 바탕으로 한 무용창작작품「Who am I」에 관한 연구

        정민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In modern society, well-being is an important keyword that shows changes in the social structure. Unlike today's growing interest in well-being, values ​​such as uncertainty about the future, individualism, and materialism intensify human tension and anxiety. In addition, as modern people repeatedly experience difficulties in social relationships and situations beyond their control, negative emotions such as feelings of loss, helplessness, and depression are deepening. Due to these macroscopic social problems and phenomena, many researchers recently are paying attention to PERMA (Positive emotion, Engagement, Relationships, Meaning, and Achievement), a concrete and practical concept, namely elements presented by the wellbeing theory of Martin Seligman (1942~), a positive psychologist. Seligman’s positive psychology, which started from the fundamental question of happiness, emphasizes that life can be prosperous when humans find their strengths and develop their virtues to pursue personal and social well-being. Therefore, the researcher examined PERMA, a well-being element unique to Seligman, to solve the vicious cycle of loss of self and negative psychology that humans experience due to the problems inherent in modern society, and choreographed 「Who am I」(2021), a dance creation based on PERMA. This work is composed of three chapters, and each scene analyzes the theme and content, space use and composition by scene, movement and movement path of the dancer, and the symbolic meaning of objects and costumes. In addition, the author tried to describe the expressive characteristics of the work through the analysis results and awaken the importance of a hopeful future for modern people and a prosperous life due to change. Chapter 1, with the theme of 'anxiety,' shows the emptiness and helplessness of human beings who are fiercely living in order not to be eliminated from modern society. To this end, the author lit a narrow square light in front of the stage constant to create an atmosphere of an isolated space and emphasized the psychological state of the subject, who was suppressed by their negative emotions and was anxious by low-level movements that contrasted with strength and weakness. At this time, the author tried to effectively express the atmosphere of emotional horror and fear by emphasizing social isolation, alienation, and devastated emotional images using a chair and a black cardigan as objects. In addition, the director maximized the subject's unstable inner expression by overlapping the sound of the bell and the slow, subtle music. Chapter 2, with the theme of 'recovery,' shows a human being conscious of his condition, freeing himself from negative thoughts and discovering himself. To this end, the director extended the blue lighting and diagonal road lighting from anxiety in front of the stage constant to the space of recovery behind the sewage. The repetitive piano melody that starts with the bell sound effect emphasized in Chapter 1 created a magnificent atmosphere where the main character's inner will is felt. It highlights the active inner desire and psychological state of the subject recovering from his life. In addition, the director symbolically expressed the inner recovery of the subject, longing for immersion and positive relationship formation for the achievement of new goals, out of the space of anxiety by the dancer pushing the chair and black cardigan, which are objects, out of the stage constant. In this way, through the dance creation “Who am I,” the researcher aimed to claim that the psychological problems of modern people and recovery of their identity could be wisely solved by expressing the process of reflection through dance art that makes them reflect on their own values ​​and meanings as well as accurate awareness of well-being. Chapter 3, under the theme of ‘hope,’ reveals the courageous and hopeful figure of the subject who discovers his strengths, overcomes negative emotions, and aims for the meaning of life and fulfilling life. To this end, the director gradually changed the lighting from blue to warm yellow and added wave-patterned LED lighting to the entire stage, implying that the subject's self-actualizing well-being is being achieved through the promotion and prosperity of happiness. Afterward, the director added the basic three primary colors of lighting: blue, meaning recovery, yellow, meaning hope, and red, meaning passion, to express the subject's enthusiasm to develop for a hopeful future. In addition, by using bright music with a soft melody and a refreshing feeling, the work intended to reveal the state of flourish, which is full of satisfaction and joy generated within the subject. In this way, through the dance creation “Who am I,” the researcher aimed to claim that the psychological problems of modern people and recovery of their identity could be wisely solved by expressing the process of reflection through dance art that makes them reflect on their values ​​and meanings as well as accurate awareness of well-being. 