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디지털 시대의 교육학의 자기변모 : 그 특징과 한계

        정민승 한국교육학회 2007 敎育學硏究 Vol.45 No.3

        Theory of education is an academic field which hardly developed its own methodology transacting to the educational practices before 2000. The focus was limited to educator's norm or obligational approaches what teachers or students should do. After information technology was a signal of our era, the accumulation and transmission of knowledge has not occupied the same status as before. The philosophy of education is changed as the digital culture is perpetuated into the people's ordinary life as well as schools loses trust of people. Recent theory of education faces to the challenge from the both side of education : its own perspective and its adjustment to the new era. This study aims at discovering several dimensions of theory for self-evolution of an academic development of education. It examines current situation of education, systemizes issues and arguments of education and searches the condition for further development. In the concrete, this study deals with the progress of educational theory from late 1990s, the paradigmatic theories such as lifelong learning theory and educational principle theory. In addition, the limitations of these theories are uncovered analyzing the origin and progress of the theory. Finally, a proposal for academic evolution is offered suggesting several starting points of research.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모든 학문은 시대와 교감하면서 성장해왔고, 교육학도 예외는 아니다. 그러나 교육학에 대해서는 시대적 변화 혹은 실천현장의 변화에 둔감하다는 비판 역시 지속적으로 제기되어왔다. 최근, 디지털 문화의 일반화는 이런 문제제기에 보다 힘을 실어주고 있다. 교육학은 진리와 지식의 상대성 및 학교교육의 무력화 속에서 학문적 길찾기를 해야 하는 상황에 놓여있는 것이다. 이 연구는 이런 상황인식 속에서, 전환기의 교육학이 1990년대 이후 어떻게 스스로를 혁신해 왔고, 그 한계와 특징은 무엇인지를 규명하고자 한다. 학술저널 분석결과, 1990년대 후반부터의 교육학 연구는 1980년대부터 시작된 자기반성의 담론에 힘입어 실천현장을 이론적으로 규명하고자 하는 경향이 두드러지나, 이론적 고유성의 부재로 이론으로서의 축적으로 나아가지는 못하는 한계를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노력을 우리는 ‘패러다임적 연구’라고 부를 수 있는데, 교육학에서는 교육본위론과 평생학습론이 이런 패러다임적 연구에 해당한다. 이런 논의를 정리하면서, 이 연구는 학문적 자기변모의 노력들이 이론적 자기진화의 틀을 갖추기 위해 필요한 몇 가지 지속적인 연구영역을 제시하고 있다.

      • KCI등재

        한국 다문화교육의 이데올로기적 재생산 기제 비판

        정민승,조지연 한국교육사회학회 2012 교육사회학연구 Vol.22 No.2

        Multicultural education has different shapes depending on the culture to which it belongs. Owing to the tradition of ‘jus sanguinis,’ the right of blood, Korean culture has reproduced its own identity through the lens of ‘purity of blood.’ It helps to create ‘we-ness’, which could inspire extraordinary self-sacrifice among Koreans for achieving common national goals. Therefore, multicultural education could be regarded as a conceptual invasion weakening the power of we-ness by blurring the boundaries of ‘we.’ However, implementation of multicultural education has proliferated in the last few years through pan-governmental political investment. Multicultural education has become an overarching concept that holds the potential of changing the stereotype of ‘pure Koreaness.’This study examines the particularity of Korean multicultural education through interview and literature analysis. The examination of educational policies, statements, and curricula reveals the ways in which the potentially transformative nature of multicultural education has a limited meaning in the context of Korean culture. For example, our analysis of multicultural policies shows that the term ‘multiculture family’ is used as a dismissive term for ‘family of immigrants with low socio-economic status.’ Also, multicultural education and its coded ethnic discourse have reduced immigrants as objects without desire. At the same time, Korea’s longing toward ‘advanced nation’ status provides paradoxical impetus for the expansion of multicultural education. Behind the rapid success of Korea’s multiculturalism, one finds heterogeneous elements such as excessive zeal for national competitiveness, democratic desire, and a drive for educational equity. 다문화교육은 그 지시태의 다양성으로 인하여 국가별 스펙트럼이 매우 넓다. 우리나라와 같이 ‘단일혈통’을 국가정체성으로 삼아온 사회에서 다문화교육의 급속한 성장과 확산은 그 자체로 문제적이다. 이 논문은 다문화교육의 정책 및 현황관련 문헌에 대한 분석을 통해, 다문화교육이 타자화를 수용하는 적극적 교육개혁운동으로서의 본질적 가치를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현실에서는 외국이주민들의 적응과 통합을 위한 복지지원정책으로 수용하게끔 하는 일종의 이데올로기로 기능하고 있음을 드러내고, 그 기제를 밝히고자 하였다. 연구자는 교육적 본질이 다양한 방식으로 변형-왜곡되는 과정을 다문화교육의 주형틀, 문화정서적 특성, 행위자의 동인이라는 차원에서 분석하였다. 그 결과 개념적 주형틀은 제도-정책적 차원에서 우선적으로 제시되어왔으며, 그 내용상 다문화라는 개념이 ‘결혼이주여성이나 외국인노동자라는 대상’을 가리키는 배타적 용어로 축소되어 이후 논의의 경계를 축소하고 있으며, 다문화교육은 우리민족의 정서적 특징인 순수혈통주의와 결합, ‘욕구없는 존재’로서의 대상화 과정을 통해 소외된 방식의 ‘타자성에 기초한 교육’을 재생산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런 다문화교육의 확장의 기반에는 역설적이게도 다문화주의와 상반된 ‘선진국화’에 대한 지향이 자리잡고 있다. 다문화교육의 교육적 본질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이런 이데올로기적 왜곡의 각 지점들에서 시작되는 구체적 실천이 필요하다.