현대사회에서 웰빙은 사회구조의 변화를 보여주는 중요한 키워드이다. 오늘날 웰빙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는 것과 달리 미래에 대한 불확실성, 개인주의, 물질만능주의와 같은 가치관은 인간의 긴장과 불안을 고조시키고 있다. 또한 자신의 힘으로는 통제 불가능한 상황과 사회적 관계에서의 어려움을 반복적으로 경험하게 되면서 상실감, 무기력감 그리고 우울감과 같은 부정적인 감정이 심화되고 있다. 이러한 거시적인 사회 전반의 문제와 현상으로 인해 최근 많은 학자가 긍정심리학자인 마틴 셀리그만(Martin Seligman, 1942-)의 웰빙 이론에서 제시하고 있는 구체적이며 실질적인 개념인 팔마(PERMA) 요소에 주목하고 있다. 행복이 무엇인지에 대한 근본적인 물음에서 시작된 셀리그만의 긍정심리학은 인간이 개인적, 사회적 웰빙을 추구하기 위해서는 자신의 강점을 찾고 덕목을 개발시켜 나아갈 때 그 삶은 번영하고 풍요롭게 될 수 있음을 강조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자는 현대사회가 내포하고 있는 문제로 인해 인간이 경험하게 되는 자아상실과 부정적 심리의 악순환을 해결하기 위해 셀리그만의 웰빙 요소인 팔마를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무용창작작품 「Who am I」(2021)를 안무하였다. 작품은 총 3장으로 구성하였으며 각 장면마다 주제 및 내용, 공간사용 및 장면별 구성, 무용수의 움직임과 이동경로, 오브제와 의상의 상징적 의미에 대해 분석하였다. 그리고 분석 결과를 통해 작품에 나타난 표현적 특성을 기술하고 현대인들의 희망적인 미래와 변화로 인한 번성한 삶의 중요함을 일깨우고자 했다. 1장은 ‘불안’을 주제로 하여 현대사회에서 도태되지 않기 위해 치열하게 살아가고 있는 인간의 공허와 무기력한 부정적인 내면의 모습을 나타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무대 상수 앞쪽에 협소한 사각 조명을 비춰 고립된 공간의 분위기를 느끼도록 연출하였으며 강약의 대조되는 낮은 레벨의 움직임으로 자신의 부정적인 감정에 억압받으며 불안해하는 주체의 심리상태를 부각시키고자 하였다. 이때 오브제로 의자와 검정 가디건을 활용하여 사회적 단절과 소외된 상태, 황폐해진 정서적 이미지를 강조함으로써 정서적 공포와 두려움의 분위기를 효과적으로 나타내고자 하였다. 또한 종소리 효과음과 느리고 미세하게 들려오는 느린 박자의 음악을 중첩되게 사용하여 주체의 불안정한 내적 표현을 극대화하고자 하였다. 2장은 ‘회복’을 주제로 하여 자신의 상태를 의식한 인간이 부정적 생각에서 벗어나 자아를 발견해 나아가는 모습을 나타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파란색 조명과 사선 길 조명을 무대 상수 앞쪽 불안의 공간에서부터 하수 뒤쪽 회복의 공간으로 확장하여 사용하였다. 1장에서 강조된 종소리 효과음을 시작으로 이어지는 반복적인 피아노 선율은 주체의 내면에 강한 의지가 느껴지는 웅장한 분위기를 자아내었고, 무용수의 박진감 있는 에너지와 다양한 초점의 사용 그리고 신체 레벨의 변화에 따른 동적 움직임은 삶을 회복해나가는 주체의 적극적인 내적 욕구와 심리상태를 부각시켰다. 또한 무용수가 오브제인 의자와 검정 가디건을 무대 상수 밖으로 밀어냄으로써 불안의 공간에서 벗어나 새로운 목표 달성을 위한 몰입과 긍정적 관계 형성을 갈망하는 주체의 내적 회복을 상징적으로 표현하고자 하였다. 3장은 ‘희망’을 주제로 하여 자신의 강점을 발견하여 부정적 정서를 극복하고 삶의 의미와 성취하는 삶을 지향하는 주체의 용기있고 희망찬 모습을 드러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조명은 파란색에서 점차 따듯한 분위기의 노란색 조명으로 전환시키고 무대 전체에 물결무늬 고보 조명을 더하여 행복의 증진과 번성을 통해 주체의 자아실현적 웰빙이 이루어지고 있음을 암시하고자 하였다. 이후 회복을 의미하는 파란색, 희망을 의미하는 노란색, 열정을 의미하는 빨간색의 기본 삼원색 조명을 추가하여 희망적인 미래를 위해 발전해 나가고자 하는 주체의 열의를 표현하였다. 또한 선율이 부드럽게 이어지고 청량한 느낌을 주는 밝은 음악을 사용하여 주체의 내면에서 생성되는 만족과 기쁨이 충만한 플로리시의 상태임을 드러내고자 하였다. 이와 같이 본 연구자는 무용창작작품 「Who am I」 를 통해서 웰빙에 대한 정확한 인식과 더불어 자신의 가치와 존재의 의미를 되돌아보게 만드는 성찰의 과정을 무용예술로 표현함으로써 현대인의 심리적 문제와 정체성 회복을 지혜롭게 해결해나갈 수 있음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 소셜커머스의 구매상황특성이 소비자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정민아 전남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최근 소셜커머스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나, 소셜커머스의 어떤 판매 전략이 소비자의 구매 활동에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연구는 미진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소셜커머스(Social Commerce) 구매 환경의 대표적인 특성인 가격할인과 시간압박, 판매수량 메시지의 정도에 따라 구매의도에 미치는 효과의 차이와 이러한 요인들의 복합적 영향을 중심으로 연구를 진행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의 이론적 고찰을 바탕으로 첫째, 가격할인(최대/최소), 시간압박(높음/낮음), 판매수량(많음/적음)의 정도에 따라 구매의도에 미치는 효과의 차이를 확인하고 둘째, 위의 3가지 변인간의 상호 관계가 구매의도에 어떠한 다른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였다. 이를 검증하기 위해 2×2×2의 요인설계 방안으로 나누어진 8개 실험 상황에 따라 실험 연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는 소셜커머스의 주 이용객이고 소셜미디어 환경에 익숙하며 유행이나 문화, 가격에 민감한 20대와 30대 대학생, 대학원생을 실험대상으로 선정하였으며, 261부의 유효한 응답지를 통하여 실증분석에 이용하였다. 본 연구의 가설 검증 연구결과와 시사점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소셜커머스 상품구매 상황에서 가격할인율이 클수록 구매의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높은 가격할인을 제시 받은 집단은 낮은 가격할인을 제시 받은 집단에 비해 더 높은 구매의사를 보였다. 따라서 소셜커머스라는 새로운 구매환경에서도 오프라인 구매나 일반 전자상거래 환경과 마찬가지로 할인의 효과가 유효하게 작용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둘째, 소셜커머스 상품 구매 상황에서 시간압박이 높은 집단과 낮은 집단 간의 구매의도가 차이가 있으며, 시간압박이 높을수록 구매의도에 긍정적이라는 결과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소셜커머스에서 시간제한 희소성 메시지의 시간 압박 정도에 따라 소비자 구매의도에 미치는 긍정적 영향의 차이를 확인하였다. 즉, 소셜커머스에서 시간 압박 정도에 따라 소비자들은 해당 상품이 인기상품이라고 여기거나 구매를 서두르게 되기 때문에, 시간제한 희소성메시지는 소셜커머스 상품 구매 시 구매 결정을 유도하는 효과적인 메시지라고 볼 수 있다. 셋째, 소셜커머스에서 다수의 구매자가 있음을 보여주는 판매 현황이 수량이 많을수록 소비자 구매의도에 긍정적 효과를 미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소셜커머스에서 타인의 구매현황을 사회적 증거 메시지 개념으로 정의하여 최초로 적용하였고 소셜커머스 선행연구에서 아직까지 이용된 바 없는 사회적 메시지에 대한 구매의도를 분석하였다는데 의미를 둘 수 있다. 넷째, 소셜커머스 상품 구매 상황에서 가격할인과 시간압박의 상호작용 효과에 따른 집단 간의 구매의도 차이를 살펴본 결과, 가격할인이 낮은 경우, 시간압박의 높고 낮음과 상관없이 구매의도가 차이가 없었으며, 가격할인이 높은 경우 시간압박이 높을수록 구매의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소셜커머스의 높은 가격 할인율이 구매 가능 시간을 제한하는 희소성 메시지와 동시에 제시되기 때문에 가격할인의 부정적 효과가 감소된다는 선행연구 결과와 일치한다. 또한 시간제한 희소성 메시지의 시간압박이 높은 상황에서는 정보 수집을 할 여유가 없고 의사결정을 신속하게 처리해야하기 때문에 소셜커머스의 높은 가격할인의 정보를 보고 빠른 구매결정으로 이어지며, 구매에 긍정적 영향을 미친다고 볼 수 있다.

      • 다양한 추상화 수준으로 표현된 데이터를 위한 결정 트리

        정민아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2 국내박사

        RANK : 247631

        데이터 분류(classification)는 중요한 데이터 마이닝 작업 중의 하나이며, 이미 분류된 객체 집단군, 즉 학습 데이터에 대한 분석을 바탕으로 아직 분류되지 않은 객체의 소속 집단을 결정하는 작업이다. 현재까지 많은 분류모델이 제안되었으며, 이러한 분류 모델 중 결정 트리는 인간이 이해하기 쉬운 형태를 갖고 있기 때문에 많이 사용되고 있다. 대규모 데이터 마이닝 환경에서는 이질적인 데이터베이스 혹은 파일 시스템으로 부터 분석 대상 데이터를 수집하는 경우가 일반적이므로, 수집된 데이터가 서로 다른 추상화 수준(abstraction level)으로 표현되기 마련이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결정 트리(decision tree)를 서로 다른 추상화 수준으로 표현된 데이터에 적용할 때, 분류상 모순이 일어날 수 있음을 보이고, 그에 대한 해결방안을 제시한다. 제안하는 방법은 데이터간에 존재하는 일반화/세분화 관련성을 결정 트리의 구축 단계는 물론, 클래스 할당 단계에도 반영하여 데이터간의 의미적 연관성을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 학습 데이터를 분류하기 위해 결정 트리를 구축할 경우, 결정 트리를 구축하는 과정은 크게 학습 데이터를 분할하는 과정과 최적 분할 속성(best-split attribute)을 선택하는 과정으로 나눌 수 있다. 최적 분할 속성에 따라 학습 데이터를 분할하는 과정에서는 데이터의 다양한 추상화 수준을 고려하여 기존의 알고리즘과 다르게 학습 데이터를 분할한다. 학습 데이터의 어떤 속성 값이 다양한 추상화 수준으로 표현되어 있을 경우, 학습 데이터를 퍼지 릴레이션으로 간주한다. 그리고 적절한 학습 데이터는 전체 영역에 대한 값의 분포를 반영한다고 간주할 수 있으므로 학습 데이터의 분포로부터 실제 속성 값에 대한 확률을 얻을 수 있으며, 이러한 실제 속성 값에 대한 확률은 각 레코드의 소속정도로 표현한다. 최적 분할 속성을 선택하기 위해서는 많은 척도들이 존재하는데 본 논문에서는 정보 이론의 척도인 엔트로피(entropy)를 확장하여 퍼지 릴레이션의 이질성을 측정하는 방법을 예를 들어 제시한다. 최종적으로 구축된 결정 트리를 이용하여 아직 분류되지 않은 레코드에 클래스 레이블을 할당한다. 클래스 레이블을 할당하기 위해 각 속성 값사이의 일반화/세분화 관련성을 고려하고, 레코드의 소속 정도 값을 이용하는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다양한 추상화 수준으로 표현되어 있는 속성 값을 갖는 레코드일 경우 그 속성 값을 갖는 데이터 레코드의 분포를 반영하여 그 중에서 가장 큰 신뢰도 값을 갖는 클래스 레이블을 할당한다. 제안한 알고리즘의 성능 평가를 위해 실제 데이터로 데이터 집합이 다양한 추상화 수준으로 표현되도록 추상화 수준에 대한 분포를 다양하게 조정하였다. 실험은 데이터 집합의 이질성에 따른 분류 정확성, 다양한 추상화 수준을 갖는 속성수의 증가에 따른 분류 정확성, 다양한 추상화 수준의 깊이 증가에 따른 분류 정확성을 기존의 데이터 분류기인 C4.5와 비교하였다. 데이터가 서로 다른 추상화 수준으로 표현될 때, 제안한 알고리즘이 기존의 알고리즘보다 분류 정확성이 크게 향상되었음을 보인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알고리즘은 지역 네크워크 관리 에이전트로부터 서로 다른 추상화 수준으로 표현되어 있는 알람을 받아 처리하는 통합 네크워크 알람 시스템에 적용하고자 한다. Classification is an important problem in data mining. Given a database of records, each tagged with a class label, a classifier generates a concise and meaningful description for each class that can be used to classify subsequent records. Among many classification models proposed in the literature, decision trees are especially attractive in data mining environments because their intuitive representation is easy to understand by human users, Since the data is collected from disparate sources in many actual data mining environments, it is common to have data values in different abstraction levels. This thesis shows that such different abstraction levels of data can cause undesirable effects in decision tree classification. After explaining that equalizing abstraction levels by force cannot provide satisfactory solutions on this problem, we presents a method to utilize the data as it is. The proposed method accommodates the generalization/specialization relationship between data values in both of the construction and the class assignment phase of decision tree classification. A decision tree is constructed through recursive partitioning of a training set. The first step is the selection of a predictor attribute that yields the best split of the training set. Once such a predictor attribute is selected, the training set is partitioned into subsets according to the attribute values. When the training set contains records expressed in different abstraction levels according to the best-split attribute partitioning the training set has to be revised as well as the selection of the best-split attribute. When a attribute value is expressed in different abstraction levels, the training set of records is regarded as a fuzzy relation. Since a proper training set reflects the value distribution in the entire domain, we can obtain the probability of the actual attribute values from the distribution of the training set, thus, the probability of the attribute value is represented as membership degree of each record. Though there are many measures proposed to evaluate the heterogeneity of a set, we define how to measure the heterogeneity of a fuzzy relation by extending the measure of entropy. We assign the class labels to the target records which are unknown the class labels. To assign the class labels, we consider generalization and specialization. Among all assignments, that of the maximum confidence is chosen for the final answer. We have conducted experiments with a benchmark data set to analyze the classification accuracy of the proposed method. To show that the proposed method outperforms the existing methods such as C4.5, we randomly distribute different abstraction levels of data across a public benchmark data set obtained from UCI Machine Learning Repository. We analyzed classification accuracy on heterogeneity of data sets, the increasement of the attributes in different abstraction levels, the increasement of depth in different abstraction levels. The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 proposed method reduces classification error rates significantly when different abstraction levels of data are involved. We have been applying the proposed method to an integrated network alarm management system that suffers from different abstraction levels delivered from local network management agents.