      • KCI등재

        평생교육적 관점에 입각한 원격교육 재구성 전략

        정민승 한국평생교육학회 2001 평생교육학연구 Vol.7 No.1

        온라인 원격교육은 인터넷이 일반화된 이후 엄청난 시장으로 부상하였고 새로운 교육공간으로서의 잠재력을 가지고 있지만, 실제 교육의 현장을 보면 학교교육의 모델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으며, 따라서 오프라인 교육의 대체재 혹은 열등재로 인식되고 있다. 이 연구는 온라인 원격교육이 갖는 한계의 중요한 원인이 기존의 학교교육패러다임을 넘어서지 못한 인식론상의 자기제한에 있음을 밝히고, 이에 대한 대안으로 평생교육적 재구성을 시도한다.

      • KCI등재
      • KCI등재

        ‘합리적 대화’를 넘어 ‘차이 배우기’로 ― 후기구조주의 페미니즘의 교육학적 의미지평 탐색 ―

        정민승 한국교육사회학회 2004 교육사회학연구 Vol.14 No.3

        The Meaning of Poststructural Feminism in Education 후기구조주의 페미니즘은 ‘차이’에 주목한다. 차이는 분화된 개념으로 사태를 볼 수 있도록 해주는 개 념적 도구이자 소외계층 안에서의 권력 문제를 민감하게 볼 수 있게 해 주는 지침어이다. 예컨대 여성에 서 여성‘들’로, ‘자율적 나’에서 ‘주체위치의 결합’으로 나아감에 따라 우리는 보다 정교하게 자신-타자의 실천을 분석할 수 있게 된다. 이는 근대주의적 패러다임에서 벗어나고자 하는 교육학에도 동일하게 적용 될 수 있다. 교수자나 학습자에 대한 일방적 강조에서 벗어나기 위해서는 교육자와 학습자는 자신의 위 치성을 논의함으로써 비판적 성찰의 문화를 만들어 나갈 수 있다. 또한, 후기구조주의 페미니스트들은 그 간 교육활동의 토대가 되어왔던 이성적 대화에 의해서가 아니라 차이간의 연합을 통해 서로를 이해하고 자 한다. 억압의 공유와 차이의 명시화의 변증법적 과정을 통해 소외집단은 대화의 원래적 목표를 이루 게 되는 것이다. 여성은 여성문제만이 아니라, 다층의 소외를 품어냄으로써 여성운동을 승리로 이끌 수 있다. 후기구조주의 페미니즘은 페미니즘과 페다고지의 결합을 자연스럽게 강조하며, 페미니즘이 일상적 의미전변을 위해서는 교육학적 기반을 경유해야 함을 밝혀주고 있는 것이다.

      • KCI등재

        아파트 단지의 로봇 친화형 환경 인증 모델 개발

        정민승,장설화,구한민,윤동근,김갑성 한국국토정보공사 2023 지적과 국토정보 Vol.53 No.1

        A robot-friendly building certification system was established in 2022 to accommodate the growing number of service robots introduced into buildings. However, this system primarily targeted office buildings, with limitations in applying other functional architectures. To address this problem, we developed a certification model of a robot-friendly environment to extend the existing system to apartment complexes. Using focus group interviews and the analytic hierarchy process, we established 28 evaluating items categorized as (a) architecture and facility design, (b) networks and systems, (c) building operations management, and (d) support for robot activity and other services. These indicators were weighted based on their relative importance within and between categories, resulting in scores ranging from 1 to 18 points and a total of 176 points. According to evaluations with the 28 items, each apartment complex could be graded as “best,” “excellent,” or “general” based on its total achieved scores. This study is significant, as we present the world's first certification model of a robot-friendly environment for apartment complexes that considers human-robot interactions.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