      • 단위문양의 연속적 전개를 응용한 금속 장신구 연구

        정민아 淑明女子大學校 大學院 2000 국내석사

        RANK : 247631

        전통문양은 우리의 생활문화 속에서 미적 감각에 의해 다듬어지고 발전되었기에 우리 민족 고유의 특성을 지니고 있으며, 타민족과의 문화교류를 알아내는데 큰 역할을 하기도 한다. 이러한 전통문양들이 오늘날 답습(雌襲)적 재현으로 인해 복고적인 취향만을 자극하는 경우가 있는데, 진정한 전통이란, 시대적 요인이 적절히 구현된 상태를 말하는 것이며, 옛 전통을 오늘날의 문화에 맞게 새로운 전통으로 창출해 내는 작업이야말로 우리들이 해야할 일이라 생각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전통 문양의 아름다움을 오늘날의 정서에 맞게 현대적으로 재구성하여, 현재 실생활에서 사용할 수 있는 장신구로 응용해보고, 다품종·소량생산의 문화 상품으로서의 가능성도 제시해 보는데 있다. 연구의 방법으로는 문양의 생성과정 및 문양의 특성, 그리고 작품에 응용한 전통문양들의 상징적 의미에 대하여 알아보고, 단위문양들의 확대· 축소, 반복적 구성의 변화 등, 여러 경우의 전개에 의한 다양한 문양들을 재창출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이 문양들을 금속 장신구에 활용하여 실제 작품에 응용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로 도출된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전통문양 중 연꽃문, 당초문, 여의두문, 화문을 중심으로 이방연속, 사방연속 등으로 전개시키고, 재구성하여 현대적 감각에 잘 어울리는 문양으로 재창출하였다. 둘째, 연구되어진 문양들로 머리장신구를 비롯하여 브로치, 넥타이핀 등 신변장신구에서부터 탁상용구, 식탁용구에 이르기까지 23종류의 작품을 100여 점 제작하였다. 셋째, 작품제작에 있어 중요시 생각한 점은 착용시의 무게와 의상과의 조화로써, 가볍고 화려하면서도 수공예적인 맛을 살리도록 문양부분을 투각해 주었다. 넷째, 작품의 경제적인 단가를 고려해 대량생산이 가능하고 생산방법이 용이한 주물기법을 도입하였다. 결론적으로 위의 연구 과정을 통하여 우리의 전통문양들을 재창조하고, 현대의 장신구 등에 미적인 요소를 활용함으로서, 전통문양들이 현대적인 감각으로 변화된 문화상품으로서의 가능성을 제시해 보았다. Since our traditional patterns have been developed and polished by the aesthetic sense in our living culture, they show our people's unique characterisitcs, while playing an important role in finding our people's cultural exchanges with other peoples. A recent tendency is to stimulate only the restoration taste by re-presenting the traditional patterns, but a genuine tradition needs to be reproduced to reflect the elements of the time. In this regard, we are requested to newly create our traditional patterns to befit our cultu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construct our aesthetics of our traditional patterns in a modern way to befit today's emotion and thereby, make them perceived as familiar materials used for our current living and furthermore, explore their potential as cultural commodities. For this purpose, processes of the patterns generated, their characteristics and their symbolic implications when applied to works were reviewed, and thereupon, they were expanded, diminished or repeated to create a variety of their reproductions. Then, these patterns re-created were applied to actual metal accessories to produce patterned work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nuned up as follows; First, such traditional patterns as lotus flower, Tangcho, Yeouidumun, flower patterns, etc., were exploded to be recontructed in a a bi-way or quad-way continuum to befit our modem sense. Second, the patterns developed were applied to some 100 items of 23 kinds including hair pin, brooch, necktie pin, deskwares and tablewares. Third, in order to reinforce the luxurious and handicrafty tastes of handicrafy items, the pattern parts were adjusted to be adequately light and be in harmony with costumes.Fourfh, the casting technique allowing for a mass production was applied in consideration of commodity value. All in all, it was attempted through this study to re-create our traditional patterns and thereby, use their aesthetic elements to our modern decoratons, and thereby, explore the possibility of presenting the traditional patterns as cultural commodities varied with a modem sense.

      • Andersen 모형을 이용한 지역주민의 위암 검진과 검진 후 사후관리 경험 여부에 미치는 영향요인 분석

        정민아 연세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Background: Gastric cancer has the highest incidence in Korea, and the mortality rate is 14.9% as of 2019, the second highest among others. In addition, Korea's participation rate in follow-up check after screening is 9.7% as of 2019 and lower than that of other countries. Methods: The research model was developed based on Andersen’s Model. To analysis data, Chi-square test, t-test and F-test and logistic regression were used. Results: According to a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the factors influencing gastric cancer screening are age in predisposing factor, monthly average household income and economic activity in enabling factor, community health programs, community gatherings and organizational participation, and chronic diseases in need factor. The factor that affects follow-up check after screening is chronic disease of need factor. Conclusion: First, it is necessary to subdivide the period of gastric cancer screening and investigate. Second, it is necessary to increase the rate of gastric cancer screening in the community by utilizing community resources. Third,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national cancer screening project for 20s and 30s. Fourth, it is necessary to strengthen the chronic disease management and follow-up check system. 본 연구의 목적은 Andersen 모형을 적용하여 원주시 지역주민의 위암 검진 (위내시경·위장조영술) 수검 여부와 검진 후 사후관리 경험 여부에 미치는 요 인을 파악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위암 수검 여부와 검진 후 사후관리 경험 여부에 미치는 영향 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2단계를 거쳐 분석을 진행하였다. 1단계는 원주시 지역 주민의 위암 검진 수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종속변수인 위 암 검진 수검을 수검기간에 따라 3가지의 모델로 구분하였다. Model 1은 위암 검진을 12개월 이내 수검, Model 2는 12개월 이상 24개월 미만 동안 수검, Model 3은 평생수검이다. 분석방법은 기술통계, 카이제곱과 t-test, 로지스틱 회귀분석이다. 2단계는 원주시 지역주민의 위암 검진 수검자 724명 대상으로 검진 후 사후관리 경험 영향요인을 파악하는 것으로, 종속변수는 검진 후 사 후관리 여부이며, 분석방법은 카이제곱과 t-test, 로지스틱 회귀분석이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소인 요인의 나이는 수검 기간과 상관없이 위암 검진 수검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것을 확인하였다. 둘째, 가능 요인의 월평균 가구 소득은 위암 권고 기간(2년 이내)에는 유의미한 영향요인이 아니 었지만, 평생수검(Model 3)에만 유의미한 영향요인임을 확인하였다. 셋째, 가 능 요인의 경제활동은 수검 기간과 상관없이 위암 검진 수검에 유의한 영향 요인임을 확인하였다. 넷째, 가능 요인의 지역사회 건강프로그램 참여 여부는 위암 수검기간이 12개월 이상 24개월 미만(Model 2)에서만 유의한 영향요인이 었으며, 지역사회 건강프로그램에 참여하지 않은 응답자가 위암 검진을 더 수 검하였다. 다섯째, 가능 요인의 모임·조직에 참여 여부는 평생수검(Model 3)에 서만 유의한 영향요인이었다. 여섯째, 필요 요인의 만성질환 유무는 12개월 이 상 24개월 미만 수검(Model 2)과 평생수검(Model 3)에서 유의한 영향을 미치 는 요인임을 확인했다. 일곱째, 위암 검진 수검자를 대상으로 검진 후 사후관 리 경험 여부에 미치는 요인은 필요 요인에서의 만성질환 여부임을 확인했다. 이러한 결론을 바탕으로 아래와 같은 정책제언을 한다. 첫째, 월평균 가구소득이 평생 위암 수검(Model 3)에서만 유의한 결과인 것 을 보아, 위암 검진 비용이 다른 나라에 비해 저렴하고 보장범위가 넓지만, 의 료취약계층을 위한 중재 프로그램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둘째, 지역사회 자원을 활용하여 지역사회 위암 검진 수검률을 높여야 할 필 요가 있다. 특히 코로나-19와 같은 현 상황에서는 국민들이 의료이용에 불안 감과 염려증을 가지고 있다. 이 때문에 건강(암) 검진 수검률이 감소되고 있는 현 시점에서, 지역사회 자원을 활용한 비대면 암 건강 검진 프로그램을 홍보 해야 할 것이다. 셋째, 20-30대를 위한 국가암검진사업을 수립해야 한다. 국가암검진사업으로 인해 40-50대 위암 발병률은 최근 수십 년 동안 감소했으나, 20-30대 위암 발 생률은 증가하고 있어서 현재 전 세계적으로 우려가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 라 20-30대를 위한 암 검진 사업을 수립해야 할 것이다. 넷째, 만성질환관리와 사후관리 체계를 강화해야 한다. 위암 검진 수검률을 높이기 위해서는 검진 후 결과에 대한 사후관리가 적절히 이루어져야 하며, 환자에 대한 관리가 일회성에 그치지 않고 지속적인 개입을 위한 정책을 수립 할 것을 시사한다.

      • Genetic characteristics and pathogenicity of a novel red sea bream iridovirus mixed subtype Ⅰ/Ⅱ in rock bream

        정민아 부경대학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causative agents of red sea bream iridoviral disease (RSIVD) are known as infectious spleen and kidney necrosis virus (ISKNV) and red sea bream iridovirus (RSIV). In Korea, RSIV, especially subtype II, has been the main causative agent of red sea bream iridoviral disease since the 1990s. Recently, RSIV-Ku strain, a novel strain mixed with ISKNV and RSIV, was isolated from cultured red sea bream (Pagrus major) in Taiwan, suggesting the possibility of genetic variation in the aquatic environment. In this study, RSIV infection was identified in Japanese sea bass (Lateolabrax japonicus) and rock bream (Oplegnathus fasciatus) among Korean cultured fish, and the two RSIV isolates were had different subtypes on the phylogenetic analysis based on the major capsid protein (MCP) and the adenosine triphosphatase (ATPase) protein genes. The complete genome and pathogenicity were analyzed to find out the differences between 17SbTy (RSIV mixed subtype I/II isolated from the Japanese sea bass) and 17RbGs (RSIV subtype II isolated from the rock bream). Complete genome sequences revealed that 17SbTy and 17RbGs genomes are 112,360 and 112,235 bp long, respectively (115 and 114 open reading frames [ORFs], respectively). According to nucleotide sequence homology with representative RSIVs, 69 of 115 ORFs of 17SbTy are most closely related to subtype II (98.48–100% identity), and 46 to subtype I (98.77–100% identity). In addition, two isolated RSIVs in this study compared genetic variants with Ehime-1 strain (RSIV subtype I) reported in Japan and RBIV strain (RBIV subtype II) in Korea. As the result, RSIV subtype I/II (17SbTy isolate) and RSIV subtype II (17RbGs isolate) carried two insertion/deletion mutations (InDels) (ORFs 014R and 102R on the basis of the 17SbTy) in regions encoding functional proteins (a DNA-binding protein and a myristoylated membrane protein). The survival rates of RSIV subtype I/II (17SbTy isolate) or RSIV subtype II (17RbGs isolate) infected rock bream differed significantly. It indicated that the genomic characteristics and/or adaptations to their respective original hosts might influence pathogenicity. The transmission assessment based on the maximum RSIV shedding ratio of inoculated rock bream suggested that the RSIV subtype I/II could have a relatively lower risk than that of infection with RSIV subtype II. In addition, the analysis of the odds ratio based on the spleen index indicated a significantly different that RSIV subtype II infected rock bream was 19.38 but RSIV subtype II was 55.00, supporting the virulence difference of RSIV isolates to rock bream. Especially, in a cohabitation challenge test that mimicked natural conditions, the cumulative mortality of the donor (RSIV-injected rock bream) and the recipient (cohabited naïve rock bream) was significantly lower in the RSIV subtype I/II exposed group than RSIV subtype II exposed group, supporting the correlation between genetic mutation and pathogenicity. To identify the infection mechanism of two RSIVs which has differences in pathogenicity to rock bream and genetic characteristics, the expression of the viral and apoptosis-related genes were analyzed after RSIVs inoculation to rock bream. The expressions of the viral gene (DNA binding protein and myristoylated membrane protein) including the notable InDels region and that of caspase-8 related to apoptosis in rock bream were up-regulated with significantly differences between two RSIVs infected rock bream at 11 days post-infection. It might be related to the difference of viral replication between 17SbTy and 17RbGs in the early stages. Furthermore, although viral genes were highly expressed and caspase-8 was upregulated in early infection stages, the low expression of caspase-3 (activated by caspase-8) may have inhibited apoptosis, reflecting differences in virulence between different RSIV isolates. In conclusion, several virulence factors, including pathogenicity, viral shedding ratio, odds ratio, and gene expression in genetic different RSIV (RSIV subtype I/II and RSIV subtype II) infected rock bream, support that RSIV mixed subtype I/II may be a less pathogenic RSIV strain compared with general RSIV subtype II in a natural aquatic environment. 참돔이리도바이러스병(red sea bream iridoviral disease, RSIVD)의 원인체는 infectious spleen and kidney necrosis virus (ISKNV)와 red sea bream iridovirus (RSIV)로 알려져 있다. 국내에서 1990년 후반부터 돌돔, 참돔 등의 해산어류에서 RSIVD 발생이 보고되었으며 주 원인체는 RSIV subtype II형이다. 최근 대만의 양식 참돔에서 ISKNV와 RSIV가 혼합된 새로운 변이주인 RSIV-Ku strain이 확인되어 수계 환경 중 유전자 변이의 가능성이 제시된 바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양식 어류 중 농어(Japanese seabass, Lateolabrax japonicus)와 돌돔(Rock bream, Oplegnathus fasciatus)에서 RSIV 감염을 확인하였으며, major capsid protein (MCP)와 adenosine triphosphatase (ATPase) 유전자 염기서열을 통한 계통학적 분석 시 다른 유형의 RSIV인 것을 확인하였다. 서로 다른 유전적 특징을 가지는 RSIV (농어로부터 분리한 subtype I/II 혼합형인 17SbTy 및 돌돔으로부터 분리한 RSIV subtype II)에 대한 차이점을 알고자 전체 게놈을 분석하였으며, 돌돔에 대한 두 분리주의 병원성을 분석하였다. RSIV subtype I/II (17SbTy isolate)와 RSIV subtype II (17RbGs isolate)의 전체 게놈 서열은 각각 112,360, 112,235 bp 길이임을 밝혀냈다. 17SbTy isolate의 전체 open reading frame (ORF) 115개 염기서열에 대한 참조 서열들광의 상동성을 분석 한 결과, 69개의 ORF는 RSIV subtype II (98.48–100% 상동성), 46개의 ORF는 subtype I (98.77–100% 상동성)과 가장 유전적 상동성이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일본에서 보고한 Ehime-1 strain (RSIV subtype I)과 국내 RBIV strain (RBIV subtype II)와 본 연구에서 분리된 RSIV와의 유전적 변이를 비교하였다. 그 결과 RSIV subtype I/II (17SbTy isolate)와 RSIV subtype II (17RbGs isolate)는 기능성 단백질(DNA-binding protein 과 myristoylated membrane protein)을 암호화하는 영역에서 두 개의 insertion/deletion 변이(17SbTy 기준 ORF 014R 및 102R)를 가지고 있다. RSIV subtype I/II (17SbTy isolate)와 RSIV subtype II (17RbGs isolate)를 돌돔에 인위 감염 시 감염된 돌돔의 생존률은 그룹 간의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이는 게놈 특성 또는 각각의 원래 숙주에 대한 적응이 병원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나타낸다. 인위 감염된 돌돔의 최대 RSIV shedding ratio로부터 RSIV 전파에 대한 평가 시 RSIV subtype I/II 감염은 RSIV subtype II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위험성을 보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돌돔의 spleen index 수치를 기반으로 두 RSIV 감염에 대한 odds ratio을 분석 시 RSIV subtype I/II는 19.38인 반면 RSIV subtype II 감염 시 55.00로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으며 이는 RSIV 간 돌돔에 대한 병원성 차이를 뒷받침하였다. 특히, 자연 수계 환경 조건을 모방한 cohabitation 감염 실험에서 donor (RSIV 복강 접종 돌돔)와 recipient (donor와 함께 수용된 돌돔)의 누적 사망률은 RSIV subtype I/II 노출이 RSIV subtype II 노출 그룹에서 유의하게 낮아 유전적 변이와 병원성 간의 상관관계를 뒷받침했다. 유전적 및 돌돔에 대한 병원성 차이를 보이는 두 RSIV의 돌돔에서의 감염 기작을 확인하고자 각각의 RSIV를 돌돔에 인위 감염 후 바이러스 자체 및 돌돔의 세포자멸사(apopotosis) 관련된 유전자들의 발현을 분석하였다. 인위감염된 돌돔에서 insertion/deletion변이 (InDels) 부위인 DNA-binding protein 과 myristoylated membrane protein 과 세포자멸사와 관련된 caspase-8의 발현은 감염 후 11일 동안 두 RSIV 분리주 사이의 유의한 차이를 보이며 up-regulation되었다. 이는 두 분리주의 감염 초기 단계의 바이러스 복제 정도의 차이와 관련될 수 있다. 또한, 초기 감염 단계에서 바이러스 유전자와 caspase-8의 높은 발현과 달리, caspase-8에 의해 활성화 되는 caspase-3의 낮은 발현은 바이러스가 세포자멸사를 억제했을 수 있으며, 이는 서로 다른 RSIV 분리주 사이의 독성 차이를 반영한다. 결론적으로 유전적 특징이 다른 RSIV subtype I/II과 RSIV subtype II의 돌돔에 대한 병원성, viral shedding ratios, odds ratio, 유전자 발현을 포함하는 다양한 요소들은 RSIV subtype I/II 혼합형이 자연 수계 환경에서 일반적인 RSIV subtype II에 비해 비교적으로 병원성 및 전파력이 낮은 형태의 RSIV variants일 수 있다는 것을 뒷받침한다.

      • 청소년기의 이성간 사랑 유형 분석 : Sternberg의 사랑의 삼각이론을 중심으로

        정민아 韓國敎員大學校 大學院 2004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청소년기 사랑의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사랑의 유형을 분석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청소년의 전·중·후기의 사랑 유형에는 차이가 있는가? 둘째, 청소년기의 사랑 유형에는 성차가 있는가? 셋째, 청소년기의 사랑유형은 이성교제경험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읍·면, 중소도시, 대도시 지역에 소재하고 있는 초·중·고등학교 2개교를 선정하고 553명(남 275명, 여 278명)을 대상으로 조사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에 사용된 Sternberg(1998)의 STLS(The Sternberg Triangular Love Scale)는 예비조사를 거쳐 청소년의 수준에 맞도록 수정·보완하였고 이 척도의 신뢰도는 .9740이었다. 자료분석을 위해 이용된 통계 기법은 먼저 청소년기의 사랑 유형을 나누기 위해 군집분석과 일원분산분석 및 사후검증을 하였고 가설 1, 2 그리고 3을 검정하기 위해 교차 분석과 일원분산분석 및 사후검증을 실시하였다. 가설을 검정하여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기의 사랑의 유형은 3유형(빈약한 사랑, 미온적 사랑, 충만한 사랑)으로 분류가 되었는데 청소년들은 이성간의 사랑을 비교적 긍정적으로 지각하고 있었으며 사랑에 있어 열정이나 책임감 요인보다 친밀감의 요인이 청소년기의 이성간 사랑에 더 큰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둘째, 청소년기의 이성간 사랑은 연령에 따라 사랑 유형에 차이를 보였다. 즉,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충만한 사랑 유형이 많았고 사랑의 세 요인(친밀감, 열정, 책임감)이 증가하였다. 셋째, 청소년기의 이성간 사랑은 성차를 보이지 않았다. 최근의 양성적인 특성이 사랑에 있어서도 드러나며 STLS가 여성에 편중화되지 않는 중성적인 도구라는 것을 증명해 보였다. 넷째, 청소년기의 이성간 사랑은 이성교제경험에 따라서 사랑의 유형에 차이를 보였다. 즉, 교제해 본 이성의 수가 많을수록, 현재 교제를 하고 있을수록 그리고 교제기간이 길수록 충만한 사랑유형을 보였고 사랑의 세 요인이 증가하였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통해 청소년기에도 성인기와 마찬가지로 사랑이 존재할 뿐만 아니라 전생애를 통해 발달해 나가며 특히 청소년기에는 선천적 특성인 성별보다는 오히려 후천적·경험적인 특성이 사랑에 더 많은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들은 청소년기의 이성교제에 대해 긍정적 시각을 제공해 주며 발달심리학적 측면에서 올바른 인간관계의 발달과 성숙을 위한 다양한 교육방법을 모색하기 위한 밑거름이 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investigation was in the analysis of types of love for investigating traits of love in adolescence. To achieve this goal, several questions as followed were established: (1) is there any difference in the types of love in the beginning, middle, end(final) of adolescence? (2) is there the sexual difference in adolescence's types of love? (3) does the experience of making friendship with the opposite sex affect the adolescence's types of love? To address these questions, Three schools respectively (elementary, middle, high school) which are located at suburban small town, middle city, and big city, were selected and total 533 students were surveyed(man: 275 woman: 278) Survey tool which was used in investigation was modified and revised based on the STLS(The Sternberg Triangular Love Scale- Sternberg(1998)) to be agreeable to the adolescence's level through preliminary investigation and the reliability of this tool was .9740. The statistic analysis for this investigation to classify type of love of adolescence was used for Cluster analysis, one-way analysis of variance(ANOVA) and Post-Hoc test. After that, intersection analysis, one-way analysis of variance(ANOVA) and Post-Hoc test were operated for verifying the hypothesis 1, 2 and 3. The result acquired by inspecting the hypothesis was as like followed: first, types of love in adolescence were divided into three types(scanty love, tepid love, abundant love). Teenagers(Adolescences) perceived the love with the opposite sex affirmative relatively, and they seemed to be influenced on a factor of intimacy more than that of passion or responsibility. Second, love with opposite sex in adolescence appeared different types depending on the age. In other words, as one's age increased, the type of abundant love was common and three factors of loves (intimacy, passion, responsibility) also increased. Third, love in adolescence didn't have a difference in the sex. The recent bisexual characteristic was revealed at love, which showed that STLS was verified as sexless tool that didn't have preponderance on woman. Fourth, Love in adolescence made a difference in the type of love according to the experience of making friendship with opposite sex. Namely, if one had many opposite sexes friends in the past and currently made relationship with opposite sex and has long term of relationship with them, one appeared abundant love type and the three factors of love also increased. By the above results of research, love existed in adolescence as like as in adult term and love grew through all life, especially in adolescence, acquired and experienced traits had effect on the love more than sex, in-born trait did.

      • 자유학기제 영어과 교사들의 교육과정 실행실태와 원인분석

        정민아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자유학기제 중학교 교사들이 자유학기제 핵심 사안 중 하나인 교육과정 재구성을 어떤 방법으로 실행하며 그 이유는 무엇인지, 그리고 그 과정에서 어떤 어려움을 겪는지를 이해함으로써 교육과정 재구성을 활성화하는 방안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자유학기제 경험이 있는 영어과 교사 10명을 대상으로 개별 심층면접을 통한 질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 많은 교사들이 교육과정을 그대로 따르기 보다는 다양한 방법으로 교육과정 재구성을 실행하고 있음을 발견했다. 10명의 교사 중 단 1명만 교육과정을 그대로 따르는 교육과정 전달자(Curriculum Transmitter)로 분류되었고, 나머지 8명은 여러 요인들을 고려해 상황에 맞게 교육과정을 조정하는 교육과정 개발자(Curriculum Developer), 1명은 교과서를 거의 이용하지 않고 교육과정을 스스로 설계하는 교육과정 제작자(Curriculum Maker)로 분류되었다. 교사들의 구체적인 교육과정 재구성 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들은 추가(Adding)의 방법을 이용해 교과서에서 충족되지 않는 학생들의 언어적 필요를 보충하였다. 둘째, 교사들은 생략(Deleting)의 방법을 이용해 학생들의 수준에 맞게 교과서 진도를 조정하였다. 셋째, 교육과정 개발자들은 조정(Modifying)의 방법을 가장 많이 이용하였으며, 이는 많은 교사들이 2015개정교육과정에 새로 제공된 교과서에 만족하고 있다는 근거를 제시하였다. 교사들은 교과서를 상황에 맞게 적절히 조정하여 자유학기제에서 권장하는 프로젝트 수업, 융합·연계 수업 등을 실제로 수행하고 있었다. 이 과정에서 교사들은 또한 과정중심평가를 어떤 방법으로 실현하고 있는지를 보여주었다. 교사들이 교육과정 재구성에 어려움을 겪는 요인에는 학생요인, 교사요인, 환경요인이 있었다. 첫째, 교사들은 자유학기제 활동중심 수업과 교과 내용 생략 등에 따른 학생들의 학력저하를 우려하였으며, 교과 내용을 재구성을 할 때 학생들의 수준차이로 인한 수업진행의 어려움도 언급하였다. 또한 활동중심 수업에서 학생들의 학습 스타일에 따른 불이익과 그룹 활동의 무임승차 문제를 지적하였다. 둘째, 교사들은 자유학기제 서술식 평가, 수업준비 등으로 인한 업무 부담과 자유학기제 연수 부족에 따른 자유학기제 이해도 부족으로 교육과정 재구성에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셋째, 교사들은 주제선택활동, 진로탐색활동 등의 ‘자유학기활동’의 실효성 문제, 과도한 영어 사교육, 그리고 학부모의 의견수렴 문제 등을 환경요인으로 언급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자유학기제 교육과정 재구성 활성화를 위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들의 학력저하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학생의 성장을 지원하는 형성평가를 실시할 것을 제안한다. 둘째, 교사들은 학생들의 수준차를 극복하기 위한 개별화 수업을 활용해 볼 수 있을 것이다. 셋째, 교사들의 업무부담 해소를 위해 평가방식 개선과 수업 자료의 체계화가 필요하다. 넷째, 교사들의 자유학기제에 대한 올바른 이해를 위해 자유학기제 연수를 의무화한다. 다섯째, 주제선택활동, 진로탐색활동 등의 ‘자유학기활동’에 대한 개선이 필요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